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15B1 -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15B1
KR102618115B1 KR1020230041944A KR20230041944A KR102618115B1 KR 102618115 B1 KR102618115 B1 KR 102618115B1 KR 1020230041944 A KR1020230041944 A KR 1020230041944A KR 20230041944 A KR20230041944 A KR 20230041944A KR 102618115 B1 KR102618115 B1 KR 10261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ar
floor
display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석
하늘
Original Assignee
하우석
하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석, 하늘 filed Critical 하우석
Priority to KR102023004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에 따른 색상, 심볼 및 숫자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등록하는 등록부,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상승표시부,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하강표시부,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하는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정지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LEVATOR DIRECTION DISPLAY SER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을 승장 및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색상, 심볼 및 숫자로 표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는 동력을 사용하여 빌딩, 대형선박 또는 구조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나르는 수직 운송 장치(Vertical Transportation Machine)이다. 행정안전부고시 제2020-75호 승강기 안전운행 및 관리에 관한 운영규정에 따르면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500 ~ 2700kg 또는 450 ~ 1,600kg(6인승~24인승)을 운반할 수 있으나,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45,000kg까지 나를 수 있다.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화재에 견딜 수 있는 강철로 된 이중 문을 달며, 내부에 비상 인터폰, 전화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어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규정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는 승장호출(Hall Call)과 차내호출(Car Call)로 이루어지는데, 승장호출은 각 층의 승장에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사용의사를 등록하는 호출로 상향승장호출과 하향승장호출의 두 종류가 있다. 차내호출은 등록된 승장호출이 서비스됨에 따라 승강기에 승차한 이용자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목적층을 포함한 이송요구가 된다.
이때, 승장호출이나 차내호출을 할 때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운행정보를 제공하거나 스크린에 이동방향심볼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27983호(2013년02월01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3-0008709호(2023년01월16일 공개)에는, 승강호출을 위해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영상정보를 표시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상태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구성과, 엘리베이터 운행모드에서 스크린 내 이동방향심볼을 출력하고, 대기시간 및 점유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경우 모두 운행상태, 대기시간 및 점유상태를 표시하는 구성만을 개시할 뿐, 엘리베이터 카가 위로 이동하는지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지는 표시해주지 않는다. Collective Control 또는 Elevator Algorithm으로 불리우는 엘리베이터 알고리즘은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객이 있거나 현재 진행방향의 앞쪽에 같은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승객이 있으면 현재의 진행방향을 유지하고, 현재 진행방향의 요청들을 전부 처리하고 나면, 반대방향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방향을 전환한다. 만약 반대방향의 요청이 없다면 멈추어 요청을 기다린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하강버튼을 누른채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면 당연히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올라가는 경우도 존재하며, 그 역의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항상 내려가는지 올라가는지를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내 사람에게 물어봐야 한다. 이에, 승장호출 및 차내호출의 경우 엘리베이터가 상승하는 경우와 하강하는 경우를 색상으로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의 승장 또는 차(Car)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엘리베이터 카(Car)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며, 정지시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에서 모르고 탔다가 목적층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승장버튼 또는 운전반의 운전버튼의 색상 또한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을 조사하고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에 따른 색상, 심볼 및 숫자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등록하는 등록부,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상승표시부,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하강표시부,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하는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정지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장 또는 차(Car)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엘리베이터 카(Car)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며, 정지시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에서 모르고 탔다가 목적층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승장버튼 또는 운전반의 운전버튼의 색상 또한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을 조사하고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예약하거나 출입통제시스템과 연계되어 출입이 인식되는 경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를 예약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의 이동을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카(400)의 내부 또는 승장의 디스플레이(500)를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나 출입통제시스템과 연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인식한 후 엘리베이터를 예약하거나, 대기인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로 분산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동제어를 받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색상, 심볼 및 숫자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승표시부(310), 하강표시부(320), 정지표시부(330), 버튼표시부(340), 대기우선순위부(350), 수용인원표시부(360), 호출부(370), 탑승안내부(380), 분산부(390) 및 빔조사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로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엘리베이터의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기본개념은 도 2를 설명하면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구성요소>
유비쿼터스 환경의 구축과 21세기 디지털 기술은 단순히 이동 수단의 편리를 위한 엘리베이터 공간에서 정보전달의 수단을 겸비하는 최첨단 유비쿼터스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의 기계적 요소로 보게 되면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카(Car), 로프 및 브레이크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에 집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와 승강장의 구성요소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 구성요소로는 도 4a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 조명, 환기 장치, 카도어, 위치 표시기, 장애인용 운전반, 운전반, 비상 통화장치, 전용 운전반함, 핸드레일 등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구성요소로는 도 4b와 같이위치 표시기, 도착 예보등, 삼방틀(Jamb), 승장도어, 승장버튼, 승장문지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인터페이스를 엘리베이터 카 내부, 승강장의 시각 인터페이스와 조작 인터페이스로 분리하여 정리하기로 한다. 이는 이하 표 1과 같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 시각 인터페이스 위치 표시기
조작 인터페이스 운전반(일반용&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카 외부(승장) 시각 인터페이스 위치 표시기, 도착 예보등
조작 인터페이스 승장버튼
<엘리베이터 카 내부>
<위치 표시기>
도 4c의 흰색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 위치 표시기인데, HPI(Hall Position Indicator)와 사양 및 디자인이 일하거나 비슷하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붙으면 CPI(Car Position Indicator)라고 부른다. 위치 표시기는 위치 표시 및 운전 방향 등을 표시하는 패널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는 동안 시선이 가장 많이 머무르는 곳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위치 표시기를 디스플레이(500)로 명명한다.
<운전반>
도 4d는 OPB(Operating Panel Button) 또는 COP(Car Operating Panel)라고 하는 운전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버튼으로 통칭한다. 통상적으로 운전반에 층 표시기도 설치하고 CPI도 설치해서 승객이 사각지대 없이 층 표시를 볼 수 있게 한다. 운전반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고자 하는 층을 누를 때 사용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운전반은 일반적으로 카 내부 전면부에 1개가 설치되며, 20인승 이상인 경우 설치되어 있는 운전반의 맞은편에 서브 조작반이 설치된다.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는 측면의 핸드레일 위에 장애인용 운전반이 설치되어야 한다. 운전반은 도 4e와 같이 명판, 토글스위치박스,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판에는 정원, 속도, 하중 등의 기호가 표시되고, 토글스위치박스는 수동운전, 전용운전, 비상운전 등 엘리베이터 내 운전원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장치이다. 버튼은 비상호출버튼과 행선층버튼, 도어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상호출버튼은 비상통화 장치로 기계실 또는 관리실 인터폰을 호출하는 버튼이다. 이 버튼을 누르면 운전반 상부의 인터폰을 통해 기계실 또는 관리실 직원과 통화 할 수 있다. 행선층버튼은 승객이 가고자 하는 층의 행선층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버튼을 누를 때에 램프가 점등되고, 다시 누르거나 행선층에 도착시 램프가 소등된다. 도어버튼은 열림/닫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버튼은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에는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목적층에 도착시 사용자가 계속 눌러주어야 도어기능이 유지된다.
<승강장>
<위치 표시기>
도 4f는 승장의 포지션 인디케이터인 HPI(Hall Position Indicator)인데, 승장(승강장)의 위치 표시기이며 CPI(Car Position Indicator)와 사양 및 디자인이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승강장 문 위에 붙으면 HPI라고 부른다. 층고가 낮거나 공간 부족, 미적 요소 등 상황에 따라 승장버튼(HB)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착 예보등>
승강장의 HB/HIB 위쪽에 위치하여 엘리베이터의 상·하행을 나타내는 방향등인데, 엘리베이터의 진행 방향을 알기 쉽게 보여주며, 엘리베이터가 많을 경우에 타야 할 엘리베이터를 알려준다. 같은 컬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평균적으로 진행 방향이 상행일시에 청색 계열로 점등되며, 하행일시 적색 계열로 점등된다.
<승장버튼>
도 4g와 같이 승장버튼은 승강장의 버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장버튼으로 명명한다. HB(Hall Button)와 HIB(Hall Indicator Button)로 나누어 진다. 승강장에 HPI가 적용되어 층 표시가 가능할 경우 HB를 적용한다. 층고가 낮거나 공간 부족, 미적 요소 등으로 인해 HPI를 HB 위에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럴때는 HIB라고 부른다. 때에 따라 둘 다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HPI+HIB의 조합으로 설치한다. 승장버튼은 상행 버튼과 하행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를 부르는 기능이다. 엘리베이터의 운행방식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지는데, 엘리베이터가 한 대일 경우 일반적으로 오른쪽에 설치되고 2대 병렬일 경우 중앙에 하나가 설치되거나 각 승강장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시각 인터페이스 및 조작 인터페이스와, 엘리베이터 카 외부인 승강장의 시각 인터페이스 및 조작 인터페이스의 색상, 심볼 및 숫자를 변경하여 승강장에 사용자가 있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진행방향과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카 내부와 같이 알 수 있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도 운전반의 버튼을 누를 때 상행인지 하행인지를 알 수 있도록 현재층을 기준으로 상행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승강장 승장버튼 또한 현재층을 기준으로 상행 또는 하행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승장버튼의 발광색상을 상행 또는 하행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해주도록 함으로써 현재층과 목적층이 상행관계인지 하행관계인지, 또 엘리베이터의 진행항향이 상행인지 하행인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0)를 등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500)의 진행방향에 따른 색상, 심볼 및 숫자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기본개념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500)는 승장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인디케이터일 수도 있고, 운전반의 인디케이터일 수도 있다.
상승표시부(320)는, 엘리베이터 카(500)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색상은 적색일 수 있고, 제 1 심볼은 상승을 표시하는 『↑』에 대응하는 화살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심볼은 상승을 표시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면『▲』로 변경될 수도 있고, 이 표시가 아니더라도 상승을 표시하는 형상이나 문자, 기호 등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승표시부(320)는, 엘리베이터 카(400) 내부 운전반의 버튼이 몇 층이 눌려졌는지를 승장 인디케이터인 디스플레이(500)에 표시해줄 수도 있다. 승강장에 대기하는 인원들은 현재 엘리베이터가 몇 층에 있는지 올라가고 있는지 내려가고 있는지만을 알 뿐,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 내부에서 목적층이 몇 개나 눌렸는지, 또 목적층이 몇 층인지를 알지 못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이 엘리베이터 카(400)의 목적층이 몇 층인지, 즉 몇 층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올 것인지, 또는 몇 층까지 내려갔다가 올라올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현재 위치한 층의 숫자 외에도 목적층의 숫자를 함께 표시해줄 수도 있다. 상승표시부(320) 외에도 이하의 하강표시부(330)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하강표시부(330)는, 엘리베이터 카(500)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색상은 청색일 수 있고, 제 2 심볼은 하강을 표시하는 『↓』에 대응하는 화살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심볼은 하강을 표시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2 색상으로 점등되면『▼』로 변경될 수도 있고, 이 표시가 아니더라도 상승을 표시하는 형상이나 문자, 기호 등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정지표시부(340)는, 엘리베이터 카(500)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하는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색상은 황색일 수 있다.
버튼표시부(350)는, 승강장에서 승장호출을 발생시키는 승장버튼 및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에 구비된 운전반 내 적어도 하나의 운전버튼의 점등색상을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을 조사하도록 하고,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가 위치한 층을 기준으로 버튼의 색상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현재층을 감지하고 운전버튼의 점등색상을 변경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20층짜리 빌딩에서 현재 4층에서 상승방향으로 진행하는 엘리베이터 카(400)에 사람들이 탑승하면서 3층, 7층, 15층을 눌렀다고 가정하자. 현재 4층이므로 3층은 청색으로, 7층 및 15층은 적색으로 점등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400)가 15층까지 이동했다가 다시 1층으로 돌아온 후 대기인원이 탑승하면서 3층, 7층, 15층을 동일하게 눌렀다면, 현재층을 기준으로 3층은 상승방향이므로 4층에서 눌렀던 것과는 다르게 적색으로 점등된다. 이렇게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의 방향이 상승방향인지 하강방향인지에 따라 점등색상을 다르게 표시해줌으로써 현재층과 목적층 간 상하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엘리베이터 카(4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면 제 1 색상인 적색으로, 그렇지 않으면 제 2 색상인 청색을 출력할 수도 있다.
대기우선순위부(360)는, 승장에 구비된 승장버튼으로부터 승장호출이 발생한 경우, 승장호출의 대기시간이 긴 순서대로 사용자를 탑승시키도록 엘리베이터 카(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스케줄링은 사용자가 호출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방향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움직인다. 만약 엘리베이터의 방향과 사용자 움직임 방향이 같지 않다면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움직임 방향과 같을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대기시간이 증가하고 엘리베이터 전력 소모까지 낭비되는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15층으로 움직이고 있을 때 사용자는 8층에서 1층으로 가고자 하면 엘리베이터가 15층을 갔다가 다시 8층으로 내려 올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왕복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또한, 두 대의 엘리베이터가 있다면 한 대의 엘리베이터가 사용자의 호출을 모두 처리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PU 스케줄링 기법의 하나인 비선점 스케줄링, 즉 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알고리즘 기반한 하이브리드 HR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HRN 알고리즘은 운영체제에 여러 프로세스 입력이 들어왔을 때 프로세스 실행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기법이다. HRN 스케줄링 기법은 SJF(Shortest Job First) 알고리즘의 약점인 긴 작업과 짧은 작업 사이의 불평등을 보완하려는 방법이다.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공식은 [(대기시간+서비스 실행시간)/서비스 실행시간 = 시스템 응답 시간]을 통해 구해진다. 즉, 시스템 응답 시간이 커질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하지만 서비스 실행 시간을 구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까지의 시간이 필요한데,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려는 탑승자의 호출이 언제 들어올지 알 수 없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하이브리드 HRN 알고리즘에서의 서비스 실행 시간은 사용자가 탑승할 층에서 도착할 층의 거리 차이이다. 도출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탐색하면 탑승자의 대기시간을 줄일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현재층과 사용자의 목적층을 고려하지 않아 한 대의 엘리베이터가 사용자의 탑승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Collective Control 알고리즘 경우 엘리베이터 움직임 방향과 사용자의 움직임 방향과 도착지가 같다면 엘리베이터 위치 기준 더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를 탑승시키지만, 하이브리드 HRN 알고리즘의 경우 엘리베이터 현재 위치와 사용자들의 거리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고 각 엘리베이터 사용자들의 대기시간이 높은 사용자를 먼저 탑승시킬 수 있다.
수용인원표시부(370)는,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의 점유상태를 파악한 후, 점유상태로 가능한 수용인원을 측정한 후 승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500)에 안내할 수 있다. 현재 엘리베이터에서는 수용인원이 꽉 찬 상태만을 표시할 뿐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몇 명이 탈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몇 명이 더 탈 수 있는지를 안내할 수 있는데, 각 개인의 몸무게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히 몇 킬로그램이 가능한 것인지를 안내하는 경우 개인의 몸무게가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알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CCTV가 존재하는 경우, 대기인원의 몸무게를 추정한 후 몇 명이 가능한지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 내부에 60kg의 여유만 있는데, 60kg이 가능하다고 안내 후, 대기고객 A가 탑승했는데 수용인원 초과 안내에 점등이 들어온다면, 대기고객 A의 몸무게가 최소 60kg는 넘는다는 것이 엘리베이터 카(400)에 탑승한 사람에게 모두 알려지기 때문이다. 이때, 지능형 CCTV를 이용하여 사람의 실제 키와 메타데이터(Metadata)의 높이(Height) 1 픽셀(Pixel) 당 키 값을 도출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 후, 키 범위별 픽셀값의 평균값과 키 범위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범위별 픽셀당 키 값을 도출하고, N 가지의 키 범위값을 다시 평균을 계산하여 최종적인 픽셀당 키 값을 도출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몸무게 추정을 위해서는 정상체중일 경우 메타데이터의 Width 값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정상체중을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상체중=(키-100)×0.6의 수식을 적용할 수 있고 오차범위는 10% 내지 20%로 둘 수 있다. 근육형인 사람은 몸무게가 CCTV의 Width로 추정된 너비보다 많이 나가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보기보다 적게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Width 픽셀당 몸무게값을 도출한 후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대기인원의 몸무게를 추정한 후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의 최대하중에 현재 엘리베이터 카(400) 내부에 위치한 인원의 무게를 빼면 수용가능하중이 나오는데, 이 수용가능하중에 대기인원의 몸무게를 모두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파악한 후, 수용가능하면 대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수용가능하지 않다면 대기인원이 도착한 순서대로 몇 번째 사람부터는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대하중이 1200kg인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에 1000kg의 인원이 존재한다면, 200kg만 가능한데, 현재 대기인원이 대기자A(90kg), 대기자B(80kg), 대기자C(70KG)가 순차적으로 도착해서 세 명이라면, 마지막 대기자는 다른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세 명의 대기인원의 몸무게는 총 240kg로 현재 1000kg의 하중을 가진 엘리베이터 카(500)에서는 모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호출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및 출입관리기와 연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CCTV 및 출입관리기로 식별된 사용자의 목적층을 추출하고, 엘리베이터 카(500)를 호출하며,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0)에 사용자별 목적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나 스마트시티가 적용된 집합건물의 경우, 출입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몇 층에 근무하는지 또는 거주하는지 등을 파악한 후 엘리베이터를 예약해주거나 호출해줄 수 있다.
탑승안내부(380)는, 각 층 승장을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대기인원을 추출하고, 엘리베이터 카(500) 내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탑승인원을 추출한 후, 대기인원이 엘리베이터 카(500)에 탑승하지 못할 경우,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0) 내에 탑승인원을 안내할 수 있다.
분산부(390)는, 대기인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층을 입력받은 경우, 대기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500)를 예약한 후 사용자 단말로 예약된 엘리베이터 카(5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연계된 경우 각 사용자가 몇 층으로 이동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미리 파악이 가능하므로, 미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사용자가 갈 층을 운전반에 입력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경우 사용자의 거주층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안면인식만 가능하다면 또는 무선키와 연동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코드를 추출한 후 사용자의 거주층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미리 예약이 가능하다. 또는 기업의 경우 RFID로 사원증을 찍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원증을 찍었을 때 직원이 몇 층에 근무하는 누구라는 정보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층 수를 추출한 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부(390)는, 엘리베이터 카(400)의 이동이나 정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CCTV나 출입감지시스템 등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추적 및 예측한 후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처리할 수 있다. 또, 분산부(390)는, 예약호출을 받은 후 지연 시간(Delay Time, DT)과 이동 방향(Moving Direction, MD)의 2가지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DT는 예약호출 시점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의 지연 시간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며, MD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방향이 상승인지 하강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예약호출이 엘리베이터의 유휴시점에 발생했다면, 엘리베이터는 곧바로 움직이지 않고 사용자가 도착하기 직전에 요구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가급적 이동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거리를 줄여 에너지 소모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까지 이동하는 시간의 차이를 DT로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동시간은 운동 역학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동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가속구간과 감속구간 사이에 등속구간이 존재하는 반면, 이동거리가 매우 짧은 경우 가속과 감속구간만이 존재한다. 이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은 DT 값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보여준다.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1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2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3
엘리베이터의 현재층을 CF라 하고, 사용자 i의 현재층을 PFi, 각 층의 높이를 FH라 하면, 엘리베이터와 사용자 i의 높이 차이는 DIST이며, MIN은 등속구간이 존재하기 위한 최소 거리차, ASC는 엘리베이터의 가속운동 시의 등가속도, USC는 엘리베이터의 등속운동 시의 속도, AHT는 사용자의 실제 호출시간, RCT는 예약호출시간을 나타낸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기 시작해야 하는 시점을 정의하게 된다.
다중 엘리베이터, 즉 엘리베이터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룹 엘리베이터란 여러 엘리베이터 기기들이 하나의 스케줄러에 의해 함께 관리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룹 엘리베이터 스케줄러는 크게 할당 단계와 진행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약호출이 발생하면, 스케줄링 시스템은 먼저 해당 요청을 처리할 엘리베이터 카(400)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효율적인 할당을 위해 각 엘리베이터가 요청 지점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최소의 예상 대기시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해당 요청에 할당할 수 있다. 예상 대기시간 PWT는 엘리베이터 x가 i번째 층에서 j번째 층으로 이동할 경우 이하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6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4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5
Figure 112023035999790-pat00006
이때, DIST는 사용자와 엘리베이터 카(400) 간의 수직거리 차를 나타내며, MIN은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등속운동구간이 존재하기 위한 최소 거리, ASC는 엘리베이터의 등가속도를 나타내며, USC는 등속운동 시의 속도를 나타낸다. TOPEN, TCLOSE, TBOARD는 각각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고 닫히고 사용자가 탑승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만약 엘리베이터가 i층에서 j층으로 이동하는 동안 추가적인 경유층이 존재할 경우 이에 의한 TMOVE와 TADDITIONAL 값이 합산되어 PWT가 계산된다. 할당 단계가 끝나면 스케줄링 시스템은 예약호출을 해당 엘리베이터의 요청 대기 큐로 보낸다. 그러면, 상술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해 해당 엘리베이터 기기의 스케줄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대기인원을 분산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빔조사부(391)는, 각 층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도어(Door) 상에 엘리베이터 카(500)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도록 LED 빔을 통하여 제 1 콘텐츠, 제 2 콘텐츠 및 제 3 콘텐츠 중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장에 위치한 도어 상에 표시해줄 수 있다. 도어는 실제로 움직이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400)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는 없으므로 도어에 방향표시를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400)의 이동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디스플레이(500)에서 디스플레이할 엘리베이터 카(400)의 진행방향에 따른 색상, 심볼 및 숫자를 정의해둔다. 이때, 숫자는 엘리베이터 카(400)가 위치한 층을 나타내는 숫자일 수 있다. (b)와 같이 승장버튼에 색상, 심볼 및 숫자를 적용할 수도 있고, (c)와 같이 승장의 도어에 상승 또는 하강을 나타내는 빔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d)와 같이 운전반의 버튼에 색상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 도 3b의 (a)와 같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대기시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가장 많이 승강장에서 기다린 사람에게 먼저 엘리베이터 카(400)가 배정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고, (b)와 같이 점유상태 및 수용인원을 고려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카(400)로의 분산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c)와 같이 출입시스템과 연계하여 미리 예약호출을 해줌으로써 혼잡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에너지 절감에도 기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d)와 같이 안면인식이 되고 이동경로가 추적 및 예측된 경우 미리 엘리베이터 카(400)를 호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CCTV로 각 객체가 카운트되고 인식되는 경우, 상승 또는 하강 버튼을 승강장에서 눌러놓고 다른 엘리베이터를 타서 엘리베이터 카(400)가 멈출 필요가 없는 경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 층을 지나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장난으로 운전반에 버튼을 눌러놓았는데 엘리베이터 카(400) 내에 실제로 사람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취소시킬 수도 있다. 또,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옷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CCTV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고 끼인 옷 등이 도어에 껴서 위로 또는 아래로 엘리베이터 카(40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400)의 움직임을 멈추고 도어에 낀 객체가 사라질 때까지 대기하거나 직원을 해당 층으로 호출하여 끼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등록하고(S5100),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한다(S5200).
또,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고(S5300),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하는 제 3 콘텐츠를 출력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에 따른 색상, 심볼 및 숫자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적색인 제 1 색상의 제 1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상승표시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청색인 제 2 색상의 제 2 심볼 및 현재층의 숫자를 포함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하강표시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경우에는 황색인 제 3 색상의 정지층의 숫자를 포함하는 제 3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정지표시부, 현재층과 목적층 간 상하방향의 직관적 인식을 위해,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의 방향이 상승방향인지 또는 하강방향인지에 따라 승강장에서 승장호출을 발생시키는 승장버튼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구비된 운전반 내 적어도 하나의 운전버튼의 점등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되, 상기 점등색상을 현재층을 기준으로 목적층이 상승방향이면 적색인 제 1 색상을 조사하도록 하고, 하강방향이면 청색인 제 2 색상을 조사하도록 하는 버튼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심볼은 상승을 표시하는 형상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심볼은 하강을 표시하는 형상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은 상승을 표시하는 『↑』에 대응하는 화살표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심볼은 하강을 표시하는『↓』에 대응하는 화살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승장에 구비된 승장버튼으로부터 승장호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승장호출의 대기시간이 긴 순서대로 사용자를 탑승시키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대기우선순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점유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점유상태로 가능한 수용인원을 측정한 후 상기 승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에 안내하는 수용인원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및 출입관리기와 연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 및 출입관리기로 식별된 사용자의 목적층을 추출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며, 상기 승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별 목적층을 표시하는 호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층 승장을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대기인원을 추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탑승인원을 추출한 후, 상기 대기인원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지 못할 경우, 상기 승장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탑승인원을 안내하는 탑승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대기인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층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대기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예약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예약된 엘리베이터 카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분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층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도어(Door) 상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도록 LED 빔을 통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 2 콘텐츠 및 제 3 콘텐츠 중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빔조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30041944A 2023-03-30 2023-03-30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944A KR102618115B1 (ko) 2023-03-30 2023-03-30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944A KR102618115B1 (ko) 2023-03-30 2023-03-30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115B1 true KR102618115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944A KR102618115B1 (ko) 2023-03-30 2023-03-30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53A (ja) * 2000-08-16 2002-02-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JP2008290825A (ja) * 2007-05-23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JP2014114132A (ja) * 2012-12-11 2014-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JP2015218015A (ja) * 2014-05-15 2015-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案内方法
JP2017178613A (ja) * 2016-03-31 2017-10-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の表示装置
KR20200113513A (ko) * 2019-03-25 2020-10-07 신민석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22173883A (ja) * 2021-05-10 2022-11-22 オムロン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53A (ja) * 2000-08-16 2002-02-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
JP2008290825A (ja) * 2007-05-23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JP2014114132A (ja) * 2012-12-11 2014-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JP2015218015A (ja) * 2014-05-15 2015-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案内方法
JP2017178613A (ja) * 2016-03-31 2017-10-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の表示装置
KR20200113513A (ko) * 2019-03-25 2020-10-07 신민석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22173883A (ja) * 2021-05-10 2022-11-22 オムロン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995B2 (en) Automat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user-controlled transport selection
EP3106416B1 (en) 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0471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625737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llocation of elevators based on learned travel direction and traffic
US9517917B2 (en) Elevator system optimizing the registration of a destination call and the car assignment to a registered call
JP200912034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111986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EP2644555A1 (en) 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CN106744089B (zh) 电梯控制方法及装置
US20110168498A1 (en) Elevator group control device
JP2014189338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WO2006025103A1 (ja)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642200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WO2015088526A1 (en) Conveyance system traffic flow information
CN112499415A (zh) 电梯控制方法、移动机器人、智能电梯及存储介质
WO2013080276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WO2005102893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12169503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087230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3247719B (zh) 一种电梯群管控系统、方法及电梯业务网关设备
KR102618115B1 (ko) 엘리베이터 진행방향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7222470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2140758A1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JP6880291B1 (ja) 群管理制御装置、配車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WO2009084077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