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748B1 -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748B1
KR102615748B1 KR1020230050387A KR20230050387A KR102615748B1 KR 102615748 B1 KR102615748 B1 KR 102615748B1 KR 1020230050387 A KR1020230050387 A KR 1020230050387A KR 20230050387 A KR20230050387 A KR 20230050387A KR 102615748 B1 KR102615748 B1 KR 10261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hopper
air supply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민
Original Assignee
(주)반석제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석제어기술 filed Critical (주)반석제어기술
Priority to KR10202300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6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vibrating or knocking devices
    • B65D88/665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vibrating or knocking devices using a resonator, e.g. supersonic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54Large container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2588/64Large container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광석, 석탄, 시멘트와 같은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외면에 밀착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파를 확대시키는 음파 증폭부; 상기 음파 증폭부의 타측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상기 음파 증폭부의 내부를 향해 음파를 발진시키는 음파 발생부;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음파 발생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음파 발생을 유발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체; 상기 에어공급관체의 타단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에어의 온오프 및 에어공급량을 조절하여 음파 증폭부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출력을 조절토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Hopper clogging prevention device through sound wave oscillation}
본 발명은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 슈트의 내벽에 누적되는 원료가 누적되지 않게 하므로 출구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가 호퍼에 공급되고, 호퍼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퍼 내벽에 원료가 누적(Build up)되어 출구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막힘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호퍼나 덕트 등의 필요한 개소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 녹커를 설치하여 호퍼나 덕트 등에 충격을 주어 부착된 분체가 눌러 붙지 않게 하여 호퍼나 덕트 등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에어 녹커는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0068885호(2004.08.02)를 비롯하여 동일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에어펄스압에 의하여 움직이는 피스톤이 호퍼의 외벽을 타격하여 호퍼의 내벽에 고착된 입분체를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 기구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 녹커는 일정시간마다 호퍼에 충격을 주게 되므로 호퍼 등의 설비가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10-2011-009750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퍼 슈트의 내벽에 누적되는 원료가 누적되지 않게 하므로 출구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탄 원료 또는 시멘트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외면에 밀착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파를 확대시키는 음파 증폭부; 상기 음파 증폭부의 타측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상기 음파 증폭부의 내부를 향해 음파를 발진시키는 음파 발생부;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음파 발생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음파 발생을 유발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체; 상기 에어공급관체의 타단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에어의 온오프 및 에어공급량을 조절하여 음파 증폭부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출력을 조절토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고압으로 전환시킨 고압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체에 공급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압력조절기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에어공급관체에 공급되는 고압 에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되어 음파 증폭부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의 외주면에 호퍼의 외면에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는 호퍼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일단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자성체가 매립된 단턱부를 갖는 브라켓과, 호퍼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가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는 레일홈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내측면에 다수의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볼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홈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하며, 상기 볼스토퍼는 단턱부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부와 음파 발생부를 연결하는 클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에 투입되는 원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 주파수 영역에서 최적 세기의 음파를 발진시켜, 호퍼의 내벽 손상 없이 내벽에 대한 원료 누적을 억제시켜줌으로써 호퍼의 출구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원료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의 '부착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의 '부착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클램프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A)는, 석탄 원료 또는 시멘트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H)의 내부에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있어서, 호퍼(H)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H)의 외면에 밀착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파를 확대시키는 음파 증폭부(200); 음파 증폭부(200)의 타측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상기 음파 증폭부(200)의 내부를 향해 음파를 발진시키는 음파 발생부(300); 하우징(100)에 일단이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음파 발생부(300)에 에어를 공급하여 음파 발생을 유발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체(400); 에어공급관체(400)의 타단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에어의 온오프 및 에어공급량을 조절하여 음파 증폭부(200)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출력을 조절토록 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사각형 또는 원통형상일 수 있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가 형성된 일단부가 호퍼(H)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된다.
아울러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개구부에 플랜지(260)가 형성되고, 플랜지(260)가 호퍼(H)의 외면에 밀착된다.
플랜지(260)는 호퍼(H)와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면에 탄성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음파 증폭부(200)의 일단에 음파 발생부(300)가 장착되고, 음파 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음파(sound wave)가 점진적으로 증폭될 수 있고, 말단의 개구부를 통해 호퍼의 외벽을 진동시키게 된다.
음파 발생부(300)는 에어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상하 작동시키면서 음파를 발진시게 되고, 약 145dB ~ 152dB의 사운드 웨이브 포스(Sound Wave Force)를 발진시킨다.
음파는 음파 증폭부(200)에서 증폭되어 약 300~400Hz의 주파수를 발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고압으로 전환시킨 고압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체(400)에 공급하는 압력조절기(620)와, 상기 압력조절기(62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에어공급관체(400)에 공급되는 고압 에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63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력조절기(620)를 통해 에어의 수분을 제거하고 압력을 5~6bar로 유지시켜 에어공급관체(400)로 공급하게 된다.
에어공급관체(400)는 SUS 경질 소재로서 에어를 음파 발생부(300)에 전달하게 된다.
또는 에어공급관체(400)는 연질 소재일 수 있다. 연질 소재일 경우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어 음파 발생부(300)의 위치를 이동시키더라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640)는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은 AC 220 V가 적용된다.
컨트롤러(640)는 타이머에 연동되어 솔레노이드밸브(63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한다.
솔레노이드밸브(630)는 Brass 재질(구리(Cu)와 아연(Zn) 합금)로서 전기적 신호가 있을때는 내부 개폐부분이 열려서 에어를 흘러가게하고, 전기신호가 차단되면 내부 스프링에 의하여 개폐부분이 닫혀서 에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600)에서 타이머에 의한 온/오프 동작신호가 주기적으로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530)를 작동시켜서 에어가 에어공급관체(400)를 통해 음파 발생부(300)로 공급된다
음파 발생부(300)에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다이어프램(Diaohragm)이 떨림동작을 하므로 350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발진된 주파수는 음파 증폭부(200)를 통하여 145 ~ 152dB의 음파력(Sound Wave Force)를 발진시켜서 호퍼(H)의 안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해 호퍼(H)의 내벽에 누적(Build up)되지 않은 원료는 낙하하여 벨트 컨베이어(C)로 수거된 후 배출공정으로 이송된다.
한편 하우징(100)은 호퍼(H)의 외면에 장착되되 필요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되어 음파 증폭부(200)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의 외주면에 호퍼(H)의 외면에 지지되는 플랜지(120)가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호퍼(H)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F);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수단(F)은 일단이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자성체(144)가 매립된 단턱부(142)를 갖는 브라켓(140)과, 호퍼(H)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42)가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홈(162)이 형성된 레일부(160)를 포함한다.
레일부(160)는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략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예에 따르면, 레일부(160)는 레일홈(162)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161)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61)의 내측면에 다수의 스토퍼홈(163)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브라켓(140)의 단턱부(142)의 외면에 돌출되게 볼스토퍼(150)가 형성된다.
볼스토퍼(150)는 단턱부(142)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스프링(154)과, 상기 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는 볼(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라켓(140)의 볼스토퍼(150)가 레일부(160)의 스토퍼홈(163)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이 일시적인 고정력을 갖게 된다.
자성체(144)는 영구자석이 적용되거나 또는 전기가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해 브라켓(140)이 레일부(160)에 자착됨으로써 하우징(100)이 호퍼(H)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A')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부(180)와 음파 발생부(300)를 연결하는 클램프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모듈(500)은 일부분은 상기 장착부(180)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음파 발생부(30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클램프 유닛(510); 음파 발생부(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클램프 유닛(510)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 클램프 유닛(5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 유닛(520); 제1 클램프 유닛(510)과 상기 제2 클램프 유닛(520)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클램프 유닛(510)과 상기 제2 클램프 유닛(520)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속부재는 제1 클램프 유닛(510)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1 결합자석(511)이 형성된 웨지(wedge) 형상의 웨지홈(512)과, 상기 제2 클램프 유닛(5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웨지홈(5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웨지돌기(522)와, 웨지돌기(522)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 결합자석(511)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5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램프 모듈(500)을 음파 증폭부(200)의 후방에 장착하고, 클램프 모듈(500)의 상하에 각기 장착부(180)가 연결되며, 각 장착부는 하우징(100)의 내면에 연결됨으로써 음파 증폭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하우징 140 : 브라켓
150 : 볼스토퍼 160 : 레일부
200 : 음파 증폭부 300 : 음파 발생부
400 ; 에어공급관체 600 : 제어부
620 : 압력조절기 630 : 솔레노이드밸브
640 : 컨트롤러 H : 호퍼

Claims (3)

  1. 석탄 원료 또는 시멘트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외면에 밀착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파를 확대시키는 음파 증폭부;
    상기 음파 증폭부의 타측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 상기 음파 증폭부의 내부를 향해 음파를 발진시키는 음파 발생부;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음파 발생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음파 발생을 유발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체;
    상기 에어공급관체의 타단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에어의 온오프 및 에어공급량을 조절하여 음파 증폭부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출력을 조절토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고압으로 전환시킨 고압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체에 공급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압력조절기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에어공급관체에 공급되는 고압 에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되어 음파 증폭부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의 외주면에 호퍼의 외면에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는 호퍼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일단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자성체가 매립된 단턱부를 갖는 브라켓과,
    호퍼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가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홈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내측면에 다수의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볼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홈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부와 음파 발생부를 연결하는 클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50387A 2023-04-18 2023-04-18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KR10261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387A KR102615748B1 (ko) 2023-04-18 2023-04-18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387A KR102615748B1 (ko) 2023-04-18 2023-04-18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748B1 true KR102615748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387A KR102615748B1 (ko) 2023-04-18 2023-04-18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761B2 (ja) * 2000-01-14 2011-06-15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音波式スートブロアとその運用方法
KR20110097502A (ko)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티지솔라 발광 다이오드 제조용 금속 질화막 형성 장치
JP2012226010A (ja) * 2011-04-15 2012-11-15 Babcock Hitachi Kk 音波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音波式付着物除去・抑制装置、音波式スートブロワ装置、熱交換装置、排ガス処理装置、産業機器ならびに音波発生装置の運用方法、熱交換装置の運用方法
KR102061296B1 (ko) * 2018-12-21 2020-01-02 박재황 음파 제매기를 구비하는 소각로
KR102362411B1 (ko) * 2021-08-25 2022-02-15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10~30Hz 초저주파 어쿠스틱혼을 이용한 탈황설비의 배관막힘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761B2 (ja) * 2000-01-14 2011-06-15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音波式スートブロアとその運用方法
KR20110097502A (ko)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티지솔라 발광 다이오드 제조용 금속 질화막 형성 장치
JP2012226010A (ja) * 2011-04-15 2012-11-15 Babcock Hitachi Kk 音波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音波式付着物除去・抑制装置、音波式スートブロワ装置、熱交換装置、排ガス処理装置、産業機器ならびに音波発生装置の運用方法、熱交換装置の運用方法
KR102061296B1 (ko) * 2018-12-21 2020-01-02 박재황 음파 제매기를 구비하는 소각로
KR102362411B1 (ko) * 2021-08-25 2022-02-15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10~30Hz 초저주파 어쿠스틱혼을 이용한 탈황설비의 배관막힘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942B1 (ko) 에어펄서 및 그 에어펄서를 이용하는 장치
CN100396975C (zh) 压电空气阀和多阀式压电空气阀
CA2321075A1 (en) A vibratory system for a sorting flow cytometer
JP5162932B2 (ja) 粉体輸送方法および粉体輸送装置
US6524172B1 (en) Particle blast apparatus
KR102615748B1 (ko) 음파 발진을 통한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KR101549241B1 (ko)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DE60207982T2 (de) Bohrsignalgebungssystem
KR20160039647A (ko) 재료 반송 채널에서 반송 재료에 작용하는 장치
KR101964558B1 (ko) 스케일 제거 전자 해머장치
AU2003303743A1 (en) Device for removing sparks or other hot particles from a gaseous stream
CN200995170Y (zh) 一种高效除铁磁选机
JPH10265030A (ja) 部品の分離装置
DE602007000305D1 (de) Strahlgut-Reinigungssystem für Sandstrahlmaschinen
JP4555383B1 (ja) 搬送部品の空圧作用システム及び部品搬送装置
JP2017176916A (ja) 粉粒体の付着防止装置
JP4647897B2 (ja) 空気砲発生装置
KR100927111B1 (ko) 파티클 제거장치
JP2638468B2 (ja) 粉体の空気輸送装置
JP2007022780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S63100991A (ja) ハンマリング装置
CN109174844A (zh) 一种粉料传输管道的冲洗方法
US2552771A (en) Apparatus for rapping electrodes in electrical precipitators
CN212150131U (zh) 一种具有破拱功能的矿仓结构
JP4868177B2 (ja) 振動式部品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