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306B1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2306B1 KR102612306B1 KR1020230023674A KR20230023674A KR102612306B1 KR 102612306 B1 KR102612306 B1 KR 102612306B1 KR 1020230023674 A KR1020230023674 A KR 1020230023674A KR 20230023674 A KR20230023674 A KR 20230023674A KR 102612306 B1 KR102612306 B1 KR 102612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lens
- mol
- contact lens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WLRMANUAADYWEA-NWASOUNVSA-N (S)-timolol maleate Chemical compound OC(=O)\C=C/C(O)=O.CC(C)(C)NC[C@H](O)COC1=NSN=C1N1CCOCC1 WLRMANUAADYWEA-NWASOUNV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60005221 timolol male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60003088 loratad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JCCNYMKQOSZNPW-UHFFFAOYSA-N loratadine Chemical compound C1CN(C(=O)OCC)CCC1=C1C2=NC=CC=C2CCC2=CC(Cl)=CC=C21 JCCNYMKQOSZNP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PMATZTZNYRCHOR-CGLBZJNRSA-N Cyclosporin A Chemical compound CC[C@@H]1NC(=O)[C@H]([C@H](O)[C@H](C)C\C=C\C)N(C)C(=O)[C@H](C(C)C)N(C)C(=O)[C@H](CC(C)C)N(C)C(=O)[C@H](CC(C)C)N(C)C(=O)[C@@H](C)NC(=O)[C@H](C)NC(=O)[C@H](CC(C)C)N(C)C(=O)[C@H](C(C)C)NC(=O)[C@H](CC(C)C)N(C)C(=O)CN(C)C1=O PMATZTZNYRCHOR-CGLBZJNR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8010036949 Cyclospori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60001265 ciclospor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30182912 cyclospori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9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RVGRUAULSDPKGF-UHFFFAOYSA-N Poloxamer Chemical compound C1CO1.CC1CO1 RVGRUAULSDPKG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FJWGYAHXMCUOOM-QHOUIDNNSA-N [(2s,3r,4s,5r,6r)-2-[(2r,3r,4s,5r,6s)-4,5-dinitrooxy-2-(nitrooxymethyl)-6-[(2r,3r,4s,5r,6s)-4,5,6-trinitrooxy-2-(nitrooxymethyl)oxan-3-yl]oxyoxan-3-yl]oxy-3,5-dinitrooxy-6-(nitrooxymethyl)oxan-4-yl] nitr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N+]([O-])=O)[C@H]1O[N+]([O-])=O)O[C@H]1[C@@H]([C@@H](O[N+]([O-])=O)[C@H](O[N+]([O-])=O)[C@@H](CO[N+]([O-])=O)O1)O[N+]([O-])=O)CO[N+](=O)[O-])[C@@H]1[C@@H](CO[N+]([O-])=O)O[C@@H](O[N+]([O-])=O)[C@H](O[N+]([O-])=O)[C@H]1O[N+]([O-])=O FJWGYAHXMCUOOM-QHOUIDNN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60000502 poloxame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HSHXDCVZWHOWCS-UHFFFAOYSA-N N'-hexadecylthiophene-2-carbohydrazid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NNC(=O)c1cccs1 HSHXDCVZWHOWC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193 poly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13750 condition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338 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LDVVTQMJQSCDMK-UHFFFAOYSA-N 1,3-dihydroxypropan-2-yl formate Chemical compound OCC(CO)OC=O LDVVTQMJQSCD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ZFOZVQLOBQUTQQ-UHFFFAOYSA-N Tribut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O)(C(=O)OCCCC)CC(=O)OCCCC ZFOZVQLOBQUT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URAYPUMNDPQOKB-UHFFFAOYSA-N triacetin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OC(C)=O URAYPUMNDPQOK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VQTUBCCKSQIDNK-UHFFFAOYSA-N Iso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QTUBCCKSQIDN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JTXMVXSTHSMVQF-UHFFFAOYSA-N 2-acetyloxy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OC(C)=O JTXMVXSTHSMVQ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HXDLWJWIAHWIKI-UHFFFAOYSA-N 2-hydroxy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O HXDLWJWIAHWIK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QZCLKYGREBVARF-UHFFFAOYSA-N Acetyl tribut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C(=O)OCCCC)(OC(C)=O)CC(=O)OCCCC QZCLKYGREBVAR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PYGXAGIECVVIOZ-UHFFFAOYSA-N Dibutyl decanedio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CCCCCCC(=O)OCCCC PYGXAGIECVVIO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48 Glyceryl di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367 Polyisobut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DOOTYTYQINUNNV-UHFFFAOYSA-N Trieth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C(=O)OCC)CC(=O)OCC DOOTYTYQINUNN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YSAVZVORKRDODB-WDSKDSINSA-N diethyl tar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H](O)[C@H](O)C(=O)OCC YSAVZVORKRDODB-WDSKDSIN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43 glyceryl diacet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087 glyceryl tri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773 glyceryl triacet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2622 triacet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WEAPVABOECTMGR-UHFFFAOYSA-N triethyl 2-acetyloxypropane-1,2,3-tr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O)OCC)(OC(C)=O)CC(=O)OCC WEAPVABOECTMG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069 triethyl ci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VMYFZRTXGLUXMZ-UHFFFAOYSA-N triethyl citrate Natural products CCOC(=O)C(O)(C(=O)OCC)C(=O)OCC VMYFZRTXGLUXM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769 triethyl citr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DQWPFSLDHJDLRL-UHFFFAOYSA-N trieth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OP(=O)(OCC)OCC DQWPFSLDHJDLR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WVLBCYQITXONBZ-UHFFFAOYSA-N trimeth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OP(=O)(OC)OC WVLBCYQITXONB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31954 dibutyl sebacate Drugs 0.000 claims 1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WOBHKFSMXKNTIM-UHFFFAOYSA-N Hydroxy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 WOBHKFSMXKN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2818 (Hydroxyethyl)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89 eye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OZAIFHULBGXAKX-UHFFFAOYSA-N 2-(2-cyanopropan-2-yldiazenyl)-2-meth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101 Ch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40012356 eye drops Drug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DBCAQXHNJOFNGC-UHFFFAOYSA-N 4-bromo-1,1,1-trifluorobutane Chemical compound FC(F)(F)CCCBr DBCAQXHNJOFN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STVZJERGLQHEKB-UHFFFAOYSA-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Substances CC(=C)C(=O)OCCOC(=O)C(C)=C STVZJERGLQHE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0412 Glau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556 Polyethylene Glycol 300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833 aflibercept Drug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1667 aflibercept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685 imatinib mesyl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YLMAHDNUQAMNNX-UHFFFAOYSA-N imatinib m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S(O)(=O)=O.C1CN(C)CCN1CC1=CC=C(C(=O)NC=2C=C(NC=3N=C(C=CN=3)C=3C=NC=CC=3)C(C)=CC=2)C=C1 YLMAHDNUQAMN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1160 latanoprost Drugs 0.000 description 3
- GGXICVAJURFBLW-CEYXHVGTSA-N latanoprost Chemical compound CC(C)OC(=O)CCC\C=C/C[C@H]1[C@@H](O)C[C@@H](O)[C@@H]1CC[C@@H](O)CCC1=CC=CC=C1 GGXICVAJURFBLW-CEYXHVGTSA-N 0.000 description 3
- RNAICSBVACLLGM-GNAZCLTHSA-N pilocarp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OC(=O)[C@@H](CC)[C@H]1CC1=CN=CN1C RNAICSBVACLLGM-GNAZCLTH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139 pilocarp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876 ranib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BAUFVUYFNWQFM-UHFFFAOYSA-N Doxylamine succinate Chemical compound OC(=O)CCC(O)=O.C=1C=CC=NC=1C(C)(OCCN(C)C)C1=CC=CC=C1 KBAUFVUYFNWQ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556 Dry Eye Syndrom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774 Dry ey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48 Gell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81 Povidone K 30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7 artificial te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97 bevac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2
- AQOKCDNYWBIDND-FTOWTWDKSA-N bimatoprost Chemical compound CCNC(=O)CCC\C=C/C[C@H]1[C@@H](O)C[C@@H](O)[C@@H]1\C=C\[C@@H](O)CCC1=CC=CC=C1 AQOKCDNYWBIDND-FTOWTWD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70 bimatoprost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18 carrageen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25 carragee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79 carrageen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3118 carrageenan Drugs 0.000 description 2
- FYBXRCFPOTXTJF-UHFFFAOYSA-N carteolol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1C(=O)CCC2=C1C=CC=C2OCC(O)C[NH2+]C(C)(C)C FYBXRCFPOTXT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165 carteolol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08 doxylamine succi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92 gell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16 gell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XHBTMCLRNMKHZ-LBPRGKRZSA-N levobunolol Chemical compound O=C1CCCC2=C1C=CC=C2OC[C@@H](O)CNC(C)(C)C IXHBTMCLRNMKHZ-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834 levobunolol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11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5 tes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2
- UHVMMEOXYDMDKI-JKYCWFKZSA-L zinc;1-(5-cyanopyridin-2-yl)-3-[(1s,2s)-2-(6-fluoro-2-hydroxy-3-propanoylphenyl)cyclopropyl]urea;diacetate Chemical compound [Zn+2].CC([O-])=O.CC([O-])=O.CCC(=O)C1=CC=C(F)C([C@H]2[C@H](C2)NC(=O)NC=2N=CC(=CC=2)C#N)=C1O UHVMMEOXYDMDKI-JKYCWFKZSA-L 0.000 description 2
- QCHFTSOMWOSFHM-WPRPVWTQSA-N (+)-Pilocarpine Chemical compound C1OC(=O)[C@@H](CC)[C@H]1CC1=CN=CN1C QCHFTSOMWOSFHM-WPRPVWTQSA-N 0.000 description 1
- CONKBQPVFMXDOV-QHCPKHFHSA-N 6-[(5S)-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2-oxo-1,3-oxazolidin-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H]1CN(C(O1)=O)C1=CC2=C(NC(O2)=O)C=C1 CONKBQPVFMXDOV-QHCPKHFH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134 Conjunctiv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79 Curdl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8 Curd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7835 Cyamopsis tetragono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89 Diabetic retin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442 Re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910 Ret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CHFTSOMWOSFHM-UHFFFAOYSA-N SJ000285536 Natural products C1OC(=O)C(CC)C1CC1=CN=CN1C QCHFTSOMWOSF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076 Uve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13 Vision blur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IYBQIKDCADOSF-UHFFFAOYSA-N alpha-Butylen-alpha-carbo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O)=O YIYBQIKDCADO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47 betaxolol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CHDPSNLJFOQTRK-UHFFFAOYSA-N betaxolol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OCC(O)C[NH2+]C(C)C)=CC=C1CCOCC1CC1 CHDPSNLJFOQT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17 cellulose acetate buty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921 corne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16 curdl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8035 curdla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IAVUPMFITXYVAF-XPUUQOCRSA-N dorzolamide Chemical compound CCN[C@H]1C[C@H](C)S(=O)(=O)C2=C1C=C(S(N)(=O)=O)S2 IAVUPMFITXYVAF-XPUUQOCR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33 dorzol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57 dru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3 drug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85 eye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67 hydrochlo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0 hydrophob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80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83 ointment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90 ophthalmic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416 pilocarp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3 silicon-contain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7 therapeutic dos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IYBQIKDCADOSF-ONEGZZNKSA-N trans-pent-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YIYBQIKDCADOSF-ONEGZZNK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259 vase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61K9/0051—Ocular inserts, ocular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61K31/5575—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having a cyclopentane, e.g. prostaglandin E2, prostaglandin F2-alph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눈에 사용 가능한 약물과 약물의 안정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한 주고분자 및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에서의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용해성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속도 및 방출 양의 조절이 가능하여 약물을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눈에 사용 가능한 약물과 약물의 안정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한 주고분자 및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 등과 같은 흔한 질환부터 망막염, 황반변성과 같은 망막질환과 각막질환, 결막질환, 포도막질환, 녹내장, 백내장 및 당뇨망막증을 앓는 안질환(eye disease)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안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제형으로는 크게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점안액과 크림 또는 겔 형태의 점안 연고로 분류되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점안액은 눈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제형으로서 대부분의 안과계 약물은 점안액의 형태로 투여된다. 그러나 점안액 한 방울의 부피는 결막낭의 부피보다도 커서 점안하자마자 흘러내려 약물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약효 지속시간이 매우 짧다. 점안액은 지시된 용량을 투여하더라도 투여량 대비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치료 용량보다 더 투여하거나 덜 투여하는 일이 빈번하다. 점안연고는 점안액에 비해 약물이 눈에 체류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으나 연고제의 특성상 정확한 양을 투여하기 어렵고 점안연고 투여 후 상당시간 눈의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주간에 점안 연고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연고제 투여 후 눈 주위로 연고제가 흘러내려 미관에 좋지 않고 연고기제가 바셀린 등 수불용성 기제로 구성되어 있어 연고제를 세척하기에도 매우 불편하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 플렛폼을 이용한 약물 전달 렌즈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2117260호는 녹내장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약물을 포함하는 담지부가 렌즈 내부로 함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녹내장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의해 렌즈에 탑재된 약물이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35353호는 안구질환 치료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에 약물 흡수를 도와주는 메틸기를 포함하는 펜텐산계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렌즈에 약물의 담지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분리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약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19-0118254호는 상분리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 입자와 결합된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의 콘택트렌즈는 약물이 렌즈 내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즉 약물을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와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렌즈를 제조하기 때문에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물에 침적하여 소프트화 시키는 과정에서 약물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구에 적용하였을 때 약물의 과다 방출로 인한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이 어려워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약물 양을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하게 방출하여 정해진 약물을 일관되게 전달하면서도 시야를 가리지 않고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콘택트렌즈는 일반적으로 함수를 하지 않는 하드렌즈와 물에 함수 후 착용하는 소프트렌즈로 나누어진다. 하드렌즈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aacryl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로 제조하며, 렌즈 자체의 산소 투과도가 낮고 유연성이 떨어지기에 착용 시 안구에 부담을 주어 장시간 착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소프트렌즈는 실리콘과 같은 소수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hydroxyethyl methacrylate),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 eglycol dimethacrylate) 등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리콘으로 제조한 소프트렌즈는 가격이 비싸며, 일반적인 소프트렌즈보다 유연성이 떨어지기에 여전히 착용 시 안구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백질 및 지질과 흡착하여 착용 후 안구 내에 침착물을 남겨 염증 반응 및 시야 흐림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의 단점으로 인하여 약물이 담지된 콘택트렌즈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새로운 치료시스템의 요건을 갖춘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콘택트렌즈를 이용하기 위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여전히 콘택트렌즈에 탑재되는 약물의 탑재 효율 및 방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눈이라는 조직의 특성상 개발이 저조하다.
종래에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하고, 인체의 내부조직에 직접 접촉하여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약물전달 필름 제형이 개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0515479호는 안질환 치료용 약물전달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토산 및 글리세롤 혼합물에 약물을 혼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눈에 직접 삽입하여 치료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인공수정체와 수정체 후낭 사이에 직접 삽입시켜 이용하기 때문에 안질환의 간단한 치료를 위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며, 상기 기술은 외과적 치료에 해당하기 때문에 점안액을 대체할 보편적인 안질환 치료용 약제로 보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눈에 사용 가능한 약물과 약물의 안정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한 주고분자 및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고분자 필름을 구성하는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하여 제조할 경우 약물의 방출속도 및 방출 양의 조절이 가능하여 약물을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분자 필름을 구성하는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속도 및 방출 양의 조절이 가능하여 약물을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눈에 사용 가능한 약물과 약물의 안정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한 주고분자 및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는 하기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티몰롤말레산염, 필로카르핀 염산염, 라니비주맙, 이마티닙 메실산염, 아플리버셉트 및 인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물일 경우, 주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히알루론산, 알긴산, 폴록사머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고, 조절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콜라겐,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며,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상기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일 경우 85,000 내지 1,50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상기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일 경우 1,000g/mol 내지 8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거나,
2)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 mg/ml 미만인 라타노프로스트, 로라타딘염산염 및 사이클로스포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물일 경우 주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콜라겐,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절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히알루론산, 알긴산, 폴록사머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 mg/ml 미만인 상기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일 경우 25,000g/mol 내지 15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상기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일 경우 1,000g/mol 내지 2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는 약물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고분자로서, 약물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을 1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고분자가 주고분자이고, 약물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을 좀 더 섬세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주고분자 대비 적은 양으로 포함되는 고분자가 조절고분자이다. 즉, 주고분자가 1일 때 조절고분자는 0.001~1.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0.05~0.3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고분자 필름 원료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포함된다. 상기 약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약물에 의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약물 함량에 따라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고분자의 함량이 증가하여 고분자 필름의 두께도 증가하므로,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가소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일 경우 친수성 가소제를 포함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일 경우 소수성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분산에 용이하나,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일 경우 소수성 가소제를,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일 경우 친수성 가소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가소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디아세틴, 트리아세틴, 트라이에틸 시틀산염, 트라이에틸 인산염, 트라이메틸 인산염, 디에틸 타타르산염,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가소제일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가소제는 식물성 유지(식물유, 피마자유 등), 지방산,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부틸세바스산염,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염, 아세틸부틸 시트르산염 및 트리부틸 시트르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 가소제일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서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용해성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하는 기준 및 이에 따라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는 약물의 용해성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약물은 1차적으로 용해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용해도가 높은 그룹은 1mg/ml 내지 200mg/ml의 용해도를 갖고, 용해도가 낮은 그룹은 0.01mg/ml 내지 1 mg/ml 미만의 용해도를 갖는다. 용해도가 높은 그룹에 포함되는 약물로는 티몰롤말레산염(timolol maleate), 베탁솔롤 염산염(betacxol hydrochloride), 카르테올롤 염산염(carteolol hydrochlorid), 레보부놀롤 염산염(levobunolol hydrochloride), 필로카르핀 염산염(pilocarpine hydrochlorid), 돌졸라마이드 염산염(dorzolamide hydrochlorid), 라니비주맙(ranibizumab), 이마티닙 메실산염(imatinib mesylate), 독시라민 숙신산염(doxylamine Succinate), 베바시주맙(bevacizumab), 아플리버셉트(aflibercept) 및 인슐린(insulin) 등이 있다. 상기 용해도가 높은 그룹의 약물은 분자량이 큰 그룹과 작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35g/mol 내지 1,000g/mol의 작은 분자량을 갖는 약물로는 티몰롤말레산염, 베탁솔롤 염산염, 카르테올롤 염산염, 레보부놀롤 염산염, 필로카르핀 염산염, 돌졸라마이드 염산염, 라니비주맙, 이마티닙 메실산염 및 독시라민 숙신산염 등이 해당하며,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의 큰 분자량을 갖는 약물로는 베바시주맙, 아플리버셉트 및 인슐린이 해당한다. 또한, 용해도가 낮은 그룹에 포함되는 약물로는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 비마토프로스트(bimatoprost), 로라타딘염산염(loratadine hydrochlorid) 및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등이 있이 있다. 상기 용해도가 낮은 그룹의 약물도 분자량이 큰 그룹과 작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35g/mol 내지 1,000g/mol의 작은 분자량을 갖는 약물로는 라타노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로라타딘염산염이 해당하고,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의 큰 분자량을 갖는 약물로는 사이클로스포린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약물은 용해도에 따라 크게 2개의 그룹의 약물로 분류되고, 여기서 상기 용해도에 따라 분류된 각 그룹은 분자량에 따라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물을 총 4개의 그룹, 즉 용해도가 높고 분자량이 작은 그룹(제1 그룹), 용해도가 높고 분자량이 큰 그룹(제2 그룹), 용해도가 작고 분자량이 작은 그룹(제2 그룹) 및 용해도가 작고 분자량이 큰 그룹(제4 그룹)으로 분류되며, 4개 그룹 각각의 약물 특성에 따라 주고분자와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통해 약물의 방출 및 조절이 용이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약물 특성에 따라 주고분자와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높은 경우, 즉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300mg/ml, 바람직하게는 1mg/ml 내지 200mg/ml일 경우, 주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poly(hydroxy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ic acid), 폴록사머(poloxamer), 젤라틴(gelatin), 잔탄검(xanthan gum), 아카시아검(acacia gum), 젤란검(gellan gum), 구아검(guar gum),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hydroxypropyl guar), 한천(agar), 펙틴(pectin), 키토산(chitosan) 및 카라지난(carrageen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절고분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아세트산 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나이트로 셀룰로오스(cellulose nitrate), 에틸셀룰로오스(ethylcellulos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콜라겐(collagen), 커트란(베타-1,3-글루칸)(curdlan(beta-1,3-glucan)), 키틴(chitin),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동일한 범위 내의 용해도를 갖는 약물들의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의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 바람직하게는 35g/mol 내지 590g/mol일 경우에는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85,000g/mol 내지 1,50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의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5,700g/mol 내지 150,000g/mol일 경우에는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1,000g/mol 내지 8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약물에 적합한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여 제조된 고분자필름이 내재된 콘택트렌즈의 경우(실시예 5 및 6), 조절고분자로서 상기 주고분자로 분류된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제조된 고분자필름이 내재된 콘택트렌즈(비교예 5 및 비교예 6)보다 방출 속도의 조절이 원활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조절고분자의 함량에 따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및 6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 확립한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 선택 기준에 기반하여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할 경우 약물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의 조절이 우수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약물 특성에 따라 주고분자와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낮은 경우, 즉 약물의 용해도가 0.001mg/ml 내지 1m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mg/ml 내지 0.9mg/ml일 경우, 주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콜라겐, 커트란(베타-1,3-글루칸), 키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절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히알루론산, 알긴산, 폴록사머, 젤라틴, 잔탄검, 아카시아검, 젤란검, 구아검,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한천, 펙틴, 키토산 및 카라지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동일한 범위 내의 용해도를 갖는 약물들의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의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 바람직하게는 35g/mol 내지 450g/mol일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25,000g/mol 내지 15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의 약물 중에서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g/mol 초과 1,500g/mol 이하일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1,000g/mol 내지 2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인 약물에 적합한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여 제조된 고분자필름이 내재된 콘택트렌즈의 경우(실시예 7 및 8), 조절고분자로서 상기 주고분자로 분류된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제조된 고분자필름이 내재된 콘택트렌즈(비교예 7 및 비교예 8)보다 방출 속도의 조절이 원활이 이루어 졌으며, 특히 조절고분자의 함량에 따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7 및 8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 확립한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 선택 기준에 기반하여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할 경우 약물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의 우수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와 같이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110), 상기 외측 렌즈(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130),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120)으로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외측 렌즈(110)는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가지며, 콘택트렌즈(100) 구성 중 가장 상부, 즉 외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 눈꺼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었다. 이러한 외측 렌즈(110)는 눈꺼풀에 접촉되므로 굴곡 없이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렌즈(130)는 외측 렌즈(110) 하부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100) 구성 중 가장 하부, 즉 내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 안구 상에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내측 렌즈(130)는 착용 시 이물감을 줄이고 착용이 용이하도록 눈동자와 대응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전체적인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외측 렌즈(110)의 직경보다 1.1배 내지 3배 작게 구비되어 외측 렌즈(110)에 의해 내측 렌즈(130)의 상부 전체가 둘러 감싸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4.5mm 내지 12.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이 4.5mm 미만일 경우 고분자 필름(120) 표면의 일정 부분 이상이 외부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며, 12.5mm 초과할 경우 외부 렌즈(110)와 유사한 직경을 갖게 되어 콘택트렌즈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여 착용감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외측 렌즈(110)의 직경보다 1.1배 내지 3배 작게 구비되어 외측 렌즈(110)에 의해 내측 렌즈(130)의 상부 전체가 둘러 감싸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4.5mm 내지 12.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이 4.5mm 미만일 경우 고분자 필름 표면의 일정 부분 이상이 외부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며, 12.5mm 초과할 경우 외부 렌즈(110)와 유사한 직경을 갖게 되어 콘택트렌즈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여 착용감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120)의 두께는 0.005 내지 0.3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2mm이다. 고분자 필름(120)의 두께가 0.005 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포함시키기 어려우며, 0.3 mm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고분자 필름에 의해 콘택트렌즈(100) 성형이 어렵다.
외측 렌즈(110) 및 내측 렌즈(130) 사이에 내재된 고분자 필름(120)에서의 약물 방출은 외측 렌즈(110) 및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과 형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는 함수율에 의해 고분자 필름(120)에서의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해서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을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가 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은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2%가 되도록 형성된다. 함수율에 따른 약물의 방출은 외측 렌즈(110)와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이 다를 경우, 예컨대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이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도 10과 같이 고분자 필름(120)에 포함된 약물이 외측 렌즈(110) 방향으로 방출되고, 외측 렌즈(110)와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이 같을 경우, 예컨대 수율이 42%일 경우 약물이 6시간 동안 방출되며, 함수율이 55%일 경우 2시간동안 약물이 방출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는 외측 렌즈(110)의 형태에 의해 고분자 필름(120)에서의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해서 외측 렌즈(110)를 다양한 형태, 즉 외측 렌즈(110)에 미세홀(300), 딤플(400) 등이 형성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과 같이 외측 렌즈(110)에는 미세홀(3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홀(300)의 직경은 하기 상술할 고분자 필름(120)으로부터 약물이 방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mm 내지 0.1mm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미세홀(30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동공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고분자 필름(120)이 내재된 위치상에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홀(300)을 통한 약물의 방출 메커니즘은 외측 렌즈(110)에 미세홀(300)이 형성된 콘택트렌즈(100)를 착용 시, 눈을 깜빡이거나 안구를 움직임에 따라 눈물이 미세홀(300)로 유입되고, 유입된 눈물에 의해 고분자 필름(120)이 용해되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약물(140)이 미세홀(300)로부터 안구로 방출(약물의 방출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함)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외측 렌즈(110)에는 딤플(4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딤플(400)의 직경은 0.1mm 내지 0.5mm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딤플(40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동공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외측 렌즈(11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딤플(400)은 내측 렌즈(130)의 내측, 즉 안구 상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딤플(400)은 외측 렌즈(110) 또는 내측 렌즈(130) 각각에 형성되거나 외측 렌즈(110) 및 내측 렌즈(130)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딤플(400)을 통한 약물의 방출 메커니즘은 딤플(400)에 의해 얇아진 외측 렌즈(110)의 두께에 의해 약물 방출(약물의 방출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함)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빠른 시간 안에 약물에 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는 내측 렌즈(110)의 형태에 의해 고분자 필름(120)에서의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해서 내측 렌즈(110)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132)가 형성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과 같이 직경이 2.5mm 내지 10mm인 약물 담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 담지부(132)의 직경이 2.5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담지하기 어렵고, 10mm 초과일 경우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내측 렌즈(130)의 형상을 도출하기 어렵다. 약물 담지부(132)의 표면에는 고분자 필름층이 형성되는데,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원료를 약물 담지부(132)에 투하함으로써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 원료가 투하되는 약물 담지부(132)는 옴폭 패여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평평한 내측 렌즈 표면에 고분자 필름층 원료를 투하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원료를 수용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100)에 고함량의 약물을 담지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약물 담지부(132) 외주연에는 높이가 0.02mm 내지 0.1mm인 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33)의 높이가 0.02mm일 경우 코팅층 원료가 흘러넘치는 것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0.1mm 초과할 경우 외측 렌즈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상기 돌출부(133)는 약물 담지부(132) 외주연에 형성되어 약물 담지부(132)에 투하되는 약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 원료가 흘러넘치는 것을 막아 더 많은 양의 고분자 필름 원료가 약물 담지부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담지 되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서 외측 렌즈(110)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원료 이외에 안료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외측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체가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저함수율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고함수율의 외측 렌즈(110)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30 중량%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수분 함량이 높아 수분 증발에 따른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서 내측 렌즈(130)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원료 이외에 안료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내측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중량%로 투입 및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중합체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며, 15 중량% 초과할 경우 고함수율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저함수율의 내측 렌즈(130)를 제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서 고분자 필름(120)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는 고분자 필름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의 총 함량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고분자 필름(120)의 형태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1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약물 방출이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는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을 제조 시, 고분자 필름에서의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속도 및 방출 양의 조절이 가능하여 약물을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티몰롤말레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인슐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로라타딘염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티몰롤말레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인슐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는 로라타딘염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작용 시, 약물이 고함수율을 갖는 외측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미세홀이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및 약물이 미세홀로부터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딤플이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및 약물이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약물 담지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단면도이다.
도 2는 인슐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로라타딘염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티몰롤말레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인슐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는 로라타딘염산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작용 시, 약물이 고함수율을 갖는 외측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미세홀이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및 약물이 미세홀로부터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딤플이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및 약물이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약물 담지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1)
티몰롤말레산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주고분자를 티몰롤말레산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로는 분자량이 상이한 주고분자를 이용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1 | 비교예 1 |
약물 | 티몰롤말레산염 | 0.1 | 0.1 |
주고분자 | p(HEMA) (Mw=1,000,000) | 1.5 | - |
주고분자 | PVA (Mw=5,000) | - | 1.5 |
가소제 | PEG 300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1.8 | 1.8 |
구체적으로, 티몰롤말레산염의 에탄올 용액에 일정량의 주고분자 및 가소제를 첨가한 후 중합반응 및 가교반응을 통해 고분자 필름 용액을 얻는다. 상기 제조한 고분자 필름 용액을 하부렌즈 표면에 적가하여 건조시킨 후, 상부렌즈와 중합시켜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고분자 필름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5 cm의 직경과 1.5 cm의 높이를 지닌 폴리에틸렌 챔버에 약물 필름이 내장된 콘택트렌즈를 45도의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핀으로 고정한 후,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200 μL/hr의 속도로 인공눈물을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가해주었다. 이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콘택트렌즈 표면을 통해 흘러내려온 시험액을 0.1mL 채취하여 희석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방출된 티몰롤말레산염의 양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같이 분자량이 작은 PVA(Mw=5,000)을 주고분자로 사용할 경우 약물의 방출이 2시간 이내로 완료되어 약물 방출을 제어하는 효과가 없는데 반해 실시예 1과 같이 분자량이 큰 p(HEMA)(Mw=1,000,000)을 주고분자로 사용할 경우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약물이 티몰롤말레산염일 경우에 분자량이 작은 주고분자를 사용할 경우, 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조절고분자가 고함량으로 첨가되어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데 용이할 수 있으나, 에틸셀룰로오스는 용해성이 낮아 균질화가 어려워 필름 제조에 용이하지 않으므로, 분자량이 큰 주고분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2)
인슐린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주고분자를 인슐린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로는 분자량이 상이한 주고분자를 이용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2 | 비교예 2 |
약물 | 인슐린 | 0.1 | 0.1 |
주고분자 | PVA (Mw=5,000) | 1.7 | - |
주고분자 | p(HEMA) (Mw=1,000,000) | - | 1.7 |
가소제 | propylene glycol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2.0 | 2.0 |
구체적으로, 인슐린을 멸균 정제수에 용해한 후 이후 주고분자와 가소제를 차례대로 용해시켜 고분자 필름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고분자 필름 용액을 하부렌즈 표면에 적가하여 건조시킨 후, 상부렌즈와 중합시켜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고분자 필름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2)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2와 같이 분자량이 큰 p(HEMA)를 주고분자로 사용할 경우 약물의 방출이 매우 느려지고 방출이 수월하지 않아 인슐린의 방출조절이 불가능한데 반해 실시예 2와 같이 분자량이 작은 PVA를 주고분자로 사용할 경우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3)
로라타딘염산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주고분자를 로라타딘염산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로는 분자량이 상이한 주고분자를 이용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3 | 비교예 3 |
약물 | 로라타딘염산염 | 0.2 | 0.2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0) | 2.0 | -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20,000) | - | 2.0 |
가소제 | castor oil | 0.1 | 0.1 |
필름 무게 (mg/78.5cm2) | 2.3 | 2.3 |
구체적으로, 로라타딘염산염의 80% 에탄올 수용액에 주고분자와 가소제를 가한 후 완전히 용해시켜 고분자 필름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고분자 필름 용액을 하부렌즈 표면에 적가하여 건조시킨 후, 상부렌즈와 중합시켜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고분자 필름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3)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로라타딘염산염을 분자량이 큰 에틸셀룰로오스(Mw=50,000)에 분산시킨 경우(비교예 3)와 분자량이 작은 에틸셀룰로오스(Mw=20,000)에 분산시킨 경우(실시예 3) 모두 약물의 방출이 우수하였으나, 로라타딘염산염은 낮은 용해도를 지니고 있어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에틸셀룰로오스(Mw=50,000)와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약물의 안정적인 분산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분자량이 큰 주고분자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4)
사이클로스포린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주고분자를 사이클로스포린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로는 분자량이 상이한 주고분자를 이용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4 | 비교예 4 |
약물 | 사이클로스포린 | 0.1 | 0.1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20,000) | 1.9 | -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0) | - | 1.9 |
가소제 | oleic acid | 0.02 | 0.02 |
가소제 분산 보조제 | Tween 80 | 0.08 | 0.08 |
필름 무게 (mg/78.5cm2) | 2.1 | 2.1 |
구체적으로, 사이클로스포린의 에탄올 용액에 주고분자와 가소제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후 에탄올 부피의 10% 이내의 멸균정제수에 가소제 분산 보조제를 용해시킨 후, 사이클로스포린, 주고분자 및 가소제가 용해된 에탄올 용액을 천천히 가해주고 500 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하여 고분자 필름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고분자 필름 용액을 하부렌즈 표면에 적가하여 건조시킨 후, 상부렌즈와 중합시켜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4: 고분자 필름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4)
실시예 4 및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큰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이용한 경우(비교예 4) 상대적으로 작은 분자량은 갖는 주고분자를 이용한 경우(실시예 4)보다 약물 방출이 현저히 느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큰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이용할 경우 약물의 방출이 크게 제한되어 방출을 제어하기 어렵고 오히려 방출을 증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므로, 저분자량의 주고분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1)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약물인 티몰롤말레산염 특성에 적합한 주고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주고분자 이외에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분자를 티몰롤말레산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5 | |||
5-1 | 5-2 | 5-3 | 5-4 | ||
약물 | 티몰롤말레산염 | 0.1 | 0.1 | 0.1 | 0.1 |
주고분자 | p(HEMA) (Mw=1,000,000) | 1.5 | 1.5 | 1.5 | 1.5 |
조절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 | 0 | 0.2 | 0.3 | 0.4 |
가소제 | PEG 300 | 0.2 | 0.2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1.8 | 2.0 | 2.1 | 2.2 |
구체적으로, 티몰롤말레산염의 에탄올 용액에 일정량의 hydroxyethylmethacrylate(HEMA)와 가소제로 PEG 300을 첨가한 후 중합반응 및 가교반응을 통해 티몰롤말레산염이 분산된 poly(HEMA) 필름 용액을 얻는다(실시예 5-1). poly(HEMA)필름으로부터 티몰롤말레산염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해 에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였다(실시예 5-2, 5-3, 5-4). 제조된 용액을 가교된 poly(HEMA)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하부렌즈의 표면에 일정량 적가하여 약물함유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부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HEMA를 추가로 가해준 후 중합 및 가교반응을 통해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지 않고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1)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5와 동일하고, 조절고분자의 종류(폴리비닐피롤리돈, PVP)만 다르게 설정하였다.
구분 | 성분 (mg) | 비교예 5 | ||
5-1 | 5-2 | 5-3 | ||
약물 | 티몰롤말레산염 | 0.1 | 0.1 | 0.1 |
주고분자 | p(HEMA) (Mw=1,000,000) | 1.5 | 1.5 | 1.5 |
조절고분자 | PVP K30 (Mw=30,000) | 0.2 | 0.3 | 0.4 |
가소제 | PEG 300 | 0.2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2.0 | 2.1 | 2.2 |
실험예 5: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1)
실시예 5 및 비교예 5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5 cm의 직경과 1.5 cm의 높이를 지닌 폴리에틸렌 챔버에 약물 필름이 내장된 콘택트렌즈를 45도의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핀으로 고정한 후,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200 μL/hr의 속도로 인공눈물을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가해주었다. 이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콘택트렌즈 표면을 통해 흘러내려온 시험액을 0.1mL 채취하여 희석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방출된 티몰롤말레산염의 양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티몰롤말레산염이 분산된 poly(HEMA)에 조절고분자로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면 티몰롤말레산염의 방출을 다양한 속도로 조절할 수 있었다(실시예 5-2 내지 5-4). 첨가된 에틸셀룰로오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티몰롤말레산염의 방출속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티몰롤말레산염이 분산된 poly(HEMA)에 조절고분자로서 PVP K30을 첨가할 경우 티몰롤말레산염의 방출속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지 못하였다(비교예 5-1 내지 5-3).
실시예 6: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2)
상기 실험예 2를 통해 약물인 인슐린 특성에 적합한 주고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주고분자 이외에 인슐린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6 | |||
6-1 | 6-2 | 6-3 | 6-4 | ||
약물 | 인슐린 | 0.1 | 0.1 | 0.1 | 0.1 |
주고분자 | PVA (Mw=5,000) | 1.7 | 1.7 | 1.7 | 1.7 |
조절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 | 0 | 0.1 | 0.2 | 0.3 |
가소제 | Propylene glycol | 0.2 | 0.2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2.0 | 2.1 | 2.2 | 2.3 |
구체적으로, 인슐린을 멸균 정제수에 용해한 후 이후 PVA(polyvinyl alcohol)와 propylene glycol을 차례대로 용해시켰다. 인슐린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해 에틸셀룰로오스를 50%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였다(실시예 6-2, 6-3, 6-4). 제조된 용액을 가교된 poly(HEMA)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하부렌즈의 표면에 일정량 적가하여 약물함유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부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HEMA를 추가로 가해준 후 중합 및 가교반응을 통해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지 않고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2)
하기 표 8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6과 동일하고, 조절고분자의 종류(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만 다르게 설정하였다.
구분 | 성분 (mg) | 비교예 6 | ||
6-1 | 6-2 | 6-3 | ||
약물 | 인슐린 | 0.1 | 0.1 | 0.1 |
주고분자 | PVA (Mw=5,000) | 1.7 | 1.7 | 1.7 |
조절고분자 | HPMC (Mw=10,000) | 0.1 | 0.2 | 0.3 |
가소제 | Propylene glycol | 0.2 | 0.2 | 0.2 |
필름 무게 (mg/78.5cm2) | 2.1 | 2.2 | 2.3 |
실험예 6: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3)
실시예 6 및 비교예 6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슐린이 분산된 PVA에 에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면 인슐린의 방출을 다양한 속도로 조절할 수 있었다(실시예 6-2 내지 6-4). 첨가된 에틸셀룰로오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인슐린의 방출속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인슐린이 분산된 PVA에 HPMC를 첨가하면 인슐린의 방출속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지 못하였다(비교예 6-1 내지 6-3).
실시예 7: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3)
상기 실험예 3을 통해 약물인 로라타딘염산염 특성에 적합한 주고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주고분자 이외에 로라타딘염산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7 | |||
7-1 | 7-2 | 7-3 | 7-4 | ||
약물 | 로라타딘염산염 | 0.2 | 0.2 | 0.2 | 0.2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0) | 2.0 | 2.0 | 2.0 | 2.0 |
조절고분자 | HEC (Mw=15,000) | 0 | 0.2 | 0.4 | 0.6 |
가소제 | Castor oil | 0.1 | 0.1 | 0.1 | 0.1 |
필름 무게 (mg/78.5cm2) | 2.3 | 2.5 | 2.7 | 2.9 |
구체적으로, 로라타딘염산염의 80% 에탄올 수용액에 에틸셀룰로오스와 가소제로 castor oil을 가한 후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로라타딘염산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해 hydroxyethylcellulose(HEC)(실시예 7-2 내지 7-4)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제조된 용액을 가교된 poly(HEMA)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하부렌즈의 표면에 일정량 적가하여 약물함유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부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HEMA를 추가로 가해준 후 중합 및 가교반응을 통해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지 않고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3)
하기 표 10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7과 동일하고, 조절고분자의 종류(collagen)만 다르게 설정하였다.
구분 | 성분 (mg) | 비교예 7 | ||
7-1 | 7-2 | 7-3 | ||
약물 | 로라타딘염산염 | 0.2 | 0.2 | 0.2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50,000) | 2.0 | 2.0 | 2.0 |
조절고분자 | Collagen (Mw=100,000) | 0.2 | 0.4 | 0.6 |
가소제 | Castor oil | 0.1 | 0.1 | 0.1 |
필름 무게 (mg/78.5cm2) | 2.5 | 2.7 | 2.9 |
실험예 7: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4)
실시예 7 및 비교예 7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로라타딘이 분산된 에틸셀룰로오스에 HEC를 첨가하면 로라타딘의 방출을 다양한 속도로 조절할 수 있었다(실시예 7-2 내지 7-4). 첨가된 HEC의 양이 증가할수록 로라타딘의 방출속도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로라타딘이 분산된 에틸셀룰로오스에 collagen을 첨가하면 로라타딘의 방출속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지 못하였다(비교예 7-1 내지 7-3).
실시예 8: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4)
상기 실험예 4을 통해 약물인 사이클로스포린 특성에 적합한 주고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주고분자 이외에 사이클로스포린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분자를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하여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에 포함되는 고분자필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mg) | 실시예 8 | |||
8-1 | 8-2 | 8-3 | 8-4 | ||
약물 | 사이클로스포린 | 0.1 | 0.1 | 0.1 | 0.1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20,000) | 1.9 | 1.9 | 1.9 | 1.9 |
조절고분자 | Hyaluronic acid (Mw=30,000) | 0 | 0.1 | 0.2 | 0.3 |
가소제 | Oleic acid | 0.02 | 0.02 | 0.02 | 0.02 |
분산 보조제 | Tween 80 | 0.08 | 0.08 | 0.08 | 0.08 |
필름 무게 (mg/78.5cm2) | 2.1 | 2.2 | 2.3 | 2.4 |
구체적으로, 사이클로스포린의 에탄올 용액에 에틸셀룰로오스와 oleic acid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후 에탄올 부피의 10% 이내의 멸균정제수에 Tween 80을 용해시킨 후, 사이클로스포린과 에틸셀룰로오스 및 oleic acid의 에탄올 용액에 천천히 가해주고 500 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멸균정제수에 hyaluronic acid를 가해 용해시킨 후 Tween 80을 용해시켰다. 제조된 용액을 가교된 poly(HEMA)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하부렌즈의 표면에 일정량 적가하여 약물함유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부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HEMA를 추가로 가해준 후 중합 및 가교반응을 통해 약물 필름이 샌드위치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약물의 특성에 기반하지 않고 선택된 조절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4)
하기 표 12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고분자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8과 동일하고, 조절고분자의 종류(chitin)를 다르게 설정하고 chitin의 용매로서 에탄올 및 물의 혼합액을 이용하였다.
구분 | 성분 (mg) | 비교예 8 | ||
8-1 | 8-2 | 8-3 | ||
약물 | 사이클로스포린 | 0.1 | 0.1 | 0.1 |
주고분자 | 에틸셀룰로오스 (Mw=20,000) | 1.9 | 1.9 | 1.9 |
조절고분자 | Chitin (Mw=50,000) | 0.1 | 0.2 | 0.3 |
가소제 | Oleic acid | 0.02 | 0.02 | 0.02 |
가소제 분산 보조제 | Tween 80 | 0.08 | 0.08 | 0.08 |
필름 무게 (mg/78.5cm2) | 2.2 | 2.3 | 2.4 |
실험예 8: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특성 확인 (4)
실시예 8 및 비교예 8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 약물의 방출 시간 및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이클로스포린이 분산된 에틸셀룰로오스에 hyaluronic acid를 첨가하면 사이클로스포린의 방출을 다양한 속도로 조절할 수 있었다(실시예 8-2 내지 8-4). 첨가된 hyaluronic acid의 양이 증가할수록 사이클로스포린의 방출속도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사이클로스포린이 분산된 에틸셀룰로오스에 chitin을 첨가하면 chitin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사이클로스포린의 방출속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지 못하였다(비교예 8-1 내지 8-3).
100: 콘택트렌즈 110: 외측 렌즈
120: 고분자 필름 130: 내측 렌즈
132: 약물 담지부 133: 돌출부
140: 약물 300: 미세홀
400: 딤플
120: 고분자 필름 130: 내측 렌즈
132: 약물 담지부 133: 돌출부
140: 약물 300: 미세홀
400: 딤플
Claims (7)
-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눈에 사용 가능한 약물과 약물의 안정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한 주고분자 및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약물의 용해도 및 분자량에 따라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는 하기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인 티몰롤말레산염 및 인슐린 중 하나 이상의 약물일 경우, 주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히알루론산, 알긴산, 폴록사머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고, 조절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콜라겐,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며,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인 티몰롤말레산염일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85,000 내지 1,50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인 인슐린일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1,000g/mol 내지 8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거나,
2)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 mg/ml 미만인 로라타딘염산염 및 사이클로스포린 중 하나 이상의 약물일 경우, 주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콜라겐,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조절고분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히알루론산, 알긴산, 폴록사머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약물의 분자량이 35g/mol 내지 1,000g/mol인 로라타딘염산염일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25,000g/mol 내지 15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하고, 약물의 분자량이 1,000g/mol 초과 150,000g/mol 이하인 사이클로스포린인 경우 상기 주고분자들 중에서 1,000g/mol 내지 20,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주고분자를 선택한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분자 및 조절고분자의 혼합비율은 1: 0.05~0.3 중량비인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고분자 필름 원료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기 약물의 용해도가 1mg/ml 내지 200mg/ml일 경우 친수성 가소제를 포함하고, 약물의 용해도가 0.01mg/ml 내지 1mg/ml 미만일 경우 소수성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가소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디아세틴, 트리아세틴, 트라이에틸 시틀산염, 트라이에틸 인산염, 트라이메틸 인산염, 디에틸 타타르산염,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가소제는 식물성 유지, 지방산,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아세틸레이티드 모노글리세라이드, 디부틸세바스산염,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염, 아세틸부틸 시트르산염 및 트리부틸 시트르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3674A KR102612306B1 (ko) | 2021-11-30 | 2023-02-22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112A KR20230080701A (ko) | 2021-11-30 | 2021-11-30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
KR1020230023674A KR102612306B1 (ko) | 2021-11-30 | 2023-02-22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112A Division KR20230080701A (ko) | 2021-11-30 | 2021-11-30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1995A KR20230081995A (ko) | 2023-06-08 |
KR102612306B1 true KR102612306B1 (ko) | 2023-12-13 |
Family
ID=867608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112A KR20230080701A (ko) | 2021-11-30 | 2021-11-30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
KR1020230023674A KR102612306B1 (ko) | 2021-11-30 | 2023-02-22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112A KR20230080701A (ko) | 2021-11-30 | 2021-11-30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30080701A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479B1 (ko) | 2003-01-17 | 2005-09-1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안질환 치료용 약물전달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102353455B1 (ko) | 2017-09-26 | 2022-01-20 | 광주과학기술원 | 안구질환 치료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KR20190118254A (ko) | 2018-04-10 | 2019-10-18 | 김근희 | 상분리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리도케인, 비타민 e)을 함유한 하이드로젤 약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KR102428619B1 (ko) * | 2019-09-25 | 2022-08-04 |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망막병증 치료용 약물 방출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17260B1 (ko) | 2019-12-10 | 2020-06-03 | (주)드림콘 | 녹내장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방법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8112A patent/KR20230080701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3
- 2023-02-22 KR KR1020230023674A patent/KR102612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0701A (ko) | 2023-06-07 |
KR20230081995A (ko) | 2023-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zman-Aranguez et al. | Contact lenses: promising devices for ocular drug delivery | |
Xu et al. | A comprehensive review on contact lens for ophthalmic drug delivery | |
Torres-Luna et al. | Hydrogel-based ocular drug delivery systems for hydrophobic drugs | |
Alvarez-Lorenzo et al. | Contact lenses for drug delivery: achieving sustained release with novel systems | |
Zhu et al. | Sustained ophthalmic delivery of highly soluble drug using pH-triggered inner layer-embedded contact lens | |
US8404271B2 (en) | Contact drug delivery system | |
Ciolino et al. | A drug-eluting contact lens | |
EP0219208B1 (en) | Substained-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an amino acid polymer | |
RU2749426C2 (ru) | Неинвазивная методика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мощью глазного вкладыша | |
Lanier et al. | Commercialization challenges for drug eluting contact lenses | |
TW201004611A (en) | Ophthalmic device having therapeutic agent delivery capability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Shahiwala | Applications of polymers in ocular drug delivery | |
Roy et al. | Polymeric drug delivery devices: Role in cornea and external disease | |
Yang et al. | Contact lens as an emerging platform for ophthalmic drug delivery: A systematic review | |
JP7506734B2 (ja) | 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モールド | |
KR102612306B1 (ko) |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 |
CN109985025B (zh) | 具有pH触发释药特征的眼部缓释给药系统 | |
JP2005507866A (ja) | 管理治療のための薬物放出システム | |
CN114224821A (zh) | 包含基于渗透压机制增加药物眼后部递送系统的覆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 |
Khokhar et al. | Ocular drug Delivery system-a review based on ocuserts | |
KR20220096403A (ko) |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1840222B (zh) | 一种胶束内含型载药角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 |
Aljaberi et al. | Contact Lens as Drug Delivery System for Glaucoma Treatment: A Review | |
Zhao et al. | MIP as drug delivery systems of ophthalmic drugs | |
BR112018016301B1 (pt) | Tecnologia não-invasiva de inserto ocular para libertação controlada de fármaco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