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31B1 - 분리형 경첩 - Google Patents

분리형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31B1
KR102619231B1 KR1020190062779A KR20190062779A KR102619231B1 KR 102619231 B1 KR102619231 B1 KR 102619231B1 KR 1020190062779 A KR1020190062779 A KR 1020190062779A KR 20190062779 A KR20190062779 A KR 20190062779A KR 102619231 B1 KR102619231 B1 KR 10261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upling groove
rotation axis
locking
detachab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68A (ko
Inventor
이기찬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06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106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requiring a specific angular position
    • E05D7/107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requiring a specific angular position the pin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경첩을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고, 분리 및 조립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리형 경첩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구비한 제1부재; 및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조립되거나,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대 회전되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경첩{Detachable hinge}
본 발명은 분리형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및 조립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리형 경첩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분리형 경첩(1)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부재(10)와 제2부개(20)로 구성된다. 도 1 (a)는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개(20)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1 (b)는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개(20)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부재(10)는, 제1상대물(미도시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11)와, 상기 제1고정부(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2)와, 상기 제1결합부(1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핀(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부재(20)는, 제2상대물(미도시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1)와, 상기 제2고정부(2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2)와, 상기 제2결합부(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13)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핀 결합홈(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리형 경첩(1)은, 상기 제1부재(10)의 힌지핀(13)이 상기 제2부재(20)의 힌지핀 결합홈(23)과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조립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상대물이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이고, 상기 제2상대물이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저면을 개폐하는 커버인 경우,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조립 및 분리되는 종래의 분리형 경첩(1)의 구조를 채용하게 되면, 환기장치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형성된 설치홀의 공간이 일정한 크기로 제한되어 있어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개(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 및 조립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힌지핀(13)과 힌지핀 삽입홈(23)의 위치를 바라볼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힌지핀(13)과 힌지핀 삽입홈(23)을 상호 조립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분리형 경첩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53446호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리형 경첩을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고, 분리 및 조립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리형 경첩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형 경첩은,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구비한 제1부재;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조립되거나,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대 회전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는 위치에 구비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결합홈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평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평면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과,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원형부가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의 일측 끝단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한 상기 회전축의 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원형부의 외측면 간의 최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가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결합홈이 상호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부재는, 제1상대물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록킹부재가 삽입되는 록킹부재 삽입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제2상대물과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면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상기 록킹부재가 관통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플랜지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에 삽입되는 록킹몸체, 및 상기 록킹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몸체의 양측면과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며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한 쌍의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경사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에는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의 저면을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에 의하면,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만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분리 및 조립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 조립물이 보이는 위치에서 밀어넣어 조립하거나 당겨서 분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 조립물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분리 및 조립 작업 시 초래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경첩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이 제1상대물과 제2상대물에 결합된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이 제1상대물과 제2상대물에 결합된 모습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태로부터 제2상대물이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경첩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형 경첩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리형 경첩을 배면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의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에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한 회전축의 회전 각도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의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에 분리 또는 조립이 방지되는 회전축의 회전 각도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경첩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분리형 경첩의 확대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C-C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형 경첩(100)은, 제1상대물(210)과 결합되는 제1부재(110)와, 제2상대물(220)과 결합되며 상기 제1부재(11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상대물(210)은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이고, 상기 제2상대물(220)은 상기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의 저면을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커버(220)일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에는 환기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대물(210)과 제2상대물(220)의 일측부는 상기 분리형 경첩(10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상대물(210)과 제2상대물(220)의 타측부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형 경첩(100)은,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환기장치의 유지보수 작업 시에는 제2상대물(220)인 커버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점검구(2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상기 분리형 경첩(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부재(110)는, 상기 제1상대물(210)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111)와, 상기 제1몸체부(111)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14)와, 상기 연장부(114)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부(111)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상대물(210)과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구(112)와 제2체결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112)와 제2체결구(113)의 내측에는 체결수단(미도시됨)이 관통하는 제1체결홀(112a)과 제2체결홀(1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지지부(115)는 제2부재(120)의 회전축(12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 지지부(115)의 내측면에는 원통형의 결합홈(115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115)의 일측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14)에는 상기 록킹부재(130)가 삽입되는 록킹부재 삽입부(117)가 상기 개구부(116)와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재(120)는, 상기 제2상대물(220)과 결합되는 제2몸체부(121)와, 상기 제2몸체부(121)의 일측면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24)와 제2돌출부(125), 및 상기 제1돌출부(124)와 제2돌출부(125)에 양측단에 연결되는 회전축(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부(121)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2상대물(220)과의 결합을 위한 제3체결구(122)와 제4체결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구(122)와 제4체결구(123)의 내측에는 체결수단(미도시됨)이 관통하는 제3체결홀(122a)과 제4체결홀(1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6)은, 상기 회전축 지지부(115)의 결합홈(115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부(126a)와, 상기 원형부(126a)의 일측면에 형성된 평면부(126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돌출부(124)와 제2돌출부(125)의 돌출된 높이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121)와 상기 회전축(126) 사이에는 공간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대물(210)과 제2상대물(220)이 상측과 하측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130)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재(130)의 하부(132a, 도 9 참조)는 상기 공간부(127)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130)는 회전축(126)이 결합홈(115a)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구부(116)를 막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30)는, 플랜지 형상의 손잡이부(131)와, 상기 손잡이부(131)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117)에 삽입되는 록킹몸체(132), 및 상기 록킹몸체(132)의 양측면에 각각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몸체(132)의 양측면과 사이에 이격부(133a,134a)를 형성하며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면(117a)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한 쌍의 록킹부(133,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면(117a)에는 상기 록킹부(133,134)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경사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130)가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록킹부(133,134)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면(117a)에 형성된 경사 요철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이격부(133a,134a)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되며, 이와 같은 압축력에 대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부(133,134)는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면(117a)을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록킹부(133,134)가 록킹부재 삽입부(117)의 내측면(117a)에 밀착되어 상기 록킹부(133,134)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1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120)의 회전축(126)은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 내에서만 상기 개구부(116)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115a)에 조립되거나, 상기 결합홈(115a)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는, 상기 회전축(126)의 중심(P1)과 상기 개구부(116)가 위치하는 측의 평면부(126b)의 일측 끝단(P2)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L1)과, 상기 회전축(126)의 중심(P1)과 상기 개구부(116)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115a)의 일측 끝단(P3)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L2) 사이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6)의 폭(W)은, 상기 회전축(126)의 직경(D)보다는 작고, 상기 평면부(126b)와 상기 원형부(126a)의 외측면 간의 최장 길이(H)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다(H<W<D). 여기서, 상기 개구부(116)의 폭(W)은 상기 연장부(114)의 하단(114a)과 상기 결합홈(115a)의 일측 끝단(P3) 사이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6b)와 상기 원형부(126a)의 외측면 간의 최장 길이(H)는, 상기 평면부(126b)의 중간점(P4)으로부터 상기 회전축(126)의 중심(P1)을 지나는 수직선이 원형부(126a)의 외측단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126)이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원형부(126a)가 상기 개구부(116)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115a)의 일측 끝단(P3)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한 상기 회전축(126)의 인출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126)이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를 초과하는 각도(θ1), 즉 평면부(126b)의 일측 끝단(P2)이 제1라인(L1)의 위치로부터 제2라인(L2)이 위치하는 회전 각도(θ) 범위를 초과하여 더 큰 각도(θ1)로 회전되어 도 14에 예시된 제3라인(L3)의 위치까지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원형부(126a)가 상기 결합홈(115a)의 일측 끝단(P3)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한 상기 회전축(126)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축(126)을 개구부(116)를 통하여 결합홈(115a)에 인입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축(126)이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축(126)의 평면부(126b)가 상기 결합홈(115a)의 일측 끝단(P3)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116)를 통한 상기 회전축(126)의 인입이 방지된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평면부(126b)가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12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126)과 상기 회전축 지지부(115)의 결합홈(115a)이 상호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120)를 하측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제2부재(120)는 회전축(126)의 중심(P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126)은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를 벗어나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126)은 개구부(116)를 통하여 인출이 방지되어 제2부재(120)의 회전 시에도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임의로 분리되어 제2부재(120)가 추락되는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록킹부재(130)가 추가로 삽입되어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126)이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2부재(120)의 회전축(126)을 제한된 회전 각도(θ) 범위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부재(120)의 회전축 지지부(115)의 결합홈(115a)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제2부재(120)의 회전축(126)을 개구부(116)를 통하여 상기 결합홈(115a)에 후방으로 밀어넣어 조립하거나 전방으로 당겨서 분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 조립물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간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분리형 경첩 10 : 제1부재
11 : 제1고정부 12 : 제1결합부
13 : 힌지핀 20 : 제2부재
21 : 제2고정부 22 : 제2결합부
23 : 힌지핀 결합홈 100 : 분리형 경첩
110 : 제1부재 111 : 제1몸체부
112 : 제1체결구 112a : 제1체결홀
113 : 제2체결구 113a : 제2체결홀
114 : 연장부 114a : 연장부의 하단
115 : 회전축 지지부 115a : 결합홈
116 : 개구부 117 : 록킹부재 삽입부
117a : 록킹부재 삽입부의 내측면 120 : 제2부재
121 : 제2몸체부 122 : 제3체결구
122a : 제3체결홀 123 : 제4체결구
123a : 제4체결홀 124 : 제1돌출부
125 : 제2돌출부 126 : 회전축
126a : 원형부 126b : 평면부
127 : 공간부 130 : 록킹부재
131 : 손잡이부 132 : 록킹몸체
132a : 록킹몸체의 하단부 133,134 : 록킹부
133a,134a : 이격부 210 : 제1상대물
211 : 점검구 220 : 제2상대물
P1 : 회전축의 중심 P2 : 평면부의 일측 끝단
P3 : 결합홈의 일측 끝단
θ :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한 회전 각도 범위

Claims (11)

  1.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를 구비한 제1부재;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조립되거나,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대 회전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는 위치에 구비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결합홈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부와, 상기 원형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평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평면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라인과,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라인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원형부가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결합홈의 일측 끝단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한 상기 회전축의 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원형부의 외측면 간의 최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가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한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결합홈이 상호 조립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제1상대물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록킹부재가 삽입되는 록킹부재 삽입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제2상대물과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면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상기 록킹부재가 관통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플랜지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에 삽입되는 록킹몸체, 및 상기 록킹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몸체의 양측면과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며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한 쌍의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경사 요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환기장치의 바닥 프레임의 저면을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경첩.
KR1020190062779A 2019-05-28 2019-05-28 분리형 경첩 KR10261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9A KR102619231B1 (ko) 2019-05-28 2019-05-28 분리형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9A KR102619231B1 (ko) 2019-05-28 2019-05-28 분리형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8A KR20200136768A (ko) 2020-12-08
KR102619231B1 true KR102619231B1 (ko) 2023-12-29

Family

ID=7377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79A KR102619231B1 (ko) 2019-05-28 2019-05-28 분리형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6880A1 (en) * 2016-09-07 2018-03-15 Kohler Mira Limited Door hin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421A (en) * 1978-09-13 1980-09-23 Wassenaar Adelbert D Separable hinge
JP3338419B2 (ja) * 2000-03-30 2002-10-2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開口部の蓋用アームストッパー装置
KR20040092892A (ko) * 2003-04-29 2004-11-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적재함 게이트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6880A1 (en) * 2016-09-07 2018-03-15 Kohler Mira Limited Door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8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540A (ko) 개폐부재의 잠금장치
WO2016152726A1 (ja) ケーブル連結機構
KR102619231B1 (ko) 분리형 경첩
JP4583360B2 (ja) 建設装備用運転室
JP4453477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897489B1 (ko) 도어정의 괘정장치
KR100780895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CN216165647U (zh) 拉链防刮结构及拉链防刮套件
US20220275672A1 (en) Coupling system
JP6366442B2 (ja) 折戸金具
KR20050027705A (ko)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핸들이탈방지구조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KR200441438Y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04036284A (ja) ドア用錠受け金具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200375502Y1 (ko) 콘넥터용 잠금장치
KR102119649B1 (ko) 차량용 박스
KR102228860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6143718B2 (ja) ヒンジ
KR101856322B1 (ko) 화장실 상부 프레임 보호 몰드
JP7306246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JP4039669B2 (ja) コネクタ
CN211230626U (zh) 机顶罩和工程机械
JP5787552B2 (ja) 施錠装置
JP4833315B2 (ja) テント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