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30B1 -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30B1
KR102621630B1 KR1020237018795A KR20237018795A KR102621630B1 KR 102621630 B1 KR102621630 B1 KR 102621630B1 KR 1020237018795 A KR1020237018795 A KR 1020237018795A KR 20237018795 A KR20237018795 A KR 20237018795A KR 102621630 B1 KR102621630 B1 KR 10262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dex information
information input
exercise intensity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838A (ko
Inventor
다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사스메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스메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스메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환자가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와,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와,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 및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부(13)를 구비하고, 운동을 행하고 있지 않은 통상 시에서도 권태감이나 수면 장애 등의 자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환자의 자각 증상을 고려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함으로써, 운동의 계속에 의해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본 발명은, 운동 습관 정착(定着) 지원 시스템 및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운동을 계속하는 것에 의한 생활 습관의 개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이다.
생활습관병은, 편식·운동부족·음주·흡연·스트레스 등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고지혈증·고혈압·당뇨병 등이 전형적인 생활습관병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암도, 불량한 생활습관을 원인으로 하는 생활습관병이며, 나이가 들수록 발증의 리스크가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생활습관병은, 장기간에 걸친 식생활이나 운동습관의 불섭생이 원인이므로, 예방·개선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이나 운동습관의 내용을 장기간에 걸쳐 기록하고, 그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을 의사 등의 의료관계자에게 보고하고, 조언이나 지도를 받을 필요도 있다. 최근에는, 생활습관의 개선에 의해, 암의 진행이 억제되러, 암의 종양이 작아지는 등의 증례도 일부 보고되고 있다.
이기에 대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을 지원하는 장치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는(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운동의 종류 및 내용, 운동 시간, 운동량(중량×이동 거리 등), 운동의 질, 걸음수, 이동량, 체동량, 심박 변동, 자세, 가속도, 운동을 개시한 시각 및 종료한 시각, 운동을 행한 장소, 온도, 습도, 지도자의 유무, 운동에 사용한 장치, 운동을 행한 전후의 발한량, 혈압, 혈당값의 변동 등의 운동 데이터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을 암 예방·개선의 목적을 위한 최적값에 보다 근접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운동에 대한 어드바이스는, 예를 들면, 「오늘의 식사는 30분 후에 졸리므로, 가볍게 산책합시다」 「오늘은 날씨가 좋으므로 역 하나만큼 걷지 않겠습니까?」 「오늘은 비가 오네요, 지하도를 걸어 보지 않겠습니까?」 「오늘은 자유시간이 있네요, 근처의 관광 안내를 해드릴게요」 「오늘은 가사이(葛西) 임해공원이 붐비지 않습니다. 수족관과 공원 산책은 어떠세요」 「자녀에게 줄넘기 연습을 시키지 않겠습니까?」 「오늘은 스포츠센터에서 웨이트 트레이닝 연습회가 있습니다. 참가합시다!」 등이다.
여기서, 생활습관병의 질환을 가진 환자가 운동을 계속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운동 부하를 가할 것인가가 과제 중 하나로서 예로 들 수 있다. 운동 부하가 지나치게 작으면 생활습관병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한편, 운동 부하가 지나치게 크면 환자가 운동을 계속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운동을 계속할 동기를 잃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적절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 참조). 특허문헌 2에는, 훈련의 결과나 실시 시의 심박수, 주관적인 피로 정도를 고려하여 훈련 메뉴나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최대 산소 섭취량이나 심박수 등의 객관적 운동 강도와, 피측정자가 느끼는 운동의 어려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주관적 운동 강도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한 목표 운동 강도에 근접하도록 운동 부하를 조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시스템은, 건강한 사람에 대하여 적절한 운동 부하를 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헬스케어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비해,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의 경우에는, 운동을 행하고 있지 않은 통상 시에 있어서도 권태감이나 수면 장애 등의 자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건강한 사람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일본공개특허 제2019-67447호 공보 일본특허 제672573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6-32527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운동의 계속에 의해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환자가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와,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와,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 시의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의 주관적 지표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헬스케어 분야의 종래 기술과는 달리, 환자의 통상 시의 주관 지표 정보와, 통상 시의 객관 지표 정보 및 운동 시의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운동을 행하고 있지 않은 통상 시에서도 권태감이나 수면 장애 등의 자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환자의 자각 증상을 고려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고, 운동의 계속에 의해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 단말기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권태감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운동 강도가 상이한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운동 힘듦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은, 환자 단말기(100) 및 측정기기(200)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등의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무선 접속된다.
환자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에 의해 구성되며,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이하, 운동 지원 앱이라고 함)이 인스톨되어 있다. 운동 지원 앱은, 측정기기(2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환자의 운동 습관의 정착을 지원한다.
측정기기(200)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측정기기(200)는, 손목시계형의 웨어러블 단말기(소위 스마트워치)이며,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기기(200)에 의해 안정 시에 측정되는 심박수(안정 시 심박수)와, 측정기기(200)에 의해 운동 시에 측정되는 심박수(운동 시 심박수)를 사용한다.
도 2는, 환자 단말기(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100)는, 기능 구성으로서,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 및 운동 강도 설정부(13)를 구비한다. 이 기능 블록(11∼13)은, 운동 지원 앱에 의해 구성된다. 실제로는, 각 기능 블록(11∼13)은, 환자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컴퓨터의 CPU, RAM, ROM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RAM이나 ROM,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운동 지원 앱이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서의 환자의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의 일례로서, 통상 시에 환자가 느끼는 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를 입력한다. 권태감이란, 평소의 생활이 힘들다고 느낀는 피곤한 감각이다. 권태감은, 질환에 따른 증상(통증, 빈혈, 불안, 불면)이나, 질환에 대한 치료의 부작용 등에 의해 발생한다. 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는, 예를 들면, 권태감의 강도를 나타낸 정보이다.
일례로서,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는, 환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권태감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 권태감 입력 화면에 대한 환자의 조작을 통하여, 권태감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권태감의 강도에 관하여 복수의 상태를 권태감 입력 화면에 표시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환자에게 선택하게 하도록 한다.
도 3은, 권태감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권태감의 강도에 관하여 3개의 상태가 표시되어 있고, 위에 있을수록 권태감이 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환자는, 3개 중에서 자신의 상태에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여 체크하고, 확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권태감을 나타내는 정보를 환자 단말기(100)에 입력한다.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는, 예를 들면, 측정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안정 시 심박수이다.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는, 예를 들면, 측정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운동 시 심박수이다.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 및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환자에 대하여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으로서, 운동 강도가 상이한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운동 강도의 운동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환자에게 제시한다.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은, 각각 복수 주간에 걸쳐 운동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며, 1주일마다 운동 강도가 조금씩 올라가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운동 강도가 상이한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서는, 7개의 운동 프로그램(P1∼P7)을 나타내고 있다. 모두 6주에 걸쳐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며, 1주일마다 운동 강도가 조금씩 올라가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일례로서,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도 4에 나타낸 7개의 운동 프로그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되는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한다.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할 때,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예를 들면,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안정 시 심박수)와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운동 시 심박수)를 사용하여, 예측적 최대 심박수에 의한 운동 강도(%HHR)를 하기와 같이 계산하고, 이 %HHR의 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HHR=(운동 시 최고 심박수-안정 시 심박수)/(HHR-안정 시 심박수)×100
여기서, HHR(추정 최고 심박수)=220-연령
그리고, 여기서는 %HHR을 산출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안정 시 심박수)만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운동 시 심박수)만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한 후,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되는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정한다. 일례로서,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한다. 운동 강도의 조정은, 예를 들면, 운동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권태감의 강도에 관하여 나타내어진 3개의 상태 중, 가장 강한 권태감의 상태가 입력된 경우,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현재 설정 중의 운동 강도를 2단계 떨어뜨린다. 또한, 2번째로 강한 권태감의 상태가 입력된 경우,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현재 설정 중의 운동 강도를 1단계 떨어뜨린다. 한편, 가장 약한 권태감의 상태가 입력된 경우,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운동 강도를 유지한다.
운동 강도의 조정은, 예를 들면 1주일마다 행한다. 도 4에는, 제3주째 초에 운동 강도를 1단계 떨어뜨린 예 D1(운동 프로그램 P4를, 그것보다 운동 강도가 1단계 낮은 운동 프로그램 P3로 변경한 예)과, 제5주째 초에 운동 강도를 2단계 떨어뜨린 예 D2(운동 프로그램 P6를, 그것보다 운동 강도가 2단계 낮은 운동 프로그램 P4로 변경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운동 시의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의 주관적 지표값을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헬스케어 분야의 종래 기술과는 달리, 환자의 통상 시의 주관 지표 정보(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와, 통상 시의 객관 지표 정보 및 운동 시의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운동을 행하고 있지 않은 통상 시에도 권태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환자의 자각 증상을 고려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고,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서의 환자의 객관 지표 정보로서,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지표 정보, 구체적으로는, 측정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안정 시 심박수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지표 정보로서, 다리근력, 6분간 보행 거리, 보행 속도, 의자에서 일어서기 테스트, 악력, Timed-up&go 테스트, 2단계 테스트, 기능적 뻗기 검사, 몸 조성, 인지 기능 검사, 영양 상태(식사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는, 환자의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로서, 전술한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지표 정보 대신,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또는 치료 내용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지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2개 또는 3개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복수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경우, 예를 들면, 이들 입력한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에 의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스코어를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에 관한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는, 예를 들면 증상의 심각성 또는 영양 상태(식사 등)의 불량에 관한 정보이다. 일례로서 암 환자의 경우, 암의 진행도에 따라 분류되는 스테이지(0∼4까지의 5단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는, 신장 기능이나 간 기능에 대해 의사가 진단한 결과를 나타낸 정보라도 된다. 치료 내용에 관한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는, 예를 들면, 화학 요법(약물 요법)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어떤 약물을 어느 정도의 양 또는 빈도로 투여하는 지 등에 따라, 환자에게 주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부담이 달라진다.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이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서의 환자의 주관 지표 정보로서, 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를 입력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는, 환자의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로서, 통상 시에 환자가 느끼는 수면 장애 또는 우울증 증상 중 어느 하나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2개 또는 3개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복수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경우, 예를 들면, 이들 입력한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에 의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스코어를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이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만 조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낮추는 방향 및 높이는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환자가 1주일마다 입력한 권태감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지난주보다 권태감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운동 강도를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한편, 지난주보다 권태감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운동 강도를 약하게 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권태감의 변화 정도에 따라 운동 강도의 증감 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권태감의 변화 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1단계만 강도를 변경하고, 권태감의 변화 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운동 강도를 2단계로 변경하는 등).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서의 환자의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권태감의 정도를 나타낸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 후의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환자가 느끼는 운동의 힘듦에 관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 후의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한다. 운동 시에 환자가 느끼는 운동의 힘듦에 관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는, 예를 들면, 환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운동 힘듦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 운동 힘듦 입력 화면에 대한 환자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는, 운동의 힘듦에 관하여 복수의 상태를 운동 힘듦 입력 화면에 표시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환자에게 선택하게 하도록 한다.
도 5는, 운동 힘듦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운동의 힘듦에 관하여 7개의 상태가 표시되어 있고, 위에 있는 것일수록 운동이 힘든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환자는, 운동 시에 7개 중에서 자신의 상태에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여 체크하고, 확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운동의 힘듦을 나타내는 정보를 환자 단말기(100)에 입력한다.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도 3에 나타낸 권태감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도 5에 나타낸 운동 힘듦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다음 주 이후의 운동 강도를 조정한다. 조정 방법의 일례로서,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에 의해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스코어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 후의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을 임시로 결정하고 또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을 임시로 결정하고, 임시로 결정한 2개의 증감 폭을 가미하여 최종적인 증감 폭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양쪽 모두 운동 강도를 높이는 방향 또는 낮추는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증감 폭이 큰 쪽을 채용하는 한편, 증감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양쪽의 증감 폭을 상쇄하도록 한다(예를 들면,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한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이 2단계 다운이고,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한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이 1단계 업인 경우에는,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을 1단계 다운으로 하는 등).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운동 힘듦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7단계의 운동의 힘듦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의 증감 폭을 임시로 결정할 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할 수 있다. 도 5의 운동 힘듦 입력 화면에 있어서, 가장 힘든 상태가 입력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 중의 운동 강도를 2단계 떨어뜨린다. 또한, 2번째 및 3번째로 힘든 상태가 입력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중의 운동 강도를 1단계 떨어뜨린다. 또한, 가장 편안한 상태가 입력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 중의 운동 강도를 2단계 높인다. 또한, 2번째 및 3번째로 편한 상태가 입력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 중의 운동 강도를 1단계 높인다. 다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주일마다 입력되는 운동의 힘듦의 변화 정도에 따라 운동 강도의 증감 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되는 객관 지표 정보(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는,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할 때만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예를 들면,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또는 치료 내용 등)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예를 들면, %HHR 등)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운동 강도의 초기 설정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있어서도, 환자의 주관 지표 정보와 객관 지표 정보를 병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므로, 운동 강도를 보다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는, 생활습관병의 치료를 통하여 증상이 개선 또는 악화되어 있는 것이 %HHR에 의해 시사되고 있는 경우, 또는, 증상이 개선되어 있지 않은 것이 %HHR에 의해 시사되고 있는 경우 등에, 환자의 권태감 등을 나타내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나, 운동 시의 힘듦 등을 나타내는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혹은,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예를 들면,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또는 치료 내용 등)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예를 들면, %HHR등)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도, 운동 강도의 초기 설정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있어서, 환자의 주관 지표 정보와 객관 지표 정보를 병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므로, 운동 강도를 보다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환자의 권태감이나 수면 장애, 우울증 증상 등이 개선 또는 악화되는 경우, 또는, 증상이 개선되고 있지 않는 것이 %HHR에 의해 시사되고 있는 경우 등에, %HHR 등의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한 후에,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운동 강도 설정부(13)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된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된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환자 단말기(100)와 측정기기(200)를 무선 접속하고, 측정기기(20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환자 단말기(100)에 무선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측정기기(200)에 표시된 정보를 환자가 눈으로 보고, 환자가 환자 단말기(100)의 키보드나 터치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측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11), 제2 지표 정보 입력부(12) 및 운동 강도 설정부(13)의 기능을 환자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가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서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운동 강도의 정보를 환자 단말기(100)에 송신하고, 환자 단말기(100)에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서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운동 강도의 정보를 환자 단말기(100)로부터 열람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외, 상기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구체화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1: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12: 제2 지표 정보 입력부
13: 운동 강도 설정부
100: 환자 단말기
200: 측정기기

Claims (9)

  1.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degree)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主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客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상기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定着)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환자가 느끼는 운동의 힘듦에 관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운동 강도의 초기 설정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 및 상기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4.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상기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환자가 느끼는 운동의 힘듦에 관한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운동 강도의 초기 설정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 및 상기 운동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6.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부는,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7.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 수단이,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상기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8.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 수단이,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것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상기 운동 강도의 조정이 필요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9. 생활습관병에 대하여 치료 중인 환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통상 시에 느끼는 권태감, 수면 장애 및 우울증 증상 중 적어도 1개의 정도를 포함하는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상기 통상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 의사에 의한 진단 결과 및 치료 내용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통상 시 객관 지표 정보와, 운동 시에 있어서의 환자의 신체 기능에 관한 운동 시 객관 지표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객관 지표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 및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습관병을 치료 중인 환자에 대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 운동 강도 설정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운동 강도 설정 수단이, 상기 제1 지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통상 시 주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초기 설정하고 또한, 그 후에 있어서의 생활습관병의 치료 중에, 상기 제2 지표 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객관 지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강도를 조정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KR1020237018795A 2020-12-09 2020-12-09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KR102621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5789 WO2022123666A1 (ja) 2020-12-09 2020-12-09 運動習慣定着支援システムおよび運動習慣定着支援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838A KR20230088838A (ko) 2023-06-20
KR102621630B1 true KR102621630B1 (ko) 2024-01-04

Family

ID=7876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795A KR102621630B1 (ko) 2020-12-09 2020-12-09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5000A1 (ko)
EP (1) EP4261836A1 (ko)
JP (1) JP6975505B6 (ko)
KR (1) KR102621630B1 (ko)
CN (1) CN116529832B (ko)
WO (1) WO20221236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32B1 (ko) * 2002-02-07 2005-03-10 (주) 지우솔루션 지능형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지식 기반 운동 처방 방법및 장치
JP2004054591A (ja) * 2002-07-19 2004-02-19 Institute Of Tsukuba Liaison Co Ltd 健康増進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および健康増進実行方法
JP2008152344A (ja) * 2006-12-14 2008-07-03 Fukuda Denshi Co Ltd 健康管理指導支援装置、健康管理指導支援方法および健康管理指導支援プログラム
US8468115B2 (en) * 2009-06-25 2013-06-18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Cyclical behavior modification
KR101180087B1 (ko) * 2010-04-26 2012-09-05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능동형 재활운동 장치 및 시스템
TWI449521B (zh) 2012-02-09 2014-08-21 Ind Tech Res Inst 復健指引方法與復健指引系統
WO2015033153A2 (en) * 2013-09-04 2015-03-12 Zero360, Inc.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16032527A (ja) 2014-07-31 2016-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身体機能評価装置
JP2016134131A (ja) * 2015-01-22 2016-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WO2017138598A1 (ja) 2016-02-11 2018-02-15 糧三 齋藤 がん予防・改善アドバイス装置
JPWO2018021435A1 (ja) * 2016-07-27 2019-05-23 株式会社マイトス 水素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運動持久力を向上させ、又は運動後の疲労感を軽減させる組成物
JP6483180B2 (ja) * 2017-03-30 2019-03-13 優介 庄子 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提示システム、及び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提示プログラム
JP6391750B2 (ja) * 2017-04-13 2018-09-19 フクダ電子株式会社 携帯端末
CN111629667B (zh) * 2018-01-24 2024-05-03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运动负荷估计方法、运动负荷估计装置和记录介质
JP2020067781A (ja) * 2018-10-23 2020-04-30 真理 船木 体力格差変化、医療検査値格差変化、及びアディポネクチン値変化提示を行う運動メニュー提示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322947B (zh) * 2019-06-14 2022-07-19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深度学习的高血压老年人运动处方推荐方法
JP6725731B1 (ja) 2019-06-24 2020-07-22 株式会社Office Yagi 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5505B6 (ja) 2022-01-17
WO2022123666A1 (ja) 2022-06-16
US20230415000A1 (en) 2023-12-28
KR20230088838A (ko) 2023-06-20
JPWO2022123666A1 (ko) 2022-06-16
EP4261836A1 (en) 2023-10-18
JP6975505B1 (ja) 2021-12-01
CN116529832A (zh) 2023-08-01
CN116529832B (zh)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bode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in directly measured cardiorespiratory fitness across time and mortality risk
Kusaka et al. Immediate stress reduction effects of yoga during pregnancy: One group pre–post test
Coeckelberghs et al. Prognostic value of the oxygen uptake efficiency slope and other exercise variable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hen et al. The effects of Tai Chi on the balance control of elderly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a randomised clinical trial
Myers et al. Exercise training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ang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nurse-led exercise and health education informatics program on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after esophagectom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an Weert et al. Cancer-related fatigue: predictors and effects of rehabilitation
Brandon et al. Effects of long-term resistive training on mobility and strength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Tavee et al. Effects of meditation on pain and quality of life in multiple sclerosis and peripheral neuropathy: a pilot study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Wiloth et al. Validation of a computerized, game-based assessment strategy to measure training effects on motor-cognitive functions in people with dementia
KR101674150B1 (ko) 원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
US2018011046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llness- and/or therapy-related fatigue of a person
Cheng et al. Effects of an 8-week aerobic dance program on health-related fitnes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Emerenziani et al.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home-based unsupervised aerobic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obese adults are independent of gender
CN113168895A (zh) 用于评估健康关心区域的健康度与各个预防性干预行动之间的关联性的方法、装置以及程序
Bueno-Antequera et 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ly measured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in schizophrenia patients: The PsychiActive project
Zhang et al.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using wearable activity trackers in older adults living in retirement communities: a mixed method study
Coats et al. Feasibility of an eight-week tele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unresectable thoracic neoplasia receiving chemotherapy: a pilot study
Mitchell et al. Rural Environments and Community Health (REACH):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rotocol for an online walking intervention in rural adults
Buys et al. Prognostic value of the post-training oxygen uptake efficiency slop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R102621630B1 (ko) 운동 습관 정착 지원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습관 정착 지원용 프로그램
Alhasan et al. Application of interactive video games as rehabilitation tools to improve postural control and risk of falls in prefrail older adults
Stanton et al. Vagal activity during physiological sexual arousal in women with and without sexual dysfunction
Roberts et al. Utility measure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treated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