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248B1 -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 Google Patents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48B1
KR102620248B1 KR1020210101802A KR20210101802A KR102620248B1 KR 102620248 B1 KR102620248 B1 KR 102620248B1 KR 1020210101802 A KR1020210101802 A KR 1020210101802A KR 20210101802 A KR20210101802 A KR 20210101802A KR 102620248 B1 KR102620248 B1 KR 10262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owder
storage space
inner box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135A (ko
Inventor
노희진
노태현
노승건
Original Assignee
노희진
노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진, 노태현 filed Critical 노희진
Priority to KR102021010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분말형태의 분말형 물질을 저장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수납되는 아웃박스를 책자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형 물질의 보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분말형 물질이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너박스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아웃박스; 및 상기 아웃박스의 개구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에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을 밀폐 및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A powder keeping box}
본 발명은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형태의 분말형 물질을 저장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수납되는 아웃박스를 책자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형 물질의 보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매장 위주의 장묘문화가 선행하였으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정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 등과 같은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함에 따라 정부 주도하에 장묘문화의 인식변화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 등의 노력이 있어 왔다.
이로 인해, 전통 매장식 장묘문화에서 고인을 화장하는 화장식 장묘문화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화장식 장묘문화는 고인을 화장하여 납골하고, 이를 납골당에 안치시켜 보존하는 것이다.
고인을 화장하여 유골상태로 만든 후 분골실에서 유골을 고르게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수거한 다음 분말상태의 유골분을 유골함에 수용시킨 후 유골분이 수용된 유골함을 직접 납골당의 안치단에 안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골함 또는 고인의 유류품을 안치함에 다시 한번 수납시켜 안치단에 안치시키는 것으로 장례를 마무리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안치단은 기본적으로 사각형의 수납실이 다행다열로 배치된 책장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수납실에 유골함 단독 또는 유골함과 유류품이 수용된 안치함을 덩그러니 안치시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납골당을 방문하는 유족, 특히 아직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어린 아이들과 같은 이용객들이 납골당의 안치단의 분위기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여 거부감을 느끼고, 심지어 무서움과 두려움을 느끼게 되어 정서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특허 제10-1862308호의 서재타입의 유골함 안치단은 상하로 나란하게 구비된 선반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안치장, 및 상기 안치장의 수납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선반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고인의 유골이 수용된 유골함과, 상기 유골함 또는 고인의 유류품이 내부에 수용되고 책 구조로 이루어진 안치함이 안치되는 안치대가 수납되어 안치되는 안치실이 구성된다.
상기 안치실은 상기 안치대가 상기 안치장의 수납공간에 안치된 상태로 잠금하는 잠금부가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는 전면부에 마련된 키홀에 삽입되는 키의 조작을 통해 상부로 출몰하여 상기 안치대의 잠금홀에 결합되는 잠금바를 이용하여 상기 안치대를 상기 안치장의 내부에 잠금하는 서재타입의 유골함 안치단이다.
또한, 상기 안치실은 상기 잠금바의 키홀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바의 키홀을 덮는 커버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치대와 상기 선반 사이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도서관 또는 서재에 비치된 책장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안치장에 1단 또는 2단 구조로 유골함, 유류품이 수용된 책 구조로 이루어진 안칙함을 수납하는 안치실이 설치된 서재타입의 유골함 안치단을 제공함으로써, 납골당을 방문하는 유족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마치 일상에서 친숙한 도서관 또는 서재를 방문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친숙함과 친근감을 제공하여 납골당 방문시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유골함 안치단은 안치함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안치대를 수동으로 인출하여 안치함이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안치대에서 안치함을 분리할 시 선반과 충돌되거나 중량일 경우 인출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사한 형상과 모양으로 다단, 다열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만에 납골단에 방문할 경우 고인의 유골함을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272682호 대한민국 특허 제10-10495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형태의 분말형 물질을 저장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수납되는 아웃박스를 책자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형 물질의 보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분말형 물질이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너박스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아웃박스; 및 상기 아웃박스의 개구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에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을 밀폐 및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너박스의 일측에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켜 상기 분말형 물질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진공시키도록 하는 진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공공은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분말형 물질을 삽입시킨 후 진공시키거나; 또는, 상기 진공공은 분말형 물질을 삽입시킨 후 가스를 충전시켜 분말형 물질의 부패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웃박스의 외주연에는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식부는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의 이미지를 아웃박스의 외주연 일측에 부착시키는 부착형; 또는 분말형 유체의 이미지를 서랍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서랍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식부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형태의 분말형 물질을 저장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수납되는 아웃박스를 책자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형 물질의 보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시켜 상기 분말형 물질이 부패됨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을 진공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말형 물질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이너박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의 결합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은 분말형태의 유체를 책자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예컨대, 상기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은 가정이나 식품가공업체 등에서 쌀, 밀가루, 소금이나 기타 곡물 등일수 있고, 납골당의 경우 유골함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박스(10)와 아웃박스(20) 및 덮개(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박스(10)는 내부에 분말형 물질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분말형 물질은 비닐팩 등 별도 용기에 수납되어 이너박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1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내측에 수납되어 보관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이너박스(1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내부에 수납됨에 따라 보관 중 외부공기 또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시켜 수납된 분말형 물질의 부패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10)는 내부에 일정량의 분말형 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분말형 물질을 저장한 후 부패가 방지되도록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공(120)은 상기 이너박스(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상기 진공공(120)에는 이너박스(10)의 내부를 진공시킨 후 진공상태가 임의로 파괴됨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마개가 구성된다.
또는, 상기 진공공(120)은 별도의 마개를 구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상기 흡입력을 정지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진공공(120)을 폐쇄시켜 이너박스(10)의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공공(120)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으로 이너박스(10)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너박스(10)에 인체에 무해한 가스를 충전시켜 분말형 물질에 대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진공공(120)으로 충전되는 가스는 질소이다.
또한, 상기 진공공(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박스(10)에 가스를 충전한 후 충전된 가스가 임의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기밀성 마개를 구성하거나, 또는 가스의 충전이 이루어진 후 역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성된다.
상기 아웃박스(20)는 상기 이너박스(10)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이너박스(10)를 보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아웃박스(20)는 내부에 상기 이너박스(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210)은 상기 아웃박스(20)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이너박스(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아웃박스(20)에는 상기 수납공간(210)으로 이너박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개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22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210)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이너박스(10)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아웃박스(20)의 외주연 일측에는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의 종류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식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부(23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외부연 일측에 구성됨에 따라 상기 아웃박스(20)의 수납공간(210)에 수납된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의 종류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230)는 분말형 물질의 종류에 대한 이미지를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형으로 형성한다.
또는, 상기 인식부(230)는 상기 이미지를 부착형으로 형성함에 한정하지 않고, 서랍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식부(230)는 분말형 물질의 이미지를 탈부착하는 부착형이거나 또는 서랍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식부(230)는 아웃박스(20)의 외주연 일측에 구성되어, 분말형 물질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분말형 물질이 변경될 경우 이에 맞춰 분말형 물질의 이미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인식부(230)는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이 유골일 경우, 유골의 주인인 고인의 사진이고, 이러한 고인의 사진을 외부에서 유족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음에 따라 추모의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230)는 이미지에 한정하지 않고, 요즘같은 스마트시대에 보편적으로 보급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QR코드(232)를 포함한다.
상기 QR코드(232)는 아웃박스(20)의 외주연 일측에 구성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QR코드(232)는 스마트폰 소지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분말형 물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QR코드(232)는 바코드이거나 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대체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230)는 이미지와 QR코드(232)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개구(220)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박스(20)의 수납공간(210)을 폐쇄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덮개(30)는 마감판(310)과 기밀돌기(320) 및 완충홈(3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판(310)은 아웃박스(20)의 개구(22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일정두께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310)의 일단에는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아웃박스(20)의 개구(220)에 삽입되는 기밀돌기(320)가 구성된다.
상기 기밀돌기(320)는 상기 마감판(310)의 일단에서 일정높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아웃박스(20)의 개구(220)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박스(20)에 덮개(30)가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함께, 아웃박스(20)의 수납공간(210)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밀돌기(320)는 상기 아웃박스(20)의 개구(220)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성하지 않고도 상기 아웃박스(20)의 수납공간(210)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30)를 아웃박스(20)의 개구(220)에 위치시킨 후 직결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아웃박스(20)에 덮개(30)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310)의 타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돌기(320)가 아웃박스(20)의 개구(220)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작용이 수행되는 완충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홈(330)은 상기 마감판(310)의 타단 즉, 기밀돌기(320)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기밀돌기(320)가 아웃박스(20)의 개구(220)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될 때 탄성작용에 의해 상기 개구(220)로 기밀돌기(32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220)로 기밀돌기(3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기밀돌기(320)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기밀돌기(320)가 개구(220)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너박스(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공(120)으로 분말형 물질을 투입시켜 저장되도록 하지않고, 정면 또는 측면을 통해 분말형 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도어(130)를 구성한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이너박스(10)의 정면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이너박스(10)의 저장공간(110)으로 분말형 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도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문형으로 여닫는 여닫이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130)는 미닫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0)는 상기 이너박스(10)의 정면 또는 측면의 전면에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30)는 이너박스(10)의 저장공간(110)으로 분말형 물질을 용이하게 투입시켜 저장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말형 보관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아웃박스(20)에 복수의 이너박스(10)가 수납되도록 구성한다.
즉, 도 1의 분말형 보관함은 하나의 아웃박스(20)에 하나의 이너박스(10)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도 5의 분말형 보관함은 하나의 아웃박스(20)에 복수의 이너박스(10)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아웃박스(20)에 복수의 이너박스(10)가 수납되되, 다열로 적층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아웃박스(20)에 복수의 이너박스(10)가 구성되는 실시 예를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이너박스(10)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되는 분말형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의 일측에는 아웃박스(20)의 일단을 폐쇄시킨 후 상기 아웃박스(20)의 내부를 진공시킴에 따라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에 대한 보관연한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진공공(3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진공공(340)은 상기 덮개(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박스(20)의 내부를 진공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진공공(340)은 상술된 진공공(1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진공공(340)은 덮개(3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아웃박스(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아웃박스(20)의 내부를 진공 또는 가스를 충전시키는 등의 작용에 의해 이너박스(10)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에 대한 보관연한을 향상시키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구성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너박스 110: 저장공간
120:진공공 20: 아웃박스
210: 수납공간 220: 개구
230: 인식부 232: QR코드
30: 덮개 310: 마감판
320: 기밀돌기 330: 완충홈

Claims (6)

  1.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분말형 물질이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이너박스와;
    상기 이너박스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너박스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아웃박스; 및
    상기 아웃박스의 개구에 구성되어,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너박스에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웃박스의 수납공간을 밀폐 및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박스의 일측에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켜 상기 분말형 물질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진공시키도록 하는 진공공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공은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분말형 물질을 삽입시킨 후 진공시키거나, 또는 분말형 물질을 삽입시킨 후 가스를 충전시켜 분말형 물질의 부패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아웃박스의 외주연에는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의 이미지를 아웃박스의 외주연 일측에 부착시키는 부착형 또는 분말형 유체의 이미지를 서랍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서랍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아웃박스의 개구를 폐쇄시키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일단에 일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아웃박스의 개구에 삽입되는 기밀돌기;
    상기 마감판의 타단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기밀돌기가 아웃박스의 개구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작용이 수행되는 완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너박스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말형 물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QR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KR1020210101802A 2021-08-03 2021-08-03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KR10262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2A KR102620248B1 (ko) 2021-08-03 2021-08-03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2A KR102620248B1 (ko) 2021-08-03 2021-08-03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35A KR20230020135A (ko) 2023-02-10
KR102620248B1 true KR102620248B1 (ko) 2024-01-03

Family

ID=8522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02A KR102620248B1 (ko) 2021-08-03 2021-08-03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08Y1 (ko) * 2009-02-20 2010-09-20 권금자 유골함
JP2012016467A (ja) 2010-07-08 2012-01-26 Tomizo Takizawa ブック墓
TW201414463A (zh) * 2012-10-09 2014-04-16 Hung-Pin Tan 具辨識暨記錄功能之骨灰罈裝置
KR101862317B1 (ko) * 2017-05-26 2018-05-29 재단법인 송파공원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KR102272682B1 (ko) 2020-05-06 2021-07-02 추대수 책자형 인출식 유품 및 유골함 안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814A (ko) 2008-06-25 2008-08-13 민광진 진공 유골함
KR20110093539A (ko) * 2010-02-11 2011-08-18 엄대용 투시부가 구비된 납골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08Y1 (ko) * 2009-02-20 2010-09-20 권금자 유골함
JP2012016467A (ja) 2010-07-08 2012-01-26 Tomizo Takizawa ブック墓
TW201414463A (zh) * 2012-10-09 2014-04-16 Hung-Pin Tan 具辨識暨記錄功能之骨灰罈裝置
KR101862317B1 (ko) * 2017-05-26 2018-05-29 재단법인 송파공원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KR102272682B1 (ko) 2020-05-06 2021-07-02 추대수 책자형 인출식 유품 및 유골함 안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35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831B1 (en) Cremation remains container with memorialization features
US8125774B2 (en) Portable keepsake storage device with a pivoting sleeve and USB flash drive
US7475457B1 (en) Multi-entity urn
KR102620248B1 (ko) 책자형 진공 분말 보관함
US8281466B2 (en) Broken heart shaped urn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101862308B1 (ko) 서재 타입의 유골함 안치단
KR20100119411A (ko) 밀폐형 납골 보관함이 일체로 된 납골단
US20110088169A1 (en) Mattress with one or more hidden cavities for storing valuables
JP2017136330A (ja) 供養箱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CN207285483U (zh) 行李箱
KR102272682B1 (ko) 책자형 인출식 유품 및 유골함 안치대
KR101862317B1 (ko)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CN109809050A (zh) 一种用于存储古生物化石标本的箱体结构
US1102060A (en) Sanitary cheese-case.
KR100971632B1 (ko)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KR200450960Y1 (ko) 서랍의 측판 마모 방지기능을 갖는 오동나무 유물 보관장
KR20080093523A (ko) 서랍식 납골함
JP2008284315A (ja) 追憶・分骨ケース
KR20240051620A (ko) 유품 보관부를 갖는 유골함
US20040206659A1 (en) Medicine chest
CN209450177U (zh) 可折叠的储物沙发
JP3152489U (ja) 防災グッズ収納用クッション
KR200399064Y1 (ko) 경대 겸용 책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