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41B1 -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41B1
KR101549241B1 KR1020140035622A KR20140035622A KR101549241B1 KR 101549241 B1 KR101549241 B1 KR 101549241B1 KR 1020140035622 A KR1020140035622 A KR 1020140035622A KR 20140035622 A KR20140035622 A KR 20140035622A KR 101549241 B1 KR101549241 B1 KR 10154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hopper
valve
pulse valv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Priority to KR102014003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하여 호퍼의 내벽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호퍼 내에 부착된 분체를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호퍼 내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에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를 연결하여 에어펄스밸브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호퍼 내벽에 분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분체의 부착에 의한 호퍼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기존에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Device for falling off powder on the inner surface of hopper using air pulse valve}
본 발명은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임 딜레이 밸브에 의하여 에어 분사 시기가 제어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하여 호퍼의 내벽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퍼내에 부착되는 분체를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연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나 밀가루 등의 제분공장에서는 유연탄이나 밀가루 등의 분체를 호퍼에 저장하거나 덕트를 통하여 이송하는 등의 여러가지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체 저장 및 이송 공정에서 분체는 그 특유의 부착현상으로 인하여 호퍼나 덕트 등의 내벽면에 눌러 붙게 되게 되고, 눌러 붙은 분체로 인하여 호퍼의 출구 또는 덕트의 경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막힘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호퍼나 덕트 등의 필요한 개소에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 녹커를 설치하여 호퍼나 덕트 등에 충격을 주어 부착된 분체가 눌러 붙지 않게 하여 호퍼나 덕트 등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에어 녹커는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0068885호(2004.08.02)를 비롯하여 동일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에어펄스압에 의하여 움직이는 피스톤이 호퍼의 외벽을 타격하여 호퍼의 내벽에 고착된 입분체를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 기구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 녹커는 일정시간마다 호퍼에 충격을 주게 되므로 호퍼 등의 설비가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고, 에어 녹커에 에어압을 제공하기 위한 에어펄스밸브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펄스타이머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기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호퍼나 덕트 등의 필요한 개소에 에어 부라스터를 설치하여 호퍼나 덕트 등의 내벽에 부착된 분체에 직접 에어를 불어주어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부라스터의 경우에도 에어 부라스터에 에어압을 제공하기 위한 에어펄스밸브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펄스타이머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기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일반 산업의 공장 특히, 분체를 이송하고 생산하는 공장에는 분체를 이송 및 탈락시키기 위한 압축공기를 이용하고자 컴프레서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원과 분체 저장소(호퍼) 사이에 압축공기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에어펄스밸브의 전기식 펄스타이머와 콘트롤러에 대한 전원은 별도로 설치되어 관리되고 있으므로, 결국 여러 개소의 호퍼나 덕트 등에 설치되는 에어펄스밸브의 에어 분사 시기 제어를 위한 전기식 펄스타이머와 콘트롤러에 일일이 전원을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여기에는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호퍼 내에 고착된 분체를 탈락시키기 위하여 호퍼 내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의 개폐 제어를 기존의 전기식 펄스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기식 타임 딜레이 밸브로 변경하여 호퍼 내벽에 분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분체의 부착에 의한 호퍼의 막힘현상을 방지하며, 기존에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의 벽면에 연결되어 호퍼 내에 압축공기를 일정 시간마다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일정 시간마다 통과시키는 작동을 하여, 상기 에어펄스밸브에 일정 시간마다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와;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는,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되는 파이롯트 압력포트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차동피스톤 장착공간 및 차동피스톤의 상면으로 압축공기압을 작용하기 위하여 파이롯트 압력포트와 연통 가능한 압축공기 작용공간이 형성되며, 위쪽에는 배기포트가 형성된 메인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차동피스톤 장착공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동피스톤과; 상기 메인 밸브본체의 타측에 장착되어 파이롯트 압력포트와 압축공기 작용공간 간의 연통 부분을 가변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하여, 파이롯트 압력포트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을 조절하는 압축공기량 조절수단과;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펄스밸브쪽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공기 배출포트가 형성되며, 압축공기 공급포트와 압축공기 배출포트 사이에는 압축공기 경유통로가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블럭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블럭의 압축공기 경유통로의 하부에 제1스프링을 매개로 압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압축공기 경유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차동피스톤의 저부에 삽입 장착되어, 차동피스톤의 승하강시 압축공기 공급블럭의 압축공기 경유통로를 따라 승하강하며, 밸브를 개폐 작동시키는 누름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봉의 하단 둘레부에는 스프링 지지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프링 지지단과 밸브의 상면 간에는 제2스프링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공기량 조절수단은 메인 밸브본체의 타측으로부터 파이롯트 압력포트와 압축공기 작용공간 간의 연통 부분까지 삽입되는 니들과, 니들의 외부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롯트 압력포트의 입구에는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본체의 배기포트의 바로 전 위치에는 배기포트를 개폐하도록 배기피스톤과 복귀스프링이 나란히 배열된 형태의 배기포트 개폐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로, 호퍼 내에 고착된 분체를 탈락시키기 위하여 호퍼내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의 개폐 제어를 기존의 전기식 펄스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기식 타임 딜레이 밸브로 변경함으로써, 기존에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둘째로, 공기식 타임 딜레이 밸브의 압축공기 주기적 공급 제어에 의하여 에어펄스밸브에 압축공기가 주기적으로 공급된 후, 호퍼 내벽에 직접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호퍼의 내벽에 고착된 분체를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고, 결국 분체의 부착에 의한 호퍼의 막힘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펄스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타임 딜레이 밸브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0은 분체(화력발전소의 유연탄이나 제분공장에서의 밀가루 등의 분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호퍼를 나타낸다.
상기 호퍼(100)의 내벽면에는 분체 특유의 부착 내지 고착현상으로 인하여 분체가 눌러 붙게 되게 되고, 눌러 붙은 분체로 인하여 호퍼의 출구 또는 덕트의 경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호퍼(100)의 벽면에 장착홀(102)을 형성하고, 이 장착홀(102)에 압축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한 에어펄스밸브(200)가 호스 등을 매개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에어펄스밸브(20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과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300)를 통하여 연결되는 압축공기 입구부(20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호퍼(100)의 장착홀(102)에 호스 등을 매개로 연결되는 압축공기 출구부(20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압축공기 입구부(202)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열리게 되는 다이아프램(미도시됨) 등이 내설된다.
따라서,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공기식 타임 딜레이 밸브(300)를 통과하여 에어펄스밸브(200)의 압축공기 입구부(202)로 공급되면, 에어펄스밸브(200)의 내부에 장착된 다이아프램 등이 일정 압력 이상에서 열리게 됨으로써, 압축공기가 다이아프램을 통과하여 압축공기 출구부(204)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렇게 에어펄스밸브(200)로부터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된 압축공기가 연속해서 호퍼(100)의 내벽면을 향하여 분사되므로 호퍼(100)의 내면에 고착화된 분체가 용이하게 탈락되어 진다.
한편, 상기 호퍼(100)의 크기 및 내부 체적에 따라 분체 저장량이 다르게 되므로, 호퍼(100) 내에 분체가 눌러 붙는 영역도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호퍼(100)의 크기 및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호퍼(100)에 대한 에어펄스밸브(200)의 장착 갯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여, 호퍼에 대한 압축공기 분사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호퍼(100)의 크기 및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도 1 및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 입구부(202)와 압축공기 출구부(204)가 1개씩 형성된 에어펄스밸브(200)를 여러개 장착하거나, 도 2 및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 입구부(202)와 압축공기 출구부(204)가 2 ~ 4개씩 형성된 에어펄스밸브(200)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펄스밸브(200)의 압축공기 입구부(202)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일정 시간마다 통과시키는 작동을 하여, 상기 에어펄스밸브(200)에 일정 시간마다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300)가 연결된다.
상기 공압식 타입 딜레이 밸브(300)는 에어펄스밸브(2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에어펄스밸브(200)의 개폐 주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전기식 펄스타이머와 달리 압축공기를 이용하므로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300)는 에어펄스밸브(200)에 대한 압축공기의 주기적 공급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호퍼 내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에어펄스밸브의 개폐 제어를 기존의 전기식 펄스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므로,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채택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의 구성을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면부호 300은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를 지시하고, 도면부호 310은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의 메인 밸브본체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과 연결되는 파이롯트 압력포트(312)가 형성되고, 메인 밸브본체(310)의 위쪽에는 배기포트(316)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내부에서 한쪽에는 차동피스톤 장착공간(313)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차동피스톤 장착공간(313)내에 장착되는 차동피스톤(320)의 상면으로 압축공기의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연통 가능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차동피스톤 장착공간(313)에는 차동피스톤(320)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동피스톤(320)은 압축공기의 공급시 하강하고, 압축공기의 공급 해제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의 입구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370)가 장착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370)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타측에는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을 조절하는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이 장착된다.
상기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은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을 가변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하여,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 및 압축공기량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은 메인 밸브본체(310)의 타측으로부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까지 삽입되는 니들(332)과, 이 니들(332)의 외부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회전 및 삽입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상기 손잡이(334)를 잡고 니들(332)을 회전시키며 내부로 삽입하면,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이 협소한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되어, 결국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 및 압축공기량 공급시간이 감소 조절된다.
반대로, 상기 손잡이(334)를 잡고 니들(332)을 회전시키며 외부로 당기면,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이 보다 넓은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되어, 결국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 및 압축공기량 공급시간이 증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저부에는 실질적으로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에어펄스밸브(200)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이 장착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포트(3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펄스밸브(200)쪽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공기 배출포트(34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압축공기 공급포트(342)와 압축공기 배출포트(344) 사이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압축공기 경유통로(346)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의 하부에는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350)가 장착되고, 이 밸브(350)의 저부에는 제1스프링(352)이 압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차동피스톤(320)의 저부에는 차동피스톤(320)의 승하강시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따라 승하강하며, 밸브(350)를 개폐 작동시키는 누름봉(360)이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누름봉(360)의 하단 둘레부에는 스프링 지지단(36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프링 지지단(362)과 밸브(350)의 상면 간에는 제2스프링(364)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배기포트(316)의 바로 전 위치에는 배기포트(316)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배기피스톤(382)과 복귀스프링(384)이 나란히 배열된 형태의 배기포트 개폐밸브(380)가 장착되며, 평상시 복귀스프링(38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배기피스톤(382)이 배기포트(316)를 막고, 배기되는 에어압에 의하여 배기피스톤(382)이 눌리며 후퇴하는 동시에 복귀스프링(384)이 인장되면 배기포트(316)가 열리게 되어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에 남아 있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의 작동을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메인 밸브본체(310)의 파이롯트 압력포트(312)로 공급되고, 또한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포트(342)으로 공급된다.
상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공급포트(342)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은 동일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에 의하여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된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을 지나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공급된다(도 4 참조).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에 의하여 압축공기량 및 공급시간이 조절(설정)된 상태이므로 작동을 위한 설정 시간 이전까지는 차동피스톤(320)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압축공기가 계속해서 공급되어 차동피스톤(320)의 상면에 인가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점차 증가하여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결국 작동을 위한 설정 시간에 도달하게 되어 차동피스톤(320)이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차동피스톤(320)의 저부에 삽입된 누름봉(360)이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따라 하강하여, 밸브(350)를 누르게 됨으로써, 밸브(350)의 열림에 의거 압축공기 경유통로(346)가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이어서,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300)의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에어펄스밸브(200)로 공급되고, 이에 에어펄스밸브의 내부에 장착된 다이아프램 등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열리게 됨으로써, 압축공기가 다이아프램을 통과하여 에어펄스밸브(200)의 압축공기 출구부(204)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렇게 에어펄스밸브(200)로부터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된 압축공기가 연속해서 호퍼(100)의 내벽면을 향하여 분사되므로, 호퍼(100)의 내면에 고착화된 분체가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고, 결국 분체의 부착에 의한 호퍼의 막힘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차동피스톤(320)의 하강후 복귀시기가 늦어질 수 있고,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개폐하는 밸브(350)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압축공기가 에어펄스밸브(20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370)를 오프시킴으로써,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동피스톤(320)의 상면에 작용하는 압축공기 압력이 해제되므로, 차동피스톤(320) 및 누름봉(360)이 제1 및 제2스프링 등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동피스톤(320)의 승강시 압력이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에 잔존하던 에어에 작용하는 동시에 배기포트(316)쪽으로 전달되면, 복귀스프링(384)이 인장되면서 배기피스톤(382)이 눌리며 후퇴하여 배기포트(316)가 열리게 되고, 이에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에 남아 있던 에어가 배기포트(316)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호퍼 내에 고착된 분체를 탈락시키기 위하여 호퍼 내에 에어를 정기적으로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의 개폐 제어를 기존의 전기식 펄스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압식 타임 딜레이 밸브로 변경함으로써 기존에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펄스밸브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호퍼 내벽에 직접 분사되어 호퍼의 내벽에 고착된 분체가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으므로, 결국 분체의 부착에 의한 호퍼의 막힘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100 : 호퍼 102 : 장착홀
200 : 에어펄스밸브 202 : 압축공기 입구부
204 : 압축공기 출구부 300 :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
310 : 메인 밸브본체 312 : 파이롯트 압력포트
313 : 차동피스톤 장착공간 314 : 압축공기 작용공간
316 : 배기포트 320 : 차동피스톤
330 : 압축공기량 조절수단 332 : 니들
334 : 손잡이 340 : 압축공기 공급블럭
342 : 압축공기 공급포트 344 : 압축공기 배출포트
346 : 압축공기 경유통로 350 : 밸브
352 : 제1스프링 360 : 누름봉
362 : 스프링 지지단 364 : 제2스프링
370 : 온/오프 스위치 380 : 배기포트 개폐밸브
382 : 배기피스톤 384 : 복귀스프링
400 : 압축공기 공급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호퍼(100)의 벽면에 연결되어 호퍼(100) 내에 압축공기를 일정 시간마다 분사하는 에어펄스밸브(200)와,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일정 시간마다 통과시키는 작동을 하여 상기 에어펄스밸브(200)에 일정 시간마다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300)와,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3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 타임 딜레이밸브(300)는,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과 연결되는 파이롯트 압력포트(3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차동피스톤 장착공간(313)을 비롯하여 차동피스톤(320)의 상면으로 압축공기압을 작용하기 위하여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연통 가능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이 형성되며, 위쪽에는 배기포트(316)가 형성된 메인 밸브본체(310)와;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차동피스톤 장착공간(313)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동피스톤(320)과;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타측에 장착되어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을 가변 오리피스 형태로 조절하여,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에서 압축공기 작용공간(314)으로 흐르는 압축공기량을 조절하는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과;
    일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포트(3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펄스밸브(200)쪽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공기 배출포트(344)가 형성되며, 압축공기 공급포트(342)와 압축공기 배출포트(344) 사이에는 압축공기 경유통로(346)가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블럭(340)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의 하부에 제1스프링(352)을 매개로 압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개폐하는 밸브(350)와;
    상기 차동피스톤(320)의 저부에 삽입 장착되어, 차동피스톤(320)의 승하강시 압축공기 공급블럭(340)의 압축공기 경유통로(346)를 따라 승하강하며, 밸브(350)를 개폐 작동시키는 누름봉(3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360)의 하단 둘레부에는 스프링 지지단(36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프링 지지단(362)과 밸브(350)의 상면 간에는 제2스프링(364)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량 조절수단(330)은, 메인 밸브본체(310)의 타측으로부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와 압축공기 작용공간(314) 간의 연통 부분까지 삽입되는 니들(332)과;
    니들(332)의 외부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손잡이(3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이롯트 압력포트(312)의 입구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0)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37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본체(310)의 배기포트(316)의 바로 전 위치에는 배기포트(316)를 개폐하도록 배기피스톤(382)과 복귀스프링(384)이 나란히 배열된 형태의 배기포트 개폐밸브(38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KR1020140035622A 2014-03-26 2014-03-26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KR10154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22A KR101549241B1 (ko) 2014-03-26 2014-03-26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22A KR101549241B1 (ko) 2014-03-26 2014-03-26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241B1 true KR101549241B1 (ko) 2015-09-03

Family

ID=5424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622A KR101549241B1 (ko) 2014-03-26 2014-03-26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532B1 (ko) * 2016-11-03 2017-08-18 안진철 폐분체도료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분체도료 재생방법
KR20200107154A (ko)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어 퍼징을 갖는 분체 이송 호퍼
KR102254028B1 (ko) 2019-11-12 2021-05-18 이경원 집진기용 분진처리장치
CN113734822A (zh) * 2021-09-26 2021-12-03 广东精久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堵结构的抛丸机丸料阀门截止装置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532B1 (ko) * 2016-11-03 2017-08-18 안진철 폐분체도료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분체도료 재생방법
KR20200107154A (ko)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어 퍼징을 갖는 분체 이송 호퍼
KR20240131951A (ko) 2019-03-06 2024-09-0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에어 퍼징을 갖는 분체 이송 호퍼
KR102254028B1 (ko) 2019-11-12 2021-05-18 이경원 집진기용 분진처리장치
CN113734822A (zh) * 2021-09-26 2021-12-03 广东精久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堵结构的抛丸机丸料阀门截止装置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241B1 (ko) 에어펄스밸브를 이용한 호퍼 내의 분체 부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
US8517432B2 (en) Sand dosing and blocking device
US20030132241A1 (en) Quick release trigger valve and blast aerator
US9126772B2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the recovery and the pneumatic transportation of dust coming from a filtration system
JP6541489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
KR20060114656A (ko) 과립형 재료를 위한 유동화 장치
US4465497A (en) Pneumatic cyclic event timing actuator and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ir blast filter cleaning and bulk material bin blasting systems
KR102377580B1 (ko) 분말 진공 충전 장치
US20100028090A1 (en) Powder feeding device of a powder spray coating appratus with sieve
KR20140134295A (ko) 액체 재료 토출 기구 및 액체 재료 토출 장치
US3437384A (en) Conveying system and valve constructions therefor
KR20180107919A (ko) 페인트 분사장치
CN101486067B (zh) 铸造机用脱模剂喷射装置
KR101606478B1 (ko) 진공발생유닛
KR101872800B1 (ko) 건설차량 청소용 공기 분사장치
JP4931745B2 (ja) 重油灰飛散抑制装置
KR101797362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석 이송 방법
JP464659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の搬送装置および方法
CN102553825B (zh) 粉粒体处理装置
CN211134604U (zh) 超声波振动筛
EP0922479A1 (en) A blower device for cleaning dust filters
KR101235761B1 (ko) 미분탄 제조설비에서의 슈트내 부착탄 제거장치
CN208465883U (zh) 一种无尘自动投料反应罐
JP7011294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移載方法
KR200363992Y1 (ko) 사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