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72B1 - 벨트 일체형 시트 - Google Patents

벨트 일체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72B1
KR102621172B1 KR1020220162480A KR20220162480A KR102621172B1 KR 102621172 B1 KR102621172 B1 KR 102621172B1 KR 1020220162480 A KR1020220162480 A KR 1020220162480A KR 20220162480 A KR20220162480 A KR 20220162480A KR 102621172 B1 KR102621172 B1 KR 10262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lt
central portion
wire
wi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열
최해태
송채성
신세길
이상호
주용현
정영규
Original Assignee
(주)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창 filed Critical (주)금창
Priority to KR102022016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일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벨트 일체형 시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부,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부, 상기 상단 와이어부와 상기 하단 와이어부를 통해 지지되는 벨트 및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 일체형 시트{Seat with integrated belt}
본 발명은 벨트 일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벨트가 백 프레임 뒤쪽으로 넘어가고, 상기 차량 탑승자의 어깨 및 무릎을 밀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벨트 일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에서의 안전은 차량을 제작할 때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차량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 내 안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가장 중요한 안전 시스템인 안전 벨트에 대한 설계 변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많은 제조업체들은 탑승자의 편의성 및 설계 자유도 향상을 위한 차량 내 안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최근 증가되는 자율주행 차량의 자동차 시트에 대한 기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량의 B 필러에 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된 기존 벨트 구조와 다르게, 시트 자체에 리트랙터가 설치되어 설계 자유도가 높은 벨트 일체형 시트의 니즈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817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시트 바닥 프레임의 하단에 벨트 리트렉터를 장착하여 벨트가 백 프레임 뒤쪽으로 넘어가게 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어깨 및 무릎을 밀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벨트 일체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리트렉터가 차량 시트에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차량 인테리어 및 차량 시트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벨트 일체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부,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부, 상기 상단 와이어부와 상기 하단 와이어부를 통해 지지되는 벨트 및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어퍼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1 일단부와, 상기 제1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1 타단부로 구성되는 제1 상단 와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2 일단부와, 상기 제2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중앙부와 마주보는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앙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2 상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중앙부는, 상기 제2 타단부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중앙부의 일측이 상기 제1 상단 와이어부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상기 제2 중앙부 및 상기 제2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2 중앙부의 일면 또는 상기 제2 타단부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제1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일단부와, 상기 제3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3 중앙부와,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3 중앙부와 연결되는 제3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3 상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중앙부의 일측은, 상기 어퍼 프레임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상기 제3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되고, 상기 제3 중앙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타단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3 중앙부의 상기 일측의 일면 또는 상기 제3 타단부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상단 와이어부를 향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와이어부는, 상기 백 프레임 하단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가이드와, 상기 내부 가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외부 가이드와, 상기 내부 가이드와 상기 외부 가이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가이드로 구성되는 제1 하단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내부 가이드 및 상기 외부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내부 가이드의 일면 또는 상기 외부 가이드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와이어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면 상에 접하고, 중앙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하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하단 와이어부의 상기 공간을 향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의 일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제1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면에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일체형 시트는, 벨트가 백 프레임 뒤쪽으로 넘어가게 할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 또는 백 프레임에 가이드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리트렉터가 차량 시트에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차량 인테리어 및 차량 시트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 프레임의 일측에 보강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백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여 벨트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이 외부 하중에 굽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배면도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및 저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에 탑승자가 앉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의 비드가 형성된 보강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비드와 일자 비드의 동일한 해석 조건에 따른 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가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단 와이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및 제2 상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제3 상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상단 와이어부에 벨트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미리 정해진 해석 조건에 따른 상단 와이어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단 와이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하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2 하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하단 와이어부에 벨트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부분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는 그 부분이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만을 포함하는 경우, c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를 포함하는 경우, a와 c를 포함하는 경우, b와 c를 포함하는 경우와, a, b 및 c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방향(Z)은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Y) 및 제3 방향(X)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루어진 XY평면 상의 임의의 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Z), 제2 방향(Y) 및 제3 방향(X)은 서로 오쏘고날(Orthogonal)한 방향일 수 있다.
XY 평면은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과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이 포함되는 평면일 수 있다. YZ 평면은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과 제1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이 포함되는 평면일 수 있다. XZ 평면은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과 제1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이 포함되는 평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의 구성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배면도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1>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2의 <A2>는 도 1의 배면도고, 도 3의 <B1>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의 <B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의 <C1>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의 <C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10)는, 시트 프레임부(100), 벨트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시트 프레임부(100)는 백 프레임(110) 및 바닥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백 프레임(110)은 제1 방향(Z)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1 방향(Z)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사이드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12)은 제1 사이드 프레임(112a) 및 제1 사이드 프레임(112a)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12)은 제1 사이드 프레임(112a)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2b)을 연결하는 보강 브라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브라켓(11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12)은 내부에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바닥 프레임(120)은 사이드 프레임(112)과 연결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20)과 사이드 프레임(112)은 각각 일측에 결합을 위한 홀이 위치할 수 있고, 리클라이너(미도시)가 바닥 프레임(120)의 홀과 사이드 프레임(112)의 홀에 관통하여 바닥 프레임(120)과 사이드 프레임(112)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20)은 일측에 바닥 보강판(120a)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보강판(120a)은 바닥 프레임(120)과 리트렉터(220) 사이에 위치하여, 리트렉터(220)로부터 오는 하중을 분산시켜 바닥 프레임(120)의 강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200)는 벨트(210) 및 리트렉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210)는 후술할 가이드부(300)의 상단 와이어부(310) 및 하단 와이어부(32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0)는 상단 와이어부(310) 및 하단 와이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와이어부(310)는 백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와이어부(320)는 백 프레임 또는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단 와이어부(310) 및 하단 와이어부(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7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에 탑승자가 앉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210)는 리트렉터(220)에서 인출되어 바닥 프레임(120)과 백 프레임(110)을 거쳐 탑승자(man)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벨트(210)는 숄더 벨트(210) 및 랩 벨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숄더 벨트(210)는 탑승자(man)의 어깨 및 가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랩 벨트(210)는 탑승자(man)의 허리 및 골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트렉터(220)로부터 인출된 벨트(210)는 가이드부(300)에 의해 지지되고, 시트 프레임부(100) 하측의 앵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벨트(210)는 앵커(미도시)에 의해 숄더 벨트(210)와 랩 벨트(21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일체형 시트의 비드가 형성된 보강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비드와 일자 비드의 동일한 해석 조건에 따른 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D1>은 도 6의 비드에 대한 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D2>는 일자 비드에 대한 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강 브라켓(113)은 제1 사이드 프레임(112a)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2b)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 브라켓(113)은 일면에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비드(113a)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113a)는 제1 비드(113a1), 제2 비드(113a2) 및 제3 비드(113a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드(113a)의 형태가 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비드(113a)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비드(113a)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및 볼록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드(113a)의 개수가 3개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비드(113a)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비드(113a)의 크기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툴로 처리된 도 7의 예에서, 주어진 해석 조건에서 빨간색일수록 그 부분에 미치는 응력이 최대 응력에 가깝고 파란색일수록 그 부분에 미치는 응력이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D2>을 참조하면, 대조 보강 브라켓(brac)에 일자 비드(bead)를 적용할 경우, 제1 및 제2 대조 사이드 프레임(sa, sb)과 대조 보강 브라켓(brac)이 접하는 부위(S3, S4)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여 해석 결과에 빨간색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대조 사이드 프레임(sa, sb)과 대조 보강 브라켓(brac)이 접하는 부위(S3, S4)에 크랙이 발생하여, 대조 어퍼 프레임(up) 및 제1 및 제2 대조 사이드 프레임(sa, sb)의 결합 구조에 파손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대조 보강 브라켓(brac), 제1 및 제2 대조 사이드 프레임(sa, sb) 및 대조 어퍼 프레임(up)은 각각 보강 브라켓(113),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12a, 112b) 및 어퍼 프레임(111)과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D1>에 도시된 것처럼 백 프레임(110)의 강성 증대를 위해 보강 브라켓(113)에 사각형의 비드(113a)를 적용할 경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12a, 112b)과 보강 브라켓(113)이 접하는 부위(S1, S2)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이 미치는 면적(빨간색이 나타나는 부위)은 도 7의 <D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대조 사이드 프레임(sa, sb)과 대조 보강 브라켓(brac)이 접하는 부위(S3, S4)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이 미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급제동 등에 따라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쏠릴 때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12a, 112b)과 보강 브라켓(113)이 접하는 부위(S1, S2)에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분산은 일자 비드(bead)보다 사각형의 비드(113a)를 사용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가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는 사이드 프레임(112)과 형태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는 사이드 프레임(112) 내측에 겹쳐서 용접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는 제2 사이드 프레임(112b) 내측에만 설치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이드 프레임(112a) 내측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사이드 프레임(112)에 하중이 부여되어도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가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사이드 프레임(112)이 굽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를 사이드 프레임(112) 내측에 겹쳐서 용접하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 설치를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아 공간적인 제약이 없어지며, 백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 프레임 보강재(112ba)가 결합되는 방법이나 결합 과정에서 쓰이는 수단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단 와이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 및 제2 상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제3 상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상단 와이어부에 벨트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E1>은 제1 상단 와이어부(311) 및 제2 상단 와이어부(312)의 대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의 <E2>는 제1 상단 와이어부(311) 및 제2 상단 와이어부(312)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의 <F1>은 제3 상단 와이어부(313)의 대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의 <F2>는 제3 상단 와이어부(313)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의 <G1>은 제1 상단 와이어부(311), 제2 상단 와이어부(312) 및 벨트(210) 간의 가이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의 <G2>는 제3 상단 와이어부(313) 및 벨트(210) 간의 가이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단 와이어부(310)는 제1 상단 와이어부(311), 제2 상단 와이어부(312) 및 제3 상단 와이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의 <E1>을 참조하면, 제1 상단 와이어부(311)는 제1 일단부(311a), 제1 중앙부(311b) 및 제1 타단부(3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단부(311a)는 어퍼 프레임(111)의 일측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중앙부(311b)는 제1 일단부(311a)와 연결되고 제1 방향(Z)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단부(311c)는 제1 중앙부(311b)에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112)의 일측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제1 일단부(311a), 제1 중앙부(311b) 및 제1 타단부(311c)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상단 와이어부(311)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상단 와이어부(312)는 제2 일단부(312a), 제2 중앙부(312b) 및 제2 타단부(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일단부(312a)는 사이드 프레임(112)의 일측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중앙부(312b)는 제2 일단부(312a)와 연결되고 제1 중앙부(311b)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타단부(312c)는 제2 중앙부(312b)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제1 중앙부(311b)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타단부(312c)의 일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것은 제2 타단부(312c)의 일단이 다른 연결부위와 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일단부(312a), 제2 중앙부(312b) 및 제2 타단부(312c)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상단 와이어부(312)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상단 와이어부(312)의 제2 중앙부(312b)는 제2 타단부(312c)보다 사이드 프레임(112)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중앙부(312b)의 일측은 제1 상단 와이어부(311)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10의 <E2>를 참조하면, 제1 상단 와이어부(311)의 제1 중앙부(311b)는 제1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1ba), 제1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1bb), 제1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1bc) 및 제1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1b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1ba)는 제1 일단부(311a)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방향(Z, Y)과 교차하는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1bb)는 제1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1ba)와 연결되고, 제1 및 제3 방향(Z, 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1bc)는 제1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1bb)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방향(Z, Y)과 교차하는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1ba)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1bd)는 일단에 제1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1bc)가 연결되고, 타단에 제1 타단부(311c)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상단 와이어부(312)의 제2 중앙부(312b)는 제2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2ba), 제2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2bb), 제2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2bc), 제2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2bd) 및 제2 중앙부의 제5 와이어(312b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2ba)는 제2 일단부(312a)와 연결되고, 제1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2bb)는 제2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2ba)와 연결되고, 제2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2b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2bc)는 제2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2bb)와 연결되고, 제1 및 제3 방향(Z, 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타단부(312c) 및 제1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1bb)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2bd)는 제2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2bc)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방향(Z, Y)과 교차하는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주보는 제1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1ba)에 접할 수 있다. 제2 중앙부의 제5 와이어(312be)는 일단에 제2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2bd)와 연결되고, 타단에 제2 타단부(312c)와 연결되며, 제2 및 제3 방향(Y, X)과 교차하는 제1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의 <F1>을 참조하면, 제3 상단 와이어부(313)는 제3 일단부(313a), 제3 중앙부(313b) 및 제3 타단부(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일단부(313a)는 사이드 프레임(11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중앙부(313b)는 제3 일단부(313a)와 연결되고 일측이 어퍼 프레임(111)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타단부(313c)는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제3 중앙부(313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타단부(313c)의 일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것은 제3 타단부(313c)의 일단이 다른 연결부위와 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일단부(313a), 제3 중앙부(313b) 및 제3 타단부(313c)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3 상단 와이어부(313)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11의 <F2>를 참조하면, 제3 상단 와이어부(313)의 제3 중앙부(313b)는 제3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3ba), 제3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3bb), 제3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3bc), 제3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3bd) 및 제3 중앙부의 제5 와이어(313be)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3ba)는 제3 일단부(313a)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3bb)는 제3 중앙부의 제1 와이어(313ba)와 연결되고, 제1 및 제3 방향(Z, 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3bc)는 제3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3bb)와 연결되고,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3bd)는 제3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3bc)와 연결되고, 제1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 일단부(313a)와 마주볼 수 있다. 제3 중앙부의 제5 와이어(313be)는 제3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3bd)와 연결되고, 제1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상단 와이어부(313)의 제3 타단부(313c)는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 및 제3 타단부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는 제3 중앙부의 제4 와이어(313bd)와 연결되고, 제1 및 제3 방향(Z, 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3bb)와 마주볼 수 있다. 제3 타단부의 제2 와이어(313cb)는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의 일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것은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의 일단이 다른 연결부위와 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벨트(210)는 제2 중앙부(312b) 및 제2 타단부(312c)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제2 중앙부(312b)의 일면 또는 제2 타단부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1 중앙부(311b)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앙부(312b)의 상기 일면은 제2 중앙부의 제3 와이어(312bc)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중앙부(311b)의 상기 외측은 제1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1bb)의 외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벨트(210)는 제3 중앙부(313b)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될 수 있다. 벨트(210)는 제3 중앙부(313b)의 일측 및 제3 타단부(313c)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제3 중앙부(313b)의 상기 일측의 일면 또는 제3 타단부(313c)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제1 상단 와이어부(311)를 향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3 중앙부(313b)의 상기 일측은 제3 중앙부의 제2 와이어(313bb)의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타단부(313c)의 상기 일면은 제3 타단부의 제1 와이어(313ca)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man)가 벨트(210)를 착용할 시 벨트(210)가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man)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강 브라켓(113)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미리 정해진 해석 조건에 따른 상단 와이어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H1>은 시뮬레이션에 주어진 하중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의 <H2>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제1 상단 와이어부(311) 및 제2 상단 와이어부(312)의 구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13의 <H1>을 참조하면, 도 13의 <H1>은 차량의 제동 또는 급제동과 같은 상황에서 탑승자(man)의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질 때, 상단 와이어부(310)의 형상이 어떻게 변형되는지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하중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하중 조건은 숄더 벨트 시험물(211t) 및 랩 벨트 시험물(212t)에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 하중의 방향 및 하중의 크기(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숄더 벨트 시험물(211t)은 탑승자(man)의 어깨 및 가슴의 위치와 동일한 곳에 대신 위치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가동 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숄더 벨트(210) 및 가이드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랩 벨트 시험물(212t)은 탑승자(man)의 허리 및 골반의 위치와 동일한 곳에 대신 위치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가동 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랩 벨트(210) 및 가이드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숄더 벨트 시험물(211t)에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는 숄더 벨트 시험물(211t)의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숄더 벨트 시험물(211t)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은 숄더 벨트 시험물(211t)의 상기 일측을 시작점으로 하여, XZ 평면에서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으로부터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θ)대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θ)는 +10°를 의미할 수 있다. 숄더 벨트 시험물(211t)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F)는 숄더 벨트 시험물(211t)의 상기 일측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θ)대로 기울어진 방향을 갖는 벡터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하중의 크기(F)는 1,360kgf를 의미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뮬레이션을 가동하기 위한 하중 조건 즉, 하중의 위치, 하중의 방향 및 하중의 크기는 각각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랩 벨트 시험물(212t)에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는 랩 벨트 시험물(212t)의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랩 벨트 시험물(212t)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은 랩 벨트 시험물(212t)의 상기 일측을 시작점으로 하여, XZ 평면에서 제3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으로부터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θ)대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θ)는 +10°를 의미할 수 있다. 랩 벨트 시험물(212t)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F)는 랩 벨트 시험물(212t)의 상기 일측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θ)대로 기울어진 방향을 갖는 벡터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하중의 크기(F)는 1,360kgf를 의미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뮬레이션을 가동하기 위한 하중 조건 즉, 하중의 위치, 하중의 방향 및 하중의 크기는 각각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H1>을 통해 설명된 하중 조건을 시뮬레이션에 적용할 경우, 도 13의 <H2>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의 <H2>는 도 13의 <H1>에서 S5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단 와이어부(312) 및 제3 상단 와이어부(313)가 일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벨트(210)가 상단 와이어부(310)를 이탈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단 와이어부(310)는 제동 또는 급제동 시 벨트(2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유지하여 탑승자(man)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단 와이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1 하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제2 하단 와이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의 하단 와이어부에 벨트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단 와이어부(320)는 제1 하단 와이어부(321) 및 제2 하단 와이어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하단 와이어부(321)는 내부 가이드(321a), 외부 가이드(321b) 및 연결 가이드(321c)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가이드(321a)는 백 프레임(110) 하단 일측에 접하고, 제1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가이드(321b)는 내부 가이드(321a)로부터 이격되어 내부 가이드(321a)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321c)는 내부 가이드(321a)와 외부 가이드(321b)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가이드(321a), 외부 가이드(321b) 및 연결 가이드(321c)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1 하단 와이어부(32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2 하단 와이어부(322)는 일단부(322a), 타단부(322b) 및 중앙부(3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322a)와 타단부(322b)는 바닥 프레임(120)의 일면 상에 접할 수 있다. 중앙부(322c)는 바닥 프레임(120)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322c)의 일부는 일단부(322a)에서 타단부(322b)로 향할수록, 바닥 프레임(12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단부(322a), 타단부(322b) 및 중앙부(322c)는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2 하단 와이어부(322)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하단 와이어부(322)의 중앙부(322c)의 일측은 일단부(322a)와 가까이 위치할 수 있고, 바닥 프레임(120)의 일면 즉, 바닥 프레임 축(120b)의 일면으로부터 제1 길이(L1)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322c)의 타측은 타단부(322b)와 가까이 위치할 수 있고, 바닥 프레임(120)의 일면 즉, 바닥 프레임 축(120b)의 일면으로부터 제2 길이(L2)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322c)의 상기 일부는 중앙부(322c)의 상기 일측에서 중앙부(322c)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보다 짧은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벨트(210)는 제1 하단 와이어부(321)의 내부 가이드(321a) 및 외부 가이드(32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내부 가이드(321a)의 일면 또는 외부 가이드(321b)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벨트(210)는 제2 하단 와이어부(322)의 중앙부(322c)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제1 하단 와이어부(321)의 내부 가이드(321a) 및 외부 가이드(32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부;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부;
    상기 상단 와이어부와 상기 하단 와이어부를 통해 지지되는 벨트; 및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어퍼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1 일단부와, 상기 제1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1 타단부로 구성되는 제1 상단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벨트 일체형 시트.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는 제2 일단부와, 상기 제2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중앙부와 마주보는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앙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2 상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중앙부는,
    상기 제2 타단부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중앙부의 일측이 상기 제1 상단 와이어부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2 중앙부 및 상기 제2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2 중앙부의 일면 또는 상기 제2 타단부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제1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와이어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일단부와, 상기 제3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3 중앙부와,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3 중앙부와 연결되는 제3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3 상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중앙부의 일측은, 상기 어퍼 프레임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3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가이드되고,
    상기 제3 중앙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타단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3 중앙부의 상기 일측의 일면 또는 상기 타단부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상단 와이어부를 향해 가이드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7.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부;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부;
    상기 상단 와이어부와 상기 하단 와이어부를 통해 지지되는 벨트; 및
    상기 백 프레임 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 와이어부는,
    상기 백 프레임 하단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가이드와, 상기 내부 가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외부 가이드와, 상기 내부 가이드와 상기 외부 가이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가이드로 구성되는 제1 하단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내부 가이드 및 상기 외부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내부 가이드의 일면 또는 상기 외부 가이드의 일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와이어부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면 상에 접하고, 중앙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하단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하단 와이어부의 상기 공간을 향해 가이드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일부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벨트 일체형 시트.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제1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면에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비드를 포함하는
    벨트 일체형 시트.
KR1020220162480A 2022-11-29 2022-11-29 벨트 일체형 시트 KR10262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80A KR102621172B1 (ko) 2022-11-29 2022-11-29 벨트 일체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80A KR102621172B1 (ko) 2022-11-29 2022-11-29 벨트 일체형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72B1 true KR102621172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480A KR102621172B1 (ko) 2022-11-29 2022-11-29 벨트 일체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768A (ja) * 1997-03-25 1998-10-06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80016Y1 (ko) * 1997-12-29 2000-08-01 정몽규 시트에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벨트(A seat belt installing in seat)
JP2005001436A (ja) * 2003-06-10 2005-01-06 Suzuki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のガイド構造
JP2014129066A (ja) * 2012-12-28 2014-07-10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14166789A (ja) * 2013-02-28 2014-09-11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40110049A (ko) * 2012-01-04 2014-09-16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일체형 시트 벨트를 갖는 시트 상의 시트 벨트의 가이딩 장치
JP2015110426A (ja) * 2013-09-18 2015-06-1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2381749B1 (ko) 2017-05-12 2022-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768A (ja) * 1997-03-25 1998-10-06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80016Y1 (ko) * 1997-12-29 2000-08-01 정몽규 시트에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벨트(A seat belt installing in seat)
JP2005001436A (ja) * 2003-06-10 2005-01-06 Suzuki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のガイド構造
KR20140110049A (ko) * 2012-01-04 2014-09-16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일체형 시트 벨트를 갖는 시트 상의 시트 벨트의 가이딩 장치
JP2014129066A (ja) * 2012-12-28 2014-07-10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14166789A (ja) * 2013-02-28 2014-09-11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5110426A (ja) * 2013-09-18 2015-06-1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2381749B1 (ko) 2017-05-12 2022-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120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CN105774613A (zh) 具有冲击负载传递结构的座椅组件
US10449840B2 (en) Vehicle side portion structure
US10144326B2 (en) Vehicle seat
JP7235740B2 (ja) シートベルト用の偏向装置
KR102621172B1 (ko) 벨트 일체형 시트
JP6191373B2 (ja) シートバック連結構造
US11072308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100337830B1 (ko)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CN110843932B (zh) 车身结构及车辆
WO2013161611A1 (ja) 対側突荷重伝達構造
US11833946B2 (en) Vehicle seat
JP4859195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US20220063550A1 (en) Side airbag for vehicle
JP4505493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KR101747533B1 (ko) 내충돌성 트림 홀더를 포함한 차량 시트
CN110386039B (zh) 具有安全带引导件的汽车安全座椅
KR102376924B1 (ko) 차량용 웨빙 가이드
KR20220067157A (ko)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US20210001759A1 (en) Vehicle seat
CN109795444A (zh) 用于座椅安全带的枢转闩锁板
KR20040001152A (ko) 차량용 센터필라의 보강패널
JP2012056455A (ja) 車両用シート
JP6506345B2 (ja) 車体側部構造
KR100716516B1 (ko) 차량의 폴딩 시트쿠션용 세트브래킷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