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407B1 -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407B1
KR102619407B1 KR1020197015036A KR20197015036A KR102619407B1 KR 102619407 B1 KR102619407 B1 KR 102619407B1 KR 1020197015036 A KR1020197015036 A KR 1020197015036A KR 20197015036 A KR20197015036 A KR 20197015036A KR 102619407 B1 KR102619407 B1 KR 10261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e
micro
lens
ophthalmic lens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005A (ko
Inventor
라비 찬드라 바카라주
클라우즈 에르만
캐스린 페드케
파드마자 샌카리더그
아서 호
Original Assignee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보는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안경 렌즈의 상당 부분에 걸쳐, 근시안에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와 함께 안경 렌즈를 사용하여,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도입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색 신호를 이용하는 안경 렌즈를 통한 입사광을 변형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또는 모순 광학 시그널을 제공하는 굴절 광학 소자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와 함께 안경 렌즈를 사용하여,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도입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교차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2016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2/412,50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에 관한 것이다.
분야
본 개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시안 또는 근시로 진행중일 수 있는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되는 착용자의 눈의 망막 수준에 상충 색 신호(conflicting chromatic cues)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시안 또는 근시로 진행중일 수 있는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될 수 있는 착용자의 눈의 망막 수준의 M 및/또는 L 추상체에 대한 상충 광학 시그널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웃하는 추상체 광수용기(cone photoreceptors), 특히 정시화(emmetropization)의 성장 제어 메커니즘에 참여할 수 있는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cone receptors) 사이에 상충, 또는 모순 또는 불일치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 렌즈(spectacle lens)와 함께 굴절 광학 소자(refractive optical element)(ROE)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DOE)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정시화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L-추상체 수용기의 약(about) 50%, 75% 및 10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종 색수차(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를 변경(altering), 변화(changing)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눈 성장(eye growth)의 방향에 대한 신호(cue)를 고정할 수 있는 M-추상체 수용기의 약 75% 및 10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종 색수차를 변경, 변화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될 수 있는 대략(approximately) 510 nm 내지 대략 610 nm의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종 색수차를 변경, 변화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행성 근시안(progressing myopic eye)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될 수 있는 스펙트럼적(spectrally) 및/또는 공간적 변형이 되도록 의도적으로 변경되는 착용자의 눈의 망막 수준에서 초점 패턴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 예를 들어 근시안 또는 근시로 진행중일 수 있는 눈의 진행의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될 수 있는 착용자의 눈의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눈의 종 색수차를 의도적으로 변경, 변화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 렌즈와 함께 ROE 및/또는 DOE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과용 렌즈, 예를 들어 안경 렌즈와 함께 단일 마이크로 렌즈릿(lenslet), 몇몇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array) 광학(optics)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광학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될 수 있는 착용자의 눈의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을 변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 렌즈와 함께 광학 필름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광학 필름의 사용은 표면 변경 및/또는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 재료에 대한 변경을 광범위하게 포함할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착용자의 시야각에 독립적이거나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안경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여 망막 상의 M 및/또는 L 추상체에 상응하는 종 색수차를 변경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착용자의 눈의 M 및/또는 L 추상체의 색수차에서의 일시적 변형을 도입하는 안경 렌즈의 요법을 사용하여 눈을 운동시키고 근시의 진행을 억제/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
본 발명의 배경의 논의는 개시된 실시양태의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이는 언급된 자료가 본 발명에 제시된 실시양태 및 청구항의 우선일에 공개되거나, 알려지거나 보통의 일반 지식의 일부였다는 인정으로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
영상이 명확히 감지되기 위해서, 눈의 광학은 망막, 특히 황반 상에 초점이 맞춰지는 영상을 야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짧은-시력(short-sightedness)으로 알려진 근시는 눈의 광학적 장애이며, 축상(on-axis) 영상은 망막의 항반의 앞에 초점이 맞춰진다. 일반적으로 먼-시력(long-sightedness)으로 알려진 원시는 눈의 광학적 장애이며, 축상 영상은 망막의 황반 뒤에 초점이 맞춰진다. 망막의 황반 앞 또는 뒤의 영상의 초점은 탈초점(defocus)으로 지칭되는 저위수차(lower order aberration)를 생성한다. 난시는 다른 유형의 저위수차며, 눈의 광학은 구면 곡률로부터 벗어나, 왜곡된 영상을 야기하며, 이는 광선이 공통 초점에서 맞춰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저위수차와 함께, 눈은 또한, 비제한적으로, 구면 수차, 코마(coma) 및/또는 트레포일(trefoil)을 포함한 고위광학수차를 가질 수 있다.
근시에서, 시각적 초점 결함은 먼 물체(눈에 의해 보이는 풍경 내의 물품)가 흐릿하게 보이는 것이며, 이는 이들의 영상이 황반 상 대신 황반의 앞에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이다. 근시는 미국의 성인 인구 중 약 4분의 1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시각 장애이며, 이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근시의 유병률이 현재 취학 연령 아동의 80%를 초과한다. 따라서, 세계 인구의 큰 퍼센트가 명확히 보기 위해 일부 형태의 광학 교정을 필요로 하는 수준의 근시를 갖는다. 특히, 근시 굴절 오차는 어린 환자에서 진행성이다(즉, 굴절 오차는 시간에 걸쳐 증가함). 또한, 근시는 개시 연령에 관계 없이 진행하며, 근시는 계속해서 강한 교정을 필요로 하는 양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양의 근시는 망막 박리, 백내장 및 녹내장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일부 형태의 망막 병리학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각 장애를 수반하는 것은 개인 및 사회에 개인적, 사회적 및 재정적 부담이다. 이들은 시력 교정 및 관리의 직접 비용(매년 수십억 달러에 이름)뿐 아니라, 생산성 및 삶의 질과 같은 간접 비용을 포함한다. 근시의 시각적 및 잠재적 병리학 효과 및 이의 결과적 불편함 및 개인 및 사회에 대한 비용은 근시의 개시를 방지 또는 지연시키거나, 진행을 정지 또는 늦추거나, 환자에서 발생하는 근시의 양을 제한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한다.
안구(ocular system)는 눈의 광학과 관련된 망막의 자리를 조정하기 위해 시각적 피드백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정시(emmetropia)(눈 길이가 이의 광학의 초점 거리에 잘 부합함)를 이루고 유지한다. 눈의 안축장(axial length)은 "성장" 및 "정지" 시그널을 포함하는 항상성(homostatic) 성장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된다. 안구 시스템은 항상성 피드백 메커니즘의 효과적 작용을 위한 주요한 입력으로서 시각적 경험에 의지한다. 광학적 탈초점의 징후를 해독할 수 있는 오차 시그널은 눈 성장의 속도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도와, 최소 굴절 오차를 야기한다. 이러한 보상 메커니즘은 동물 눈이 눈 성장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안경 렌즈에 도입된 광학적 탈초점을 보상하는 수많은 경험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비정시(ametropia)는 이러한 활성 정시화 과정의 실패 사례를 야기한다. 탈초점 시그널이 정시화 과정을 지배한다는 문헌으로부터의 충분한 증거가 있다. 인간 눈의 광학 매체의 굴절률은 매우 파장 의존성이며, 상당한 수준의 색 분산을 나타낸다. 눈의 종 색수차(LCA)는 가시성 백색광(대략 400 nm 내지 대략 700 nm)에서 고려되는 파장의 함수로서 눈의 총 굴절력에서의 변화로 정의되어 왔다. 인간 눈의 LCA는 대략 2 디옵터(diopter)(D)(대략 400 nm 내지 대략 700 nm, 도 18b)이고 이는 축상 색 분산의 측정치와 관련된다. 도 18b는 종색초점 이동을 디옵터로 나타낸다. 도 18b의 표는 기준 파장으로서 다루어지는 540 nm에 대해 각각의 기준 파장에 대한 초점 이동을 나타낸다. S-추상체에 대한 피크 추상체 민감성은 기준 파장(540 nm)에 대해 -0.72D의 초점 이동에 상응하는 443 nm이다. 유사하게, 기준 면의 나머지에 대한 기준 파장(540 nm)으로부터의 초점 이동은 도 18b의 표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변형조명법(off-axis illumination)으로 인해 나타나는 색 분산은 횡 색수차(transverse chromatic aberration)(TCA)로서 지칭된다.
안경 렌즈 설계 옵션에 대해, 이들은 누진 가입도 렌즈(progressive additional lens)(조절 지연(accommodative lag) 또는 축상 원시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동심원 이중초점 및 등분 이중초점(축상 및 축외(off-axis) 원시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포함한다. 이들 옵션 각각은 아동에서의 근시 진행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에 대해 이들 자체의 강점 및 약점을 갖는다.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있다. 안과용 렌즈는 예를 들어, 안경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또는 콘택트 렌즈 또는 안경과 같은 다른 안과용 렌즈와 조합된 안과용 렌즈 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되,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이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있다.
아동 및/또는 보는 사람(viewer)이 사용하고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일부일지라도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있다. 또한, 안경 렌즈와 조합될 수 있으며, 렌즈(또는 조합물)가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진행성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 또는 장치(즉,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있다.
본 개시는 아동 및/또는 보는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일부일지라도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 시스템 및/또는 안경 렌즈와 조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렌즈(또는 조합)가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정된 눈의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conflicting chromatic) 시그널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굴절 광학 소자(ROE)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DOE)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정된 눈의 망막 수준의 이웃하는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모순 색(contradictory chromatic) 시그널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굴절 광학 소자(ROE)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DOE)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특히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교정된 눈의 망막 수준의 공간적 및/또는 스펙트럼적 변형 초점 패턴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굴절 광학 소자(ROE)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DOE)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특히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를 자극하는 파장에 걸쳐, 종 색수차를 변경할 수 있는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되, 안과용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이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정된 눈의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 시그널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눈에 근시 진행의 속도에서의 감속을 가능하게 하는 색 신호를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입사광을 변형시키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본 개시는 또한 눈 성장을 늦추기 위해 색 신호를 제공하도록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입사광을 변형시키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정된 눈의 망막 수준의 눈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빛의 경로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ROE 및/또는 DOE가 임베디드된(embedded)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눈 성장을 늦추기 위한 방향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빛의 경로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시 또는 그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서의 진행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장치 및/또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개시는 본원의 논의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 및/또는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은 다른 이점 및/또는 개선점을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제목은 독자의 참고의 용이성을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 또는 청구항을 통해 발견된 주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제목은 청구항의 범위를 이해하거나 청구항을 제한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정의
다음에 달리 정의되지 않는 경우, 용어들은 본원에서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된다:
"근시안"이라는 용어는 이미 근시이거나, 근시 전이거나, 근시로 진행중인 굴절 상태를 갖는 눈을 의미한다.
"정지 시그널"이라는 용어는 눈의 성장 및/또는 눈의 굴절 상태를 늦추거나, 막거나, 지연시키거나, 억제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광학 시그널을 의미한다.
"시야각"이라는 용어는 일차 시선을 직시하는 눈에 비교한, 안과용 렌즈, 안경 렌즈, 안경 렌즈 시스템, 또는 이의 조합을 통한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을 의미한다.
"채움비(Fill Ratio)"라는 용어는 안경 렌즈 블랭크(blank) 또는 베이스(base) 안과용 렌즈의 총 표면적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릿 포함 면적의 퍼센트로서 표현된다.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은 마이크로 렌즈릿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 배열체의 면적과 비교하여 마이크로 렌즈릿이 차지하는 2차원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공(pupil) 채움비"라는 용어는 특정 시야각에 대한 마이크로 렌즈릿의 면 상에 투사된 동공의 총 면적에 비교해 마이크로 렌즈릿의 면 상에 투사된 동공 면적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누적 면적의 퍼센트로서 정의된다. 동공 채움비가 시야각에 따라 달라지는 특정 실시양태에서, 채움비는 안경 렌즈 블랭크 또는 베이스 안과용 렌즈의 총 표면적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릿 포함 면적의 평균 퍼센트인 것으로 정의된다.
마이크로 렌즈릿의 "초점 거리" 또는 (f)라는 용어는 다음 방정식에 따라 계산된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식에서, n2는 약 555 nm에서 n2 층의 굴절률이고, n3는 약 555 nm에서 n3 층의 굴절률이며, R은 마이크로 렌즈릿의 곡률 반경이다(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함). 다른 실시양태에서, n2 및/또는 n3는 다음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파장에서 정의될 수 있다: 500 nm 내지 600 nm, 400 nm 내지 700 nm 또는 380 nm 내지 800 nm.
원환체(toric) 마이크로 렌즈릿에 대해, "초점 거리"라는 용어는 2 개의 주경선(principal meridians) (Fs) 및 (Ft) 중 하나와 관련되고, 이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이해된다. 원환체 초점 거리는 다음 방정식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식에서, n2는 n2 층의 굴절률이고, n3는 n3 층의 굴절률이며, Rs 및 Rt는 2 개의 주경선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곡률 반경이다.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의 주경선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면에서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갖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구성된 광학 시스템으로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용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는 함께 배열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배열체를 이루는 마이크로 렌즈릿은 동일한 면에 있거나 있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는 시트, 시트의 일부, 다중 시트 또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열체는 적어도 1, 2, 3 또는 4 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장치는 적어도 1, 2, 3 또는 4 개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은 대략 10 μm, 대략 20 μm, 대략 30 μm, 대략 50 μm, 대략 75 μm, 대략 100 μm, 대략 150 μm, 대략 200 μm, 대략 400 μm, 대략 500 μm, 대략 600 μm, 대략 750 μm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이루는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은 달라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은 10 μm 내지 20 μm, 10 μm 내지 30 μm, 10 μm 내지 50 μm, 10 μm 내지 75 μm, 10 μm 내지 100 μm, 10 μm 내지 150 μm, 10 μm 내지 200 μm, 10 μm 내지 400 μm, 10 μm 내지 500 μm, 10 μm 내지 600 μm, 10 μm 내지 750 μm, 20 μm 내지 30 μm, 20 μm 내지 50 μm, 20 μm 내지 75 μm, 20 μm 내지 100 μm, 20 μm 내지 150 μm, 20 μm 내지 200 μm, 20 μm 내지 400 μm, 20 μm 내지 500 μm, 20 μm 내지 600 μm 또는 20 μm 내지 750 μm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은 150 μm 내지 400 μm, 150 μm 내지 300 μm, 200 μm 내지 400 μm 또는 이의 조합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곡률 반경" 또는 (R)이라는 용어는 거리의 단위(예를 들어, mm, m 등)를 갖는 곡률의 역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Rs는 안경 렌즈의 곡률 반경이고 Rl은 렌즈릿의 곡률 반경이다.
"안경 렌즈"라는 용어는 렌즈 블랭크, 완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완성된 안경 렌즈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안경 렌즈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는 렌즈 블랭크, 완성되거나 실질적으로 완성된 안경 렌즈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는 안경 렌즈의 전면(anterior surface), 안경 렌즈의 후면(posterior surface) 상에, 안경 렌즈의 몸체 내에 또는 이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요약
본 개시는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인간 망막은 가시성 스펙트럼의 단파장, 중파장 및 장파장에 대해 민감한 3 개의 상이한 추상체(S, M 및 L 형)로 구성된다. M 및 L 추상체는 망막 상의, 특히 황반 영역 내의 90%를 초과하여 나타나고, L 추상체의 샘플링은 추상체의 대략 2 내지 3 배이다. 굴절 오차의 측정 및/또는 교정은 M 및 L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 사이의 대략 중간점에 상응하는 555 nm 파장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 상황들에서,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은 아웃 포커스(out of focus)(원시성 흐릿함)를 겪으며; 이는 진행성 근시를 야기하는 교정된 눈에 대한 성장 자극과 연관된다. 따라서, M 및 L 추상체에 대한 자극은 눈 성장 패턴에 대한 자극을 제한하므로, 진행성 근시안을 제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L 추상체에 의해 수신되거나 L 추상체의 대략(100%, 75% 및 5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각각 565 nm, 610 nm 및 625 nm)에서 광학 시그널을 변화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변경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변경시키는 한편, 540 내지 560 nm 또는 그 근방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 교정을 계속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의 대략 100%, 75% 및 5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다수의 파장에서 착용자의 눈의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을 변경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하고, 540 내지 560 nm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대략 565 nm, 610 nm 및 625 nm 파장에서 착용자의 눈의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을 변경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하고, 540 내지 560 nm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M 추상체에 의해 수신되거나, M 추상체의 대략(75% 및 10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각각 510 nm 및 535 nm)에서 광학 시그널을 변화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변경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한편, 540 nm 내지 560 nm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 교정을 계속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의 대략 75% 및 100%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다수의 파장에서 착용자의 눈의 M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을 변경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하고, 540 내지 560 nm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대략 510 nm 및 535 nm 파장에서 착용자의 눈의 M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을 변경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하고, 540 내지 560 nm의 중심 파장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L 추상체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에 대한 변화 또는 실질적 변화는 L 추상체로 채워진 망막 면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충 광학 시그널은 L 추상체 중 일부가 인 포커스(in focus) 시그널을 수신하는 한편, 나머지가 아웃 포커스 시그널(근시 또는 원시)을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충 시그널을 수신하는 L 추상체의 비율은 다음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대략 10%(인 포커스) - 90%(아웃 포커스), 대략 20%(인 포커스) - 80%(아웃 포커스), 대략 30%(인 포커스) - 70%(아웃 포커스), 대략 40%(인 포커스) - 60%(아웃 포커스), 대략 50%(인 포커스) - 50%(아웃 포커스), 대략 60%(인 포커스) - 40%(아웃 포커스), 대략 70%(인 포커스) - 30%(아웃 포커스), 대략 80%(인 포커스) - 20%(아웃 포커스), 및 대략 90%(인 포커스) - 10%(아웃 포커스). 다른 실시양태에서, 착용자의 눈의 L-추상체 수용기 면에 상충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은 상충 색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L-추상체 수용기 면에 상충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은 또한 정지 시그널의 도입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L 추상체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에 대한 변화 또는 실질적 변화는 망막 면의 이웃하는 L 추상체에 대한 모순 광학 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모순 광학 시그널은 L 추상체 중 일부가 근시 시그널을 수신하는 한편, 나머지가 원시 시그널을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순 광학 시그널을 수신하는 L 추상체의 비율은 다음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대략 10%(근시) - 90%(원시), 대략 20%(근시) - 80%(원시), 대략 30%(근시) - 70%(원시), 대략 40%(근시) - 60%(원시), 대략 50%(근시) - 50%(원시), 대략 60%(근시) - 40%(원시), 대략 70%(근시) - 30%(원시), 대략 80%(근시) - 20%(원시), 및 대략 90%(근시) - 10%(원시). 다른 실시양태에서, 착용자의 눈의 L-추상체 수용기 면에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은 모순 색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L-추상체 수용기 면에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은 또한 정지 시그널의 도입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M 추상체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에 대한 변화 또는 실질적 변화는 M 추상체로 채워진 망막 면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충 시그널은 M 추상체 중 일부가 인 포커스 시그널을 수신하는 한편, 나머지가 아웃 포커스 시그널(근시)을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충 시그널을 수신하는 M 추상체의 비율은 다음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대략 10%(인 포커스) - 90%(아웃 포커스), 대략 20%(인 포커스) - 80%(아웃 포커스), 대략 30%(인 포커스) - 70%(아웃 포커스), 대략 40%(인 포커스) - 60%(아웃 포커스), 대략 50%(인 포커스) - 50%(아웃 포커스), 대략 60%(인 포커스) - 40%(아웃 포커스), 대략 70%(인 포커스) - 30%(아웃 포커스), 대략 80%(인 포커스) - 20%(아웃 포커스), 및 대략 90%(인 포커스) - 10%(아웃 포커스). 다른 실시양태에서, 착용자의 눈의 M-추상체 수용기 면에 상충 시그널을 도입하는 개념은 상충 색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M-추상체 수용기 면에 상충 시그널을 도입하는 개념은 또한 정지 시그널의 도입으로서 지칭된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M 추상체에 의해 수신된 광학 시그널에 대한 변화 또는 실질적 변화는 M 추상체로 채워진 망막 면에 모순 광학 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모순 광학 시그널은 M 추상체 중 일부가 근시 시그널을 수신하는 한편, 나머지가 원시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야기한다. 모순 광학 시그널을 수신하는 M 추상체의 비율은 다음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대략 10%(근시) - 90%(원시), 대략 20%(근시) - 80%(원시), 대략 30%(근시) - 70%(근시), 대략 40%(근시) - 60%(원시), 대략 50%(근시) - 50%(원시), 대략 60%(근시) - 40%(원시), 대략 70%(근시) - 30%(원시), 대략 80%(근시) - 20%(원시), 및 대략 90%(근시) - 10%(원시). 다른 실시양태에서, 착용자의 눈의 M-추상체 수용기 면에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는 개념은 모순 색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M-추상체 수용기 면에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는 개념은 또한 정지 시그널의 도입으로서 지칭된다.
특정 실시양태는 공간적 및/또는 스펙트럼적 변형 초점 패턴을 갖는 망막 상의 영역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또는 안경 렌즈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조합을 포함하되, 안경 렌즈 시스템이 사람에 의해 사용된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 또는 안경 렌즈와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조합을 포함하되, 안경 렌즈 시스템이 사람에 의해 사용된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눈에 정지 시그널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색 신호를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입사광을 변형시킬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조합은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과용 렌즈,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또는 안경 렌즈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은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또는 실질적으로 관계 없는)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및/또는 이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눈에 정지 시그널을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눈 성장을 감속시키기 위한 색 신호를 제공하도록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을 통한 입사광을 변형시킬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안과용 렌즈로서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으로서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조합은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눈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는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와 함께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을 사용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조합은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눈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사용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조합은 망막 수준에서 모순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눈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와 함께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을 사용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조합은 망막 수준에서 모순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눈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서 겪은 종 및/또는 횡 색수차(longitudinal and/or transverse chromatic aberration)에서의 일시적 변형의 도입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억제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시도시 개인에 대한 교정 안경 렌즈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시적 방법은 굴절 기법을 기본으로 하여 사람의 양측 눈의 굴절 상태를 측정하는 것;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측정을 기본으로 하여 사람에 대한 제1 안경 렌즈 쌍에 대한 처방을 확인하며, 제1 렌즈 쌍이 단일 시각 렌즈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측정을 기본으로 하여 사람에 대한 제2 안경 렌즈 쌍에 대한 처방을 확인하며, 제2 렌즈 쌍이 ROE 및/또는 DOE와 함께 사용된 단일 시각 렌즈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 제1 기간 동안 제1 렌즈 쌍을 확인 및 처방하는 것; 제2 기간 동안 제2 렌즈 쌍을 확인 및 처방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2 렌즈 쌍은 착용자의 눈의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서 상충 및/또는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는 다음과 같이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서 겪은 종 및/또는 횡 색수차에서의 일시적 변형의 도입에 의해 진행성 눈에 정지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시도시 개인에 대한 교정 안경 렌즈를 선택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측정을 기본으로 하여 사람에 대한 처방을 선택하는 것; 좌측 눈을 위한 제1 렌즈 및 우측 눈을 위한 제1 렌즈를 포함하는 제1 안경 렌즈 쌍에 대한 처방을 확인하는 것; 좌측 눈을 위한 제2 렌즈 및 우측 눈을 위한 제2 렌즈를 포함하는 제2 안경 렌즈 쌍에 대한 처방을 확인하는 것; 사람이 제1 렌즈 쌍을 착용하기 위한 제1 기간을 확인하는 것; 사람이 제2 렌즈 쌍을 착용하기 위한 제2 기간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1 및 제2 렌즈 쌍은 개인의 좌측 또는 우측 눈의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또는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양태는 눈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늦추기 위한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약에서 논의된 실시양태뿐 아니라, 다른 실시양태가 본 명세서, 도면 및 청구항에 개시된다. 요약이 본 발명과 함께 고려되는 각각의 모든 실시양태, 조합 또는 변형을 포괄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요약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양태의 제한은 다른 실시양태의 제한과 조합되어, 추가 실시양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다음의 예로서만 포함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 실시양태가 기재될 것이다:
도 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굴절 광학 소자(ROE)를 구성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회절 광학 소자(DOE)를 구성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를 포함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e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g 및 3h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i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박막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j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박막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 표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k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안경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된 박막 필름 및 다른 광학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 표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l은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광학 박막 필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m은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를 포함하는 광학 박막 필름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의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도입된 정시안으로 입사하는 단색광을 도시한다.
도 5는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의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도입된 정시안으로 입사하는 다색광을 도시한다.
도 6a는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vergence)를 갖는다.
도 6b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이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geometric spot)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7은 -2 디옵터 도수를 갖는 단일 시각 안경의 색 코딩된, 2 차원, 시상 도수 프로파일(sagittal power profile)을 나타낸다.
도 8a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입사되는 빔은 모델 눈에 대해 축상(0 도) 또는 공동-축이다.
도 8b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입사되는 빔은 모델 눈으로의 축외(5 도), 비-공동-축(non-co-axial) 빔이다.
도 8c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그러나, 표현을 위해 2 개의 파장(555 nm 및 610 nm)만이 사용된다. 확대된 도면은 어떻게 2 개의 파장이 상이한 면에서 초점이 맞춰지는지를 나타낸다.
도 10a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도 10b는 도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c는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d는 도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e는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f는 단일 근시안(Rx = -2D)이 단일 시각 렌즈(Rx =-2D)로 교정된 개략적 표현이다. 확대된 도면 일부는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도 1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 내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새그(sag)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의 새그 프로파일은 25 mm 직경의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쳐 기재된다.
도 12a는 도 11a 및 11a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그러나, 표현을 위해 2 개의 파장(555 nm 및 610 nm)만이 사용된다.
도 12b는 도 1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1a 및 11b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2c는 도 1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1a 및 도 11b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2d는 단일 근시안(Rx = -2D)이 다중 DOE가 임베디드된 단일 시각 렌즈(Rx =-2D)로 교정된 개략적 표현을 나타낸다. 확대된 도면 일부는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3 개의 파장에 대한 2 개의 상이한 망막 위치의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도 1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sheet)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로 구성된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의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렌즈의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ROE(60)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렌즈의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DOE(60)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e는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 영역의 중심 부위 내의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R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영역 내의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R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 영역의 중심 부위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영역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6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중심 부위가 작은 직경의 ROE로 채워진 ROE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6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중심 부위가 작은 직경의 DOE로 채워진 DOE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e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8a는 인간 망막의 단(S), 중(M) 및 장(L) 민감성 광수용기에 대한 스펙트럼 민감성 곡선을 도시한다.
도 18b는 인간 눈의 종 색수차를 도시한다. 디옵터로의 종 색수차는 가시성 파장의 연속 함수로서 플로팅된다(plotted). 상기 도면은 또한 인간 눈과 관련된 다양한 기준점/파장에 대한 초점 이동의 표를 디옵터로 나타낸다. 초점 이동은 540 nm 파장의 빛에 대해 계산된다.
도 19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9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19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1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9c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d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e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도 19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f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0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0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0c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d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e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도 2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f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1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1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1c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d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e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도 21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f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2D이다.
도 22c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d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e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f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3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3c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d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e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도 23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f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4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4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3.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4c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d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e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도 24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f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5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5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5c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d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e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도 25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f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1D이다.
도 26c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d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e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f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7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7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1.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7c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d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e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도 27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f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8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8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8c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d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e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도 28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f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1D이다.
도 29c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d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e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f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30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30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30c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d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e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도 3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f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일반적인 특징 및 특성을 공유할 수 있는 몇몇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다음 설명이 제공된다. 일 실시양태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 이상의 특성과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양태 중 일부에서의 단일 특성 또는 특성의 조합은 추가 실시양태를 구성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내용은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개시된 실시양태 및 상기 실시양태의 변형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본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제목은 독자의 참고의 용이성만을 위해 포함되며, 본 발명 또는 청구항을 통해 밝혀진 주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제목은 청구항의 범위를 구성하거나 청구항을 제한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다음 이점 중 하나 이상이 개시된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서 발견된다:
A. 안경 렌즈 시스템은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시야각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눈 성장(또는 굴절 오차의 상태(state))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므로,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B. 효과적 근시 제어를 위해, 안경 렌즈 시스템의 착용자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특정 부위를 통해 볼 필요가 없다.
C. 안경 렌즈 시스템은 시각적으로 전형적인 안경 렌즈처럼 보이며, 특정 착용자(예를 들어, 등분 이중초점 안경)에 의해 나타나는 잠재적 거부감으로 고통받지 않는다.
D.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패턴, ROE 배열체 패턴, DOE 배열체 패턴, 렌즈릿의 직경, 개별 ROE의 직경, 개별 DOE의 직경, 렌즈릿의 깊이, 개별 ROE 표면의 시상 깊이, 개별 DOE 표면의 시상 깊이, 렌즈릿의 공간적 위치, ROE의 공간적 위치, DOE의 공간적 위치, 렌즈릿의 초점 거리, 개별 ROE의 초점 거리, 개별 DOE의 초점 거리, 렌즈릿 사이의 간격(spacing), 개별 ROE 사이의 간격, 개별 DOE 사이의 간격, 렌즈릿 재료의 굴절률, 개별 ROE의 굴절률, 개별 DOE의 굴절률, 안경 렌즈 재료의 굴절률 또는 이의 조합을 변경하는 능력.
E.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은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또는 실질적으로 관계 없는) 착용자의 눈에 대한 눈 성장(또는 굴절 오차의 단계)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한다.
F. 눈 성장의 효과적인 지연을 위해,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의 착용자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특정 부위를 통해 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아동 및/또는 보는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일부일지라도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안경 렌즈 시스템 및/또는 안경 렌즈와 조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렌즈(또는 조합물)가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시야각의 상당 부분은 안경 렌즈 시스템 또는 장치의 착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총 시야각의 적어도 55, 60, 70, 80, 90, 95 또는 99%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야각의 상당 부분은 렌즈릿을 포함하는 장치의 상기 부위 또는 영역에서 장치의 총 시야각의 적어도 55, 60, 70, 80, 90, 95 또는 99%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안과용 렌즈 또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의 중심에 비교해 착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과 관계 없는(또는 실질적으로 관계 없는)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안과용 렌즈 및/또는 안경 렌즈와 조합될 수 있는 장치(렌즈 시스템으로 지칭됨)를 제공할 수 있으며, 렌즈(또는 조합물)가 눈 성장에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렌즈의 적어도 상당 부분 구역이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 눈 성장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시야각의 적어도 상당 부분은 안경 렌즈 시스템 또는 장치의 착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총 시야각의 적어도 55, 60, 70, 80, 90, 95 또는 99%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야각의 적어도 상당 부분은 렌즈릿을 포함하는 장치의 상기 부위 또는 영역에서 장치의 총 시야각의 적어도 55, 60, 70, 80, 90, 95 또는 99%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이들의 특성이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1 개를 초과하는 층, 예를 들어 2, 3, 4 또는 5 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적어도 1, 2, 3, 4 또는 5 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는 이어서 안경 렌즈 블랭크와 함께 적절히 맞춤화되거나 작동하도록 절단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 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를 포함하는 시트는 안경 렌즈의 전면,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위치하거나, 안경 렌즈 매트릭스 내, 안경 렌즈의 제1 층 내, 안경 렌즈의 제2 층 내, 안경 렌즈의 제3 층 내, 안경 렌즈의 제4 층 내, 안경 렌즈의 제5 층 내 또는 이의 조합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비제한적으로, 접착제(열 또는 화학) 또는 기계식을 포함한 다수의 방식으로 안경 렌즈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안경 렌즈에 적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의 일부로서 통합적으로 형성되고/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는 다중 층,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 개 층으로 형성되고/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는 적어도 1, 2, 3, 4 또는 5 개 층으로 형성되고/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의 전면, 안경 렌즈의 후면 상, 안경 렌즈의 제1 층내, 안경 렌즈의 제2 층내, 안경 렌즈의 제3 층내, 안경 렌즈의 제4 층내, 안경 렌즈의 제5 층내 또는 이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렌즈릿의 채움비는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동공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동공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의 동공 채움비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렌즈릿의 동공 채움비는 렌즈릿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동공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동공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동공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의 동공 채움비는 R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동공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동공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10% 내지 20%, 10% 내지 30%, 20% 내지 40%, 20% 내지 50%, 30% 내지 50%, 40% 내지 60%, 20% 내지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동공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5%, 10%, 20%, 25%,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의 동공 채움비는 DOE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약 10%, 대략 10%, 5% 내지 15%, 8% 내지 12% 또는 적어도 10%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동공 채움비는 달라지는 시야각에 따라 일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동공 채움비는 시야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동공 채움비는 시야각에 따라 단조롭게 증가하거나, 시야각에 따라 단조롭게 감소하거나, 시야각에 따라 단조롭지 않게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동공 채움비는 시야각에 따라 점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면적은 대략 314, 1963, 7854, 31416, 70686, 196350, 441786 평방미크론(μm2)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ROE의 면적은 대략 314, 1963, 7854, 31416, 70686, 196350, 441786 평방미크론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DOE의 면적은 대략 314, 1963, 7854, 31416, 70686, 196350, 441786 평방미크론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은 대략 0.01, 0.05, 0.2, 0.3, 0.5, 0.7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은 대략 0.01 내지 0.75 mm, 0.01 내지 0.2 mm, 0.05 내지 0.15 mm, 0.05 내지 0.2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ROE의 직경은 대략 0.01, 0.05, 0.2, 0.3, 0.5, 0.7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ROE의 직경은 대략 0.01 내지 0.75 mm, 0.01 내지 0.2 mm, 0.05 내지 0.15 mm, 0.05 내지 0.2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DOE의 직경은 대략 0.01, 0.05, 0.2, 0.3, 0.5, 0.75, 0.8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 배열체 내의 하나 이상의 DOE의 직경은 대략 0.01 내지 0.75 mm, 0.01 내지 0.2 mm, 0.05 내지 0.15 mm, 0.05 내지 0.2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굴절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의 형태는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생산하기 위해 이웃하는 M 및/또는 L 추상체에서 바람직한 상충 또는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원형, 반-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정사각형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굴절 및/또는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소자의 배열은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생산하기 위해 이웃하는 M 및/또는 L 추상체에서 바람직한 상충 또는 모순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원형, 반-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적어도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0.05 내지 8 mm, 0.1 내지 .5 mm, 0.2 내지 10 mm, 0.2 내지 0.4 mm, 1 내지 3 mm, 2 내지 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약 0.2 mm, 대략 0.2 mm, 적어도 0.2 mm, 0.2 mm, 약 0.3 mm, 대략 0.3 mm, 적어도 0.3 mm, 0.3 mm, 약 0.4 mm, 대략 0.4 mm, 적어도 0.4 mm, 0.4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중심-대-중심(center-to-centor) 간격(들)은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적어도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0.05 내지 8 mm, 0.1 내지 .5 mm, 0.2 내지 10 mm, 0.2 내지 0.4 mm, 1 내지 3 mm, 2 내지 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들)은 약 0.2 mm, 대략 0.2 mm, 적어도 0.2 mm, 0.2 mm, 약 0.3 mm, 대략 0.3 mm, 적어도 0.3 mm, 0.3 mm, 약 0.4 mm, 대략 0.4 mm, 적어도 0.4 mm, 0.4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경계-대-경계(border-to-border) 간격(들)은 0,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적어도 0,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0 내지 0.05, 0.05 내지 8 mm, 0.1 내지 0.5 mm, 0.2 내지 10 mm, 0.2 내지 0.4 mm, 1 내지 3 mm, 2 내지 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렌즈릿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약 0.2 mm, 대략 0.2 mm, 적어도 0.2 mm, 0.2 mm, 약 0.3 mm, 대략 0.3 mm, 적어도 0.3 mm, 0.3 mm, 약 0.4 mm, 대략 0.4 mm, 적어도 0.4 mm, 0.4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0,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적어도 0, 0.05, 0.1, 0.5, 0.5, 1, 2, 3 4, 5, 6, 7, 또는 8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0 내지 0.05, 0.05 내지 8 mm, 0.1 내지 0.5 mm, 0.2 내지 10 mm, 0.2 내지 0.4 mm, 1 내지 3 mm, 2 내지 5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DOE 배열체 내의 2 이상의 ROE 또는 DOE 사이의 경계-대-경계 간격(들)은 약 0.2 mm, 대략 0.2 mm, 적어도 0.2 mm, 0.2 mm, 약 0.3 mm, 대략 0.3 mm, 적어도 0.3 mm, 0.3 mm, 약 0.4 mm, 대략 0.4 mm, 적어도 0.4 mm, 0.4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형태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구, 비구면, 확장된 홀수 다형, 확장된 짝수 다형(polynomial), 원뿔 곡선, 쌍원뿔 곡선, 원환체 표면 또는 제르니케(Zernike) 다형.
특정 실시양태에서, DOE 중 하나 이상의 상 프로파일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구, 비구면, 확장된 홀수 다형, 확장된 짝수 다형, 원뿔 곡선, 쌍원뿔 곡선, 원환체 또는 제르니케 다형. DOE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은 2진 단계, 2-단계, 4-단계, 8-단계, 키노폼(kinoform), 또는 회절 격자로서 기재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DOE, 특히 회절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제작은 레이저 즉시 기록(laser direct writing) 기법을 사용한 굴절 안경 렌즈 상의 연속적인 표면 양각(relief) 구조의 구축을 통할 수 있다. 종래의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박막 필름 상에 병렬 레이저 즉시 기록을 사용해 연속적인 깊은 표면 양각 구조를 갖는 회절 광학 소자, 예를 들어 회절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설계, 제작, 및/또는 특징짓기 위해 페르마의 원리(Fermat's principle)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DOE는 DOE의 배열체 대신에 안경 렌즈 상에 스트립(strip)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적어도 5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5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mm 미만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300 내지 500 mm, 200 내지 600 mm, 100 내지 2000 mm, 250 내지 600 mm, 200 내지 100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300 내지 500 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및/또는 DOE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적어도 5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및/또는 DOE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5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mm 미만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및/또는 DOE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300 내지 500 mm, 200 내지 600 mm, 100 내지 2000 mm, 250 내지 600 mm, 200 내지 100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및/또는 DOE 중 하나 이상의 초점 거리는 300 내지 500 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Rl)은 대략 0.1, 0.5, 1, 1.5, 2, 2.5, 3, 4, 5, 10, 20, 30, 40, 50, 70, 80, 10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Rl)은 1.5, 2, 2.5, 3, 4, 5, 10, 20, 30, 40, 50, 70, 80, 100 mm 미만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Rl)은 0.1 내지 1.5 mm, 0.5 내지 50 mm, 0.5 내지 3 mm, 1 내지 10 mm, 0.5 내지 4 mm, 1 내지 20 mm,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Rl)은 약 1 mm, 대략 1 mm, 약 0.5 mm, 대략 0.5 mm, 약 1.5 mm, 또는 대략 1.5 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중 하나 이상의 굴절률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는(또는 둘러싸고 있는) 재료의 굴절률에 비해 클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에 대해 양성 도수를 제공하지만, 음성 도수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양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는(또는 둘러싸고 있는) 재료의 굴절률에 비해 작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굴절률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굴절률에 대해 유용한 범위는 1.3 내지 1.7, 1 내지 1.7, 1 내지 1.5이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다층 배열체인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층의 굴절률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인 배열체의 층의 굴절률에 비해 클 수 있다. 이는 양성 마이크로 렌즈릿 도수를 제공하지만, 음성 도수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양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 및/또는 후면인 층의 굴절률에 비해 작은 마이크로 렌즈릿 층의 굴절률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층의 굴절률에 대해 바람직한 범위는 1.3 내지 1.7, 1 내지 2, 1 내지 1.5이다.
ROE 배열체가 다층 배열체인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ROE를 포함하는 층의 굴절률은 하나 이상의 ROE를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인 배열체의 층의 굴절률에 비해 클 수 있다. 이는 양성 ROE 도수를 제공하지만, 음성 도수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양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ROE를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 및/또는 후면인 층의 굴절률에 비해 작은 ROE 층의 굴절률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층의 굴절률에 대해 유용한 범위는 1.3 내지 1.7, 1 내지 2, 1 내지 1.5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영역(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 및/또는 후면인 층의 굴절률)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렌즈릿(또는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층)의 굴절률 사이에는 차이가 작을수록, 동일한(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초점 거리에 대해 더 작은 곡률 반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생산성 및 품질 일관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 0.001, 0.005, 0.01, 0.05 또는 0.1 중 2 개의 굴절률 사이의 차이가 고려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영역(또는 하나 이상의 ROE를 포함하는 층에 대해 전면 및/또는 후면인 층의 굴절률)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ROE(또는 ROE를 포함하는 층)의 굴절률 사이의 차이가 작을수록, 동일한(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초점 거리에 대해 더 작은 곡률 반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생산성 및 품질 일관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 0.001, 0.005, 0.01, 0.05 또는 0.1 중 2 개의 굴절률 사이의 차이가 고려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층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하고, 1의 굴절률을 갖는 공기에 노출된 마이크로 렌즈릿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제조를 간소화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층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하고, 1의 굴절률을 갖는 공기에 노출된 ROE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제조를 간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학적 변형은 제조의 용이성 및 균일한 광학 품질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2 개의 곡률 반경 및 3 개의 굴절률 변수를 갖는 것에 의해, 종 색수차와 같은 광학 특성이 또한 최적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전체 안경 렌즈에 걸쳐 균일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패턴을 갖도록 제조 및 구현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의 불균일한 배열에 대한 효능 및 내구성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불균일성은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의 채움비;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의 직경,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의 반경 또는 초점 거리;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의 굴절률; 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사이의 간격; 또는 이의 조합과 관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DOE 또는 ROE 배열체의 균일한 배열은 채움비, 마이크로 렌즈릿/ROE/DOE 직경, 반경 또는 초점 거리, 귤절률 또는 간격, 또는 이의 조합과 관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이루는 마이크로 렌즈릿의 상당 부분은 마이크로 렌즈릿의 적어도 20, 30, 40, 50, 60, 70 80, 90, 95 또는 98%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이루는 마이크로 렌즈릿의 상당 부분은 마이크로 렌즈릿의 20 내지 80%, 20 내지 60%, 30 내지 80%, 40 내지 90%, 50 내지 99%, 60 내지 70%, 80 내지 95%, 85 내지 98% 또는 60 내지 80%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또는 DOE 배열체를 이루는 ROE 또는 DOE의 상당 부분은 ROE 또는 DOE의 적어도 20, 30, 40, 50, 60, 70 80, 90, 95 또는 98%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OE 또는 DOE 배열체를 이루는 ROE 또는 DOE의 상당 부분은 ROE 또는 DOE의 20 내지 80%, 20 내지 60%, 30 내지 80%, 40 내지 90%, 50 내지 99%, 60 내지 70%, 80 내지 95%, 85 내지 98% 또는 60 내지 80%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는 전면, 후면 상에 위치, 형성, 배치되거나 이의 조합이거나, 렌즈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거나 이의 조합이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는 안과용 렌즈의 2 개의 표면 중 1 개 상에 위치, 형성, 배치되거나 이의 조합이고 나머지 표면은, 비제한적으로, 주변부 원시(peripheral hyperopic) 탈초점의 감소, 근시 탈초점 유도, 조절 지연 감소 또는 이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눈 성장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는 안과용 렌즈의 2 개의 표면 중 1 개 상에 위치, 형성, 배치되거나 이의 조합이고 나머지 표면은 눈 성장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대적 원시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는 전면, 후면 상에 위치, 형성, 배치되거나 이의 조합이거나, 렌즈 매트릭스에 임베디드 되거나 이의 조합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마이크로 렌즈릿, ROE 또는 DOE 배열체는 전면 또는 후면의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렌즈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고 전면 또는 후면 또는 랜즈 매트릭스의 나머지 영역은 근시 탈초점을 생산하기 위한 특성에 사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3 개 층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도 1은 다층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예시적 실시양태를 크기 조정되지 않은 측면도로 나타낸다. L1 층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 대한 기판으로서 작용하는 투명 포일이다. 포일은 플라스틱 중합체이지만,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L2 층은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며, 이는 층(L2)의 표면 상의 작은 표면 상승부(5)로서 도 1의 측면도에 나타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에 대한 직경(d 또는 11)은 대략 0.1 mm이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 입사되는 빛의 초점 경로는 도 1에서 12로 예시되어 있다. L2 층에 사용된 재료는 다른 플라스틱 중합체이지만,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L2 층에서의 채움비는 대략 10%이다. L3 층은 L2 층을 덮는 보호층이다. L3 층에 사용된 재료는 플라스틱 접착제이지만, 다른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L4 층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상에 위치한 공기이다. 또한, 안경 렌즈의 표면과 같은 다른 표면에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 투명 접착제(6)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릿 간 간격(s 또는 8)은 대략 0.3 mm이고 각각의 렌즈릿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거리이다. 초점 거리(f 또는 7)는 300 내지 500 mm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에 대한 곡률 반경(Rl 또는 10)은 대략 1 mm이다.
이 실시예에서, L2에 대한 굴절률 값은 L3에 비해 크다. 이 실시예에서 L2에 대한 굴절률은 1.3 내지 1.7이다.
실시예 2: 3 개 층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도 2는 다층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예시적 실시양태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렌즈릿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서 2 개의 별도 층의 표면 상에서 발견된다. L13 층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 대한 기판으로서 작용하는 투명 포일이며 이는 또한 이 실시예에서 작은 표면 상승부(18)로서 도 2의 측면도에 나타낸 마이크로 렌즈릿의 부위(18)를 포함한다. 포일은 플라스틱 접착제이다. 이 실시예에서, L14 층은 마이크로 렌즈릿(18)과 동심원인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17)을 포함하며, 이는 L14 층의 표면 상의 작은 융기(bump)(17)로서 도 2에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렌즈릿에 대해 직경(d 또는 19)은 대략 0.1 mm이다.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 입사되는 빛의 초점 경로는 도 2에서 20으로 예시되어 있다. L14 층에 사용된 재료는 플라스틱 중합체이지만, 다른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L14 층에서의 채움비는 대략 10%이다. L15 층은 L14 층을 덮는 보호층이다. L15 층에 사용된 재료는 다른 플라스틱 접착제이다. 도 2의 L16 층은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상에 위치한 공기이다. 또한, 안경 렌즈의 표면과 같은 다른 표면에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 투명 접착제(21)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간격(s 또는 22)은 대략 0.3 mm이고 각각의 렌즈릿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거리이다. 초점 거리(f 또는 22)는 300 내지 500 mm이다. 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에는, 2 개의 곡률 반경 R1(Rl) 및 R2(Rl)가 있다. R1(또는 23)은 층(L13)에서의 곡률 반경이며 이 실시예에서 이 층의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에 대해 대략 1.1 mm이다. R2(또는 24)는 층(L14)에서의 곡률 반경이며 이 실시예에서 이 층의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에 대해 대략 1 mm이다. 이 실시예에서, L13에 대한 굴절률은 L14에 비해 크고 L14는 L15에 비해 크다. 이 구성은 굴절률 또는 곡률 반경에서 작은 변형에 덜 민감성이며, 생산의 용이성을 더 크게 하는 한편, 여전히 렌즈릿의 정확한 초점 길이를 제공한다.
실시예 3: 2 개 층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도 3a 내지 3e는 안경 렌즈 시스템에 대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비제한적 예시적 실시양태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a-3e에 나타내지 않은 안경 렌즈에 대해 마이크로 렌즈릿을 사용하는 많은 다른 적합한 구현이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마이크로 렌즈릿의 기하학은, 비제한적으로, 기판 층의 굴절률, 개별 렌즈릿의 직경, 곡률 반경, 유효 초점 거리, 렌즈릿 간 간격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 다수의 인자에 의존할 수 있다.
도 3a는 볼록한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전면 또는 후면 상의 안경 렌즈 내에 직접 몰딩된 안경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는 안경 렌즈(25)의 전면 부위 상에 몰딩된 마이크로 렌즈릿(26)을 도시한다. 눈에 인접한 영역은 27이고 안경 렌즈에 대한 외부의 영역은 28이다.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몰딩된 마이크로 렌즈릿은 도 3a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설계는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도 3b는 2 개의 렌즈 절반(또는 부위)(29 및 30) 사이에 마이크로 렌즈릿(31)을 갖는 더블렛(doublet)으로서, 볼록한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릿(31)이 안경 렌즈(32) 내에 직접 몰딩된 안경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절반(또는 부위)(29 및 30)은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도 3b는 안경 렌즈(32)의 렌즈 절반(또는 부위)(29)의 전면 부위 상에 몰딩된 마이크로 렌즈릿(31)을 도시한다.
도 3c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측면도로 도시하며, 안경 렌즈(35)는 마이크로 렌즈릿을 형성하는 재료의 추가 전에 안경 렌즈(35)의 전면 상에 몰딩 또는 절삭된 오목한 홈(34)을 갖는다. 안경 렌즈(32)를 제조하기 위해, 오목한 홈은 마이크로 렌즈릿(33)을 형성하기 위한 안경 렌즈의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채워진다. 본 개시는 또한 볼록한 홈이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몰딩 또는 절삭되고 이들 볼록한 홈이 렌즈릿을 형성하기 위한 안경 렌즈의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한 굴절률의 재료로 채워진 안경 렌즈를 고려한다. 이 실시양태는 도 3c에 나타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또한 오목한 홈이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몰딩 또는 절삭되고 볼록한 홈이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몰딩 또는 절삭된 안경 렌즈를 고려한다. 안경 렌즈의 양측 면 상의 홈은 마이크로 렌즈릿 및 안경 렌즈를 생성하기 위한 재료로 채워진다. 홈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 또는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홈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또는 재료들)의 굴절률은 전형적으로 안경 렌즈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할 것이다. 이 실시양태는 도 3c에 나타나지 않는다. 홈은 다수의 적합한 기법, 예를 들어 몰딩, 광화학 공정, 엠보싱, 방전 제조 또는 이의 조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d는 전면 또는 후면 상에 안경 렌즈(38)를 형성하기 위해 안경 렌즈(37) 상에 볼록한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릿(36)이 인쇄된 안경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d는 안경 렌즈(37)의 전면 부위 상에 인쇄된 마이크로 렌즈릿(36)을 도시한다.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인쇄된 마이크로 렌즈릿은 도 3d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설계는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안경 렌즈의 후면 및 전면 상에 인쇄된 마이크로 렌즈릿은 도 3d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설계는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인쇄된 마이크로 렌즈릿은 안경 렌즈(37)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것이다.
도 3e는 전면 또는 후면 상에 안경 렌즈(41)를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40)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39)의 굴절률을 국소적으로 변경하도록, 열 및/또는 화학 공정을 사용하여 안경 렌즈(40) 내에 오목한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39)가 형성된 안경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과정은 빛을 집중시키기 위해 국소 굴절률 분포형 렌즈(local gradient index lenses)를 생성할 것이다. 도 3e는 안경 렌즈(41)를 형성하도록 안경 렌즈(40)의 전면 부위에서 안경 렌즈(40) 부위 상의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릿(39)을 도시한다. 안경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안경 렌즈의 후면 부위에 형성된 볼록한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는 도 3e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설계는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본 개시는 또한 오목한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가 안경 렌즈의 전면 부위에 형성되고 볼록한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가 안경 렌즈의 후면 부위 상에 형성된 안경 렌즈를 고려한다. 오목한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 및 볼록한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는 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 또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오목형 및 볼록형의 마이크로 렌즈릿 부위의 굴절률은 전형적으로 열 및/또는 화학 공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안경 렌즈의 다른 영역의 굴절률과 상이할 것이다. 이 실시양태는 도 3e에 나타나지 않는다.
실시예 4: 근시용 모델 눈에서 안경과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
다음 예시적 실시양태는 교정된 눈의 망막 면에 상충 색 신호를 제공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을 통한 입사광을 변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근시의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간략하게는,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은 망막 수준에서 상충 색 신호/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은 스펙트럼적 및/또는 공간적 변형인 착용자의 눈의 망막 상의 초점 패턴을 도입하는 것(정지 시그널로서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입:
광수용기는 이들이 빛에 노출될 때 반응하는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이는 다음에 시신경을 따라 뇌로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야기한다. 상이한 유형의 광수용기는 우리가 광범위한 광 강도를 보게한다: 반짝이는 별에서 밝은 햇살은 물론, 무지개의 색까지. 인간 망막에는 2 개의 기본 유형의 광수용기가 있다: 간상체(rods) 및 추상체(cones). 간상체는 시각적 검출을 지원하며, 이는 이들이 명암 변화, 형태/형태학 및 움직임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하나의 유형의 광감성 안료만을 포함한다. 인간 망막에는 약 1억 2천만개의 간상체가 있다. 반면에, 추상체는 색각 및 시각적 해상도를 지원한다. 인간 망막에는 약 6백만개의 추상체가 있다. 인간 망막 추상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사광의 파장에 대한 민감성을 기본으로 하여 3 개 유형으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소위 S 추상체(단파장 민감성), M 추상체(중파장 민감성) 및 L 추상체(장파장 민감성). S, M 및 L 추상체는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대략 444 nm, 535 nm 및 565 nm에서 피크 민감성을 갖는다. 인간 망막에서 S 추상체의 비율은 총 추상체의 약 5-10%를 구성한다. 추상체의 나머지 90-95%는 M 또는 L 형이다. M 추상체에 비해 대략 2 내지 3 배 많은 L 추상체가 있다. S 추상체는 L 및 M 추상체와 상이하다. S 추상체의 민감성 곡선(대략 430-435 nm에서 피크임)은 M 및 L 추상체의 민감성 곡선과 상이하다. M 및 L 형 추상체의 민감성 곡선은 각각 대략 530 내지 535 nm, 및 대략 555 내지 560 nm에서 서로 인접한 이들의 피크를 가져 상당히 유사하다(다시 말해, 이들은 광범위한 시각 파장에 걸쳐 중첩됨). 555 nm의 파장은 보통 모델링 목적으로 안굴절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이것이 L 및 M 추상체 민감성 곡선의 교차점에 속하기 때문이다. 망막 상의 간상체 및 추상체의 지리적 분포가 알려져 있다. 간상체는 망막 주변에 집중되어 있는 한편, 추상체는 황반 영역에 밀집되어 있다. S 추상체는 전형적으로 중심와 영역 내에 부재한다. 반면에, 망막 주변은 상대적으로 추상체가 없으며, 황반 영역은 전형적으로 완전히 간상체가 없다.
단색의 세계(도 4)에서, 동일한(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이 도입된 정시안은 각각 망막 상에서 근시성 탈초점(42) 및 원시성 탈초점(43)을 야기한다. 양측 사례에서, 망막에서 생산된 흐릿함(44)의 강도는 고려된 정시안이 다른 고차원 섭동 또는 수차를 갖지 않으면 서로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눈은 망막 상의 흐릿함(44)이 근시성 탈초점(42)(실선) 또는 원시성 탈초점(43)(점선)으로부터 야기되는지 여부를 해독할 수 없다. 그러나, 실세계는 사실상 다색이고 우리가 일상적으로 감지하는 가시광의 파장은 420 nm 내지 700 nm의 범위이다.
임의의 파장, 예를 들어 가시성 스펙트럼(420 nm 내지 700 nm)의 대략 중간인 555 nm에 대해 정의된 정시 인간 눈을 가정한다. 동일한 눈은 장파장 빛(예를 들어, 610 nm)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욱 원시성이고 중파장 빛(예를 들어, 510 nm)에 대해 더욱 근시성일 것이다. 중파장 및 장파장(510 nm 및 610 nm)을 나타내는 임의의 파장 실시예는 중파장 및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의 75%이다. 최근 연구는 안구 시스템이 탈초점의 징후를 해독하여 정시화 과정을 안내하도록 종 색수차로부터의 색 시그널을 사용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다색 세계에서 동일한(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이 정시안에 도입될 때, 이는 상이한 시나리오를 생산한다. 본원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광 시그널은 다색이므로, 출력 패턴은 2 개의 색 원뿔 A(45) 및 B(46)를 야기한다. 이 실시예의 원뿔 A(45) 또는 B(46) 각각에서, 단, 중 및 장 입사 파장에 대한 초점은 각각 Ab(45B), Ag(45G) 및 Ar(45R); 및 Bb(46B), Bg(46G) 및 Br(46R)을 형성한다. 이들 다중 초점은 시각계에 대한 추가 신호로서 작용한다. 현재 망막 상의 흐릿함(C)(47)이 근시성 및 원시성 탈초점으로부터 야기되지만, Ag(45G) 및 Bg(46G)는 서로 상이하지 않다(또는 실질적으로 상이하지 않음). 눈은 초점 Ab(45B) 및 Bb(46B)와 함께 Ar(45R) 및 Br(46R)에 의해 제공된 색 시그널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탈초점의 징후를 해독(즉, 근시성 및 원시성 탈초점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상이한 파장에 대해 민감성을 갖는 추상체의 변형이 이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색 신호를 검출하고 망막 수준에서 상충 시그널을 생산하여, 결국 진행성 근시에서 눈 성장의 변화의 속도에서의 감소가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근시안의 성장을 제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망막 수준의 이웃하는 M 추상체 수용기에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다른 실시양태는 눈 성장의 방향에 대해 신호를 유지하는 망막 수준의 이웃하는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다른 실시양태는 착용자의 망막의 M 및 L 추상체 수용기의 대략적인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 걸쳐 종 색수차를 변경시키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는 (진행성 근시안에 대한 정지 시그널로서 제공하기 위한) 스펙트럼적 및/또는 공간적 변형인 착용자 눈의 망막 상에 초점 패턴을 도입하는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모델 눈의 설명:
이 예시적 실시양태에서의 결과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눈 모델의 처방 파라미터가 하기 표 1에 제공된다. 이들 파라미터 값은 555 nm의 단색 파장에 대해 정의된 -2 디옵터(D) 근시안을 제공한다.
표 1에 기재된 파라미터 값은 기재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시뮬레이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많은 모델 중 하나일 뿐이다. 예를 들어,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리우-브렌넌(Liou-Brennan), 에스쿠데로-나바로(Escudero-Navarro), 애치슨(Atchison) 등과 같은 모델 눈이 상기 모델 눈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각막, 렌즈, 망막, 안구 매체, 또는 이의 조합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모델 눈 시뮬레이션으로부터의 결과
도 6a는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도 6b는 도 6a에 기재된 모델의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 상의 축상 기하학적 광선 및 스폿 분석(48)은 망막 표면이 근시성 흐릿함을 겪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근시성 흐릿함은 단일 시각 안경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목적을 위해, 표 2에 기재된 파라미터를 갖는 안경 렌즈를 사용하여,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교정하였다. 도 7은 단일 시각 안경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이는 정규화된 좌표에 걸친 도수 분포가 균일(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대략 -2 디옵터의 도수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안경 렌즈를 이용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의 교정(도 8a) 후에, 기하학적 스폿 분석을 재계산하였다(도 8b). 나타낸 바와 같이, 단색광(555 nm)에 대해, 기하학적 흐릿함(및 도 8b)은 크기가 에어리 원반(Airy disk)과 유사한 작은 스폿(49)까지 감소되었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근시 모델 눈 +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시스템이 다른 파장(L 추상체 중 일부에 상응하는 610 nm)과 맞닥뜨렸을 때, 망막은 원시성 흐릿함을 겪는다. 특별한 이론에 구애되길 원치 않으면서, 이 실시예(및 특정 실시양태)의 근본적인 가설은 교정 기법(이 실시예에서, 단일 시각 교정)으로부터 야기된 원시성 흐릿함을 검출하는 L 추상체가 성장 시그널을 촉발시켜, 근시 진행을 야기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도 10f는 단일 시각 렌즈(Rx =-2D)로 교정된 단일 근시안(Rx = -2D)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망막 수준에 초점이 맞춰진다. 확대된 도 10f의 일부는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빛의 파장에 대한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 교정의 대안적 방법. 이 예시적 실시양태는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을 기재한다(도 11a 및 도 11b). 도 11a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2 디옵터 안경 렌즈의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1a에 예시된 도수 프로파일의 필드 좌표를 정규화(normalize)하며 이들은 5 mm 구역 직경에 걸친 -2 디옵터 도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1b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2 디옵터 안경 렌즈의 새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1b에 예시된 새그 프로파일의 필드 좌표는 정규화하지 않으며 이들은 20 mm 구역 직경에 걸친 2 차원 새그 분포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파라미터가 표 2에 제공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시각 시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색 파장 555 nm에 대해, 기하학적 흐릿함은 에어리 원반과 유사하다. 그러나, 610 nm 시험 경우에 대해, 단일 시각 렌즈 시험 경우와 달리,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사용은 2 개의 별개 유형의 흐릿함을 생산하지만(도 12a, 도 12b 및 도 12c), 대부분의 흐릿함은 여전히 원시성이며, 빛이 집중되는 영역이 망막 상에 있다. 이 상황은 L 추상체에 대한 상충 시그널을 생산하며, L 추상체 중 일부는 원시성 탈초점을 검출하는 한편, 동일한 망막 영역 내의 다른 것들은 인-포커스 영상을 겪는다. 이 예시는 이러한 교정이 망막에 상충 시그널을 제공하는 위치에 놓일 때, 안구 시스템이 인-포커스 영상을 선호하도록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눈 성장 및/또는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킨다.
시뮬레이션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는 2 개 층을 포함하였다: 기판 층 및 안경 렌즈 자체의 전면. 실제 마이크로 렌즈릿은 안경 렌즈에 걸쳐 기복을 생성하도록 시상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설계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곡률 반경은 160 mm로 유지되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이 예시에서, 모든 마이크로 렌즈릿은 사실상 원형이었으며, 직경은 각각 200 μm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20 mm 안경 블랭크 상에 설계된 마이크로 렌즈릿의 총 수는 100 x 100 격자 배열이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2 개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거리(separation)는 대략 800 μm였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도 11a에 나타낸 도수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해, 기판 재료의 굴절률은 안경 렌즈 재료와 동일한 아베수(Abbe)를 갖는 1.52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굴절률에서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실시예 4b: 근시용 안경 렌즈와 함께 DOE 배열체의 사용
도 12d는 예시적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 교정의 대안적 방법이다. 이 예시적 실시양태는 예시적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의 교정을 위한 단일 시각 안경 렌즈(-2D)의 전면에 적용된 DOE 배열체를 구성하는 광학 필름의 사용을 기재한다. 이 예시는 입사되는 다색 병렬 빔의 빛이 집중되는 망막의 2 개의 이웃하는 영역을 강조한다. 2 개의 상이한 여전히 이웃하는 망막 지점(21, 22 및 23) 및 (31, 32 및 33)에서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초점이 강조된다. 이웃하는 망막 지점에서 2 개의 확대된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 추상체(33) 중 일부는 인-포커스 영상을 겪는 한편, 이웃하는 망막 영역의 일부 다른 L 추상체(33)는 원시 시그널을 겪는다. 이 상황은 L 추상체 수용기 수준에 상충, 모순 및/또는 불일치 광학 시그널로서 지칭된다. 특별한 이론에 구애되길 원치 않으면서, 이 실시예(및 특정 실시양태)의 근본적인 가설은 이웃하는 L 추상체 사이의 상충, 또는 모순 또는 불일치 광학 시그널이 정지 시그널을 촉발시켜, 근시 진행의 속도에서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시뮬레이션된 DOE 배열체는 2 개 층을 포함하였다: 코팅층 및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접착된 기판(DOE) 층. 그러나, 3, 4 또는 5 개 층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이 예시(4b)에서, 모든 DOE는 사실상 원형이었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도 31 내지 35)에서, DOE 및 ROE 스트립은 망막 수준, 특히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실시예 5: 완전 격자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
도 1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는 완전 격자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배열체의 격자는 실질적으로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로 채워진다. 안경 실시양태는 62 및 6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동공 상에 맞춰진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는 본 명세서 내의 다른 곳에 개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500 μm 범위의 직경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이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채움비는 다음 방정식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d2는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제곱 직경(70)이고 s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별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사이의 거리(71 또는 72)이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일반화된(generalized) 채움비는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실시예 5b: 완전 격자 DOE 배열체
도 1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는 완전 격자 D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배열체의 격자는 실질적으로 DOE(61)로 채워진다. 안경 실시양태는 6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동공 상에 맞춰진다. D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D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이러한 DOE 배열체의 채움비는 실시예 5에서의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다. DOE 중 하나는 회절 그루브(groove) 특성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실시예 6: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는 영역으로서 중심 부위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부위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장치의 원형 중심 부위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a에 나타낸 중심 원형 개구(ROE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62 및 63으로 나타낸 눈의 동공 상의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의 주요 시선 상에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4b는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비-원형 개구는 수평 차원에서 넓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도 14b에 나타낸 수평 개구(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도 14c는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비-원형 개구는 수직 차원에서 넓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도 14c에 나타낸 수직 개구(마이크로 렌즈릿이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로 채워진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5 내지 25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6a: DOE가 없는 영역으로서 중심 부위를 갖는 DOE 배열체
도 14d, 도 14e 및 도 14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부위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D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4d는 장치의 원형 중심 부위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d에 나타낸 중심 원형 개구(DOE가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62 및 63으로 나타낸 눈의 동공 상의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의 주요 시선 상에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4e는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비-원형 개구는 수평 차원에서 넓은 DOE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도 14e에 나타낸 수평 개구(DOE가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도 14f는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비-원형 개구는 수직 차원에서 넓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DOE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도 14f에 나타낸 수직 개구(DOE가 없는 영역)는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DOE(61)로 채워진다. D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5 내지 50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D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7: 비-균일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
도 15a 및 도 15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 영역의 중심 부위 및 주변 부위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로 채워진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중심 장치 영역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b는 중심 장치 영역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 렌즈를 도시한다. 작은 직경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4)의 직경은 50, 60, 70, 80, 90 또는 100 μm일 수 있다. 큰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의 직경은 180, 190, 200, 210, 220, 230, 240 또는 250 μm일수 있다. 작은 직경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로 채워질 수 있는 장치의 부위는 3, 4, 5, 6, 7, 8, 9 또는 10 mm 정사각형 또는 직경일 수 있다. 큰 직경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로 채워질 수 있는 장치의 부위는 11, 12, 13, 14, 15, 또는 18 mm 정사각형 또는 직경일 수 있다. 큰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대 작은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의 비는 1.5, 1.8, 2.1, 또는 2.5의 범위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제1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 및 제2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4)로 채워진다. 배열체가 적어도 1, 2, 3, 4, 5 또는 6 개의 상이한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로 채워지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이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25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7b: 비-균일 DOE 배열체
도 15c 및 도 15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부위 및 주변 부위가 상이한 직경을 갖는 DOE로 채워진 D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중심 장치 영역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b는 중심 장치 영역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 렌즈를 도시한다. 작은 직경 DOE(64)의 직경은 50, 60, 70, 80, 90 또는 100 μm일 수 있다. 큰 DOE(61)의 직경은 180, 190, 200, 210, 220, 230, 240 또는 250 μm일수 있다. 작은 직경 DOE로 채워질 수 있는 장치의 부위는 3, 4, 5, 6, 7, 8, 9 또는 10 mm 정사각형 또는 직경일 수 있다. 큰 직경 DOE로 채워질 수 있는 장치의 부위는 11, 12, 13, 14, 15, 또는 18 mm 정사각형 또는 직경일 수 있다. 큰 DOE 대 작은 DOE의 직경의 비는 1.5, 1.8, 2.1, 또는 2.5의 범위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제1 직경을 갖는 DOE(61) 및 제2 직경을 갖는 DOE(64)로 채워진다. 배열체가 적어도 1, 2, 3, 4, 5 또는 6 개의 상이한 직경을 갖는 DOE로 채워지는 DOE는 이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D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50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D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8: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는 영역으로서 주변 부위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
도 16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주변 부위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중심 영역(63) 내에 존재하며, 이는 원형인 경우,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크기의 다른 비-원형 영역이 또한 예상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62 및 63)의 동공 상의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62 및 63)의 주요 시선 상에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8)로 채워진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5 내지 50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8b: DOE가 없는 영역(DOE Free Area)으로서 주변 영역을 갖는 DOE 배열체
도 16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주변 부위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D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DOE 배열체는 중심 영역(63) 내에 존재하며, 이는 원형인 경우, 3 내지 15 mm, 3 내지 10 mm, 5 내지 12 mm, 또는 7 내지 15 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크기의 다른 비-원형 영역이 또한 예상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62 및 63)의 동공 상의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심 부위는 눈(62 및 63)의 주요 시선 상에 중심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장치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DOE(68)로 채워진다. D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5 내지 50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D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DOE 중 하나는 회절 그루브 특성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실시예 9: 상이한 경선에 따라 채워진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특정 경선 구역을 따라 채워지거나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60)를 갖는 장치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17a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위치한 수평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7b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위치한 수직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7c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위치한 사선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사선 경선은 도 17c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61)로 채워진다.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25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또는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상당 부분)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마이크로 렌즈릿 또는 R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실시예 9A: 상이한 경선을 따라 채워진 DOE를 갖는 DOE 배열체
도 17d 내지 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가 특정 경선 구역을 따라 채워지거나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DOE(60)를 갖는 장치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17d는 D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DOE가 위치한 수평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7e는 DOE(61)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DOE가 위치한 수직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7f는 DOE(61)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DOE가 위치한 사선 경선 구역은 배열체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10%를 덮을 수 있다. 경선 구역의 총 표면적 대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총 표면적 사이의 비는 0.1, 0.2, 0.3, 0.4 또는 0.5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사선 경선은 도 17f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이들 DOE 배열체는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배열체 실시예는 DOE(61)로 채워진다. DOE의 물리적 치수 및 광학 특성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500 μm 범위의 폭 및 250 내지 4000 mm 범위의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DOE의 초점 거리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배열체 내의 DOE의 폭 및/또는 초점 거리에서의 변형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DOE 중 하나는 회절 그루브 특성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실시예 10: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5에 기재됨)
이 예시적 실시양태는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된 ROE 배열체(실시예 5와 유사함)의 사용을 개시한다. 도 19a는 ROE 배열체가 포함된 -2 디옵터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 맵을 도시한다. 도 19b는 ROE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2 차원 도수 분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9a 및 19b에 예시된 도수 프로파일의 필드 좌표를 정규화하며 이들은 각각 5 mm 및 1 mm 구역 직경에 걸쳐 구면 도수 분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별 ROE의 도수는 +1.00 D(즉, 1000 mm의 초점 거리)이다. 기하학적 흐릿함을 비교하기 위해, 1 차 파장을 555 nm(이 시험 경우에 중파장 추상체를 나타냄)로 설정하였으며 2 차 파장을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의 대략 75%에 상응하는 610 nm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파라미터가 표 3에 제공된다.
도 19c 및 19d는 555 nm 작동 파장에서 축상 및 축외(5° 시야각) 광학 성능 시뮬레이션에 대한 기하학적 착란원(blur circle)을 나타낸다. 도 19e 및 19f는 610 nm 작동 파장에서 축상 및 축외 광학 성능 시뮬레이션(5° 시야각)에 대한 기하학적 착란원을 나타낸다. 도 19c 및 19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시각 시험 경우(도 10b 및 10c)와 마찬가지로, 555 nm의 파장을 갖는 단색광에 대해, 기하학적 흐릿함은 에어리 원반과 유사하며, 에어리 원반 내에 잘 포함된 인-포커스된 빛을 나타내므로, 양호한 시각 성능을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610 nm 작동 파장 시험 경우에 대해, 단일 시각 렌즈 시험 경우와 달리,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조합된 ROE 배열체의 사용은 2 개의 별개 유형의 흐릿함을 생산하지만(도 19e 및 도 19f 참고); 대부분의 흐릿함은 여전히 원시성이며; 입사광이 인 포커스되거나 망막 앞에 떨어지는 영역이 망막(백색 주머니(11 및 12)) 상에 있다. 이 상황은 망막의 L 추상체에 대한 상충 광학 시그널을 생산하며, L 추상체 중 일부는 원시성 탈초점을 검출하는 한편, 동일한 망막 영역 내의 다른 것들은 인-포커스 또는 근시 영상을 겪는다. 이 예시는 이러한 교정이 망막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제공하는 위치에 놓일 때, 안구 시스템이 인-포커스 영상 또는 망막 전면의 영상을 선호하도록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눈 성장 및/또는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 예시는 이러한 교정이 망막에 공간적으로 달라지는 초점 패턴을 제공하는 위치에 놓일 때, 안구 시스템이 인-포커스 영상 또는 망막 전면의 영상을 선호하도록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a 및 19b에 기재되고 논의된 시뮬레이션된 ROE 배열체는 2 개 층을 포함하였다: 기판 층 및 안경 렌즈 자체의 전면. 실제 ROE는 안경 렌즈에 걸쳐 기복(undulation)을 생성하도록 시상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설계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40 mm로 유지되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이 예시에서, 모든 ROE는 사실상 원형이었으며, 직경은 각각 100 μm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5 mm 동공 상에 설계된 마이크로 렌즈릿의 총 수는 대략 14%인 마이크로 렌즈릿 동공 채움비를 갖는 21 x 21 격자 배열이었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이 실시예에서, 임의의 2 개의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거리는 대략 138 μm였으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도수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해, 기판 재료의 굴절률은 안경 렌즈 재료와 동일한 아베수를 갖는 1.52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굴절률 및 아베수에서의 다른 변형이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 장치가 또한 ROE 대신 DOE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L 추상체(또는 L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대한 상충 광학 시그널을 전달하는 한편, M 추상체(또는 M 추상체의 상당 부분)에 대해 눈 교정을 계속하도록 설계된 장치가 ROE 및 DOE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11: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된 ROE 배열체
이 실시예에서, (도 20a-f 참고)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0에서 보이는 바와 동일하지만, 이 경우의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즉, 초점 거리는 500 mm임)이며, 실시예 10과 비교하였을 때, 망막 상의 관심 영역 상에 종 색수차의 측면에서 더 큰 이동을 제공한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도 20b는 안경 + ROE 배열체 조합의 중심 1 mm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확대되었다. ROE 채움비: 대략 14%.
실시예 12: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5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1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즉, 초점 거리는 500 mm임)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5 mm 동공 상에 설계된 ROE의 총 수는 41 x 41 격자 배열이었다. 임의의 2 개의 ROE 사이의 거리는 22 μm였다. 도 21b는 안경 + ROE 조합의 중심 1 mm를 강조하기 위해 확대되었다. 마이크로 렌즈릿 채움비: 대략 50%. 실시예 10 및 11과 비교하였을 때, 더 큰 ROE 채움비로 인해, 망막 상의 더 많은 영역이 망막 상의 L 추상체 수용기 수준에서, 즉 610 nm 장파장 빛에 대해 상충 광학 시그널을 겪는다(도 21e 및 21f). 그러나, 555 nm 작동 파장에 대한 기하학적 착란원(도 21c 및 21d)의 크기는 실시예 10(도 19c 및 19d)에서 단일 시각 렌즈(도 10b 및 10c)를 갖는 기하학적 착란원과 유사하며, 유사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11 및 12와 관련된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달라질 수 있다: ROE의 크기는 배열체/동공에 걸쳐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각각의 ROE, ROE의 상당 부분 및/또는 ROE의 일부의 반경은 작고/작거나 클 수 있으며, ROE의 반경은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달라질 수 있고, 마이크로 렌즈릿 사이의 거리는 작고/작거나 클 수 있으며, ROE의 배열은 예를 들어, 육각형 배열로 나타나는 '스퀘어드(squared)' 격자-배열체 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 동공 크기는 작거나 클 수 있다. 실시예 10, 11 및 12와 관련된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ROE는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 13: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6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2a 내지 e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5 mm 동공 상에 설계된 ROE의 총 수는 9 x 9 격자 배열이었으나, 중심에서는 0.5 mm인 폭을 갖는 수평 ROE가 없는 구역이었다. 상기 ROE와 하기 ROE가 없는 구역 사이의 거리는 0이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64%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78%이다.
종합적으로, ROE 채움비는 실시예 10과 비교하였을 때에 훨씬 크므로, 망막 상의 더 많은 영역이 망막 상의 L 추상체 수용기 수준에서, 즉 610 nm 장파장 빛에 대해 상충 광학 시그널을 겪는다(도 22e 및 22f 참고). 상충 광학 시그널은 안경 렌즈 시스템의 ROE가 없는 구역에 상응하는 망막의 영역에 걸쳐 제공된다. 개별 ROE의 더 큰 ROE 채움비 및 증가된 직경은 실시예 11, 12, 및 13에서 단일 시각 렌즈를 이용한 착란원과 비교하여, 실시예에서 증가된 크기의 착란원(도 22b 및 22c)에 상응하며, 감소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시각 성능에서의 예상된 감소가 허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 안경 렌즈 조합의 내구성을 개선하도록 변형되거나 달라질 수 있다: 렌즈릿의 크기, 렌즈릿의 형태, 렌즈릿 사이의 거리, 및 마이크로 렌즈릿의 도수.
다른 실시예에서, 명확한 수평선의 크기는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작고/작거나 클 수 있으며 ROE의 크기는 배열체/동공에 걸쳐 크기가 달라질 수 있고, 각각의 ROE, ROE의 상당 부분 및/또는 ROE의 일부의 반경은 작고/작거나 클 수 있으며, ROE의 반경은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달라질 수 있고, ROE 사이의 거리는 클 수 있으며, ROE 사이의 거리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달라질 수 있고, ROE의 배열은 실시예 16에서 나타나는 '스퀘어드' 격자-배열체 배열, 예를 들어 육각형 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 동공 크기는 작거나 클 수 있다. 명확한(ROE가 없는) 선의 방향은 또한 수직이거나 사선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 11, 12 및 13과 관련된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ROE는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 14: 단일 비전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6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3a-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또한, ROE 배열체는 2 개의 원형 구역, 즉 내부 및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내부 원의 직경은 2 mm이고 각각의 ROE가 0.080 mm의 직경을 갖는 격자 배열의 3 x 3 ROE로 구성된다. 외부 원 직경은 5 mm이고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29x29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100 mm이고 0.08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3b는 안경 + ROE 배열체 조합의 중심 2.5 mm 영역을 도시하기 위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21%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25%이다. 외부 원의 ROE 채움비는 내부 원의 비에 비해 크므로 망막에 대해 더 많은 상충 광학 시그널이 주변에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3c 및 23d)의 크기는 실시예 12 및 13에서의 착란원에 비해 양호하고 단일 시각 렌즈와 유사하며, 허용 가능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된 ROE 배열체
이 실시예에서, (도 24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4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원형 구역, 즉 내부 및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내부 원의 직경은 3 mm이고 각각의 ROE가 0.150 mm의 직경을 갖고 0.15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 격자 배열의 11 x 11 ROE로 구성된다. 외부 원 직경은 5 mm이고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15 x 15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300 mm이고 0.02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4b는 안경 + ROE 배열체 조합의 중심 3.5 mm 영역을 도시하기 위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64%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78%이다. 2 차 파장을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590 nm로 설정하였다. 외부 및 내부 원의 ROE 채움비는 실시예 14에서의 원의 비에 비해 크므로 망막에 대해 더 많은 상충 광학 시그널이 중심 및 주변에 제공된다(24e 및 24f).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4c 및 24d)의 크기는 실시예 14에서의 착란원에 비교하였을 때 더 크며, 감소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6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5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는 실시예 14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원형 구역, 즉 내부 및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내부 원의 직경은 2 mm이며 각각의 ROE가 0.110 mm의 직경을 갖고 0.10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 격자 배열의 5 x 5 ROE로 구성된다. 외부 원 직경은 5 mm이고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13 x 13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400 mm이고 0.02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5b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중심 2.5 mm 구역을 나타내기 위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65%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69%이다. 2 차 파장을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590 nm로 설정하였다. 외부 및 내부 원의 ROE 채움비는 실시예 15에서의 원의 비에 비해 훨씬 크므로 망막에 대해 훨씬 많은 상충 광학 시그널이 중심 및 주변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5c 및 25d)의 크기는 실시예 14에서의 착란원에 비교하였을 때 더 크며, 축외 착란원(도 25e 및 25f)은 에어리 원반으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더욱 낮은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7: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ROE 배열체
이 실시예에서, (도 26a 내지 e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4와 동일하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원형 구역, 즉 내부 및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내부 원의 직경은 3 mm이며 ROE를 갖지 않는다. 외부 원 직경은 5 mm이고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7 x 7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400 mm이고 0.31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19%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25%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ROE 채움비는 실시예 14와 비교하였을 때 더 크므로, 망막 상의 더 많은 영역이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한다. 도 26e 및 26f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망막 상의 상당한 수의 L 추상체 수용기가 근시성 탈초점을 겪는 한편, 나머지는 원시성 탈초점을 겪는다. 외부 원에만 위치한 ROE로 인해,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6c 및 26d)의 크기는 실시예 12 및 13에서의 착란원과 유사하지만 에어리 원반의 외부에 더 많은 산란을 가지며, 약간 감소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8: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6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7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4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원형 구역, 즉 내부 및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내부 원의 직경은 1.5 mm이고 ROE를 갖지 않는다. 외부 원 직경은 5 mm이고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25 x 25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100 mm이고 0.10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7b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중심 2 mm에 대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18%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19%이다. 2 차 파장을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590 nm로 설정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마이크로 렌즈릿 채움비는 실시예 14와 비교하였을 때 더 낮으므로, 망막 상의 더 적은 영역이 장파장 빛에 대해 인 포커스이며, 망막에 대해 더 적은 상충 광학 시그널이 제공된다. 외부 원에만 위치한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인해,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7c 및 27d)의 크기는 실시예 14에서의 착란원과 유사하거나 더 작으며, 더 양호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2 개 구역(원)의 크기는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이는 2 개를 초과하는 구역일 수 있으며, ROE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각각의 ROE, ROE의 상당 부분 및/또는 ROE의 일부의 반경은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반경은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으며, ROE 사이의 거리는 클 수 있고, ROE의 거리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으며, ROE의 배열은 예를 들어, 육각형 배열로 나타나는 '스퀘어드' 격자-배열체 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 동공 크기는 작거나 클 수 있다. 내부 원은 명확할 수 있고 ROE를 갖지 않을 수 있다. 2 개를 초과하는 구역의 경우, 일부 구역은 명확할 수 있고 다른 것들은 ROE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구역 또는 구역들은 타원형이거나 이와 유사하며, 수평 경선 또는 수직 경선 또는 사선 경선에 따른 주축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4, 15, 16, 17 및 18과 관련된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ROE는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 19: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5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28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3과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구역, 즉 내부 ROE가 없는 직사각형 구역 및 5 mm의 동공 크기에 상응하는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직사각형의 길이는 3 mm이고 높이는 1 mm이다. 외부 원의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25 x 25이다. 외부 원 마이크로 렌즈릿의 직경은 0.100 mm이고 0.10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8b는 2 mm에 대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18%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19%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ROE 채움비는 실시예 3과 비교하였을 때 더 낮으므로, 망막 상의 더 적은 영역이 장파장 빛에 대해 인 포커스이며, 망막에 대해 더 적은 상충 광학 시그널이 제공된다(도 28e 및 28f). 외부 원에만 위치한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인해,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28c 및 28d)의 크기는 실시예 13에서의 착란원과 유사하거나 더 작으며, 더 양호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20: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ROE 배열체
이 실시예에서, (도 29a-e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9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릿의 도수는 +2.0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20 mm로 유지되었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구역, 즉 내부 ROE가 없는 직사각형 구역 및 5 mm의 동공 크기에 상응하는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직사각형의 길이는 3.5 mm이고 높이는 1.5 mm이다. 외부 원의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13 x 13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200 mm이고 0.18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16%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22%이다. 2 차 파장을 장파장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590 nm로 설정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ROE 채움비는 실시예 19와 비교하였을 때 더 크므로, 망막 상의 더 많은 영역이 장파장 민감성에 대한 상충 광학 시그널을 겪는다(도 29e 및 29f). 외부 원에만 위치한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인해, 이 실시예에서 1 차 착란원(도 29c 및 29d)의 크기는 실시예 19에서의 착란원과 유사하지만 더 큰 마이크로 렌즈릿 채움비로 인해 주변에 더 많은 산란이 있으며, 특히 축외에서 감소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단일 시각 안경 렌즈 상의 ROE 배열체(실시예 5에 기재됨)
이 실시예에서, (도 30a 내지 f 참고)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OE 배열체는 실시예 19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ROE의 도수는 + 0.50 D이다. 각각의 ROE의 곡률 반경은 70 mm로 설정하였다. ROE 배열체는 2 개의 구역, 즉 내부 ROE가 없는 직사각형 구역 및 5 mm의 동공 크기에 상응하는 외부 원으로 구성된다. 직사각형의 길이는 1.5 mm이고 높이는 3 mm이다. 외부 원의 ROE 해상도는 격자 배열의 25 x 25이다. 외부 원 ROE의 직경은 0.100 mm이고 0.100 mm의 ROE 경계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도 20b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중심 2 mm 광학을 나타내기 위해 확대되었다. 5 mm 동공에 대한 ROE 동공 채움비는 대략 17%이고 50 mm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친 ROE 채움비는 대략 19%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ROE 채움비는 실시예 19와 비교하였을 때 더 낮으므로, 망막 상의 더 적은 영역, 특히 L 추상체가 상충 광학 시그널을 겪는다(도 30e 및 30f). 외부 원에만 위치한 ROE로 인해, 실시예에서 착란원(도 30b 및 30c)의 크기는 실시예 19에서의 착란원과 유사하거나 더 작으며, 더 양호한 시각 성능을 나타낸다.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명확한 구역의 형태는 정사각형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일 수 있고, 명확한 구역(들)은 외부 구역과 상이한 치수의 ROE를 가질 수 있으며, 배열체 및/또는 동공에 걸쳐 특정 형상의 1 개를 초과하는 구역이 있을 수 있고, 구역의 치수는 작고/작거나 클 수 있으며, ROE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마이크로 렌즈릿의 크기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으며, ROE의 상당 부분 및/또는 ROE의 일부 각각의 반경은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반경은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으며, ROE 사이의 거리는 작고/작거나 클 수 있고, ROE의 거리는 배열체 및/또는 동공 및/또는 구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으며, ROE의 배열은 예를 들어, 육각형 배열로 나타나는 '스퀘어드' 격자-배열체 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 동공 크기는 작거나 클 수 있다. 구역(ROE가 없거나 상이한 치수의 ROE 배열체)의 방향은 또한 사선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 19, 20, 및 21과 관련된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ROE는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 22: 박막 필름 상에 ROE 및/또는 DOE 스트립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예시
도 31 내지 35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안경 렌즈 상의 중첩으로서 사용되거나 안경 렌즈 내로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광학 패턴이 임베디드된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들 광학 패턴은 ROE, DOE 또는 ROE와 DOE의 조합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23: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되는 DOE 배열체
이 실시예에서, 예시적 -2D 근시 모델 눈 교정의 대안적 방법이 다양한 DOE 및/또는 ROE 장치를 사용하여 논의된다. 도 31 내지 35는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 ROE 또는 DOE 스트립의 예를 나타낸다. 도 37은 예시적 -2D 근시 모델 눈의 교정을 위해 단일 시각 안경 렌즈(-2D)의 전면에 적용된 하나의 이러한 변형이다. 이 예시는 입사되는 다색 병렬 빔의 빛이 집중되는 망막의 확대된 영역을 강조한다. 510 nm(M 추상체의 피크 민감성의 대략 75%), 555 nm(굴절 오차의 교정을 위한 중심 기준 파장) 및 610 nm(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의 대략 75%)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초점 면이 나타난다. 확대된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M 및 L-면의 광수용기는 상충 광학 시그널을 겪는다. 이 시험 경우와 달리, 예시적 -2D 모델 눈을 교정하기 위해 단일 시각 안경 렌즈(-2D)를 고려하는 예시(도 36)는 깨끗한 광학 시그널을 생산한다. 이 상황은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 수준에서 상충, 모순 및/또는 불일치 광학 시그널로서 지칭된다. 특별한 이론에 구애되길 원치 않으면서, 이 실시예(및 특정 실시양태)의 근본적인 원시는 이웃하는 L 추상체 사이의 상충, 또는 모순 또는 불일치 광학 시그널이 정지 시그널을 촉발시켜, 근시 진행의 속도에서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실시예 24: 일시적 변형을 도입하기 위한 렌즈 조합의 예시적 설명
이 실시예에서, 예시적 -2D 근시 모델 눈 교정의 대안적 방법이 2 쌍의 안경 렌즈를 사용하여 제공된다(도 36 및 도 37). 정의된 기간에 걸쳐 이들 안경 렌즈의 쌍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처방은 M 및/또는 L 추상체 수용기 수준에서 겪은 종 및/또는 횡 색수차에서의 일시적 변형을 도입하며, 이는 근시의 진행을 억제/제어할 수 있는 망막 수준의 모순 광학 시그널에 기여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기간은 1 시간, 6 시간, 12 시간, 24 시간 또는 48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양태가 다음 실시예에서 기재된다.
'A' 실시예의 세트:
A1. 안경 렌즈; 및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는, 인간에서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경 렌즈 시스템.
A2. 실시예 A1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렌즈 블랭크의 전면, 랜즈 블랭크의 후면 또는 둘 다에 적용될 수 있는 중첩인 안경 렌즈 시스템.
A3. 실시예 A1 또는 A2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와 통합되어 형성된 안경 렌즈 시스템.
A4. 실시예 A1 또는 A3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적어도 안경 렌즈의 전면, 안경 랜즈의 후면 또는 둘 다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
A5. 실시예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적어도 안경 렌즈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
A6. 실시예 A1 내지 A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5%, 8% 10%, 12%, 15%, 18%, 20%, 25%, 30%, 40% 또는 50%인 안경 렌즈 시스템.
A7. 실시예 A1 내지 A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 구역이 안경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10%, 15%, 20%, 25%,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인 안경 렌즈 시스템.
A8. 실시예 A1 내지 A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착용자에 대해 이용가능한 시야각의 10%, 15%, 20%, 25%,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를 초과하여 착용자에 대해 탈초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9. 실시예 A1 내지 A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0. 실시예 A1 내지 A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굴절률이 안경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한 안경 렌즈 시스템.
A11. 실시예 A1 내지 A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 중 적어도 50%, 60%, 70%, 80% 또는 9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굴절률이 안경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굴절률과 상이한 안경 렌즈 시스템.
A12. 실시예 A1 내지 A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 중 마이크로 렌즈릿이 1, 2, 3, 4 또는 5 개의 상이한 직경을 갖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3. 실시예 A1 내지 A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 중 마이크로 렌즈릿이 1, 2, 3, 4 또는 5 개의 상이한 초점 거리를 갖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4. 실시예 A1 내지 A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안경 렌즈를 통한 입사광을 변형시킬 수 있고 색 신호를 이용해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5. 실시예 A1 내지 A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안경 렌즈 시스템의 시야각의 상당 부분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6. 실시예 A1 내지 A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안경 렌즈 시스템의 총 시야각의 적어도 95%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7. 실시예 A1 내지 A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영역 중 시야각의 상당 부분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8. 실시예 A1 내지 A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시스템의 영역 중 총 시야각의 적어도 95%에 대해 진행성 눈에 대한 정지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19. 실시예 A1 내지 A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상업적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미용적으로(cosmetically)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거나 구분되지 않는 안경 렌즈 시스템.
A20. 실시예 A1 내지 A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착용자의 얼굴 상에 정상 사용 중이고 다른 사람에 의해 보이는 안경 렌즈 시스템이 상업적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미용적으로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거나 구분되지 않는 안경 렌즈 시스템.
A21. 실시예 A1 내지 A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경 렌즈 시스템이 상업적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거나 구분되지 않는 시각 성능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22. 실시예 A1 내지 A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착용자의 얼굴 상에 정상 사용 중인 안경 렌즈 시스템이 상업적 단일 시각 안경 렌즈와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거나 구분되지 않는 시각 성능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시스템.
A23. 실시예 A1 내지 A22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안경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람에서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는 방법.
A24.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도록 선택된 굴절 도수를 갖는 안경 렌즈; 소정의 형태 및 크기의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되, 마이크로 렌즈릿의 상당 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빛을 집중시키도록 구성된 윤곽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에 대해 위치될 때, 눈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빛의 경로를 실질적으로 변경시키는, 굴절 오차를 교정하고 눈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안경 렌즈 시스템.
'B' 실시예의 세트:
B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focal power)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B2.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B3.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75% 이상 민감성 내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B4.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B5.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의 75% 이상 민감성 내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B6. 실시예 B1 내지 B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B7. 실시예 B1 내지 B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B8. 실시예 B1 내지 B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B9. 실시예 B1 내지 B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B10. 실시예 B1 내지 B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B11. 실시예 B1 내지 B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1 mm 미만인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B12. 실시예 B1 내지 B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B13. 실시예 B1 내지 B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B14. 실시예 B1 내지 B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B15. 실시예 B1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는 안과용 렌즈.
B16. 실시예 B1 내지 B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B17. 실시예 B1 내지 B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B18. 실시예 B1 내지 B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OE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B19. 실시예 B1 내지 B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B20. 실시예 B1 내지 B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ROE)가 적어도 하나의 ROE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B21. 실시예 B1 내지 B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B22. 실시예 B1 내지 B22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B23. 실시예 B1 내지 B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B24. 실시예 B1 내지 B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B25. 실시예 B1 내지 B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B26. 실시예 B1 내지 B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B27. 실시예 B1 내지 B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B28. 실시예 B1 내지 B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B29. 실시예 B1 내지 B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 실시예의 세트:
C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2.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베이스 렌즈가 대략 555 nm 파장의 빛에서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3.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4.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75% 이상 민감성 내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5.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6.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의 성장을 늦추기 위한 안과용 렌즈.
C7.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8.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75% 이상 민감성 내의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9.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0.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의 성장을 늦추기 위한 안과용 렌즈.
C1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2.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의 75%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C13.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모순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4.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베이스 렌즈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와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 사이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DOE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5.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와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 사이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6. 대략 555 nm 파장의 빛에서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C17. 실시예 C1 내지 C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C18. 실시예 C1 내지 C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C19. 실시예 C1 내지 C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C20. 실시예 C1 내지 C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C21. 실시예 C1 내지 C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C22. 실시예 C1 내지 C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1 mm 미만인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회절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23. 실시예 C1 내지 C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C24. 실시예 C1 내지 C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C25. 실시예 C1 내지 C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C26. 실시예 C1 내지 C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는 안과용 렌즈.
C27.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전면, 베이스 렌즈의 후면 또는 둘 다에 적용되는 안과용 렌즈.
C28.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매트릭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
C29.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매트릭스 내에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
C30.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C31.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안과용 렌즈: 베이스 렌즈의 전면, 베이스 렌즈의 후면 및 둘 다.
C32.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베이스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5%, 8% 10%, 12%, 15%, 18%, 20%, 25%, 30%, 40% 또는 50%인 안과용 렌즈.
C33.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34. 실시예 C1 내지 C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이 베이스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10%, 15%, 20%, 25%,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인 안과용 렌즈.
C35. 실시예 C1 내지 C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C36. 실시예 C1 내지 C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C37. 실시예 C1 내지 C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C38. 실시예 C1 내지 C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C39. 실시예 C1 내지 C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C40. 실시예 C1 내지 C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41. 실시예 C1 내지 C48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C42. 실시예 C1 내지 C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C43. 실시예 C1 내지 C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C44. 실시예 C1 내지 C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C45. 실시예 C1 내지 C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C46. 실시예 C1 내지 C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47. 실시예 C1 내지 C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C48. 실시예 C1 내지 C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 실시예의 세트:
D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근시안을 갖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었을 때,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D2.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에 상응하는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D3.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베이스 렌즈가 대략 555 nm 파장의 빛에서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D4.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베이스 렌즈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와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 사이의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D5.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와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의 피크 민감성 사이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D6. 대략 555 nm 파장의 빛에서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D7. 실시예 D1 내지 D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D8. 실시예 D1 내지 D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D9. 실시예 D1 내지 D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D10. 실시예 D1 내지 D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D11. 실시예 D1 내지 D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D12. 실시예 D1 내지 D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1 mm 미만인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굴절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13. 실시예 D1 내지 D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D14. 실시예 D1 내지 D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D15. 실시예 D1 내지 D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D16. 실시예 D1 내지 D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는 안과용 렌즈.
D17. 실시예 D1 내지 D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안과용 렌즈.
D18. 실시예 D1 내지 D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실질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19. 실시예 D1 내지 D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실질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20. 실시예 D1 내지 D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21. 실시예 D1 내지 D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인 안과용 렌즈: L 추상체 수용기의 일부 및 L 추상체 수용기의 상당 부분.
D22. 실시예 D1 내지 D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가 적어도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의 L 추상체 수용기인 안과용 렌즈.
D23. 실시예 D1 내지 D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인 안과용 렌즈: M 추상체 수용기의 일부 및 M 추상체 수용기의 상당 부분.
D24. 실시예 D1 내지 D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가 적어도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의 M 추상체 수용기인 안과용 렌즈.
D25. 실시예 D1 내지 D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전면, 베이스 렌즈의 후면 또는 둘 다에 적용되는 안과용 렌즈.
D26. 실시예 D1 내지 D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매트릭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
D27. 실시예 D1 내지 D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렌즈의 매트릭스 내에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
D28. 실시예 D1 내지 D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D29. 실시예 D1 내지 D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안과용 렌즈: 베이스 렌즈의 전면, 베이스 렌즈의 후면 및 둘 다.
D30. 실시예 D1 내지 D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베이스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5%, 8% 10%, 12%, 15%, 18%, 20%, 25%, 30%, 40% 또는 50%인 안과용 렌즈.
D31. 실시예 D1 내지 D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32. 실시예 D1 내지 D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이 베이스 렌즈의 표면적의 적어도 10%, 15%, 20%, 25%,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인 안과용 렌즈.
D33. 실시예 D11 내지 D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D34. 실시예 D1 내지 D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D35. 실시예 D1 내지 D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D36. 실시예 D1 내지 D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D37. 실시예 D1 내지 D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D38. 실시예 D1 내지 D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D39. 실시예 D1 내지 D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D40. 실시예 D1 내지 D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41. 실시예 D1 내지 D48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D42. 실시예 D1 내지 D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D43. 실시예 D1 내지 D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D44. 실시예 D1 내지 D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D45. 실시예 D1 내지 D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D46. 실시예 D1 내지 D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47. 실시예 D1 내지 D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D48. 실시예 D1 내지 D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E' 실시예의 세트:
E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배열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배열체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E2. 실시예 E1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E3. 실시예 E1 또는 E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E4. 실시예 E1 내지 E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E5. 실시예 E1 내지 E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E6. 실시예 E1 내지 E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E7. 실시예 E1 내지 E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1 mm 미만인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E8. 실시예 E1 내지 E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굴절 광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E9. 실시예 E1 내지 E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E10. 실시예 E1 내지 E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E11. 실시예 E1 내지 E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는 안과용 렌즈.
E12. 실시예 E1 내지 E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E13. 실시예 E1 내지 E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E14. 실시예 E1 내지 E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E15. 실시예 E1 내지 E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E16. 실시예 E1 내지 E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인 안과용 렌즈.
E17. 실시예 E1 내지 E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가 하나 이상의 굴절 광학 소자 배열체 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E18. 실시예 E1 내지 E25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E19. 실시예 E1 내지 E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E20. 실시예 E1 내지 E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E21. 실시예 E1 내지 E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E22. 실시예 E1 내지 E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E23. 실시예 E1 내지 E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E24. 실시예 E1 내지 E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E25. 실시예 E1 내지 E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 실시예의 세트:
F1. 제1 초점력을 갖는 제1 굴절 광학 소자; 제1 초점력과 상이한 제2 초점력을 갖는 제2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굴절 광학 소자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착용자의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 사이에서 적어도 0.25D의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2. 제1 초점력을 갖는 제1 굴절 광학 소자; 제1 초점력과 상이한 제2 초점력을 갖는 제2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굴절 광학 소자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착용자의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 사이에서 적어도 0.25D의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3. 제1 초점력을 갖는 제1 굴절 광학 소자; 제1 초점력과 상이한 제2 초점력을 갖는 제2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굴절 광학 소자가 근시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적어도 0.25D의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F4. 실시예 F1 내지 F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F5. 실시예 F1 내지 F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F6. 실시예 F1 내지 F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F7. 실시예 F1 내지 F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F8. 실시예 F1 내지 F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F9. 실시예 F1 내지 F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F10. 실시예 F1 내지 F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배열체의 일부이고 적어도 하나의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11. 실시예 F1 내지 F18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F12. 실시예 F1 내지 F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F13. 실시예 F1 내지 F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F14. 실시예 F1 내지 F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F15. 실시예 F1 내지 F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F16. 실시예 F1 내지 F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17. 실시예 F1 내지 F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F18. 실시예 F1 내지 F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 실시예의 세트:
G1. 제1 초점력을 갖는 제1 굴절 광학 소자; 제1 초점력과 상이한 제2 초점력을 갖는 제2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제1 굴절 광학 소자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스펙트럼적 변형 및 공간적 변형인 착용자 눈의 망막 수준에 초점 패턴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2. 실시예 G1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G3. 실시예 G1 내지 G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G4. 실시예 G1 내지 G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G5. 실시예 G1 내지 G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G6. 실시예 G1 내지 G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G7. 실시예 G1 내지 G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근시 진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안과용 렌즈.
G8. 실시예 G1 내지 G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실질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9. 실시예 G1 내지 G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실질적으로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10. 실시예 G1 내지 G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가 착용자의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11. 실시예 G1 내지 G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인 안과용 렌즈: L 추상체 수용기의 일부 및 L 추상체 수용기의 상당 부분.
G12. 실시예 G1 내지 G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가 적어도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의 L 추상체 수용기인 안과용 렌즈.
G13. 실시예 G1 내지 G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인 안과용 렌즈: M 추상체 수용기의 일부 및 M 추상체 수용기의 상당 부분.
G14. 실시예 G1 내지 G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M 추상체 수용기가 적어도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의 M 추상체 수용기인 안과용 렌즈.
G15. 실시예 G1 내지 G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G16. 실시예 G1 내지 G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배열체의 일부이고 적어도 하나의 배열체가 착용자 눈의 망막의 하나 이상의 L 추상체 수용기에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17. 실시예 G1 내지 G24의 안과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G18. 실시예 G1 내지 G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G19. 실시예 G1 내지 G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G20. 실시예 G1 내지 G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0.2, 0.3, 0.4, 또는 0.44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G21. 실시예 G1 내지 G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굴절 광학 소자가 400, 500, 600, 700 또는 75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G22. 실시예 G1 내지 G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23. 실시예 G1 내지 G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G24. 실시예 G1 내지 G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특정 실시양태가 본원에 나타나고 기재되는 한편, 이러한 실시양태가 예로서만 제공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 청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며 이들 청구항 내의 방법 및 구조 및 이의 균등물은 이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5)

  1.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focal power)을 갖는 베이스(base)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lenslet)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array)를 포함하되,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조합은 (i) 베이스 렌즈가 망막(retina)의 황반(macular) 영역 내에서 제1 파장의 인 포커스(in focus) 시그널을 제공하고 (ii)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망막의 황반 내에서 제1 파장의 아웃 포커스(out of focus) 시그널 및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파장의 인 포커스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파장의 아웃 포커스 시그널에 대응하는 빔(beam) 및 상기 제2 파장의 인 포커스 시그널에 대응하는 빔 각각은 망막의 상이하지만 이웃하는 2개의 황반 영역에 초점이 맞춰지는(focused)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spectacle lens)인 안과용 렌즈.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파장이 590 nm이고 제2 파장이 510 nm인 안과용 렌즈.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파장이 510 nm이고 제2 파장이 590 nm인 안과용 렌즈.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510 nm 내지 550 nm의 영역에서 제1 파장에 대한 아웃 포커스 시그널 및 555 nm 내지 610 nm의 영역에서 제2 파장에 대한 인 포커스 시그널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555 nm 내지 610 nm의 영역에서 제1 파장에 대한 아웃 포커스 시그널 및 510 nm 내지 550 nm의 영역에서 제2 파장에 대한 인 포커스 시그널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7.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8.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mm2, 0.25 mm2 또는 0.3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10.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μm, 500 μm 또는 60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11.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20% 이하의 채움비(fill ratio)를 갖는 안과용 렌즈.
  12.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20% 이하의 동공(pupil)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1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1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1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1 mm 미만의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릿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1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과용 렌즈의 전면(anterior surface)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17.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과용 렌즈의 후면(posterior surface)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18.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베이스 렌즈의 매트릭스(matrix)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과용 렌즈.
  1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20.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21.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 원형, 반-원형, 비-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22.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베이스 물질의 매트릭스에서 굴절률의 국소적 조작(local manipulation)을 통해 생산되는 안과용 렌즈.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97015036A 2016-10-25 2017-10-25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KR10261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2507P 2016-10-25 2016-10-25
US62/412,507 2016-10-25
PCT/AU2017/051173 WO2018076057A1 (en) 2016-10-25 2017-10-25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for myopia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005A KR20190076005A (ko) 2019-07-01
KR102619407B1 true KR102619407B1 (ko) 2024-01-02

Family

ID=6202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036A KR102619407B1 (ko) 2016-10-25 2017-10-25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226497B2 (ko)
EP (1) EP3532891A4 (ko)
JP (2) JP7308749B2 (ko)
KR (1) KR102619407B1 (ko)
CN (2) CN114637129A (ko)
AU (2) AU2017351635C1 (ko)
SG (2) SG11201903710QA (ko)
WO (1) WO2018076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255B2 (en) * 2015-06-23 2021-07-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10877294B2 (en) 2015-06-23 2020-12-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CA3032668A1 (en) 2016-08-01 2018-02-08 University Of Washington Ophthalmic lenses for treating myopia
EP3625620A4 (en) 2017-05-08 2021-07-21 SIGHTGLASS 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THE REDUCTION OF MYOPIA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EP3730997A4 (en) * 2017-12-19 2022-01-26 Hoya Lens Thailand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SPECTACLE GLASS AND SPECTACLE GLASS
WO2019124354A1 (ja) 2017-12-19 2019-06-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US20210048689A1 (en) * 2018-03-01 2021-02-1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US20210048690A1 (en) * 2018-03-01 2021-02-1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US10921612B2 (en) *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EP3783421A4 (en) * 2018-06-29 2022-01-12 Hoya Lens Thailand Ltd. GLASSES
KR102501015B1 (ko) * 2018-06-29 2023-02-21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KR102501016B1 (ko) * 2018-06-29 2023-02-21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GB2592488A (en) * 2018-07-12 2021-09-01 Sightglass Visio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myopia in children
CN109031696B (zh) * 2018-08-20 2020-06-05 赵佩韬 基于周边微透镜的视力控制镜片及眼镜
JPWO2020045567A1 (ja) * 2018-08-31 2021-05-1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用被膜
WO2020069232A1 (en) * 2018-09-27 2020-04-02 Reopia Optics, LL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131867B2 (en) * 2018-10-16 2021-09-28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EP3640714A1 (en) 2018-10-17 2020-04-22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articles comprising encapsulated micro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640713A1 (en) * 2018-10-17 2020-04-22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articles having embossed films defining encapsulated micro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213090B2 (ja) * 2018-12-28 2023-01-26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
WO2020141375A1 (en) * 2019-01-01 2020-07-09 Shamir Optical Industry Ltd. Visual receptive field enhancement
CN113661434A (zh) * 2019-03-01 2021-11-16 视窗视觉公司 用于降低近视加深的眼科镜片及制造该眼科镜片的方法
JP2021005081A (ja) * 2019-06-25 2021-01-1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7217676B2 (ja) * 2019-06-25 2023-02-0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2021005080A (ja) * 2019-06-26 2021-01-1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科用レンズ
CN114286963A (zh) * 2019-06-28 2022-04-05 华柏恩视觉研究中心有限公司 矫正、减缓、减少和/或控制近视进展的眼科镜片和方法
EP3761104A1 (en) * 2019-07-04 2021-01-06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system
CN110507521A (zh) * 2019-07-19 2019-11-29 浙江工业大学 一种活动式抗疲劳眼镜夹片的制作方法
CN110515219A (zh) * 2019-07-19 2019-11-29 浙江工业大学 一种抗疲劳眼镜的制作方法
US20220342233A1 (en) * 2019-09-19 2022-10-27 The Uab Research Foundation Multi-spectral and multi-focal control of myopia
EP4036634A4 (en) * 2019-09-25 2023-10-18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US20220326547A1 (en) * 2019-09-25 2022-10-13 Nthalmic Holding Pty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spectacle solutions for myopia
JP7256100B2 (ja) * 2019-09-26 2023-04-1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科用レンズ
EP3812142A1 (de) 2019-10-23 2021-04-2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illenglases sowie ein erzeugnis umfassend ein brillenglas
EP4066046A1 (en) * 2019-11-28 2022-10-05 Shamir Optical Industry Ltd. Retinal stimulation device for mitigation of myopia progression
CN115243643A (zh) * 2019-12-20 2022-10-25 Z光学股份有限公司 高清晰度和扩展景深人工晶状体
JP7402675B2 (ja) * 2019-12-23 2023-12-2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AU2021220750B2 (en) * 2020-02-12 2023-06-01 Nthalmic Holding Pty Ltd Spectacle lenses with auxiliary optical elements
WO2021159168A1 (en) * 2020-02-14 2021-08-19 Nthalmic Holding Pty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ancillary spectacle kit solution for myopia management
CN115244452A (zh) * 2020-03-01 2022-10-25 恩塔米克控股有限公司 可将单光眼镜镜片转换为具有非屈光不透明特征光学膜的近视管理眼镜镜片
WO2021181304A1 (en) * 2020-03-11 2021-09-16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lowing, reducing, and/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onjunction with use of atropine or related compounds
JP7358619B2 (ja) * 2020-03-17 2023-10-1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EP3896513A1 (en) * 2020-04-14 2021-10-20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microstructure-containing laminate for ophthalmic lens incorporation
EP3896512A1 (en) * 2020-04-14 2021-10-20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microstructure-containing laminate for ophthalmic lens incorporation
JP2021173984A (ja) * 2020-04-30 2021-11-01 省一 小野 視力支援装置
TW202142927A (zh) * 2020-05-14 2021-11-16 泰國商豪雅鏡片泰國有限公司 眼鏡鏡片
EP3923061A1 (en) * 2020-06-12 2021-12-15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EP3923062A1 (en) * 2020-06-12 2021-12-15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JP2022050867A (ja) * 2020-09-18 2022-03-3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EP3982191A1 (en) * 2020-10-09 2022-04-13 Essilor International Soft optical patch with light filtration and vision correction for ophthalmic applications
EP4006626A1 (en) * 2020-11-26 2022-06-01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EP4095592A1 (en) 2020-11-26 2022-11-3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KR102246912B1 (ko) 2020-12-15 2021-04-29 최태환 히팅시트
EP4268011A1 (en) * 2020-12-23 2023-11-01 Essilor International An optical lens
CN113703191B (zh) * 2021-02-19 2023-04-07 艾普偏光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倾斜光栅防止或减缓近视的眼镜镜片及其制备方法
EP4057052A1 (en) * 2021-03-08 2022-09-14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set for myopia progression control
EP4063942A1 (en) * 2021-03-25 2022-09-28 Essilor International Eyewear
EP4089473A1 (en) 2021-05-10 2022-11-1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design
EP4091805A1 (en) 2021-05-18 2022-11-23 Essilor International A method for improved coating of an optical article comprising optical elements
CN113189790B (zh) * 2021-05-20 2023-07-18 维哲视光科技有限公司 球棒结构环型多点微透镜离焦镜片以及其设计方法
GB2621754A (en) * 2021-05-28 2024-02-21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for reducing myopia progression and laser base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20230036893A1 (en) * 2021-07-30 2023-02-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Ophthalmic lenses having a photopolymer layer with grin elements
US11860453B2 (en) * 2021-07-30 2024-01-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s of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US20230031798A1 (en) * 2021-07-30 2023-02-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ilms having grin elements for application to spectacles or other ophthalmic lenses
DE102021132187B3 (de) 2021-12-07 2023-03-30 Rodenstock Gmbh Adhäsionsfolie zur Reduzierung der Progression von Myopie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derselben
US20230185111A1 (en) * 2021-12-15 2023-06-15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and corresponding computer-implemented determining method
US20230236439A1 (en) * 2022-01-21 2023-07-27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yopia-control contact lens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WO2023155984A1 (en) * 2022-02-16 2023-08-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to reduce the progression of myopia
WO2023180403A1 (en) * 2022-03-25 2023-09-2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JP2023177794A (ja) * 2022-06-03 2023-12-14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用レンズ
EP4292798A1 (en) 2022-06-14 2023-12-2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providing refractive microstructures on a surface of a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lens design
EP4318094A1 (en) * 2022-08-05 2024-02-07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WO2024089399A1 (en) * 2022-10-28 2024-05-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ilms having asymmetric grin optical elements for application to spectacles or other ophthalmic lenses
WO2024089402A1 (en) * 2022-10-28 2024-05-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Ophthalmic lenses including asymmetric gradient index optical el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572A (zh) * 2013-11-29 2015-06-0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片
WO2016146254A1 (en) * 2015-03-16 2016-09-22 Universität Heidelberg Agents for use in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treatment of myopia or hyperopi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712A (en) * 1987-06-01 1992-11-24 Valdemar Portney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H01243016A (ja) * 1988-03-24 1989-09-27 Takahiro Okamoto 眼鏡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眼鏡
US4960326A (en) * 1989-03-06 1990-10-02 Dauvergne Hector A Lenticular eyewear and method of fabrication
AU2004219674A1 (en) * 2003-03-06 2004-09-23 Powervision, Inc. Adaptive optic lens and method of making
FR2888947B1 (fr)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a cellules
US20080137030A1 (en) * 2006-11-03 2008-06-12 Hoffman William C Optical devices with reduced chromatic aberration
EP3973931A1 (en) 2008-12-22 2022-03-30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growth of eye length
CN102038596B (zh) 2011-01-28 2013-01-09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一种可调控刺激光源的视觉训练仪
US20140327875A1 (en) * 2011-03-08 2014-11-06 Ronald Blum Advanced electro-active optic device
WO2013015743A1 (en) * 2011-07-27 2013-01-3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Optical lens f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SG10201400920RA (en) * 2014-03-24 2015-10-29 Menicon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US10278864B2 (en) * 2014-10-22 2019-05-07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CN107407823B (zh) 2015-02-03 2019-11-01 睛姿控股公司 焦点调节辅助透镜
BR122020016722B1 (pt) * 2015-04-15 2023-04-11 Vision Ease, Lp Lente oftálmica
US10877294B2 (en) 2015-06-23 2020-12-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572A (zh) * 2013-11-29 2015-06-0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片
WO2016146254A1 (en) * 2015-03-16 2016-09-22 Universität Heidelberg Agents for use in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treatment of myopia or hyperop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2891A4 (en) 2020-04-29
SG11201903710QA (en) 2019-05-30
CN110226118B (zh) 2022-02-11
AU2017351635A1 (en) 2019-05-23
JP2023134558A (ja) 2023-09-27
US20200073147A1 (en) 2020-03-05
EP3532891A1 (en) 2019-09-04
US20230039493A1 (en) 2023-02-09
WO2018076057A1 (en) 2018-05-03
KR20190076005A (ko) 2019-07-01
US20230034749A1 (en) 2023-02-02
JP7308749B2 (ja) 2023-07-14
US11874532B2 (en) 2024-01-16
JP2020500328A (ja) 2020-01-09
SG10202107685YA (en) 2021-08-30
AU2022283726A1 (en) 2023-02-02
AU2017351635C1 (en) 2023-08-03
CN110226118A (zh) 2019-09-10
AU2017351635B2 (en) 2022-09-08
US11226497B2 (en) 2022-01-18
CN114637129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407B1 (ko)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CN112673302B (zh) 抗近视发展眼镜及相关联方法
US11187921B2 (en)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681161B2 (en)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60302916A1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CN116745688A (zh) 眼镜镜片设计、制造眼镜镜片的方法和提供用于至少延缓近视进展的眼镜镜片的方法
KR20230042379A (ko) 근시 제어용 누진 가입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0911B1 (ko)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US20230367139A1 (en)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US20230296921A1 (en)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data set,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design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JP7358619B2 (ja) 眼鏡レンズ
EP4089473A1 (en)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design
JP2023156300A (ja) 眼鏡レンズ設計、眼鏡レンズキット及び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