KR101590824B1 -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24B1
KR101590824B1 KR1020140079676A KR20140079676A KR101590824B1 KR 101590824 B1 KR101590824 B1 KR 101590824B1 KR 1020140079676 A KR1020140079676 A KR 1020140079676A KR 20140079676 A KR20140079676 A KR 20140079676A KR 101590824 B1 KR101590824 B1 KR 10159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waste
wire rope
wire
mar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331A (ko
Inventor
이승현
이문진
오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7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는 선박의 크레인에 구비된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101)와 연결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와 회전가능하도록 제작된 구비된 부체(120); 및 상기 부체(120)의 표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 각각은 암반, 암초, 및 도서 주변에 산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a, 121b)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Marine Waste}
본 발명은 조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반 및 암초가 밀집된 지역에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선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유령어업(Ghost Fishing) 등 수산자원의 보호와 해양환경 개선의 목적으로 1999년 이후 해양에 침식된 고형의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최근 조업어장이 활발한 연근해 해역에서는 해양폐기물의 수거시간과 수거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고비용 및 저효율 현상이 증대하고 있어 해양폐기물 조사 및 수거정책의 개선과 변화가 요구된다.
특히 도서 및 암반이나 암초 주변해역에서는 효과적인 조사와 수거작업이 어려워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서 및 암반, 암초 주변해역에 분포 및 침적되어 있는 해양 침적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94138호 (발명의 명칭: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해양폐기물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거장치를 통해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 해저 내에 부유하는 해양폐기물은 물론 해상의 암반, 암초, 도서 주변에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를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암반 및 암초 주변에서도 용이하게 해양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는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는 선박의 크레인에 구비된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101)와 연결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와 회전가능하도록 제작된 구비된 부체(120); 및 상기 부체(120)의 표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 각각은 해저에 부유하는 해양폐기물,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 해수면 상의 암반, 암초, 및 도서 주변에 산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2)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은 10 내지 20m 범위 내의 길이를 갖으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로프(121)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와이어 로프들이 슈벨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 121b)들은 낚시 바늘, 갈고리,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a, 121b)들 각각은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표면에 구비된 경심줄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끝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는 와이어 로프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걸이부재, 예컨대, 낚시바늘, 갈고리, 돼지코 형상의 와이어를 통해 종래의 수거 장치로는 수거할 수 없는 지역, 예컨대, 도서 및 암반이나 암초 주변해역의 해양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 수거 장치의 경우, 해양폐기물이 분포된 지역의 공간적 제약을 받았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해양폐기물 조사수거장치의 경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를 다발식으로 엮어 사용함으로써, 해양폐기물 수거 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수거 장치의 경우는, 해수면 또는 해저면에 침적된 쓰레기들을 수거하는데 주 목적을 갖은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거 장치는 해수면, 해저면 뿐만 아니라, 암반들이 밀집된 지역에 분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f는 해양폐기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암초 또는 암석의 밀집지역에 분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양폐기물이 수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해양폐기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암초 또는 암석의 밀집지역에 분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양폐기물이 수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1000)는 해저면 또는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암석들 또는 암초들이 밀집된 지역에 분포된 해양폐기물(예컨대, 폐그물, 폐통발, 폐로프를 포함하는 폐어구, 도 1a 내지 도 1f 참조)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몸체(110), 부체(120), 와이어 로프(12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선박에 구비된 크레인과 연결된 윈치의 내부에 감겨진 와이어(10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수직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101)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 연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염분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부식 방지 코팅제가 코팅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체(120)는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와 회전가능한 원통형,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와이어 로프(121)는 상기 부체(120)의 표면(예컨대, 바닥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5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와이어 로프(121)는 10 내지 20m 범위 내의 길이를 갖으며,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로 상기 부체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이는 해양폐기물 수거 시에 서로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며, 만약 길이가 동일할 경우, 서로 엉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121)는 해저면 또는 해수면 상의 도서 및 암반 주변에 위치하는 해양폐기물을 용이하게 수거하기 위하여, 표면에 복수 개의 걸이부재(121a, 121b)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길이는 슈벨(130)을 통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슈벨(130)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걸이부재(121a, 121b)들은 낚시 바늘, 갈고리,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걸이부재(121a, 121b)들 각각은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표면에 구비된 경심줄을 통해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121b)는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1000)는 와이어 로프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걸이부재, 예컨대, 낚시바늘, 갈고리, 돼지코 형상의 와이어를 통해 종래의 수거 장치로는 수거할 수 없는 지역, 예컨대, 도서 및 암반이나 암초 주변해역의 해양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 수거 장치의 경우, 해양폐기물이 분포된 지역의 공간적 제약을 받았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의 경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를 다발식으로 엮어 사용함으로써, 해양폐기물 수거 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수거 장치의 경우는, 해수면 또는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들을 수거하는데 주된 용도를 갖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해양폐기물 수거 장치는 해수면, 해저면 뿐만 아니라, 암반들 또는 암초들이 복합적으로 밀집된 지역에 분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0: 조사수거장치
100: 윈치 110: 몸체
120: 부체 121: 와이어 로프
121a, 121b: 걸이부재 130: 슈벨

Claims (6)

  1. 선박의 크레인에 구비된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101)와 연결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부체(120); 및
    상기 부체(120)의 표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121)들 각각은,
    해저에 부유하는 해양폐기물, 해저면에 침적된 해양폐기물, 해수면 상의 암반, 암초 및 도서 주변에 산재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121)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a, 121b)들이 구비되고,
    10 내지 20m 범위 내의 길이를 갖으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와이어 로프들이 슈벨을 통해 연결되며,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끝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 121b)들은,
    낚시 바늘, 갈고리, 돼지꼬리 모양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재(121a, 121b)들 각각은,
    상기 와이어 로프(121)의 표면에 구비된 경심줄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6. 삭제
KR1020140079676A 2014-06-27 2014-06-27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KR10159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676A KR101590824B1 (ko) 2014-06-27 2014-06-27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676A KR101590824B1 (ko) 2014-06-27 2014-06-27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1A KR20160001331A (ko) 2016-01-06
KR101590824B1 true KR101590824B1 (ko) 2016-02-02

Family

ID=5516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676A KR101590824B1 (ko) 2014-06-27 2014-06-27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870B1 (ko) * 2021-10-01 2024-01-04 박인섭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9-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39B1 (ko) * 2005-02-15 2005-08-09 (주)대흥엔지니어링 상수원지 수질 오염 예방을 위한 쓰레기 인양 갈고리 구조
KR100803761B1 (ko) * 2007-08-27 2008-02-18 대한민국 체인형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138B1 (ko) 2002-11-12 2005-06-13 한국해양연구원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39B1 (ko) * 2005-02-15 2005-08-09 (주)대흥엔지니어링 상수원지 수질 오염 예방을 위한 쓰레기 인양 갈고리 구조
KR100803761B1 (ko) * 2007-08-27 2008-02-18 대한민국 체인형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1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227B2 (en) Aquaculture net with high-tensile steel wires
EP2230898B1 (en) Aquaculture ne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weight
KR101590824B1 (ko)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Dawson et al. Management of gillnet bycatch of cetaceans in New Zealand
Large et al. Lost and abandoned nets in deep-water gillnet fisheries in the Northeast Atlantic: retrieval exercises and outcomes
JP2019104419A (ja) 洋上ウィンドファーム
JP6713342B2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の据え付け方法
CN108132049A (zh) 珊瑚礁调查及监测固定样线的设定装置及方法
EP3031319A1 (en) Aquaculture system with rigid structure
CN207907866U (zh) 珊瑚礁调查及监测固定样线的设定装置
JP4664227B2 (ja) 海中岩盤付着物除去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海中岩盤付着物除去装置
Wongnutpranont et al. Derelict fishing gears and other marine debris from coral communities on underwater pinnacles in Chumphon Province, Thailand
JP2012034627A (ja) 浮魚礁装置
JP2007132181A (ja) ケーブルロープウェイ式ブロック投入工法
McHugh et al. Comparing and modifying penaeid beam and otter trawls to improve ecological efficiencies
Zudaire et al. Results of the BIOFAD Project: Testing Designs and Identify Options to Mitigate Impacts of Drifting Fish Aggregating Devices on the Ecosystem
KR101149213B1 (ko) 자망형 해양오염 샘플링 장치
CN102283147A (zh) 海底增养殖设施水面定位网及制作方法
Dunkley et al. Marine protected unprotected areas
Jech et al. Fish distribution in three dimensions around the Block Island Wind Farm as observed with conventional and volumetric echosounders
Anton et al. Observations on Dolphin Sightings at the Romanian Coast and Measures to Reduce Accidental Catches in Fishing Nets
Ceccarelli et al. The value of offshore marine protected areas for open ocean habitats and species
CN102187824B (zh) 金属拉伸网海上防污损试验用挂网加工及其悬挂法
WO2008143517A2 (en) A device for detection of a seine wall
Li Coo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