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90B1 -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90B1
KR102620090B1 KR1020210044563A KR20210044563A KR102620090B1 KR 102620090 B1 KR102620090 B1 KR 102620090B1 KR 1020210044563 A KR1020210044563 A KR 1020210044563A KR 20210044563 A KR20210044563 A KR 20210044563A KR 102620090 B1 KR102620090 B1 KR 10262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support
scaffolding
main fram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645A (ko
Inventor
유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to KR10202100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진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각 층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과,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설치관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어 비계를 지지하기위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sur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in elevator hoist wa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진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각 층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용 레일과 바란스 웨이트용 레일, 그리고 배선케이블 등 여러 가지 시설을 엘리베이터 홀안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홀은 지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수직으로 관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시설물은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보조시설이 필요하며, 이에대한 종래의 방법을 보면 최하층으로부터 건축용 비계를 조립 설치한후 그 위에 각목으로 작업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통례였다.
다시말해서 수직관통된 에리베이터홀의 내벽에 레일을 부착한다든지 했을때 아래층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상층까지 작업진행에 따라 비계높이를 그때그때 증축하여 가면서 작업대의 위치를 높여갔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증축해가는 비계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강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결여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며, 또 이와같은 비계는 설치작업이 본래하고자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보다 더큰 작업량이 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이 끝난 후, 철거작업이 향상 뒤따르기 때문에 자재의 손실은 물론 비용 및 인력의 낭비가 심한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전,후방의 가로대(11,12)와 좌, 우측의 세로대(13,14)를 사각형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내봉과 외봉파이프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토록한 후 각자 안쪽으로 다수의 걸고리(15)를 마련해 망체(2)를 긴장되게 걸어주며, 상기한 전방가로대(11)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다리(16)를 일체로 부착하고, 그 중단에는 클램핑기구(3)를 마련하며, 상기한 좌우측 세로대(13,14)의 후단끝에는 한쌍의 버팀기구(4)를 각각 후방으로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에 기재된 기술은 설치작업이 어려운 비계증축을 하지 않고도 원하는 임의의 층에서 홀의 넓이에 구애받지 않고 곧바로 펼쳐서 지지시킨 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각층의 바닥면의 단부에 상하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클램핑기구(3)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대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국공고특허 제10-1996-00040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승강로 위에 위치하도록 제1전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는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되 전방이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 설치관에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를 삽입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수평 설치관이 구비되어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작업용 비계 설치시 수직형 지지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설치관은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층간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 수직 설치관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과,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설치관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어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이 바닥을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가 측방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가 삽입되는 보조 간격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와 보조 간격조절바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는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전면판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후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전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전면판과 지지 브라켓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승강로 위에 위치하도록 제1전면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는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되 전방이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 설치관에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를 삽입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수평 설치관이 구비되어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작업용 비계 설치시 수직형 지지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설치관은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층간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 수직 설치관을 통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지지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비계 지지용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파이프가 설치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110)과 상기 제1전면판(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3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측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그 형상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설치관(310)은 상기 제1전면판(110)의 양측 후면에 설치되어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설치관(310)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승강로에서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510)의 단부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 설치관(320)은 메인 프레임(1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개방된 상부는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설치관(320)에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지지하거나 고정하기 위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5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파이프(520)는 'T'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도어를 통하여 승강로 내측으로 삽입되어 비계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프레임(200) 역시 메인 프레임(100)처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프레임(200)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2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210)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3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평 설치관(310)은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전단은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210)에 설치된 수평 설치관(310)에도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510)의 단부가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비계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120)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에 대응되도록 보조 간격조절바(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는 상기 보조 간격조절바(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120)와 보조 간격조절바(2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조절공(122,222)이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공(122,222)에는 조절핀(미도시)이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은 건물 또는 구조물을 설치할 때,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처음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거나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00)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 설치관(310)은 보조 프레임(2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T'자나 'ㄱ'자 형상의 지지파이프(520)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수직 설치관(310)은 모두 바닥을 완전히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각 층에 위치하는 수직 설치관(3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하기 위한 비계뿐만 아니라 복도에 작업을 위하여 비계를 설치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 위치하는 수직 설치관(320)에 지지파이프(530)를 삽입하여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 층의 작업이 끝나고 다른 층으로 비계를 이동시킬 때,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설치관(320)을 통하여 지지파이프(530)를 상부 또는 하부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량을 줄여주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파이프(520,53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직 설치관(320)에는 마개(미도시)를 구비하여 층간을 차단하여 이물질 등이 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면판(210)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212)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 연장부(212)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4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추락방지장치(40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하여 일반인이나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추락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주어 부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장치(400)는 추락시 작동하여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지지대(430)와 상기 지지대(430)의 하단이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브라켓(420)은 상기 수직 연장부(2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4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바닥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4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410) 및 제어장치(미도시)가 내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줄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승강로 내에서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츄에이터(410)의 단부에는 지지대(430)와 연결되어 지지대(430)의 절첩을 제어하는 와이어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 후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 전부에는 와이어의 방향을 양측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롤러(440)가 설치되어 지지대(430)의 절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추락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데, 상기 감지 센서에서 추락을 감지할 경우, 각 층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장치(400)의 제어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장치는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켜 지지대(430)가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자가 지지대(430)에 부딛혀 추락하는 속도를 줄이거나 지지대(4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전면판(110)과 보조 프레임(2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전면판(210)의 전체를 커버하는 보강 플레이트(5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5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전면판(110)과 제2전면판(210)의 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540)의 양측에는 추락 방지 장치(400)를 구성하는 지지 브라켓(420)이 각각 설치되어, 지지 브라켓(4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 비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진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각 층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제1전면판
120 : 메인 간격조절바 200 : 보조 프레임
210 : 제2전면판 220 : 보조 간격조절바
310 : 수평 설치관 320 : 수직 설치관
400 : 추락방지장치 410 : 액츄에이터
420 : 지지 브라켓 430 : 지지대
440 : 방향전환롤러 510,520,530 : 지지파이프
540 : 보강 플레이트

Claims (7)

  1.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인접한 바닥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전면판과,
    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면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평 설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설치관의 전단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연통되어 비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관이 바닥을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보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단에는 제2전면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전면판의 일측에는 수평 설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는 메인 간격조절바가 측방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가 삽입되는 보조 간격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간격조절바와 보조 간격조절바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는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판의 타측에는 수직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의 전면에는 추락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후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 전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판과 지지 브라켓 사이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KR1020210044563A 2021-04-06 2021-04-06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KR10262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ko) 2021-04-06 2021-04-06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ko) 2021-04-06 2021-04-06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45A KR20220138645A (ko) 2022-10-13
KR102620090B1 true KR102620090B1 (ko) 2024-01-02

Family

ID=8359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63A KR102620090B1 (ko) 2021-04-06 2021-04-06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07B1 (ko) *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54B1 (ko) 1994-07-29 1999-09-01 정몽규 자동 변속기의 고장예측장치 및 그 방법
JPH0899781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昇降路下部作業用の足場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07B1 (ko) * 2018-10-01 2019-01-31 유종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추락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45A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32B1 (ko) 엘리베이터의설치를위한방법및장치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NZ556204A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AU2021107613A4 (en) A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FI97799C (fi) Hissien ovenasennuksessa käytettävä suojalaitteisto asennettavan suojakaiteen muodossa
NL194405C (nl) Opvanginrichting voor stellingen.
US2142651A (en) Scaffolding
KR102620090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비계 지지 구조
KR101541044B1 (ko)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KR200415037Y1 (ko)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1011112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NZ242874A (en) Cantilevered and adjustably suspended worker's staging or platform with jack devices exteriorly of structure's wall
KR20190071555A (ko) 갱폼 안전도어
JP4011722B2 (ja) 吊り階段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CN217027998U (zh) 一种加高的吊篮悬挂结构
CN220451372U (zh) 皮带机检修楼梯
CN215564337U (zh) 一种吊杆更换的梁下用施工吊篮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US20240060319A1 (en) Temporary perimeter containme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