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34B1 -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34B1
KR102616134B1 KR1020160023560A KR20160023560A KR102616134B1 KR 102616134 B1 KR102616134 B1 KR 102616134B1 KR 1020160023560 A KR1020160023560 A KR 1020160023560A KR 20160023560 A KR20160023560 A KR 20160023560A KR 102616134 B1 KR102616134 B1 KR 10261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semiconductor substrate
memory device
volatile memory
ferroelectr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976A (ko
Inventor
강세훈
길덕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34B1/ko
Priority to US15/213,600 priority patent/US20170250337A1/en
Publication of KR2017010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76A/ko
Priority to US16/198,529 priority patent/US107343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1/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 H01L21/2829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6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t least one ferro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4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erroelectric gat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9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the gate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using MOS with ferroelectric gate insulating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소정 깊이를 갖는 리세스를 구비한 반도체 기판, 상기 리세스 내부에 매립된 강유전체막, 상기 리세스 일측에 형성되는 소스, 상기 리세스 타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및 상기 강유전체막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리세스 계면을 따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사이에 채널 영역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Ferroelect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는 크게 휘발성 메모리 장치(Volatile Memory Device)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Non-volatile Memory Device)로 구분된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지만 외부 전원 공급이 끊기면 저장된 내용이 사라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외부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그 내용을 보존한다. 그러므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보존되어야 할 내용을 저장하는 데 쓰인다.
최근, 고집적 및 대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하고 향상된 성능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이용한 강유전체 램(Ferroelectric RAM: FRAM), 티엠알(TMR: Tunneling magneto-resistive) 막을 이용한 마그네틱 램(Magnetic RAM: MRAM), 칼코겐 혼합물(Chalcogenide alloys)을 이용한 상 변화 메모리 장치(Phase change memory device) 그리고 가변 저항 물질막을 데이터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저항성 램(Resistive RAM: RRAM) 등이 있다.
여기서,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는 강유전체 물질을 저장 매체로 이용한다. 강유전체 물질은 자발 분극 특성(spontaneous polarization characteristic)을 가지며, 그것의 자발 분극(또는 잔류 분극)의 방향은 전계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극 특성에 따라, 일정 전압 또는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강유전체 물질이 분극되어, 메모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 강유전체막을 게이트 절연막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집적 밀도가 증대됨에 따라, 게이트의 선폭 감소로 인해, 강유전체막에 잔류하는 표면 전하를 스크리닝(screening)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분극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활성 메모리 장치는, 소정 깊이를 갖는 리세스를 구비한 반도체 기판, 상기 리세스 내부에 매립된 강유전체막, 상기 리세스 일측에 형성되는 소스, 상기 리세스 타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및 상기 강유전체막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리세스 계면을 따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사이에 채널 영역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매립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소스 및 드레인, 및 상기 저장 부재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부재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분극이 발생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도체 기판 상부에 불순물을 주입한다.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리세스에 의해 상기 불순물이 주입된 영역을 소스 및 드레인을 한정한다. 상기 리세스 내부에 강유전체막을 매립한다. 상기 강유전체막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강유전체막은 반도체 기판의 리세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세스의 표면적에 대응하여 채널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플래너(planar) 타입 MOS 트랜지스터 보다 채널 길이(채널 영역의 면적)를 증대시킬 수 있다. 리세스의 형성에 따라, 강유전체막과 채널 영역과의 콘택 면적이 크게 증대되어, 강유전체막과 채널 영역의 계면에 충분한 양의 전하들이 배열된다. 이에 따라, 스크리닝 불량을 줄일 수 있어, 감극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을 준비한다. 반도체 기판(100)은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저머늄(SiGe)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접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영역(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 불순물 영역은 예를 들어, 고농도를 갖는 인(P) 또는 비소(As)와 같은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P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경우, 보론(B)과 같은 p형의 불순믈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및 드레인은 서로 반대 타입 불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리세스(T)를 형성한다. 리세스(T)에 의해, 상기 불순물 영역은 소스 및 드레인(110a, 110b)으로 분리될 수 있다. 리세스(T)의 형성으로, 소스 및 드레인(110a,110b) 사이의 채널 영역의 길이(L2)가 기존 플래너 타입의 채널 영역의 길이(L1)보다 실질적으로 증대된다. 상기 리세스(T)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방식으로는 등방성 식각 및 비등방성 식각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T)를 습식 식각과 같이 등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리세스(T)는 도면과 같이 반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T')를 건식 식각과 같이 비등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T')는 식각면이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트렌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상기 리세스(T)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도록 강유전체막(120)을 형성한다. 강유전체막(120)은 외부 전계(external field)에 의해 스위칭 가능한 분극(예를 들어, 반대로 대전된 이온들의 변위(displacement) 및 쌍극자 모멘트를 생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전체 재료, 예를 들어, 하프늄 옥사이드 (HfOx)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예컨대, 게이트)을 통해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분극이 일어나는 유전층이면 모두 여기에 이용될 수 있다.
더하여, 강유전체막(120)의 잔여 편극은 전계를 턴 오프(turn off)한 후에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강유전체막(120)의 분극(polarization)은 메모리 셀의 상태(예를 들어, 1 또는 0)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유전체막(120)의 분극은 이후 형성될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강유전체 MOS 트랜지스터)의 비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저항은 강유전체막(120)의 분극 상태에 의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강유전체막(120)의 분극 상태는 저 바이어스(low bias)하의 강유전체 모스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센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강유전체막(120)은 그것의 잔여 분극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셀 캐패시터와 같은 저장 매체로 이용될 수 있고, DRAM과 달리 리프레시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강유전체막(120)은 반도체 기판(100)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되어, 리세스(T) 내부에 강유전체막(120)을 매립한다. 상기 강유전체막(120)의 평탄화 방법은 일반적인 에치 스탑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에칭 종료 포인트는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00) 표면이 될 수 있다. 강유전체막(120a)이 리세스 내부에 매립됨에 따라, 실질적인 채널 영역의 길이(L2) 또는 표면적이 크게 개선된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120a)와 채널 영역간의 접촉 면적 역시 증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도전층을 증착한 다음, 상기 도전층이 상기 강유전체막(120) 상부에 잔류하도록 패터닝하여, 게이트(130)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130)은 예를 들어, 금속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30)는 소스 및 드레인(110a, 110b)과 절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장치로서, 강유전체 모스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 1개의 강유전체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강유전체 MOS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강유전체막의 전계 인가에 따른 분극 특성으로 0 또는 1의 메모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강유전체막(120)은 반도체 기판(100)의 리세스(T) 내부에 매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세스(T)의 표면적에 대응하여 채널 영역(소스 및 드레인 사이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플래너(planar) 타입보다 MOS 트랜지스터 보다 채널 길이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리세스(T)의 형성에 따라, 강유전체막(120)과 채널 영역과의 콘택 면적이 크게 증대되어, 강유전체막(120)과 채널 영역의 계면에 충분한 양의 전하들이 배열된다. 이에 따라, 스크리닝 불량을 줄일 수 있어, 감극(depolarization)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T)를 형성하는 단계 및 강유전체막(120)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게이트 절연 박막(115)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 박막(115)은 반도체 기판(100)과 강유전체막(120) 사이에 개재되어, 계면 특성을 개선함과 더불어, 게이트(130)와 소스/드레인(110a, 110b)간의 절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0)은 메모리 콘트롤러(2000) 및 메모리(3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00)는 버스 라인(B)을 통해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2000)와 커뮤니케이션된다. 상기 버스 라인(S)은 어드레스, 데이터, 및 코맨드를 전송하는 버스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00)는 상술한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내에 매립된 강유전체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강유전체막이 반도체 기판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채널 길이 (혹은 채널 영역의 면적)를 증대시켜, 채널 영역과 접하는 강유전체막 표면에 전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장치는 물론 스위칭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반도체 기판 110a, 110b: 소스, 드레인
120, 120a: 강유전체막 130 : 게이트

Claims (14)

  1. 소정 깊이를 갖는 리세스를 구비한 반도체 기판;
    상기 리세스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강유전체막;
    상기 리세스 일측에 형성되는 소스;
    상기 리세스 타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및
    상기 강유전체막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리세스 계면을 따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사이에 채널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강유전체막의 상면 전체는 상기 게이트의 하면 전체와 접촉되며,
    상기 강유전체막의 상면,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의 상면과, 상기 게이트의 하면은 공면(coplanar)을 이루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및 드레인은 상기 리세스 외측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반구 형태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에 대해 실질적인 수직을 이루는 식각 면을 갖는 트렌치 형태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강유전체막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더 개재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막은 하프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7.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완전히 매립되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 부재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소스 및 드레인; 및
    상기 저장 부재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부재는 상기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분극이 발생되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부재의 상면 전체는 상기 게이트의 하면 전체와 접촉되며,
    상기 저장 부재의 상면,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의 상면과, 상기 게이트의 하면은 공면(coplanar)을 이루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부재는 강유전체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사이의 채널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저장 부재의 계면을 따라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저장 부재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더 개재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 반도체 기판 상부에 불순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리세스에 의해 상기 불순물이 주입된 영역을 소스 및 드레인을 한정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내부를 강유전체막으로 완전히 매립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체막의 상면 전체가 게이트의 하면 전체와 접촉되고 상기 강유전체막의 상면,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의 상면과, 상기 게이트의 하면이 공면(coplanar)을 이루도록 상기 강유전체막 상부에 상기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을 습식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을 건식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리세스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에 게이트 절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60023560A 2016-02-26 2016-02-26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1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60A KR102616134B1 (ko) 2016-02-26 2016-02-26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5/213,600 US20170250337A1 (en) 2016-02-26 2016-07-19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ferroelectr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198,529 US10734392B2 (en) 2016-02-26 2018-11-21 Resistive memory device including ferroelectr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60A KR102616134B1 (ko) 2016-02-26 2016-02-26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76A KR20170100976A (ko) 2017-09-05
KR102616134B1 true KR102616134B1 (ko) 2023-12-21

Family

ID=5967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560A KR102616134B1 (ko) 2016-02-26 2016-02-26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70250337A1 (ko)
KR (1) KR102616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1458A1 (en) 2004-11-03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79829B1 (ko) * 2005-12-29 2007-02-0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20140138753A1 (en) 2012-11-20 2014-05-22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Memory Cells and Semiconductor Construc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294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방법
US6965143B2 (en) * 2003-10-10 2005-11-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cess channel flash architecture for reduced short channel effect
KR100549949B1 (ko) * 2003-12-23 2006-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타입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그의 구조
KR100801729B1 (ko) * 2005-11-25 2008-0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함몰된 게이트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56749A (ko) * 2005-11-30 2007-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개선된 리프레쉬 특성을 가지는 리세스 채널 트랜지스터제조 방법
KR101481708B1 (ko) * 2008-11-21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채널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8559B1 (ko) * 2012-07-17 2018-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1605B1 (ko) * 2013-12-23 202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1458A1 (en) 2004-11-03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79829B1 (ko) * 2005-12-29 2007-02-0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20140138753A1 (en) 2012-11-20 2014-05-22 Micron Technology, Inc. Transistors, Memory Cells and Semiconductor Constru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76A (ko) 2017-09-05
US10734392B2 (en) 2020-08-04
US20190109279A1 (en) 2019-04-11
US20170250337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862B2 (en) Methods of fabricating a single transistor floating body DRAM cell having recess channel transistor structure
US20170133091A1 (en) Memory Cells, Memory Cell Arrays, Methods of Using and Methods of Making
US10083967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employing a deep trench capacitor
US20180197870A1 (en)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a Capacitor
KR102616129B1 (ko) 멀티 레벨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009082A (zh) 晶体管、包含晶体管的可变电阻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US9953697B2 (en) Volatile memory device employing a resistive memory element
US10707270B2 (en) Resistive memory cell having a compact structure
CN104112748A (zh) 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和存取方法
US11968840B2 (en) Tri-gate transistor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20230389325A1 (en)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9559297B2 (en) Vertical transistor for resistive memory
KR102616134B1 (ko) 강유전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2852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210408252A1 (en) Tri-gate orthogonal channel transistor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120236620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371268A1 (en) Memory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230189531A1 (en) Memory cell, memory device, and methods thereof
Tran Challenges of DRAM and flash scaling-potentials in advanced emerging memory devices
TW202234682A (zh) 半導體裝置
KR2013000884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