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236B1 -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36B1
KR102620236B1 KR1020220174140A KR20220174140A KR102620236B1 KR 102620236 B1 KR102620236 B1 KR 102620236B1 KR 1020220174140 A KR1020220174140 A KR 1020220174140A KR 20220174140 A KR20220174140 A KR 20220174140A KR 102620236 B1 KR102620236 B1 KR 10262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reduction
cas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완희
Original Assignee
류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완희 filed Critical 류완희
Priority to KR102022017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동력부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예열하는 냉각수 예열부 및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진동 저감 모듈과 분진 제거 모듈이 포함된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Coolant preheating device of engine generator}
본 발명은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동력부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예열하는 냉각수 예열부 및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진동 저감 모듈과 분진 제거 모듈이 포함된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설 및 공사 현장과 더불어 전력 소비량의 증가로 기존의 전기 공급 회사의 단전, 또는 천재 지변, 기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예비 전력의 소비와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피해를 방지하고자 예비전력으로 동력부 전력 생성부를 건설 및 공사 현장, 각종 건물과 시설물, 그리고 선박용 발전 설비에서의 비상 전원 설비 등의 수요가 대폭 증가함에 따라 그 시장성은 한 청 더 높아질 것이다.
현재의 예열장치는 예열블럭 내부에 단순히 냉각수를 예열하는 히터와 냉각수 유입 IN 라인을 두고 OUT 라인에 체크 밸브만 있어 대류열전달에 의한 자연순환으로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을 보장할 수 없고, 또한 예열블럭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었을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냉각수의 자연 순환을 방해하는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체크밸브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냉각수의 순환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예열 히터의 잦은 고장과 예열 된 냉각수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동력부 전력 생성부의 시동시 효율성을 떨어 뜨릴뿐만 아니라 예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 시동시 불완전 연소로 인해 많은 매연을 배출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동력부, 전력 생성부, 예열히터, 동력전달부의 복합적인 동작으로 진동과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을 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의 동작 시 발생하는 매연과 진동 및 소음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냉각수를 예열하는 냉각수 예열부, 전력 생성부 및 동력전달부이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부, 냉각수 예열부, 전력 생성부 및 동력전달부를 내부에 장착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 둘레부에 설치된 진동 저감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분진 제거 모듈이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 작동 정지 시 냉각수를 예열하여 상기 동력부의 윤활성을 높이는 냉각수 예열부, 상기 동력부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력 생성부,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전력 생성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동력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력 생성부에서의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부, 상기 냉각수 예열부, 상기 전력 생성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고, 상부가 개방이 가능하도록 커버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저감 모듈, 상기 케이스 하단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분진이나 상기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냉각수 예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분진 제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 각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머시닝 스프링, 상기 케이스 내부 각 측면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머시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모듈 하우징, 복수의 상기 모듈 하우징 각각의 내부 일측 및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 복수의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 복수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일 지지 플레이트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복수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 각각의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저감부, 복수의 상기 저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감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일 측에 설치되는 저감부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감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단부에 나사산(E)이 형성된 저감부 바디, 상기 저감부 바디의 상기 나사산(E)을 따라 체결되고 중앙부에 삽입부재가 형성된 끼움부재(272), 상기 저감부 바디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센서 브라켓,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진동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저감부 바디의 전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센서 보호부재, 상기 저감부 바디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진동 측정부, 상기 끼움부재(272)의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되어 외부 충격을 저감하는 진동 스프링, 상기 저감부 바디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진동 스프링의 전단부에 삽입되도록 후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상단부에 체결 나사, 상기 체결 나사에 삽입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저감부 바디에서 상기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링 순으로 체결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은, 상기 머시닝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지지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케이스로 전달되면 상기 저감부 중 상기 진동 스프링과 상기 완충부에서 외부 충격을 저감하고, 외부 충격을 상기 진동 센서에서 측정하여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진동 측정부에 표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저장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가 내장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케이스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수 개의 상기 분사부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탱크에서 분사한 압축 공기를 이동시키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파이프를 내장하고 중앙부에 상기 파이프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홈과 둘레부를 따라 볼트가 삽입 가능한 볼트공(D)이 복수 개가 형성된 파이프 보호부재, 상기 파이프 보호부재의 상기 분사홈에 체결되도록 일 측에 끼움부재(3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를 회전력을 더해 공급하는 스크류 분사부, 상기 스크류 분사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돌출된 바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내부 둘레부를 따라 끼움홈과 볼트공(C)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분사부 체결부, 상기 분사부 체결부의 복수 개의 상기 끼움홈과 체결되고 상기 바디 고정부재에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고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볼트공(B)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케이스와 볼트 결합이 되도록 볼트공(A)이 복수 개 형성된 둔턱부가 돌출 형성된 분사부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분사부는, 원기둥 형상의 노즐 바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작을 하기 위해 상기 노즐 바디에 내장되며 둘레부를 따라 스크류 체결부가 형성된 스크류 바디, 상기 스크류 바디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분사부는, 상기 스크류 바디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체결부는, 상기 스크류 분사부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부가 체결되고,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크류 바디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상기 분진 제거부로 제거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가 회전력을 더해져 회전 분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 분사부의 상기 보조 분사 노즐이 개방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동력부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예열하는 냉각수 예열부 및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진동 저감 모듈과 분진 제거 모듈이 포함된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케이스의 평면도에서 진동 저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저감부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저감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분사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스크류 분사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분사부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의 제어부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는 동력부(10), 냉각수 예열부(20), 전력 생성부(30) 및 동력 변환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0)은 연료가 공급되면서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에 의해 후술할 동력 변환 유닛(40)을 통해 전력 생성부(30)에 전달되어 전력 생성부(30)가 동력부(10)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냉각수 예열부(20)는, 동력부(10)에 연결되어 동력부 작동 정지 시 냉각수를 예열하여 동력부의 윤활성을 높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예열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를 예열할 수 있는 예열 장치에 내장되어 냉각수를 예열하여 동력부(10)으로 자연순환의 원리를 통해 흐르도록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전력 생성부(30)는 동력부(10)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여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 변환 유닛(40)은 동력부(10)과 전력 생성부(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력 생성부(30)에서의 전력을 동력부(10)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케이스(100)의 평면도에서 진동 저감 모듈(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는 케이스(100) 및 진동 저감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동력부(10), 냉각수 예열부(20), 전력 생성부(30) 및 동력 변환 유닛(40)을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고, 상부가 개방이 가능하도록 커버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저감 모듈(200)은 케이스(100) 내부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저감 모듈(200)은 머시닝 스프링(210), 모듈 하우징(220), 고정부(230), 지지 플레이트(240), 지지부(250), 고정 플레이트(260), 저감부(270), 및 저감부 고정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시닝 스프링(210)은 케이스(100) 내부 각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진동 저감 모듈(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220)은 케이스(100) 내부 각 측면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머시닝 스프링(210)에 의해 지지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30)는 복수의 모듈 하우징(220) 각각의 내부 일측 및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40)는 복수의 고정부(230)의 일측에 모듈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60)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240) 중 일 지지 플레이트(24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저감부(27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저감부(270)는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260) 각각의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케이스(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감부(270)는 저감부 바디(271), 끼움부재(272), 센서 브라켓(273), 센서 보호부재(274), 진동 측정부(275), 진동 스프링(276), 완충부(277), 및 체결부(278)를 포함할 수 있다.
*저감부 바디(271)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단부에 나사산(E)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272)는 저감부 바디(271)의 나사산(E)을 따라 체결되고 중앙부에 삽입부재(2721)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라켓(273)은 저감부 바디(271)의 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보호부재(274)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2741)가 내장되고, 상기 진동 센서(2741)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 고정링(2742)이 구비되고, 센서 브라켓(273)에 의해 고정되며, 저감부 바디(271)의 전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측정부(275)는 저감부 바디(271)의 일 측에 설치되어 진동 센서(2741)에 의해 측정된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측정 단위는 힘을 측정하는 N(Newton)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 측정부(275)는 소형의 디스플레이가 저감부 바디(271)의 일 측에 내장되는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스프링(276)은 끼움부재(272)의 삽입부재(2721)에 삽입되어 외부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완충부(277)는 저감부 바디(271) 내부에 내장되며 진동 스프링(276)의 전단부에 삽입되도록 후단부에 삽입돌기(2771)가 형성되고,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
체결부(278)는 완충부(277)의 상단부에 체결 나사(2781), 상기 체결 나사(2781)에 삽입되는 완충 스프링(2782), 저감부 바디(271)에서 완충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링(2783) 순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저감부 고정부재(280)는 복수의 저감부(2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감부(270)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240)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저감 모듈(200)은 케이스(100) 내부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된다.
케이스(100) 내부 각 모서리마다 복수 개의 머시닝 스프링(210)이 설치되고, 케이스(100) 내부 각 측면마다 모듈 하우징(220)이 설치된다.
머시닝 스프링(210)은 모듈 하우징(220)을 지지하도록 조립된다.
모듈 하우징(220) 내부에는 일측 및 타측에 복수 개의 고정부(230)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230)의 일측에 지지 플레이트(240)가 조립된다.
마주보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240)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지부(25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조립된다.
한편,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240) 중 일 지지 플레이트(240)에 고정 플레이트(26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260)의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저감부(270)가 복수 개가 형성된다.
특히, 저감부(270)는 진동 센서(2741)가 내장된 센서 보호부재(274)가 저감부 바디(271)의 전단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저감부 바디(271) 내부에 체결 나사(2781), 완충 스프링(2782), 이탈 방지 링(2783) 순으로 결합된 체결부(278), 완충부(277)가 내장되고, 완충부(277)의 삽입돌기(2771)에 진동 스프링(276)의 일단부로 삽입되고 타단부에 끼움부재(272)의 삽입부재(2721)가 삽입되어 저감부 바디(271)의 나사산(E)과 끼움부재(272)가 조립된다.
저감부 고정부재(280)가 저감부(270)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 플레이트(24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조립된다.
진동 저감 모듈(200)은 머시닝 스프링(210)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 지지되고, 외부 충격이 케이스(100)로 전달되면 저감부(270) 중 진동 스프링(276)과 완충부(277)에서 외부 충격을 저감하여 동력부(10), 냉각수 예열부(20), 동력 변환 유닛(40) 및 전력 생성부(30)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저감 모듈(200)은 외부 충격을 저감부(270)의 진동 센서(2741)에서 측정하여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진동 측정부(275)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단말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저감 효과와 저감부(27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3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는 분진 제거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제거 모듈(300)은 케이스(100) 하단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분진이나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와 동력부(10) 및 냉각수 예열부(20)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분진 제거 모듈(300)은 에어 탱크(310), 분사부(320) 및 파이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탱크(31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저장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가 내장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분사부(3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분사부(320)는 케이스(100)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삽입되고, 케이스(100) 내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20)는 파이프 보호부재(321), 스크류 분사부(322), 분사부 체결부(323) 및 분사부 고정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보호부재(321)는 파이프(330)를 내장하고 중앙부에 파이프(33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홈(3211)과 둘레부를 따라 볼트가 삽입 가능한 볼트공(D)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 전력 생성부(30)의 냉각수 예열장치의 스크류 분사부(322)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류 분사부(322)는 파이프 보호부재(321)의 분사홈(3211)에 체결되도록 일 측에 끼움부재(3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321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를 회전력을 더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분사부(322)는 원기둥 형상의 노즐 바디(322A),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작을 하기 위해 노즐 바디(322A)에 내장되며 둘레부를 따라 스크류 체결부(322B-1)가 형성된 스크류 바디(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체결부(322B-1)는 스크류 분사부(322)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부(322B-2)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분사부(322)는 스크류 바디(322B)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322C)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분사부(322C)는 스크류 바디(322B)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322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분사부(322C)는 연결부(322C-1)와 일체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322C-2)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 체결부(323)는 스크류 분사부(322)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돌출된 바디 고정부재(3231)가 형성되고, 내부 둘레부를 따라 기움홈과 볼트공(C)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 고정부재(324)는 분사부 체결부(323)의 복수 개의 끼움홈(3232)과 체결되고 바디 고정부재(3231)에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고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볼트공(B)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케이스(100)와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공(A)이 복수 개가 형성된 둔턱부(3241)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다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분진 제거 모듈(300)은 케이스(100) 하단면을 따라 내부에 설치된다.
에어 탱크(31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파이프(330)를 통해 분사부(320)와 연결된다.
특히, 분사부(320)는 파이프 보호부재(321)를 하부에 구비하여 파이프(330)를 연결 및 보호한다.
분사부(320)는 파이프(330)가 연결된 파이프 보호부재(321), 파이프 보호부재(321)의 분사홈(3211)에 조립되는 스크류 분사부(322), 스크류 분사부(322)가 중앙에 조립되는 분사부 체결부(323), 바디 고정부재(3231)에 의해 삽입된 분사부 고정부재(324) 순으로 볼트공(B 내지 D)에 볼트 조립이 되어 일체로 체결된다.
또한, 분사부 고정부재(324)의 볼트공(A)에 의해 케이스(100)와 볼트결합하여 분사부(320)를 고정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스크류 분사부(322)의 노즐 바디(322A) 내부에는 둘레부에 분진 제거부(322B-2)가 체결되도록 스크류 체결부(322B-1)가 형성되고, 스크류 바디(322B)의 전단부에 보조 분사부(322C)가 형성된 스크류 바디(322B)가 내장된다.
분진 제거 모듈(300)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에어 탱크(31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복수 개의 파이프(330)를 통해 복수 개의 분사부(3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분사되어 케이스(100) 내부에 유입되거나 동력부(10), 냉각수 예열부(20), 전력 생성부(30) 및 동력 변환 유닛에 적층된 분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분진 제거 모듈(300)은 제어부의 제어 의해 스크류 바디(322B)가 회전하여 스크류 분사부(322) 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분진 제거부(322B-2)를 통해 제거하고, 스크류 바디(322B)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330)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가 회전력을 더해져 회전 분사되어 케이스(100) 내부로 골고루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 제거 모듈(300)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조 분사부(322C)의 보조 분사 노즐(322C-2)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분진량이 많거나 케이스(100) 내부의 순환 기류 형성을 위해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스크류 분사부(322)를 보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동력부(10)
냉각수 예열부(20)
전력 생성부(30)
동력 변환 유닛(40)
케이스(100)
커버부(110)
진동 저감 모듈(200)
머시닝 스프링(210)
모듈 하우징(220)
고정부(230)
지지 플레이트(240)
지지부(250)
고정 플레이트(260)
저감부(270)
저감부 바디(271)
나사산(E)
끼움부재(272)
삽입부재(2721)
센서 브라켓(273)
센서 보호부재(274)
진동 센서(2741)
센서 고정링(2742)
진동 측정부(275)
진동 스프링(276)
완충부(277)
삽입돌기(2771)
체결부(278)
체결 나사(2781)
완충 스프링(2782)
이탈 방지 링(2783)
저감부 고정부재(280)
분진 제거 모듈(300)
에어 탱크(310)
분사부(320)
파이프 보호부재(321)
분사홈(3211)
볼트공(D)
스크류 분사부(322)
노즐 바디(322A)
스크류 바디(322B)
스크류 체결부(322B-1)
분진 제거부(322B-2)
보조 분사부(322C)
연결부(322C-1)
보조 분사 노즐(322C-2)
끼움부재(3221)
분사부 체결부(323)
바디 고정부재(3231)
끼움홈(3232)
볼트공(C)
분사부 고정부재(324)
볼트공(B)
볼트공(A)
둔턱부(3241)
파이프(330)

Claims (2)

  1. 회전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을 포함하는,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 작동 정지 시 냉각수를 예열하여 상기 동력부의 윤활성을 높이는 냉각수 예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 및 상기 냉각수 예열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고, 상부가 개방이 가능하도록 커버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저감 모듈;
    상기 케이스 하단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분진이나 상기 동력부 작동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냉각수 예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분진 제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 각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머시닝 스프링;
    상기 케이스 내부 각 측면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머시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모듈 하우징;
    복수의 상기 모듈 하우징 각각의 내부 일측 및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
    복수의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
    복수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일 지지 플레이트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복수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 각각의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저감부;
    복수의 상기 저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감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일 측에 설치되는 저감부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단부에 나사산(E)이 형성된 저감부 바디;
    상기 저감부 바디의 상기 나사산(E)을 따라 체결되고 중앙부에 삽입부재가 형성된 끼움부재(272);
    상기 저감부 바디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센서 브라켓;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진동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저감부 바디의 전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센서 보호부재;
    상기 저감부 바디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진동 측정부;
    상기 끼움부재(272)의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되어 외부 충격을 저감하는 진동 스프링;
    상기 저감부 바디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진동 스프링의 전단부에 삽입되도록 후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상단부에 체결 나사, 상기 체결 나사에 삽입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저감부 바디에서 상기 완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링 순으로 체결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모듈은,
    상기 머시닝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지지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케이스로 전달되면 상기 저감부 중 상기 진동 스프링과 상기 완충부에서 외부 충격을 저감하고,
    외부 충격을 상기 진동 센서에서 측정하여 진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진동 측정부에 표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저장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가 내장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케이스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탱크에서 분사한 압축 공기를 이동시키는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파이프를 내장하고 중앙부에 상기 파이프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홈과 둘레부를 따라 볼트가 삽입 가능한 볼트공(D)이 복수 개가 형성된 파이프 보호부재;
    상기 파이프 보호부재의 상기 분사홈에 체결되도록 일 측에 끼움부재(3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를 회전력을 더해 공급하는 스크류 분사부;
    상기 스크류 분사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돌출된 바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내부 둘레부를 따라 끼움홈과 볼트공(C)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분사부 체결부;
    상기 분사부 체결부의 복수 개의 상기 끼움홈과 체결되고 상기 바디 고정부재에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고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볼트공(B)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케이스와 볼트 결합이 되도록 볼트공(A)이 복수 개 형성된 둔턱부가 돌출 형성된 분사부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분사부는,
    원기둥 형상의 노즐 바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작을 하기 위해 상기 노즐 바디에 내장되며 둘레부를 따라 스크류 체결부가 형성된 스크류 바디;
    상기 스크류 바디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분사부는,
    상기 스크류 바디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체결부는,
    상기 스크류 분사부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부가 체결되고,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크류 바디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상기 분진 제거부로 제거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가 회전력을 더해져 회전 분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 분사부의 상기 보조 분사 노즐이 개방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2. 삭제
KR1020220174140A 2022-07-21 2022-12-13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KR10262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140A KR102620236B1 (ko) 2022-07-21 2022-12-13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67A KR102478911B1 (ko) 2022-07-21 2022-07-21 엔진 발전기의 냉각수 예열장치
KR1020220174140A KR102620236B1 (ko) 2022-07-21 2022-12-13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67A Division KR102478911B1 (ko) 2022-07-21 2022-07-21 엔진 발전기의 냉각수 예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36B1 true KR102620236B1 (ko) 2024-01-30

Family

ID=845348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67A KR102478911B1 (ko) 2022-07-21 2022-07-21 엔진 발전기의 냉각수 예열장치
KR1020220174140A KR102620236B1 (ko) 2022-07-21 2022-12-13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67A KR102478911B1 (ko) 2022-07-21 2022-07-21 엔진 발전기의 냉각수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9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745U (ko) * 1995-12-30 1997-07-31 자동차용 엔진 마운터 조립 구조
KR970059356A (ko) * 1996-01-30 1997-08-12 김광호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295590B1 (ko) * 1993-07-23 2002-02-19 구자홍 밀폐형압축기의진동소음저감장치
KR20060108844A (ko) * 2005-04-14 2006-10-18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예열장치
KR20120038945A (ko) * 2012-03-02 2012-04-24 곽동우 엔진 발전기 냉각수 예열장치
KR101420805B1 (ko) * 2014-04-09 2014-07-17 에너젠(주) 내진 기능을 갖는 디젤 엔진형 발전기
WO2015168637A1 (en) * 2014-05-02 2015-11-05 Morey Joel T Aircraft engine stand
KR20170007037A (ko) * 2015-07-10 2017-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소형 비상발전기의 진동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590B1 (ko) * 1993-07-23 2002-02-19 구자홍 밀폐형압축기의진동소음저감장치
KR970043745U (ko) * 1995-12-30 1997-07-31 자동차용 엔진 마운터 조립 구조
KR970059356A (ko) * 1996-01-30 1997-08-12 김광호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60108844A (ko) * 2005-04-14 2006-10-18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예열장치
KR20120038945A (ko) * 2012-03-02 2012-04-24 곽동우 엔진 발전기 냉각수 예열장치
KR101420805B1 (ko) * 2014-04-09 2014-07-17 에너젠(주) 내진 기능을 갖는 디젤 엔진형 발전기
WO2015168637A1 (en) * 2014-05-02 2015-11-05 Morey Joel T Aircraft engine stand
KR20170007037A (ko) * 2015-07-10 2017-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소형 비상발전기의 진동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911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1122C2 (ru)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с кольцевой камерой сгорания
KR100706556B1 (ko) 커먼레일 엔진용 인젝터 탈거장치
CN101558511A (zh) 电源装置
KR102620236B1 (ko) 자동차 냉각수 예열장치
US20090321607A1 (en) Three point mounting arrangement for a power system
CN108963839B (zh) 一种机电一体化配电柜防护散热装置
CN211118312U (zh) 用于内燃机发电机组安装的减震机架
CN101749267A (zh) 压水堆核电站乏燃料水池冷却泵
US6471468B1 (en) Compensator
US20080295804A1 (en) Fuel delivery system for an aircraft engine
CN202906630U (zh) 发电机碳刷防护装置
KR200489096Y1 (ko) 저압 급수가열기의 전면커버 조립용 너트 회전방지 와셔
RU2369718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протектолайзера на насосных секциях установок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ых насосов (уэцн) и протектолайзер накладной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абеля-удлинителя на насосных секциях
CN219888244U (zh) 一种方便安装的油泵机
CN214534256U (zh) 一种以内燃机水冷为热源的水滴蒸汽发动机
CN110761888A (zh) 柔性护风圈
CN112701844B (zh) 轴端发电装置及铁路车辆
CN215059005U (zh) 一种自动扶梯梯级联轴器
KR101000617B1 (ko) 상용 디젤엔진 차량의 연료필터 장착구조
CN214154207U (zh) 防护壳、轴端发电装置及铁路车辆
CN103184920A (zh) 冷却模块的冷却器框架和内燃机的冷却模块或冷却装置
CN214253078U (zh) 一种计算机用主板固定装置
CN219809357U (zh) 一种减震座及发电机
CN208202137U (zh) 一种可伸缩的钢结构连接节点
CN211265569U (zh) 动力电池包的下壳体以及动力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