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72B1 -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72B1
KR101833172B1 KR1020170064997A KR20170064997A KR101833172B1 KR 101833172 B1 KR101833172 B1 KR 101833172B1 KR 1020170064997 A KR1020170064997 A KR 1020170064997A KR 20170064997 A KR20170064997 A KR 20170064997A KR 101833172 B1 KR101833172 B1 KR 10183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buoy
storage space
underwat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웅
Original Assignee
장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웅 filed Critical 장선웅
Priority to KR102017006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는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으로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표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위치 표식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통; 상기 함통에 수납되는 부이;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되어 해양쓰레기를 낚는 고리로 구성하여, 상기 수중드론의 투입 신호를 통해 해저에 군집된 해양 쓰레기에 위치 표식 장치를 투입하면, 상기 부이가 부력에 의해 함통에서 이탈되어 수면에 부상하고,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된 고리는 해저로 가라앉아 쓰레기를 낚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Submerged Marine Debris location marking device}
본 발명은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표식장치를 탑재한 수중드론을 통해 해양침적쓰레기의 위치를 수면 위에서 효율적으로 파악하여 쓰레기의 수거 및 선박의 안전 운항을 가능하도록 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안 환경은 공장 및 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로 인해 연안 해저는 크게 오염시킴은 물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쓰레기는 크게 육상기인 및 해상기인으로 구분된다.
먼저, 육상기인 쓰레기는 주로 하천을 통해 유입되며, 유입되는 폐기물은 초목류 등과 같은 자연물과 건설 행위 등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 그리고 생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 등으로 해양폐기물 중 약 70~85%를 차지한다.
상기 해상기인 폐기물은 선박(해상)기인 폐기물과 어업기인 폐기물로 분류되며, 해상활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선원 및 승객의 음식물류폐기물, 종이류, 폐비닐 등과 같은 생활 폐기물류와 운항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걸레, 플라스틱류 등 사업장 폐기물류가 있으며, 어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폐어망, 폐어구, 폐타이어, 폐로프, 폐연료, 폐어선, 양식장의 스티로폼 부자, 굴 패각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양쓰레기는 주로 난분해성 폐기물이 많고 해양에 오랫동안 잔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양환경 및 경관을 지속적으로 훼손하는 등 악영향을 끼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어업폐기물 중 스티로폼 부이, 그물 및 낚싯줄 등은 썩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해양에 잔류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상기와 같은 해양에 침적된 폐기물로 인해 해양생물의 서식지가 훼손됨으로써,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해양생태계 파괴는 해양 동식물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로 인해 해 해양 동식물이 감소됨으로써, 어업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제적인 피해를 갖는다.
아울러, 폐어망, 폐로프는 운항하는 선박의 스크류에 감겨 선박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해양에 부유하는 폐기물은 해안과 바다의 아름다움을 훼손하거나 해양의 관광;레저 활동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사회 및 경제적으로 피해를 초래한다.
또한, 해안폐기물은 수분과 염분농도가 높으며, 이로 인해 해안폐기물수거처리시 육상폐기물에 비해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해안폐기물은 바닷물에 있으면서 수분이 흡수되어 중량이 커지고, 염분이 스며들기 때문에 수거작업이나 전처리가 어렵고, 소각 시 2차 오염발생우려가 있어 수거 및 처리비가 육상폐기물에 비해 높다.
이렇게 해양 쓰레기의 의한 오염 실태가 가중되므로 이들 오염원을 모두 제거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 되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연안 해저 정화를 목적으로 한 수거선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1168호,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은 수심이 낮은 천해역 에서의 (Shallow Waters) 해저에 누적된 다양한 해양폐기물을 버켓 등 수거작업한 후에 남아있는 어망, 어구등 잔여폐기물을 수거하기에 적합한 잔여폐기 물수거장치가 구비하여 해양 쓰레기를 수거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1166호, 버켓이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은 선수에 로프 형태의 폐기물에 의한 작업 방해시 이를 절단할 수 있는 별도의 절단기를 구비하여 해저 폐기물 수거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으며, 수거선은 자항 능력을 구비하여 천해역(shallow water)에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한다.
상기와 같이, 수거선을 통한 해양 쓰레기 수거 장치 및 방법은 버켓 등을 이용하여 해저 폐기물을 수거하기 때문에 버켓의 운영 거리가 한정되어 있어 해저의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수심이 깊은 해저의 해양 쓰레기 수거 방식은 고가의 사이드스캔소나를 이용하여 일정 규모 이상 또는 군집을 이루는 침적물을 탐지한 후 잠수부가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이드스캔소나와 잠수부에 의한 해양침적쓰레기 수거 작업은 고가의 장비를 비롯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잠수부의 1회 잠수 시간이 40분 이내로 하루 최대 2~3회 정도로 짧으며 이로 인해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해양침적쓰레기의 특성상 위치 파악이 어렵고 수거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 국내외에서는 잠수부를 대신하여 해저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수중드론을 이용하는 방식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나, 해양 쓰레기의 모니터링 확인을 위한 방법만 제시되어 있을 뿐 수거를 위한 해양 쓰레기 위치 표식 장비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321호(2015.06.1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표식장치를 탑재한 수중드론을 통해 해양침적쓰레기의 위치를 수면위에서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드론을 통해 장시간의 운용이 가능하며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고, 복수의 위치표식장치를 통해 해양 침적 쓰레기의 위치 표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위에 띄워진 위치표식장치의 부이를 통해 그물, 로프류 등의 위치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의 안전 운항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는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으로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표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위치 표식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통; 상기 함통에 수납되는 부이;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되어 해양쓰레기를 낚는 고리로 구성하여, 상기 수중드론의 투입 신호를 통해 해저에 군집된 해양 쓰레기에 위치 표식 장치를 투입하면, 상기 부이가 부력에 의해 함통에서 이탈되어 수면에 부상하고,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된 고리는 해저로 가라앉아 쓰레기를 낚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표식장치는 수중드론에 설치된 케이스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연결수단을 통해 수중드론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표식장치는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중드론의 투입신호에 의해 케이스에서 하나씩 차례로 위치 표식장치를 이탈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입구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갖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는 복수의 위치표식장치가 순차적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입구를 통해 외부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길이를 갖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중드론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과 케이스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위치 표식 장치를 순차적으로 이탈시키는 투입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입구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어 수납공간 내부로 로드를 단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위치표식장치를 단계적으로 입구측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클램프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는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으로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표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위치 표식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통; 상기 함통에 수납되는 부이;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되어 해양쓰레기를 낚는 고리로 구성하여 상기 수중드론의 투입 신호를 통해 해저에 군집된 해양 쓰레기에 위치 표식 장치를 투입하면, 상기 부이가 부력에 의해 함통에서 이탈되어 수면에 부상하고,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된 고리는 해저로 가라앉아 쓰레기를 낚도록 구성한다.
결국, 위치표식장치를 탑재한 수중드론의 1회 운용 시간이 1시간 이상으로 작업 시간이 길며 선박에서 원격으로 운용이 가능하여 인명 사고의 위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이 길고 원격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운용 반경이 넓은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항만, 해역을 비롯한 넓은 범위의 수중을 대상으로 침적쓰레기의 분포를 확인하고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중드론을 이용하여 해양 침적쓰레기의 분포를 확인하고 위치를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잠수부를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할 경우 선박들의 운항시 그물, 로프류의 엉김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드론에 탑재된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드론에 탑재된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드론에 탑재된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드론에 탑재된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침적물 위치 표식 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100)는 수중드론(10)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된다.
상기 수중드론(10)은 원격 조정을 통해 해저를 자율적인 운항하며 상기 수중드론(10)에 설치된 카메라가 해저 침적물의 위치를 확인한다.
통상적으로 해상 쓰레기는 해류에 의해 이동한다. 이러한 해상 쓰레기는 해류에 의해 동일한 동선으로 이동한다.
특히, 해저 지형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해저 바닥에 다량의 쓰레기가 군집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중드론(10)은 해저를 운항하면서 군집된 쓰레기의 위치를 카메라로 모니터링된 화면을 통해 파악한다.
군집된 해저 침적물의 위치가 확인되면, 본 발명의 위치표식장치(100)를 해저 침적물에 투입하여 상기 위치표식장치(100)를 통해 해저 침적물의 위치를 수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표식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위치표식장치는 함통(110), 부이(120), 고리(130)로 구성한다.
상기 함통(110)은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111)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으로 도면에 표시되나, 그 형상은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함통(110)의 내부공간(111) 바닥면에는 지름이 작은 통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부이(120)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함통(110)의 내부공간 (111)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부이(120)는 통상적으로 각종 양식장, 어장표식, 그물표식 등 해상용 어로 표식과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함초, 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해저와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이(120)는 본 발명에서는 함통(110)내부에 수납하여 부력을 통해 함통(11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리(130)는 상기 부이(120)와 로프(140)로 연결되어 해양쓰레기를 낚는다.
여기서, 로프(140)는 길이를 갖는 끈 형태로 적용되며, 섬유, 실, 철사 등을 다발로 땋거나 꼬아 길고 유연한 줄을 의미한다.
상기 로프(140)는 양 끝단에 각각 부이(120)와 고리(1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함통(110)의 내부공간(111)에는 로프(140)가 꼬이지 않게 수납되고 상기 로프(140)의 상부에 부이(12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함통(110)의 통공(112)에는 로프(140)가 관통되고 상기 로프 (140)의 끝단에 고리(1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리(130)는 함통(110)의 하부면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고리(130)는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해저에 가라앉는다.
그리고, 상기 고리(130)의 형상은 낚시용 바늘(131)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즉, 고리(130)는 복수개로 분기된 바늘(131)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130)는 통상적으로 낚시바늘 종류 중 트레블 훅(treble hook)이 적용되며, 그 형상은 하나 이상의 바늘(131)이 하나의 축(132)에 붙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표식장치(100)는 상기 수중드론(10)의 투입 신호를 통해 해저에 군집된 해양 쓰레기에 위치표식장치(100)를 투입하면 상기 부이(120)가 부력에 의해 함통(110)에서 이탈되어 수면으로 부상하고, 상기 부이(120)와 로프 (140)로 연결된 고리(130)는 해저로 가라앉아 쓰레기를 낚는다.
결국, 고리(130)는 쓰레기를 낚은 상태 된 상태이고, 부이(120)는 수면위로 부상하여 해상에서 부이(120)를 통해 해저 침적물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표식장치(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수중드론(10)에 설치된 케이스(150)에 수납된다.
상기 케이스(150)는 연결수단(160)을 통해 수중드론(10)에 설치된다.
상기 수중드론(10)에는 하부에 걸이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11)에 케이스(150)가 가로질러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수단(160)을 통해 걸이부(11)와 케이스(150)를 결합한다.
상기 연결수단(160)은 길이를 갖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중드론(10)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판(161)과, 상기 연결판(161)과 케이스(150)를 결합하는 체결수단(162)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수중드론(10)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150)에는 복수개의 위치표식장치(100)를 수납하여 해저 침적물에 하나씩 단계적으로 위치표식장치(100)를 투입하여 해저 침적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위치표식장치(100)는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5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중드론(10)의 투입신호에 의해 케이스(150)에서 하나씩 차례로 위치표식장치(100)를 케이스(150)에서 이탈된다.
상기 케이스(150)는 측면에 입구(152)가 개구된 수납공간(151)을 갖고, 상기 수납공간(151)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홈(153)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151)에는 복수의 위치표식장치(100)가 순차적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입구(152)를 통해 외부 이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수납공간(151)에는 이동이 가능하게 복수개의 위치표식장치(100)가 순차적으로 수납되고, 이때, 함통(110) 외부로 노출된 고리(130)는 홈(153)에 위치시켜 함통(110)의 슬라이드 이동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때, 부이(120)는 함통(110) 내부에서 부력이 발생하여 뜨게 되나, 상기 케이스 (150)의 수납공간(151)에 의해 함통(1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렇게, 상기 케이스(150)에 장착되는 복수의 위치표식장치(100)는 수납공간(151)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하나씩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 수납공간 (151)의 입구(152)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표식장치(100)는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입구(152)를 통해 해저로 이탈된다.
물론, 위치표식장치(100)는 규칙적으로 이동할 수 도 있고, 또는, 해저 침적물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표식장치(100)의 이동은 투입수단(170)을 통해 케이스 (150) 외부로 이탈이 된다.
상기 투입수단(170)은 상기 수납공간(151)에서 상기 입구(152)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어 수납공간(151) 내부로 로드(172)를 단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171)와, 상기 로드(172) 끝단에 설치되어 위치표식장치(100)를 단계적으로 입구(152)측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클램프(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엑추에이터(171)는 통신 및 전원을 수중드론(10)으로 인가 받아 동작되어 로드(172)를 직선 왕복시킬 수 있고, 이때, 로드(172)의 이동 스트로크를 조정 가능하다.
상기 수중드론(10)의 신호를 인가받으면 엑추에이터(171)는 동작하여 로드 (172)를 수납공간(151)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로드(172)의 끝단에 설치된 클램프(173)는 복수개의 위치표식장치(100)의 함통(110) 중 수납공간(151) 제일 안쪽에 위치한 함통(110)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위치표식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수납공간(151)에서 이동하고 복수의 위치표식장치(100) 중 수납공간(151) 입구(152)측에 위치한 위치표식장치(100) 부터 입구(152) 외부로 이탈시킨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100)는 수중드론(10)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된다.
원격 조정이 가능한 수중드론(10)은 조정자의 조정 신호에 의해 해저에서 자유로운 운항이 가능하다.
수중드론(10)은 단순한 탐사 목적을 갖는 것으로 원격 조정과 제동 제어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작업을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해저 바닥에 군집된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파악한다.
여기서, 수중드론(10)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해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군집된 해저 쓰레기 침적물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위치에 수중드론(10)을 위치시킨다.
이후, 본 발명의 위치표식장치(100)를 해저 침적물에 투입하는 신호를 수중드론(10)에 인가한다.
인가된 신호는 수중드론(10)을 통해 엑추에이터(171)를 동작시켜 수납공간 (151) 내부로 로드(172)를 단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서 클램프(173)가 복수개의 위치표식장치(100)를 단계적으로 입구(152) 측으로 밀어 이탈시킨다.
상기 케이스(150)에 이탈된 함통(110)에서 부력에 의해 부이(120)는 수면으로 뜨게 되고, 금속 재질의 중량을 갖는 고리(130)는 해저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그리고, 해저 바닥으로 가라앉은 고리(130)는 해양 침적쓰레기를 낚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부이(120)는 수면으로 뜬 상태로 로프(140)를 통해 고리(130)와 부이(120)가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수면위에 떠 있는 부이(120)를 통해 해저 쓰레기 침적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100)는 위치표식장치(100)를 탑재한 수중드론(10)의 1회 운용 시간이 1시간 이상으로 작업 시간이 길며 선박에서 원격으로 운용이 가능하여 인명 사고의 위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이 길고 원격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운용 반경이 넓은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항만, 해역을 비롯한 넓은 범위의 수중을 대상으로 침적쓰레기의 분포를 확인하고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중드론(10)을 이용하여 해양 침적쓰레기의 분포를 확인하고 위치를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잠수부를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해상에서 식별이 가능할 경우 선박들의 운항시 그물, 로프 류의 엉김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수중드론 11 : 걸이부
100 : 위치 표식 장치 110 : 함통
111 : 내부공간 112 : 통공
120 : 부이 130 : 고리
131 : 바늘 132 : 축
140 : 로프 150 : 케이스
151 : 수납공간 152 : 입구
153 : 홈 160 : 연결수단
161 : 연결판 162 : 체결수단
170 : 투입수단 171 : 엑추에이터
172 : 로드 173 : 클램프

Claims (7)

  1. 수중드론에 탑재되어 해저 운항으로 해양 침적쓰레기의 위치를 표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위치 표식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통;
    상기 함통에 수납되는 부이;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되고, 상기 함통의 하부면 외부에 위치되고, 해양쓰레기를 낚는 고리로 구성하여,
    상기 수중드론의 투입 신호를 통해 해저에 군집된 해양 쓰레기에 상기 위치 표식 장치를 투입하면,
    상기 부이가 부력에 의해 함통에서 이탈되어 수면에 부상하고,
    상기 부이와 로프로 연결된 고리는 해저로 가라앉아 쓰레기를 낚도록 하고,
    상기 함통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에는 상기 로프가 관통되고 상기 로프의 끝단에는 상기 고리가 연결되며,
    상기 위치 표식 장치는 복수개가 상기 수중드론에 설치된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입구가 개구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 표식 장치를 단계적으로 입구측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투입수단을 갖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홈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복수의 위치표식장치가 순차적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입구를 통해 외부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 표식 장치가 수납공간에 삽입된 경우 상기 고리는 상기 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연결수단을 통해 수중드론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길이를 갖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중드론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과 케이스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한 특징으로 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입구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어 수납공간 내부로 로드를 단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위치표식장치를 단계적으로 입구측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클램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 표식 장치.
KR1020170064997A 2017-05-26 2017-05-26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KR10183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97A KR101833172B1 (ko) 2017-05-26 2017-05-26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97A KR101833172B1 (ko) 2017-05-26 2017-05-26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172B1 true KR101833172B1 (ko) 2018-02-28

Family

ID=6140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97A KR101833172B1 (ko) 2017-05-26 2017-05-26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16B1 (ko) 2021-02-01 2021-06-14 (주)유에스티21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7B1 (ko) *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KR200479018Y1 (ko) * 2015-07-06 2015-12-09 오승택 드론용 장착 기구
KR101721430B1 (ko) * 2015-09-25 2017-03-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장비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7B1 (ko) *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KR200479018Y1 (ko) * 2015-07-06 2015-12-09 오승택 드론용 장착 기구
KR101721430B1 (ko) * 2015-09-25 2017-03-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장비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16B1 (ko) 2021-02-01 2021-06-14 (주)유에스티21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8419B1 (ko) 2021-02-01 2021-07-16 (주)유에스티21 인공위성 영상의 대표 픽셀 선정을 통한 백색 스티로폼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6225B1 (ko) 2021-02-01 2021-09-29 (주)유에스티21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Classification and illustrated definition of fishing gears
CA2745157C (en) Oil spill and contaminated ice containment, separation and removal system
Gage et al. Deep‐sea benthic sampling
WO2001052638A1 (en)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KR20140089932A (ko) 저인망으로부터 자체 방어 기능을 갖는 부양식 해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Talbot et al. Cadmium in port Phillip Bay mussels
JP6406665B2 (ja) 浮魚礁の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Carr et al. Ghost-fishing gear: have fishing practices during the past few years reduced the impact?
JP5946083B2 (ja) 船びき網
KR100803761B1 (ko) 체인형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Hahn et al. Beach seining
Drew et al. Fishing and submarine cables: working together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Michel Spills of nonfloating oil: evaluation of response technologies
KR100433190B1 (ko)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Drinkwin et al. Methods to Locate and Remove Lost Fishing Gear from Marine Waters
Edwin Responsible fishing and its strategic implementation for sustainability
Pravin Purse seine and its operation
KR200374608Y1 (ko) 해저쓰레기 인양장치
Jung et al.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KR200328766Y1 (ko) 폐어망 인양장치
WO2004014724A1 (en) Locating equipment in water
Sung et al. Practical approches to marine debris in Korean sea waters
KR0156670B1 (ko) 해저 오물 수거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