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895B1 -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895B1
KR100780895B1 KR1020060023077A KR20060023077A KR100780895B1 KR 100780895 B1 KR100780895 B1 KR 100780895B1 KR 1020060023077 A KR1020060023077 A KR 1020060023077A KR 20060023077 A KR20060023077 A KR 20060023077A KR 100780895 B1 KR100780895 B1 KR 10078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ker
rail
side wall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217A (ko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6002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8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에 결합된 상부롤러, 중앙롤러 및 하부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장비용 운전실에 설치하며,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 일측에 충돌하는 로더와, 상기 로더의 머리부에 끼움 설치되며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암 스트라이커를 도어나 측벽부재에 구성할 필요없이 직접 도어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원가를 크게 감축시킬 뿐 아니라 도어의 유동이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건설중장비, 운전실, 스트라이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Door Striker for Heavy Construntion Machine}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운전실의 사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도,
도 4(a)은 도 2에 도시된 S-S선에서의 단면도로서 슬라이딩 도어의 완전폐쇄위치의 도면,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T-T선에서의 단면도로서 슬라이딩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어의 일측단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운전실의 사시도,
도 8은 도어의 완전개방위치를 나타내는 도 7에 도시된 X-X선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
1: 상부 프레임
2: 운전실
2c: 측벽부재
3: 도어
4,5,6 : 레일
7,8,9: 로울러
21: 로더
23: 풀림방지구
24: 완충덮개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원가를 감축시키면서 운전실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유압식 굴삭기등의 건설용 중장비는 운전실과 버킷을 구비한 붐 작업기등을 상부 선회대에 구성하여 방대한 지역에 대한 토목공사나 건설공 사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도심지에서의 작업을 비롯하여 종종 협소하고 제한된 작업환경에서는 상부 선회대의 선회과정에서 장비 전방에 설치된 버킷등의 작업기는 물론 장비 후방에 설치된 엔진룸이 주변물체와 충돌하거나 개폐과정에서 운전실 도어가 외부와 부딛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선회 장비는 운전실 및 선회대의 회전반경을 작게 유지하며 작업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바, 운전실의 구조측면에서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실의 외측면 및 도어가 외향으로 만곡 또는 굴곡된 아크(arc)형상을 구비하도록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건설중장비, 특히 소선회 장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부프레임(1)의 하부에는 주행체(103)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실(2)내에 설치된 조작레버를 통하여 작동되는 버킷(101)과 붐(102)등을 포함한 작업장치를 구성하되, 도어(3)가 운전실(2)의 외측벽(2c)상에서 일정한 반경을 이루며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며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종래 운전실(2)은 외측벽(2c)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4,5,6);
상기 도어(3)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4,5,6)의 각각에 항상 연결되어 상기 도어(3)가 상기 출입구(2b)가 닫히는 폐쇄위치와 상기 출입구(2b)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할 때 상기 도어(3)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7,8,9);
각각의 스트라이커 쌍은 암 스트라이커((10, 12)와 수 스트라이커(11,13)를 포함하며, 각 스트라이커 쌍의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3)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외측벽(2c)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한 쌍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3)가 완전히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한 쌍이 서로 결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라이커 쌍을 포함하고 있다(미국특허등록 제5577795호).
여기서, 상기 도어(3)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출입구(2b)를 구획하는 외측벽(2c)의 좌우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도어 결합부에 구비된 암 스트라이커(10)와 이 암 스트라이커(10)에 상응하여 도어(3)의 양측단에 구비된 수 스트라이커(11)가 암수 한 쌍을 이루며 결합된다(도 4a 참조).
반면에, 도어(3)가 완전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외측벽(2c)에는 도어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된 암 스트라이커(12)와 도어(3)의 내측으로 돌출된 수 스트라이커(13)가 한 쌍으로 결합되며, 동시에 출입구(2b)로 부터 먼 위치의 외측벽(2c)상에는 브라켓트(15a)에 의해 고정 지지된 수 스트라이커(15)와 도어(3)의 일측단에 구비된 암 스트라이커(14)가 암수 한 쌍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도 4b 참조).
따라서, 도어(3)를 제조할 때 도어의 완전개방위치를 고려하여 도어(3)의 일측에는 수 스트라이커(13)의 충돌 하중 및 구조를 적절하게 설계하여야 하고, 동시에 도어(3)의 타측에는 암 스트라이커(14)의 수 스트라이커(15)의 충돌 하중을 완충할 수 있도록 적절한 결합위치를 별도로 설계하여야 하므로써 설계 제작이 곤란함은 물론 제작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어(3)의 타측에 구비된 암 스트라이커(14)는 장기간 반복적으로 외 측벽(2c)에 구비된 수 스트라이커(15)와 충돌시 파손 및 변형되기 쉬우며, 만약 변형으로 인하여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스트라이커(14,15)의 암수 결합 위치가 어긋나거나 부정확하게 될 경우 수 스트라이커(15)까지 파손되어 도어의 충격을 제대로 완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충격방지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로 암 스트라이커가 필요없이 제작원가를 감축시키면서 도어의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충격방지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가 형성되는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에 결합된 상부롤러, 중앙롤러 및 하부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장비용 운전실에 설치하며,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 일측에 충돌하는 로더와, 상기 로더의 머리부에 끼움 설치되며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덮개는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로더의 외주연 일측에 풀림방지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덮개는 고무재로 형성된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어의 일측단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운전실의 사시도, 도 8은 도어의 완전개방위치를 나타내는 도 7에 도시된 X-X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의 스트라이커(20)는
출입구(2b)가 형성되는 측벽부재(2c);
상기 측벽부재(2c)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레일(4), 중앙레일(5) 및 하부레일(6);
상기 상부레일(4), 중앙레일(5) 및 하부레일(6)에 결합된 상부롤러(7), 중앙롤러(8) 및 하부롤러(9)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장비용 운전실(2)에 설치하며, 상기 도어(3)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위치로 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3)의 양측 단부(3a, 3b)에 돌출 형성되며 도어(3)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2c) 일측에 충돌하는 로더(21)와, 상기 로더(21)의 머리부(27)에 끼움 설치되어 도어(3)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덮개(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3)의 양측 단부(3a, 3b)에는 각각 삽입홀(22)을 태핑으로 형성하며, 각각의 로더(21a,21b)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머리부(27)와 결합부(21c)를 구비하되, 상기 머리부(27)는 경사면(27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c)는 삽입홀(22)에 상응하여 몸체의 끝부분으로 부터 연장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27)가 상기 삽입홀(22)으로 부터 소정간격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상기 완충덮개(24)는 상기 로더(21a,21b)의 머리부(27)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덮개(23)는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고무등의 방진재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머리부(27)가 삽입되는 요홈(26)이 구비되며, 그 외부 일측에는 상기 머리부(27)로 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더(21a,21b)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22)과 결합부(21c)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풀림방지구(23)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트라이커(20)는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도어(3)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복수의 스트라이커(20)로 구성하여 각각 로더(21a,21b)를 삽입홀(22)에 고정하고, 측벽부재(2c)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로더(21)와 충돌하는 브라켓트(30)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로더(21a,21b)에 마련된 머리부(27)에 완충덮개(24)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도어(3)의 양측 단부에서 중앙에 각각 복수의 스트라이커(20)로 구성하여 각각 로더(21a,21b)를 삽입홀(22)에 고정하고, 측벽부재(2c)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로더(21)와 충돌하는 브라켓트(30)를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로더(21)에 마련된 머리부(27)에 완충덮개(24)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더불어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대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 도어 완전개방과정에서 도어(3)는 측벽부재(2c)에 마련된 상부와 중앙 및 하부의 레일(4,5,6) 및 롤러(7,8,9)의 구동에 의하여 출입구(2b)로 부터 멀어지는 위치, 즉 도어의 완전개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먼저, 도어(3)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도어(3)의 양측단에 설치된 각각의 스트라이커(20a, 20b)는 완충덮개(24)를 통하여 측벽부재(2c)상에 직접 부딛힌다.
즉, 도어(3)의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0a)는 측벽부재(2c)에 별도로 암스트라이커 없이 완충덮개(24)를 통하여 직접 부딛히며, 도어(3)의 타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0b)는 측벽부재(2c)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트(30)에 완충덮개(24)를 통하여 부딛힌다.
이때, 각각의 로더(21a,21b)의 머리부(27)에 결합된 완충덮개(24)가 로더(21)의 머리부(27)를 통하여 전달되는 도어(3)의 충격하중을 흡수 및 완충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만약, 장기간 사용시 완충덮개(24)의 접촉면(24a)이 마모되거나 편마모를 일으켜 수리를 해야하는 경우 운전자는 로더(21a,21b)의 머리부(27)를 지지하는 걸림턱(25)을 벗겨내어 교환가능하다.
또한, 출입구(2b)상에 형성되는 도어(3)의 폐쇄위치 또는 측벽부재(2c)에 고정된 브라켓트(30)에 대한 충돌거리를 재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풀림방지구(23)를 회전시켜 삽입홀(22)에 결합된 로더(21a,21b)의 돌출길이 또는 삽입깊이가 적절히 재조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운전자는 풀림방지구(23)를 다시 역회전시켜 로더(21)의 돌출길이 재조정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트라이커(20)는 측벽부재(2c)상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어 도어(3)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는 도어(3)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도어(3)가 충돌할 때 스트라이커에 가해지는 암 스트라이커의 파손이나 변형요소가 없기 때문에 도어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개방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충격 및 진동 흡수가 용이하도록 스트라이커를 구성하는 로더 및 머리부에 다수의 단차가 구비되거나 완충덮개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변형이 있더라도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충격방지 스트라이커는 별도로 암 스트라이커를 도어나 측벽부재에 구성할 필요없이 직접 도어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원가를 크게 감축시킬 뿐 아니라 도어의 유동이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출입구가 형성되는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에 결합된 상부롤러, 중앙롤러 및 하부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장비용 운전실에 설치하며,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 일측에 충돌하는 로더와,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끼움되어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덮개가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더의 외주연 일측에 풀림방지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덮개는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고무재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상기 로더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요홈을 구비하며, 그 외부 일측에는 상기 머리부로 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5. 출입구가 형성되는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중앙레일 및 하부레일에 결합된 상부롤러, 중앙롤러 및 하부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장비용 운전실에 설치하며,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도어의 상부, 하부 또는 중앙 일측에 복수의 스트라이커가 구성되며, 상기 스트라이커의 로더에는 완충덮개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KR1020060023077A 2006-03-13 2006-03-13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KR10078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077A KR100780895B1 (ko) 2006-03-13 2006-03-13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077A KR100780895B1 (ko) 2006-03-13 2006-03-13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17A KR20070093217A (ko) 2007-09-18
KR100780895B1 true KR100780895B1 (ko) 2007-11-30

Family

ID=3868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077A KR100780895B1 (ko) 2006-03-13 2006-03-13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05B1 (ko) 2008-01-29 2010-04-08 (주)에스아이엠 중장비 캐빈의 캐빈도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캐빈도어
KR101301574B1 (ko) * 2011-12-01 2013-09-10 임국건 작업용 기계 차량의 도어 개방 고정장치
US11376929B2 (en) 2019-12-10 2022-07-05 Hyster-Yale Group, Inc. Lift truck operator compartment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83B1 (ko) * 2006-11-30 2008-12-0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운전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42A (ko) * 1999-09-17 2001-06-15 안자키 사토루 슬라이드도어의 지지기구
KR20010049858A (ko) * 1999-08-09 2001-06-15 안자키 사토루 건설 기계의 캐브와 이 캐브를 설치한 건설 기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858A (ko) * 1999-08-09 2001-06-15 안자키 사토루 건설 기계의 캐브와 이 캐브를 설치한 건설 기계
KR20010050242A (ko) * 1999-09-17 2001-06-15 안자키 사토루 슬라이드도어의 지지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05B1 (ko) 2008-01-29 2010-04-08 (주)에스아이엠 중장비 캐빈의 캐빈도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캐빈도어
KR101301574B1 (ko) * 2011-12-01 2013-09-10 임국건 작업용 기계 차량의 도어 개방 고정장치
US11376929B2 (en) 2019-12-10 2022-07-05 Hyster-Yale Group, Inc. Lift truck operator compartment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17A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67B2 (en) Operator cab for heavy equipment
KR100753985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EP1757738B1 (en) Construction machine
US20080129085A1 (en) Operator cab for heavy equipment
KR100780895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스트라이커
JP4583360B2 (ja) 建設装備用運転室
JP6919975B2 (ja) 作業機械のキャブ抜止構造
EP1873043A1 (en) Hood guard for construction machines
KR20150067179A (ko) 건설기계의 엔진룸 후드 로킹장치
JP2013181317A (ja) 建設機械の前ガード装置
JP5827762B1 (ja) 作業車両および運転員保護ガード
JP575142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装置
JP2008190209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0734441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JP5054802B2 (ja) 建設機械
KR100772059B1 (ko) 도어의 스트라이커가 구비된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ES2567301B2 (es) Dispositivo de refuerzo para puerta de vehículo
JP2004074853A (ja) キャブ
JP4703369B2 (ja) 作業機械
JP2002188180A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569671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ヘッドガード装置
KR20180003086U (ko) 미서기 창호용 캠형 스톱 장치
JP5054805B2 (ja) 建設機械
JP3920093B2 (ja) 扉の中間位置係止機構
JPS6027098Y2 (ja) 旋回作業車の原動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