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469B1 -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469B1
KR102613469B1 KR1020230097453A KR20230097453A KR102613469B1 KR 102613469 B1 KR102613469 B1 KR 102613469B1 KR 1020230097453 A KR1020230097453 A KR 1020230097453A KR 20230097453 A KR20230097453 A KR 20230097453A KR 102613469 B1 KR102613469 B1 KR 10261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frame
weight
manufacturing
parts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Priority to KR102023009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16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은,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아미드에 그래핀을 분산 처리하며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여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UV 보호 레이어를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안경테 프레임을 광택 처리하여 안경테를 완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자외선에 취약한 폴리아미드를 미량의 그래핀으로 보완하지 않고 별도의 UV 보호 레이어를 포함하여 보완함으로써 폴리아미드의 자외선 방어 성능을 더욱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Eyeglass frame based on polyamide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분해성 소재로 환경친화적인 폴리아미드에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그래핀을 혼합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되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분해되는 폴리아미드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UV 보호 레이어를 코팅 처리하여 내구성을 한층 더 강화하는 안경테와 이러한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는 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와 코에 밀착하여 안면에 고정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안경테는 착용감의 편의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의 다양한 재질과 뿔테, 무테, 고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뿔테 안경은 과거에 동물의 뿔로 제작되다가 비싼 가격 등으로 현재에는 플라스틱, 특히 셀룰로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나 셀룰로이드(celluloid)로 널리 제작되고 있다.
셀룰로스아세테이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탄성이 뛰어나 잘 부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셀룰로이드는 제조 공정에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불이 잘 붙는 가연성 소재이므로 일부 국가에서는 이 재질을 사용하여 안경테를 제작하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처럼 환경에 악영향을 주소 제조 공정이 복잡한 셀룰로스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신소재 중에서 그래핀이 각광받고 있다.
그래핀(Graphene)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2차원 평면 구조를 이루는 고분자 탄소 동소체로서,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는 초경량을 자랑하면서 최상의 착용감을 제공하고 땀 등으로 인한 백화현상이 없으며 뛰어난 탄성력과 유연성으로 쉽사리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은 안경테의 제작 시 폴리머에 분산 처리되어 폴리머 고유 특성에 상술한 그래핀 자신의 장점을 겸비할 수 있는 일종의 필러로 적용되고 있다.
그래핀을 적용한 안경테에 관한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국내 특허 제 2254591호인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의 제조 방법은, 수지 및 그래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 상기 준비된 조성물을 교반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단계(S200);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포함된 가스와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수지 조성물 내에 그래핀의 분산성을 높이는 필터링 및 분산단계(S300); 상기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된 조성물을 압출시키는 압출단계(S400); 및 상기 압출된 소재를 투입하여 안경부품을 제작하는 사출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 및 분산단계(S300)는, 기계적으로 조성물 내의 가스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그래핀을 수지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를 제작할 수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또한, 수지의 일종으로 폴리아미드(polyamide)를 포함할 수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폴리아미드는 관리가 쉽고 내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색상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제공하지만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분해된다는 문제가 따른다. 물론 그래핀을 혼합하여 자외선 방어 기능을 어느 정도 제공할 수 있으나, 그래핀의 함량이 폴리아미드 대비 1%도 되지 않을 경우 그래핀을 매개로 한 자외선 방어 기능을 실질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여러 수지 중에서 폴리아미드를 적용하였을 때 자외선에 대응할 수 있는 별다른 해결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그래핀 함량 역시 1% 미만이라 그래핀을 통한 자외선 방어 성능 역시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색상 유지력과 재활용성이 뛰어난 폴리아미드를 수지 베이스로 적용한 상태에서 그래핀을 포함시켜 내구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폴리아미드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신규하고 진보한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제 2254591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외선에 취약한 폴리아미드를 보호하기 위한 UV 보호 레이어를 포함한 플로아미드 및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물의 준비 단계에서 안료의 배합으로 뛰어난 시각적 미감을 갖춘 안경테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이나 전체적인 강도를 더욱 더 보강할 수 있는 물질과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은,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아미드에 그래핀을 분산 처리하며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여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UV 보호 레이어를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안경테 프레임을 광택 처리하여 안경테를 완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교반 속도를 조절하면서 특정 색상을 가진 안료를 주입하는 마블링 인젝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사이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포함하는 보강재로 이루어진 코어를 준비하는 코어 준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상기 코어를 감싸면서 사출 성형되어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에 의하면,
1) 자외선에 취약한 폴리아미드를 미량의 그래핀으로 보완하지 않고 별도의 UV 보호 레이어를 포함하여 보완함으로써 폴리아미드의 자외선 방어 성능을 더욱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고,
2) 다양한 색상을 가진 안료를 배합하여 자연스러운 시각적 마블링 처리가 된 안경테를 제작할 수 있으며,
3)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이나 내부를 보강하여 극한의 상황에서도 강화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데 제조 방법의 기본적인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 시 코어와 혼합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코어의 보강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 방법의 기본적인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 방법은 제 1,2,3,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단계는 폴리아미드에 그래핀을 분산 처리하며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폴리아미드(polyamide)는 합성 열가소성 폴리머로서, 우수한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가지고 가볍고 유연하며 열안정성을 가지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는 다른 수지들보다 재활용이 용이하고 생분해 성질을 가져 환경친화적인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를 안경테의 주재료로 적용하면 장시간 안경을 착용하여도 착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상술한 다양한 장점을 가져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 과정에서 안료와 함께 쉽게 착색할 수 있어 다양한 미적 선택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핀(Graphene)은 육각형 격자로 배열된 탄소 원자의 층 단위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엄청나게 강한 강도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유연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만족한다는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그래핀을 안경테 재질로 적용하면 내구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고, 자체적인 전도 성질로 스마트 안경 기반의 재질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폴리아미드와 그래핀의 혼합물을 안경테의 주재로 적용하면 앞서 설명한 유연성과 경량성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인장강도를 대폭 보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우수한 화한적 안정성과 내열성 역시 겸비할 수 있다.
이때, 그래핀의 조성비는 폴리아미드 100 중량비를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수준에서의 조성비로도 폴리아미드 고유 특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앞서 설명한 기계적/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그래핀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에서 균일한 분산 처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그래핀은 반데르발스 힘으로 응집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상술한 특성을 반감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그래핀은 분산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graphene nanoplatelets 이나 reduced graphene oxide(rGO)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농축된 그래핀-폴리아미드 혼합물, 즉 마스터 배치를 미리 준비하여 다량의 폴리아미드와 혼합 및 교밭 처리를 한다.
또한, 그래핀을 초음파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폴리아미드를 용매 보조 분산액에 먼저 녹인 다음 그래핀을 도입 처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계면활성제가 분산제를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에 투입하여 그래핀 표면을 코팅 처리하면서 재응집 성질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여 안경테 뼈대, 즉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우선, 폴리아미드-그래핀 혼합물이 사출 성형기에 적합한 펠릿 형태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마스터배치에서 작업하는 경우 순수한 폴리아미드 펠릿을 사용하여 원하는 그래핀 농도로 희석해야 한다.
또한, 폴리아미드는 수분을 흡수하여 성형 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건조기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약 80°C의 온도에서 몇 시간 동안 펠릿을 건조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선행한다.
이후, 사출 성형기의 온도와 압력/속도를 설정한 다음 가열된 배럴에서 용융 처리된 혼합물을 금형 캐비티에 주입하여 사출 성형 과정을 거치고, 냉각 및 응고 처리한 이후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한다.
이러한 제 2 단계는 공지의 사출 공정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UV 보호 레이어를 적층(코팅 처리)하는 공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계열의 안경테가 햇빛에 자주 노출되면 변형이 일어날 우려가 따르고, 그래핀을 첨가하여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때 90% 이상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기대하기에는 상식적으로 어렵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폴리아미드를 자외선으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UV 보호 레이어를 적층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고 바람직하다.
이러한 UV 보호 레이어는 벤조트라이졸 등의 공지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UV 보호 레이어는 상술한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 상태에서,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베이스로 포함하는 것이 깔끔하고 단단한 표면 제공 기능 및 자외선 흡수제가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와 베이스를 포함한 UV 보호 레이어는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 등의 코팅 공정을 통하여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적층/코팅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단계는 안경테 프레임을 광택 처리하여 안경테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 4 단계 역시 공지의 폴리싱/광택 처리 공정과 같거나 유사하여 별도의 추가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나, 광택 공정으로는 샌딩, 버핑, 초음파 연마 등의 공정이 수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4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안경테를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는 자외선에 취약한 폴리아미드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UV 보호 레이어를 안경테 프레임에 코팅 적용하였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폴리아미드는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기에 용이한 재질로서 특히 그래핀과 혼합 시 자연스러운 마블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 1 단계는 혼합물에 배압과 교반 속도를 조절하면서 특정 색상을 가진 안료를 주입하는 마블링 인젝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폴리아미드-그래핀 혼합물에 안료를 투입하여 특정 색상으로 마블링 무늬/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바, 이때 안료는 너무 높거나 낮지 않은 투입 압력으로 혼합물에 제공되되 혼합물 역시 너무 빠르지 않도록 교반 속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안료를 투입하면 폴리아미드-그래핀 혼합물에서 그래핀이 분산되면서 자연스럽게 안료의 마블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색상과 고급스러운 무늬(마블링 무늬)를 안경테에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 시 코어와 혼합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폴리아미드와 그래핀의 혼합물로 안경테를 제작하였을 때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으나, 우수한 안경테의 강도 대 중량비(Strength-to-Weight Ratio)를 보장할 수 있도록 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티타늄은 코어에 포함될 수 있는데 코어는 안경테 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여 안경테 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면서 연장된 봉이나 바(bar) 형상을 갖거나 아니면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시트 또는 판상체(pannel)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코어의 형상을 기반으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안경테 프레임은 코어를 중심으로 한 상태에서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이 이를 감싸는 외피와 같은 배치 구조를 취할 수 있는바, 이때 사출 성형기의 금속 캐비티에 1차적으로 코어를 배치한 다음 용융된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을 주입하여 코어를 혼합물이 감싸면서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티타늄은 우수한 강도 대 중량비로 유명한 금속재로서, 중량 대비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보다 뛰어난 인장강도를 자랑할 수 있다.
더불어, 티타늄은 내식성, 저자극성, 온도 안정성,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므로 안경테 프레임에서 코어로 배치하여 상술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코어는 티타늄만 포함한 것이 아니라 보강재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코어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포함하는 보강재로 이루어져 코어의 강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이 코어는 상술한 제 1 단계 이후 및 제 2 단계 이전에 준비될 수 있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보강재의 주재료가 되는 물질로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이때, 이러한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코어(100)에 보강재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진공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티타늄에 투입한 후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 뒤 보강재를 투입한 후 이를 혼합 및 냉각시키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티타늄이 녹는 온도인 약 1665℃에서 보강재를 첨가할 수도 있지만 티타늄이 용융된 후 냉각되는 과정(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600℃)에서 보강재를 첨가하는 것이 보강재의 형상 유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어을 중심으로 한 상태에서 이를 폴리아미드-그래핀의 혼합물이 감싸면서 제작된 안경테는 인장강도를 한츤 더 향상할 수 있어 극한의 조건에서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환경과 상황에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강재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이외에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는바, 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코어의 보강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보강재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S11), 제 2 물질 제조 단계(S12), 제 3 물질 제조 단계(S13), 제 4 물질 제조 단계(S14), 보강재 완성 단계(S15)를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물질 제조 단계(S11)는 물 65 내지 80중량부 및,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5 내지 15중량부 및,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분말 5 내지 15중량부 및, 분산제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와 산화알루미늄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뛰어난 내구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분산제는 분산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나머지 재료들의 균일한 혼합을 보조하고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약 3㎛ 크기인 것을, 산화알루미늄은 약 0.5㎛ 크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 2 물질 제조 단계(S12)는 제 1 물질 75 내지 90중량부와,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5 내지 20중량부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methylene bisacrylamid) 0.5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이고, 제 3 물질 제조 단계(S13)는 제 2 물질 90 내지 95중량부와, APS(ammonium persulfat) 1 내지 5중량부 및, TEMED(N,N,N',N'-tetramethylethylenediamin)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40분 동안 볼밀(ball-mill)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아크릴아마이드는 상술한 히드록시아파타이트와 산화알루미늄과 혼합되어 중합 반응이 진행되는 유기질 모노머이고, 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는 믈질들의 가교를 진행하는 가교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APS는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개시제로서, TEMED는 중합 반응의 속도를 촉진하는 촉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제 4 물질 제조 단계(S14)는 제 3 물질 80 내지 95중량부와,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뒤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5 내지 15분 동안 교반하여 제 4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고, 보강재 완성 단계(S15)는 제 4 물질을 건조한 뒤 50 내지 8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1,300 내지 1,6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소결시킨 뒤 분말의 형태로 분쇄하여 보강재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은 제 3 물질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보강재의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보강재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상에 적층되어 코어(100)에 강성을 한층 더 부여함으로써 극한 상황에서 안경테를 사용할 때에도 물리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안경테 프레임
100: 코어
200: 혼합물

Claims (8)

  1.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아미드에 그래핀을 분산 처리하며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여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표면에 UV 보호 레이어를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안경테 프레임을 광택 처리하여 안경테를 완성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사이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포함하는 보강재로 이루어진 코어를 준비하는 코어 준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상기 코어를 감싸면서 사출 성형되어 안경테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 보호 레이어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 상태에서,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베이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교반 속도를 조절하면서 특정 색상을 가진 안료를 주입하는 마블링 인젝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물 65 내지 80중량부와,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5 내지 15 중량부 및,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분말 5 내지 15중량부와, 분산제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와,
    상기 제 1 물질 75 내지 90중량부와,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5 내지 20중량부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methylene bisacrylamid) 0.5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제 2 물질 제조 단계 및,
    상기 제 2 물질 90 내지 95중량부와, APS(ammonium persulfat) 1 내지 5중량부 및, TEMED(N,N,N',N'-tetramethylethylenediamin)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40분 동안 볼밀(ball-mill)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제 3 물질 제조 단계와,
    상기 제 3 물질 80 내지 95중량부 및,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뒤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5 내지 15분 동안 교반하여 제 4 물질을 제조하는, 제 4 물질 제조 단계 및,
    상기 제 4 물질을 건조한 뒤 50 내지 8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1,300 내지 1,6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소결시킨 뒤 분말의 형태로 분쇄하여 보강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제조 방법.
  5. 제 1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97453A 2023-07-26 2023-07-26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453A KR102613469B1 (ko) 2023-07-26 2023-07-26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453A KR102613469B1 (ko) 2023-07-26 2023-07-26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469B1 true KR102613469B1 (ko) 2023-12-14

Family

ID=8916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453A KR102613469B1 (ko) 2023-07-26 2023-07-26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4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76B1 (ko) * 2009-09-30 2012-04-03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JP2015145458A (ja) * 2014-02-03 2015-08-13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5877251B2 (ja) * 2013-09-26 2016-03-02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材料、アイウェアフレームおよびアイウェア
KR20180103565A (ko) * 2017-03-10 2018-09-19 구창수 축광안료를 이용하고 음각으로 형성된 문양이 축광기능을 갖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 제조방법
KR102254591B1 (ko) 2020-08-14 2021-05-21 정도식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KR20220022928A (ko) * 2020-08-19 2022-03-02 송재현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고글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76B1 (ko) * 2009-09-30 2012-04-03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JP5877251B2 (ja) * 2013-09-26 2016-03-02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材料、アイウェアフレームおよびアイウェア
JP2015145458A (ja) * 2014-02-03 2015-08-13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180103565A (ko) * 2017-03-10 2018-09-19 구창수 축광안료를 이용하고 음각으로 형성된 문양이 축광기능을 갖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 제조방법
KR102254591B1 (ko) 2020-08-14 2021-05-21 정도식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KR20220022928A (ko) * 2020-08-19 2022-03-02 송재현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고글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3710B2 (ja) レーザー溶着用光吸収樹脂組成物及び光吸収樹脂成形体、並びに光吸収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5752149B2 (ja) レーザー添加剤
CN105672023A (zh) 纤维素纤维集合体及其制造方法、原纤化纤维素纤维及其制造方法、以及纤维素纤维复合体
JPH0347869A (ja) 中空ガラス球を含む成形可能な低密度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品
CN108727793A (zh) 改性刨花板、增强聚乳酸3d打印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8506593A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およびレーザー溶接可能なポリマー材料
CN107513212A (zh) 一种聚烯烃用激光打标母粒及其制备方法
CN111635641A (zh) 纳米竹纤维、纳米竹纤维树脂复合生态木及其制备方法
KR102613469B1 (ko) 폴리아미드와 그래핀 기반의 안경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895429A (zh) 一种渐变色手机后盖的生产工艺
CN101104751A (zh) 一种新型粉末涂料
CN113502036A (zh) 一种功能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523034B (zh) 一种光致变色树脂眼镜片及其制备方法
CN113717408A (zh) 一种纳米碳酸钙复合再生pet色母粒制备工艺
CN109251389A (zh) 光辐照交联超高分子量聚乙烯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7469430B2 (ja) 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の裸眼3d効果が実現可能な綾織り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14668A (ko) 폐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를 활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78166A (zh) 一种抗冲击的箱包外壳制作工艺
CN108884375B (zh) 红外线吸收材料、红外线吸收材料分散液、红外线吸收材料分散体、红外线吸收材料分散体夹层透明基材、红外线吸收透明基材
JP2017007889A (ja) 複合タングステン酸化物微粒子、赤外線遮蔽樹脂組成物及び赤外線遮蔽成形体
CN113480845B (zh) 一种利用废旧布料制备的再生pa塑料粒子及其方法
CN111349265A (zh) 一种3d打印用改性尼龙6及其制备方法
KR102166042B1 (ko) 항균 안경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항균 안경테
CN110272619A (zh) 箱包轮子的制备工艺
KR19980703146A (ko) 신규한 첨가 농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