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248B1 -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248B1
KR102616248B1 KR1020170086168A KR20170086168A KR102616248B1 KR 102616248 B1 KR102616248 B1 KR 102616248B1 KR 1020170086168 A KR1020170086168 A KR 1020170086168A KR 20170086168 A KR20170086168 A KR 20170086168A KR 102616248 B1 KR102616248 B1 KR 10261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
information
promotion
show produc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470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48B1/ko
Priority to US16/023,380 priority patent/US20190012693A1/en
Priority to CN201810731580.XA priority patent/CN109214852A/zh
Publication of KR2019000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노쇼가 발생한 매장들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SELLING NO-SHOW PRODUCT AT SPCIAL PR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노쇼(No-Show) 상품을 특가로 판매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쇼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고객들에게 특가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노쇼로 인한 매장의 손실을 만회할 수 있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노쇼(No-Show)란, 외식, 항공, 호텔 업계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예약을 한 뒤 아무런 연락도 없이 예약 장소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는 '예약 부도'라고도 불리며, 음식점이나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노쇼가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특히, 음식점이나 미용실과 같은 소규모 매장들은 예약을 하고 나타나지 않는 손님들 때문에 예약된 상품을 판매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시간에 가게를 찾은 손님들까지 놓치게 되어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매장에서는 이러한 노쇼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금액의 예약금을 선납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약을 받아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선납된 예약금의 기회 비용을 감안한다면 모든 노쇼는 해당 매장의 금전적 손실이나 매출 감소를 유발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8-0043108호, 2008년 5월 16일 공개 (명칭: 예약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회적 이슈인 노쇼(No-Show)에 의한 매장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노쇼 상품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쇼 상품을 잠재적 고객에게 저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상기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상기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상기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설정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권장 할인율과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판매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판매하는 단계는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상기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획득한 노쇼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상기 노쇼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추출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상기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상기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설정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권장 할인율과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상기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적 이슈인 노쇼(No-Show)에 의한 매장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노쇼 상품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쇼 상품을 잠재적 고객에게 저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모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판매 완료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시스템은 서버(110), 매장(120-1~120-N), 복수의 사용자들(130)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는 네트워크(140)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매장(120-1~120-N) 및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130)과 통신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기기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노쇼가 발생함에 따라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들(130)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들(130) 중 노쇼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먼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120-1~120-N)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서버(110)는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복수개의 매장(120-1~120-N)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설정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 경우, 권장 할인율과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130)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사용자 정보와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한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매장(120-1~120-N)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노쇼 상품을 특가 판매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매장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매장(120-1~120-N)들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매장의 노쇼 상품을 프로모션 정보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130)에게 제공하여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사용자들(130)은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노쇼 상품 특가 판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설치된 단말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의 위치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들(130)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대상 그룹은 각각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노쇼 상품과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원 클릭 주문을 위한 원 터치 입력 신호를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는 사용자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는 원 클릭 주문을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원 클릭 주문을 위해 입력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는 서버(110)와 네트워크(1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사용자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40)는 서버(110)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원 클릭 구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서버(110), 매장(120-1~120-N) 및 복수의 사용자들(130) 각각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S210).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를 기반으로 동작하되, 사용자가 매장을 예약하거나 또는 노쇼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활용되는 프로그램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는 여러 가맹점들이나 복수개의 매장들이 등록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본인의 등록된 아이디를 기반으로 예약 또는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예약하거나 구매한 내역을 사용자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이란, 의미그대로 예약한 사용자가 나타나지 않은 매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장의 업종에 따라 다양한 노쇼 상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음식점이라면 특정 메뉴가 노쇼 상품에 상응할 수 있고,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네일아트 전문점이라면 네일아트나 네일케어를 위한 이용권이 노쇼 상품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판매할 노쇼 상품은, 노쇼가 발생한 시점이 지나고나면 판매하기 어려운 제품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나면 고객에게 제공하기 어려운 음식이나, 예약된 시간에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이 노쇼 상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 상품으로 판단되는 상품에 대해 노쇼가 발생하였다면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품에 대해서 노쇼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 설치된 PC 또는 POS 기기 등을 기반으로 노쇼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레스토랑에서 노쇼가 발생하는 경우, A 레스토랑의 직원 또는 매니저가 매장용 어플리케이션에 설치된 단말 또는 PC를 이용하여 노쇼 정보와 함께 노쇼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된 노쇼 정보와 노쇼 상품 정보는 각각 매칭되어 서버에 포함되거나 또는 서버와 별도로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 정보는 상품 이름, 상품 이용 시간, 상품 가격, 상품 판매 매장 및 상품 판매 매장의 위치 등 노쇼 상품의 판매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한다(S220).
이 때,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잠재적 고객들에게 제공될 광고성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모션 정보에는 특가로 판매될 노쇼 상품에 대한 정보와 가격 및 이용 가능한 매장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이면, 상기한 정보들 이외에도 다양한 이미지, 영상 등의 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판매하는 매장에서 원하는 코멘트나 디자인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매장들로부터 입력된 노쇼 발생 내역이나 노쇼 상품 정보 등을 기반으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매장에서 노쇼가 몇번이나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노쇼 발생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발생 비율이 높다는 것은 비교적 노쇼 상품의 특가 판매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노쇼 상품을 구매할 잠재적 고객들은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은 매장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희소성 측면에서 노쇼 상품의 판매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노쇼 상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설정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 경우, 권장 할인율과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노쇼 상품의 원가보다는 높은 가격으로 노쇼 상품을 판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쇼가 발생한 경우,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 상품 정보와 함께 권장하는 할인율을 입력하여 노쇼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입력된 권장 할인율이 20%이고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된 할인율이 50%라고 가정한다면, 두 개의 할인율을 절충하여 약 35%의 할인율을 노쇼 상품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해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 및 노쇼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한다(S230).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서버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대상 그룹은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받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GPS 센서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관리자 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모션 범위를 너무 넓게 설정하는 경우, 서버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기 위해 필요이상으로 많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많은 번화가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좁게 설정하여도 많은 사용자들이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적고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함으로써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0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이 100명에 상응하고, 최초에 설정된 프로모션 범위인 반경 1킬로미터 이내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100명 이하로 검색되었다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범위를 2킬로미터 이내로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하여도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사용자 정보와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가능성에 대해 기설정된 비율이 30%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에 사용자들 중 구매 가능성이 30% 이상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사용자들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해당하는 최소 기준 인원을 설정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노쇼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구매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10명에게만 제공하는 것보다는 50명에게 제공하는 것이 노쇼 상품이 판매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구매 가능성에 따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최소 기준 인원보다 적다면, 기설정된 비율을 하향 조정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확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가 식품이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품을 구매한 비율을 구매 가능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을 산출하는 방법은 특정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성향이나 구매 내역과 같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라면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한다(S240).
이 때, 프로모션 정보는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단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나 팝업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문자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노쇼 상품에 대해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30분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30분이 지날 때까지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았다면, 해당 노쇼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40%로 변경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다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할인율이 향상될 수 있는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고, 할인율을 최대값만큼 설정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특가 판매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노쇼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다면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에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결제 수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결제 플로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은 상술한 노쇼 상품 특가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을 통해 사회적 이슈인 노쇼(No-Show)에 의한 매장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노쇼 상품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쇼 상품을 잠재적 고객에게 저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10).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서버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측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GPS 센서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복수의 사용자들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S320).
이 때,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관리자 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모션 범위를 너무 넓게 설정하는 경우, 서버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기 위해 필요이상으로 많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많은 번화가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좁게 설정하여도 많은 사용자들이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적고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함으로써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0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이 100명에 상응하고, 최초에 설정된 프로모션 범위인 반경 1킬로미터 이내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100명 이하로 검색되었다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범위를 2킬로미터 이내로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하여도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이 후,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구매 가능성에 대해 기설정된 비율이 30%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에 사용자들 중 구매 가능성이 30% 이상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사용자들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해당하는 최소 기준 인원을 설정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노쇼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구매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10명에게만 제공하는 것보다는 50명에게 제공하는 것이 노쇼 상품이 판매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구매 가능성에 따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최소 기준 인원보다 적다면, 기설정된 비율을 하향 조정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확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가 식품이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품을 구매한 비율을 구매 가능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을 산출하는 방법은 특정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성향이나 구매 내역과 같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라면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과거 노쇼 발생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서버로부터 해당 매장의 과거 노쇼 발생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매장에 상응하는 식별자 별로 과거 노소 발생 내역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노쇼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S420).
이 때,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매장들로부터 입력된 노쇼 발생 내역이나 노쇼 상품 정보 등을 기반으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매장에서 노쇼가 몇번이나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노쇼 발생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발생 비율이 높다는 것은 비교적 노쇼 상품의 특가 판매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노쇼 상품을 구매할 잠재적 고객들은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은 매장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희소성 측면에서 노쇼 상품의 판매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노쇼 상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후, 노쇼 상품에 대해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설정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이 때, 권장 할인율은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희망하는 할인율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노쇼 상품의 원가보다는 높은 가격으로 노쇼 상품을 판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쇼가 발생한 경우,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 상품 정보와 함께 권장하는 할인율을 입력하여 노쇼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S430)의 판단결과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면, 권장 할인율과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재설정하고(S440), 설정된 할인율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입력된 권장 할인율이 20%이고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된 할인율이 50%라고 가정한다면, 두 개의 할인율을 절충하여 약 35%의 할인율을 노쇼 상품에 적용하도록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30)의 판단결과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지 않으면, 재설정 과정 없이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된 할인율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중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은 먼저, 노쇼 상품에 상응하게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제공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프로모션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나 팝업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문자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후,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5),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초과되었으면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S520) 다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노쇼 상품에 대해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30분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30분이 지날 때까지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았다면, 해당 노쇼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40%로 변경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다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515)의 판단결과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초과되지 않았으면,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5).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에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25)의 판단결과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았으면 다시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525)의 판단결과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면,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S530).
즉, 실시간으로 노쇼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다면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모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모션 정보(610)는 사용자 단말(6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610)는 사용자 단말(600)에 설치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거나, 문자 메시지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610)는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이나 알림 효과음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공되는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61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가로 판매되는 노쇼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함께 할인된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모션 정보(610)는 노쇼 상품을 특가로 구매하기 위한 구매하기 버튼(620)과 프로모션 정보(61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기 위한 취소 버튼(6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600)의 사용자가 구매하기 버튼(620)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프로모션 정보(610)에 포함된 노쇼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는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노쇼 상품의 특가 판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700)로 판매 완료 메시지(710)를 제공함으로써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노쇼 상품이 이미 판매 완료되었음을 공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는 통신부(810), 메모리(820), 프로세서(830) 및 저장부(840)를 포함한다.
통신부(8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810)는 사용자 단말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810)는 각 매장에 설치된 PC 또는 POS 기기와 노쇼 발생 여부, 노쇼 상품 정보 및 노쇼 상품 구매 여부 등의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820)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획득한 노쇼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를 기반으로 동작하되, 사용자가 매장을 예약하거나 또는 노쇼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활용되는 프로그램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는 여러 가맹점들이나 복수개의 매장들이 등록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본인의 등록된 아이디를 기반으로 예약 또는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예약하거나 구매한 내역을 사용자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이란, 의미그대로 예약한 사용자가 나타나지 않은 매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장의 업종에 따라 다양한 노쇼 상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음식점이라면 특정 메뉴가 노쇼 상품에 상응할 수 있고,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네일아트 전문점이라면 네일아트나 네일케어를 위한 이용권이 노쇼 상품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판매할 노쇼 상품은, 노쇼가 발생한 시점이 지나고나면 판매하기 어려운 제품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나면 고객에게 제공하기 어려운 음식이나, 예약된 시간에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이 노쇼 상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 상품으로 판단되는 상품에 대해 노쇼가 발생하였다면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품에 대해서 노쇼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 설치된 PC 또는 POS 기기 등을 기반으로 노쇼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레스토랑에서 노쇼가 발생하는 경우, A 레스토랑의 직원 또는 매니저가 매장용 어플리케이션에 설치된 단말 또는 PC를 이용하여 노쇼 정보와 함께 노쇼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된 노쇼 정보와 노쇼 상품 정보는 각각 매칭되어 서버에 포함되거나 또는 서버와 별도로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 정보는 상품 이름, 상품 이용 시간, 상품 가격, 상품 판매 매장 및 상품 판매 매장의 위치 등 노쇼 상품의 판매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30)는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추출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한다.
먼저,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잠재적 고객들에게 제공될 광고성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모션 정보에는 특가로 판매될 노쇼 상품에 대한 정보와 가격 및 이용 가능한 매장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정보이면, 상기한 정보들 이외에도 다양한 이미지, 영상 등의 미디어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판매하는 매장에서 원하는 코멘트나 디자인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매장들로부터 입력된 노쇼 발생 내역이나 노쇼 상품 정보 등을 기반으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매장에서 노쇼가 몇번이나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노쇼 발생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발생 비율이 높다는 것은 비교적 노쇼 상품의 특가 판매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노쇼 상품을 구매할 잠재적 고객들은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은 매장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희소성 측면에서 노쇼 상품의 판매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노쇼 상품의 할인율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노쇼 상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설정된 권장 할인율이 존재하는 경우, 권장 할인율과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노쇼 상품의 원가보다는 높은 가격으로 노쇼 상품을 판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쇼가 발생한 경우, 노쇼가 발생한 매장에서 노쇼 상품 정보와 함께 권장하는 할인율을 입력하여 노쇼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입력된 권장 할인율이 20%이고 노쇼 발생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된 할인율이 50%라고 가정한다면, 두 개의 할인율을 절충하여 약 35%의 할인율을 노쇼 상품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해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 및 노쇼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다.
이 후,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서버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대상 그룹은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받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 중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GPS 센서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관리자 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모션 범위를 너무 넓게 설정하는 경우, 서버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기 위해 필요이상으로 많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많은 번화가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좁게 설정하여도 많은 사용자들이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쇼가 발생한 매장이 유동 인구가 적고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모션 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함으로써 프로모션 후보 그룹으로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10킬로미터 반경을 프로모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이 100명에 상응하고, 최초에 설정된 프로모션 범위인 반경 1킬로미터 이내에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100명 이하로 검색되었다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범위를 2킬로미터 이내로 확장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하여도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사용자 정보와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가능성에 대해 기설정된 비율이 30%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에 사용자들 중 구매 가능성이 30% 이상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사용자들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해당하는 최소 기준 인원을 설정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노쇼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구매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10명에게만 제공하는 것보다는 50명에게 제공하는 것이 노쇼 상품이 판매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구매 가능성에 따라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최소 기준 인원보다 적다면, 기설정된 비율을 하향 조정하여 프로모션 후보 그룹이 확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은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가 식품이라고 가정한다면,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품을 구매한 비율을 구매 가능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 가능성을 산출하는 방법은 특정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성향이나 구매 내역과 같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라면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후,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는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단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나 팝업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문자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노쇼 상품에 대해 기설정된 판매기간이 30분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30분이 지날 때까지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았다면, 해당 노쇼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40%로 변경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다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할인율이 향상될 수 있는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고, 할인율을 최대값만큼 설정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특가 판매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노쇼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다면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에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노쇼 상품에 대한 결제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결제 수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결제 플로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저장부(8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84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버를 이용하여 사회적 이슈인 노쇼(No-Show)에 의한 매장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노쇼 상품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쇼 상품을 잠재적 고객에게 저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노쇼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쇼에 의한 매장의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용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110: 서버 120-1~120-N: 매장
130: 사용자 그룹 140: 네트워크
600, 700: 사용자 단말 610: 프로모션 정보
620: 구매하기 버튼 630: 취소 버튼
710: 판매 완료 메시지 810: 통신부
820: 메모리 830: 프로세서
840: 저장부

Claims (10)

  1. 노쇼 상품 특가 판매를 위한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의 단말로부터 노쇼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상기 노쇼 상품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프로모션 대상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쇼 상품의 할인율은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 및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의 원가를 보장하도록 설정된 권장 할인율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설정되되,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높게 설정되고,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입력된 노쇼 발생 내역 및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매 가능성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구매 내역 중 상기 노쇼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매기간 동안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모션 정보의 할인율을 변경하여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할인율이 변경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최소 후보인원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를 확장하여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재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하는 단계는
    상기 노쇼 상품이 판매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 중 상기 노쇼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판매 완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9.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개의 매장들 중 노쇼(No-show)가 발생한 매장의 단말로부터 획득한 노쇼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노쇼 상품을 특가에 판매하기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 상기 노쇼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추출된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게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노쇼 상품을 판매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노쇼 상품의 할인율은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에 상응하는 노쇼 발생 비율 및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으로부터 노쇼 상품의 원가를 보장하도록 설정된 권장 할인율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설정되되,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이 높을수록 높게 설정되고,
    상기 노쇼 발생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매장들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입력된 노쇼 발생 내역 및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상기 노쇼가 발생한 매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모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프로모션 후보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프로모션 후보 그룹 중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노쇼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매 가능성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사용자를 상기 프로모션 대상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086168A 2017-07-06 2017-07-06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68A KR102616248B1 (ko) 2017-07-06 2017-07-06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6/023,380 US20190012693A1 (en) 2017-07-06 2018-06-29 Method for selling no-show item at special price and apparatus therefor
CN201810731580.XA CN109214852A (zh) 2017-07-06 2018-07-05 用于特价销售失约项目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服务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68A KR102616248B1 (ko) 2017-07-06 2017-07-06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70A KR20190005470A (ko) 2019-01-16
KR102616248B1 true KR102616248B1 (ko) 2023-12-21

Family

ID=6490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68A KR102616248B1 (ko) 2017-07-06 2017-07-06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12693A1 (ko)
KR (1) KR102616248B1 (ko)
CN (1) CN1092148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6098A (zh) * 2019-05-23 2019-08-27 三峡大学 自助书籍回收售卖机及其使用方法
KR102237577B1 (ko) 2019-08-26 2021-04-06 이동원 안심 예약 시스템 상에서 예약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210081108A (ko) 2019-12-23 2021-07-01 형남종 노쇼 상품의 재판매를 지원하는 중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259A (ja) * 2000-10-06 2002-04-19 For-Side.Com Co Ltd 仲介販売システム、仲介販売方法、仲介販売装置、割引きシステム、割引き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006569A (ja) * 2012-06-21 2014-01-16 Yahoo Japan Corp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175A (en) * 1995-08-11 1999-01-05 Micro Enhancement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targeted discounts to customers
JP2002074149A (ja) * 2000-08-24 2002-03-15 Fuji Xerox Co Ltd 情報送信システム
US20120265590A1 (en) * 2003-02-20 2012-10-18 Mesaros Gregory J Flexible ship schedules and demand aggregation
JP4276477B2 (ja) * 2003-06-11 2009-06-10 ▲祥▼造 永田 指名制接客型店舗用集客促進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456134B1 (ko) * 2003-06-17 2004-11-10 김성수 판매되지 않은 소멸성 재화의 판매를 위한 일방시한쿠폰운용방법
US8412566B2 (en) * 2003-07-08 2013-04-02 Yt Acquisition Corporation High-precision customer-based targeting by individual usage statistics
JP2006260144A (ja) * 2005-03-17 2006-09-28 Fujitsu General Ltd 飲食店用店舗システム
KR20080043108A (ko) 2006-11-13 2008-05-16 이재찬 예약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307019A1 (en) * 2008-06-09 2009-12-10 Renato Grussu Method of Booking Hotel Reservations
KR101143850B1 (ko) * 2010-05-19 2012-05-04 (주)온가이드 웨딩홀의 공실 예약 시스템 및 그 예약 방법
US20120215616A1 (en) * 2011-02-18 2012-08-23 Thomas Leach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last minute availability of services
KR20140013859A (ko) * 2012-07-27 2014-02-05 (주)아이엠지파트너스 노쇼우 고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78671A1 (en) * 2013-03-14 2014-09-18 Schedulicity, Inc. Automatic promotion generation to fill unbooked appointment time slots of a service provi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259A (ja) * 2000-10-06 2002-04-19 For-Side.Com Co Ltd 仲介販売システム、仲介販売方法、仲介販売装置、割引きシステム、割引き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006569A (ja) * 2012-06-21 2014-01-16 Yahoo Japan Corp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14852A (zh) 2019-01-15
US20190012693A1 (en) 2019-01-10
KR20190005470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476B1 (ko) 사용자 행동 순서에 기반한 구매 확률 예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51629B2 (en) Detecting items of interest within local shops
US8065353B2 (en) Customer search utility
US20190019203A1 (en)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management data for optimization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348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urchase recommendations based on geographic zone information
US20190287155A1 (en) Landing page providing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landing page
KR102616248B1 (ko)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2461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contextual advertisement on a webpage
US20160350365A1 (en) Mobile search
US20150294360A1 (en) Clustering of Ads with Organic Map Content
KR101607919B1 (ko) 메신저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 결과를 정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1602601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ount book service
CN109034934A (zh) 用于一键购买的方法及其设备
KR102264063B1 (ko)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샘플들을 제공하고 광고 비를 청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79987A (ko) 소비자의 결제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18919B1 (en) Method of comparing locations and interactive audiences
KR20170017294A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결제시점에 따른 가중치 기반의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6242928B2 (ja) オンラ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接続するための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489287B1 (ko) 멤버십 관리 시스템, 사용자에 의한 멤버십 등록을 이용한 멤버십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623029B1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문자 메시지 파싱을 이용한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5866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US11900145B1 (en) System in the middle transaction processor
US20240185144A1 (en) Dynamic selection of algorithms
KR101986517B1 (ko) 자동 입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70017296A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결제 시점 기반의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