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07B1 -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07B1
KR102135107B1 KR1020190071562A KR20190071562A KR102135107B1 KR 102135107 B1 KR102135107 B1 KR 102135107B1 KR 1020190071562 A KR1020190071562 A KR 1020190071562A KR 20190071562 A KR20190071562 A KR 20190071562A KR 102135107 B1 KR102135107 B1 KR 10213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ip
coupled
shaf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규
이창우
김정은
강민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수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수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수마린
Priority to KR102019007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이나 어초, 그리고 각종 해상 부유물이 존재하는 해상을 항해하거나 암초 등이 많은 간이 선착장 등에 접안시 선미에 설치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추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식 접이방식으로 편의성과 관리 용이성을 높이고, 고속 추진 및 운항시 저항 요소를 개선함으로써 해상 작업 환경에서 복원성 및 추진 성능이 개선된 차세대 어장 관리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FOLDING TYPE APPARATUS FOR PROTECTING MARINE PROPULSION DEVICE}
본 발명은 그물이나 어초, 그리고 각종 해상 부유물이 존재하는 해상을 항해하거나 암초 등이 많은 간이 선착장 등에 접안시 선미에 설치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추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식 자동 접이방식으로 편의성과 관리 용이성을 높이고, 고속 추진 및 운항시 저항 요소를 개선함으로써 해상 작업 환경에서 복원성 및 추진 성능이 개선된 차세대 어장 관리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미에는 수중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스크류가 부착된 추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추진기는 해상을 항해하거나 간이 선착장에 접안하는 과정에서 항구 근해나 양식장 근처, 혹은 암초 근처에 설치된 그물이나 어초, 각종 해상 부유물들이 스크류에 충돌하거나 감겨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에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추진기를 보호하는 기술들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20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457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150호 등에서 제안되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추진기 보호장치들은 대부분 선박의 선미에 고정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항상 수중 속에 방치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 편의성과 관리 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질적으로 추진기의 손상 위험이 없는 장소에서도 항상 수중에 추진기 보호장치가 존재함에 따라 선박 운항시 보호장치가 저항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선박의 고속 추진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선박용 고정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14219호에서는 선박의 저면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선박의 선미 양측단에 각각 조립되고 상/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와, 일측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타측단은 상기 선박의 저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슈피스로 이루어진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가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14219호에서 제안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는 추진기를 보호하는 슈피스를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상하 왕복운동하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암초 근처나 양식장 근처에서는 슈피스를 내려 추진기 및 방향타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청정 해역에서는 상기 슈피스를 선박에 밀착시켜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속 추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14219호에서 제안된 추진기 보호장치는 슈피스가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에 의해 상승하더라도 여전히 선박의 선미 측으로 수중에 위치됨에 따라 선박 운항시 저항 요소로 작용하여 고속 추진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슈피스에 그물이나 로프 등이 걸린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물속으로 들어가 슈피스에 걸린 그물이나 로프 등을 제거해야 하고, 또한 수리 보수시에도 직접 수중으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관리 및 수리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항상 염분에 노출됨에 따라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KR 20-1998-032069 U, 1998. 08. 17. KR 20-1999-014219 U, 1999. 04. 26. KR 10-2015-0044570 A, 2015. 04. 27. KR 20-2014-0002150 U, 2014. 04. 1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선박 추진기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지역(항구/양식장/암초 근처 등)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추진기를 보호하고, 추진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비위험지역(청정해역)에서는 선박의 상부로 상승시켜 고속 추진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압을 이용한 자동 접이식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관리 및 수리 보수가 용이하며,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식 또는 접이식 구조에 비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해 상하로 회전하는 가드; 상기 가드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로 전달된 상기 유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봉은 양측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재는 각각 관 형상으로 상기 축봉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선박의 선미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고정되며, 상기 축봉에는 상기 가드를 상기 축봉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부재는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봉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축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드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축봉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2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삼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삼각 고정대와,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에 연결된 한 쌍의 절곡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대의 종단부를 수평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의 각 밑변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에 고정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 간의 각도는 상기 제2 및 제3 절곡부 간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의 종단부에 구비된 연결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축봉으로 전달하되,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1 로드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에 의하면, 유압식 자동 접이식으로 편의성과 관리 용이성을 높이는 한편, 직접 물속으로 들어가지 않아 수리 보수가 용이하며, 고속 추진 및 운항시 저항 요소를 개선함으로써 해상 작업 환경에서 복원성 및 추진 성능이 개선된 차세대 어장 관리 선박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에 의하면, 선박 추진기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지역(항구/양식장/암초 근처 등)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유압식 접이방식으로 자동으로 수중으로 하강시켜 추진기를 보호하고, 추진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비위험지역(청정해역)의 운항이나 정박중에는 선박의 상부로 상승시킴으로써 추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박을 선미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상승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하강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10)는 선박(1, 도 4참조)의 선미에 설치되고, 유압방식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추진기(2)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지역(항구/양식장/암초 근처 등)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추진기(2)를 보호하고, 추진기(2)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비위험지역(청정해역)에서는 선박(1)의 상부로 상승시켜 고속 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10)는 선박(1)이 정박 중인 상태이거나, 추진기 보호장치(10)에 걸려 있는 그물이나 로프 등을 제거하거나, 혹은 추진기 보호장치(10)의 일부 손상 발생시 수리를 위해 선박(1)의 상부로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10)는 선박(1)의 선미에 결합되는 축봉(11)과, 축봉(11)에 결합되고 상하로 회전하는 가드(12)와, 가드(1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13)와, 유압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131)에 연결된 작동로드(14)와, 작동로드(14)에 결합된 연결링크(15)와, 연결링크(15)의 종단부를 축봉(11)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작동로드(14)와 연결링크(15)를 통해 유압 실린더(1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한다.
축봉(11)은 양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재(11a)에 의해 선박(1)의 선미에 결합된다. 한 쌍의 제1 고정부재(11a)는 관 형상으로 축봉(11)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부가 선박(1)의 선미에 고정되는 고정블록(미도시)에 고정된다.
축봉(11)은 제1 고정부재(11a)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제1 고정부재(11a)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즉, 축봉(11)은 제1 고정부재(11a)를 축으로 회전한다. 제1 고정부재(11a)의 내주면에는 축봉(1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축봉(11)에는 가드(12)를 축봉(11)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재(11b)가 설치된다. 한 쌍의 제2 고정부재(11b)는 각각 제1 고정부재(11a)와 마찬가지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축봉(11)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예컨대, 볼트 등) 및/또는 잠금돌부 등에 의해 축봉(11)에 고정된다.
또한, 축봉(11)은 하나의 축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복수 개의 축봉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축봉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 플랜지(11c)를 매개로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가드(12)는 도 2와 같이, 일단부가 축봉(11)에 설치된 제2 고정부재(11b)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가드(12)는 축봉(1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가드(12)는 용접을 통해 제2 고정부재(11b)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12)는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 고정부재(11b)에 고정되는 한 쌍의 삼각 고정대(121)와, 한 쌍의 삼각 고정대(121)에 연결된 한 쌍의 절곡대(122)와, 한 쌍의 절곡대(122)의 종단부를 수평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12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삼각 고정대(121)는 서로 일정 간격(연결대(123)의 길이)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제2 고정부재(11b)에 고정된다. 그리고, 각각 중량을 최소화하는 한편,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삼각 형상의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한 쌍의 절곡대(122)는 하강 상태에서 추진기(2)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가드(12)가 상승시 회전 각도를 최소로 하면서 가드(12)가 완전히 물 위로 상승하여 선박(1)의 상부와 거의 나란하도록 각각 복수 개의 절곡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절곡대(122)는 각각 삼각 고정대(121)의 밑변을 따라 삼각 고정대(121)에 고정된 제1 절곡부(122a)와, 제1 절곡부(122a)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절곡부(122a)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122b)와, 제2 절곡부(122b)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절곡부(122b)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3 절곡부(122c)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절곡부(122b)는 제1 및 제3 절곡부(122b, 122c)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절곡부(122a)와 제2 절곡부(122b)의 절곡각(a)은 제2 절곡부(122b)와 제3 절곡부(122c)의 절곡각(b)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절곡대(122)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절곡부(122a, 122b, 122c)는 낚시대나 안테나와 같이, 상호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절곡대(122)는 제1 내지 제3 절곡부(122a, 122b, 122c) 간의 연결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절곡부(122a, 122b, 122c)의 각 연결부(종단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하여 제1 내지 제3 절곡부(122a, 122b, 122c)의 연결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연결대(123)는 한 쌍의 절곡대(122)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한다. 이때, 연결대(123)는 절곡대(12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대(123) 또한 한 쌍의 절곡대(122)와 마찬가지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대(123)는 낚시대나 안테나와 같이, 상호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관 부재로 이루어져 추진기(2)의 크기에 대응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절곡대(12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물론, 연결대(123)의 길이 가변을 위해 한 쌍의 삼각 고정대(121)가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11b) 또한 축봉(11)을 따라 축봉(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부재(11b)를 이동시킨 후 축봉(11)에 구비된 별도의 잠금키(돌부 또는 홈부 구조)(미도시) 등으로 제2 고정부재(11b)를 축봉(11)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유압 실린더(13)는 작동로드(14)와 연결링크(15)를 매개로 축봉(11)을 회전시켜 가드(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선박(1)에 구비된 유압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유압 호스(17)를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상기 유압공급장치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액체인 유압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에 저장된 유압유를 유압 호스(17)를 통해 유압 실린더(13)로 공급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전기모터(또는 기타 동력원)과, 상기 유압유의 방향, 압력 및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 등을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13)는 유압 호스(17)를 통해 상기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유, 즉 오일의 압력을 기계적 힘으로 변환하여 실린더 로드(131)을 직선 왕복운동시킨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동로드(14)는 일단부가 실린더 로드(131)의 종단부에 구비된 연결핀(13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링크(15)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14)는 실린더 로드(131)의 직선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린더 로드(131)의 구동력을 연결링크(15)로 전달한다.
연결링크(15)는 일단부가 작동로드(14)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부재(1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로드(14)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연결부재(16)를 통해 축봉(11)으로 전달함으로써 작동로드(14) 및 연결부재(16)와 함께 실린더 로드(131)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축봉(11)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링크(15)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링크(15)는 작동로드(14)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1 로드(151)와, 제1 로드(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로드(152)를 포함한다.
연결링크(15)는 예를 들어, 제1 로드(151)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로드(151)가 제2 로드(152)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되고, 제1 로드(151)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로드(151)가 제2 로드(152)의 내부로 인입되어 길이가 축소된다.
도 2와 같이, 연결부재(16)는 하단부가 연결링크(15)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축봉(11)에 결합되어 연결링크(15)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축봉(11)으로 전달함으로써 유압 실린더(13)의 동작에 연동하여 축봉(11)을 회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박을 선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10)는 선박(1)의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선외기)(2)를 보호하기 위해 가드(12)가 추진기(2)의 주변을 감싸도록 선박(1)의 선미에 상승 및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도 5와 같이, 가드(12)는 추진기(2)가 가드(12)의 중앙, 즉 한 쌍의 절곡대(122)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가드(12)는 추진기(2)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한 쌍의 절곡대(122)의 제2 절곡부(122b)가 추진기(2)의 스크류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연결대(123)는 추진기(2)의 스크류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10)는 선박(1)의 선미에 설치되어 추진기(2)를 보호한다. 즉, 유압방식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추진기(2)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지역(항구/양식장/암초 근처 등)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추진기(2)를 보호하고, 추진기(2)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비위험지역(청정해역)에서는 선박(1)의 상부로 상승시켜 고속 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상승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의 하강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박(1)의 운항시에는 추진기(2)를 보호하기 위해 가드(12)가 하강하여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3)를 구동시켜 가드(12)를 선박(1)의 상부로 상승시켜 가드(12)가 선박(1)과 나란하도록 가드(12)를 접는다.
가드(12)의 상승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유압 실린더(13)를 구동시켜 가드(12)를 하강시키기 위해 인출된 실린더 로드(1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실린더 로드(131)의 복귀(길이 축소)에 대응하여 작동로드(14)와 연결링크(15)가 회동하고, 연결링크(15)의 회동에 의해 연결부재(16)는 축봉(11)을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축봉(11)에 결합된 가드(12)가 축봉(11)의 회전과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드(12)는 선박(1)의 상부로 상승하여 접혀지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박(1)의 비위험지역 운항이나 정박 중에는 가드(12)가 선박(1)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위험지역을 운항할 때에는 추진기(2)를 보호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13)를 구동시켜 가드(12)를 선박(1)의 하부로 하강시켜 전개한다.
가드(12)의 하강(전개)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유압 실린더(13)를 구동시켜 실린더 로드(131)를 인출시켜 실린더 로드(131)의 길이를 신장한다. 실린더 로드(131)의 인출(길이 신장)에 대응하여 작동로드(14)와 연결링크(15)가 회동하고, 연결링크(15)의 회동에 의해 연결부재(16)는 축봉(11)을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축봉(11)에 결합된 가드(12)가 축봉(11)의 회전과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드(12)는 선박(1)의 하부로 하강하여 전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선박 2 : 추진기
10 :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11 : 축봉
11a : 제1 고정부재 11b : 제2 고정부재
11c : 플랜지 12 : 가드
13 : 유압 실린더 14 : 작동로드
15 : 연결링크 16 : 연결부재
17 : 유압 호스 121 : 삼각 고정대
122 : 절곡대 122a : 제1 절곡부
122b : 제2 절곡부 122c : 제3 절곡부
123 : 연결대 131 : 실린더 로드
131a : 연결핀 151 : 제1 로드
152 : 제2 로드

Claims (5)

  1.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해 상하로 회전하는 가드; 상기 가드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로 전달된 상기 유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축봉은 양측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부재는 각각 관 형상으로 상기 축봉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선박의 선미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고정되며,
    상기 축봉에는 상기 가드를 상기 축봉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부재는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봉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축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축봉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2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삼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삼각 고정대와,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에 연결된 한 쌍의 절곡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대의 종단부를 수평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의 각 밑변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삼각 고정대에 고정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 간의 각도는 상기 제2 및 제3 절곡부 간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4.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해 상하로 회전하는 가드; 상기 가드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로 전달된 상기 유압 실린더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연결링크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의 종단부에 구비된 연결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축봉으로 전달하되, 상기 작동로드 및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축봉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1 로드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2 로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KR1020190071562A 2019-06-17 2019-06-17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KR10213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62A KR102135107B1 (ko) 2019-06-17 2019-06-17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62A KR102135107B1 (ko) 2019-06-17 2019-06-17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07B1 true KR102135107B1 (ko) 2020-08-26

Family

ID=7229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62A KR102135107B1 (ko) 2019-06-17 2019-06-17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54B1 (ko) * 2021-07-08 2022-11-07 노금자 선박용 보조 추진장치
KR20230140656A (ko) * 2022-03-29 2023-10-10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997U (ko) * 1988-04-11 1989-10-25
KR19980032069U (ko) 1998-05-19 1998-08-17 박완규 소형선박의 추진기 보호장치
KR19990014219U (ko) 1998-12-17 1999-04-26 석교상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
KR20040064057A (ko) * 2003-01-09 2004-07-16 박민규 선박스크류 보호장치
KR20140002150U (ko) 2012-10-0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추진기 보호설비
KR20150044570A (ko)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쌍축선의 추진기 보호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997U (ko) * 1988-04-11 1989-10-25
KR19980032069U (ko) 1998-05-19 1998-08-17 박완규 소형선박의 추진기 보호장치
KR19990014219U (ko) 1998-12-17 1999-04-26 석교상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
KR20040064057A (ko) * 2003-01-09 2004-07-16 박민규 선박스크류 보호장치
KR20140002150U (ko) 2012-10-0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추진기 보호설비
KR20150044570A (ko)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쌍축선의 추진기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54B1 (ko) * 2021-07-08 2022-11-07 노금자 선박용 보조 추진장치
KR20230140656A (ko) * 2022-03-29 2023-10-10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 장치
KR102626596B1 (ko) * 2022-03-29 2024-01-19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499B1 (en) Self-installing column stabilized offshore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135107B1 (ko)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EP3170736A1 (en) A retractable thruster, a swimming vessel and a method for retracting and ejecting a propeller of the retractable thruster
KR940003730B1 (ko) 해저작업 시스템
EP1718522B1 (en) Steering and/or stabilising device for motorised watercraft
US9567045B2 (en) Marine lifting vessel
KR101908914B1 (ko)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JP2009533258A (ja) 深海設置船
CN107618632B (zh) 用于海上风电运维船的六自由度稳定装置及风电运维船
EP1970302A1 (en) Oscillating hydrofoil propulsion and steering system
KR101098997B1 (ko) 소형 선박용 원동기 및 추진기 각도 조정 장치
KR102106606B1 (ko) 바지선
CN208993885U (zh) 一种水下大落差升降伸缩式浮动平台
WO2012074465A1 (en) Bow thruster
CN107600351B (zh) 一种用于海上风电运维船的抗摇装置及风电运维船
US11840321B2 (en) Outboard drive assemblies
KR102621870B1 (ko)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KR101803363B1 (ko) 해상풍력타워 설치용 바지선
CN111566002B (zh) 风电运维船
KR20100065912A (ko) 선수부가 보호되는 선박
EP2844541B1 (en) Ship with vertical draught system
KR20160118128A (ko) 기어가 부력탱크에 매설된 유압 로터-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RU25346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ходимости маломерных судов
RU1335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ходимости маломерных судов
KR19980032069U (ko) 소형선박의 추진기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