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12B1 -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 Google Patents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12B1
KR102612212B1 KR1020210142482A KR20210142482A KR102612212B1 KR 102612212 B1 KR102612212 B1 KR 102612212B1 KR 1020210142482 A KR1020210142482 A KR 1020210142482A KR 20210142482 A KR20210142482 A KR 20210142482A KR 102612212 B1 KR102612212 B1 KR 10261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nge
feed
rotating body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817A (ko
Inventor
정호창
서윤기
문성용
김병민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넷 filed Critical (주)아쿠아넷
Priority to KR102021014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분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중심에 유입공(122)이 관통 형성된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마주보게 위치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배출공(132)이 형성된 제2플랜지(13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2플랜지(130)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접촉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유입공(142a)을 통해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제1유로(152)가 형성된 고정체(150)와,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체(150)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152)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구(163)을 통해 상기 제2플랜지(130)의 복수개의 배출공(132)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게 제2유로(162)가 형성된 회전체(160)와, 일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0) 내의 상기 회전체(160)와 축결합되어 회전체(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어장용 사료분배기{feed distributor for fish farms}
본 발명 사료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어장 내의 각 사육실에 사료를 자동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사료가 분배기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양어장용 사료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양식장 등에서는 양식 어류에 인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 이와 같은 사료 공급은 정해진 시간 및 공급량에 맞춰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어류 양식장에서는 이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직접 사료가 담긴 용기를 들고 다니며,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사료를 양식장 내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사료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이때, 통상의 양어장은 양식 어류가 생활하는 사육실이 마련되고, 이 사육실은 어류의 종류, 상태, 나이에 따라 분류하여 서식할 수 있게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각각의 구획된 각각의 사육실에 작업자가 직접 사료를 뿌려주는 방식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오늘날 어류 양식장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양식 어류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소량의 사료를 빈번하게 공급해줘야 보다 원활한 성장이 가능한데,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시간이나 인력의 제한으로 인해 이와 같은 소량의 빈번한 사료 공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에 일정하게 각 사육실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분배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 사료를 공급하는 스파우트(2)가 주축(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우징(1)의 타츠에는 상기 스파우트(2)를 통해 공급된 사료가 배출되는 여러개의 배출구(1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배출구(1a)에는 배출관(1b)이 연결된다.
따라서, 스파우트(2)를 회전시켜 서로 다른 배출구(1a)와 배출관(1b)을 통해 각각의 사료를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료를 분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료분배기는 스파우트(2)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스파우트(2)와 배출구(1a)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료를 분배할 때 발생된 분진과 같은 잔류물이 하우징(1)의 내부에 쌓이게 되며, 이와 같이 쌓인 잔류물이 하우징(1) 내부에서 부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겨울철의 경우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결로현상에 의해 잔류물의 부패가 촉진되므로 하우징(1) 내부를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료분배기는 스파우트(2)의 하부에 배출구(1a)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스파우트(2)와 배출구(1a) 사이의 틈새로 사료가 이탈되면서 하우징(1) 내부에 잔류 및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부패된 잔류물이 상기 스파우트(2)를 통해 공급되는 신선한 사료와 혼합되거나 공급되는 일 종류의 사료가 다른 종류의 사료와 혼합되어 신선한 사료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경우, 사료가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등과 같은 기준에 부적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사료분배기를 강구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2233426호(2021년 3월 23일 등록) 등록특허 제10-2483357호(2022년 12월 27일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육실에 사료를 쉽고 간편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분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공급되는 사료가 하우징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료가 잔류하면서 발생하는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료분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료분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중심에 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마주보게 위치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와 접촉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유입공을 통해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제1유로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체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구을 통해 상기 제2플랜지의 복수개의 배출공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게 제2유로가 형성된 회전체와, 일측이 상기 제2플랜지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회전체와 축결합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공급되는 사료가 분배기의 하우징 내에 잔류되지 않기 때문에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분배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사료를 양어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수직형이 아닌 수평형으로 설치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소음이 적은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료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고정체와 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의 회전체가 회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양어장 내 복수의 사육실에 사료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분배기(100)로서, 사료의 분배시 하우징내에 공급되는 사료가 잔류되지 않도록 하여 사료가 잔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료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100)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중심에 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마주보게 위치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플랜지(13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2플랜지(130)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접촉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유입공을 통해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공이 형성된 고정체(150)와,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체(150)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회전체(160)와, 일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0) 내의 상기 회전체(160)와 축결합되어 회전체(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플랜지(120) 및 제2플랜지(130)는 판 형상의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되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플랜지(120)는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중앙부에 유입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130)는 중앙부를 기점으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120)에 형성된 유입공(122)에는 사료저장통(미도시)에서 사료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관(100a)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132)에는 각 사육실로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100b)가 마련된다.
하우징(140)은 상기 제1플랜지(120)와 제2플랜지(130)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40)을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140)을 제1하우징(142)과 제2하우징(144)으로 형성한 후 상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트(s)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42)에는 상기 제1플랜지(120)의 유입공(122)과 상응하는 위치에 유입공(1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144)에는 상기 제2플랜지(130)의 배출공(132)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개의 배출공(144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0) 내 수용공간에는 고정체(150)와 회전체(16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체(150)와 회전체(160)는 유입되는 사료를 원하는 사육실로 공급할 수 있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150) 및 상기 회전체(160)에는 상기 유입공(142a)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공(144a)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제1하우징(142)의 유입공(142a)과 상기 제2하우징(144)의 배출공(144a)을 연결하는 유로(152,16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150)는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복수개의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유입공(142a)을 통해 유입된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제1유로(1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체(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회전은 되지 않으며 상기 제1플랜지(120)에 대해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50)는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되지는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제1하우징(142)의 유입공(142a)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제1유로(152)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체(15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160)가 위치되는 면은 내측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만곡진 형태를 이룬다.
회전체(160)는 일면이 상기 고정체(150)의 움푹 패이게 형성된 일면과 대응되게 일면에 상기 고정체(150)가 위치된 방향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60)는 상기 고정체(150)의 제1유로(152)와 맞닿는 중앙부터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제2유로(16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 상기 제2유로(162)와 연통되게 배출구(16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63)는 상기 회전체(160)의 회전시 상기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144a)과 선택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배출공(144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로(152,162)를 통해 유동되는 사료가 상기 배출공(144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구동모터(170)는 상기 제2플랜지(13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172)이 상기 제2플랜지(13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40) 내의 회전체(160)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회전축(172)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체(160)가 회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100)는 상기 유입관(100a)을 통해 제1하우징(142)의 사료가 유입되면 하우징(140) 내에 마련된 고정체(150)의 제1유로(152)를 따라 유동되며, 제1유로를 통해 유동된 사료는 제2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140)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사료는 제2하우징(144)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관(미도시)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70)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사육실과 연결된 배출관으로 사료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하우징(140) 내로 사료가 과하게 유입될 경우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고정체(1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사료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는 사료가 유입 및 유동되는 동시에 각각의 사료실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140) 내에 고정체(150)와 회전체(160)를 설치한 후 회전체(160)는 사료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원뿔형상을 띄도록 하되, 중앙부에서 경사면을 따라 테두리가 위치된 방향으로 움푹 패이게 제2유로(16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162)가 끝나는 부분에 배출구(163)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체(150)는 상기 회전체(160)와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일측이 상기 고정체(150)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제1유로(152)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162)가 형성된 회전체(160)가 회전되면서 사료가 분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고정체(150)에 대해 회전체(16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료가 유동되는 유로를 제1유로(152)와 제2유로(162)로 구분한 후 제2유로(162)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회전체(160)의 유로 내에 사료가 잔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100)는 상기 회전체(160)의 배출구(163)와 상기 제2하우징(144) 및 제2플랜지(130)에 형성된 배출공(144a,132)과 일치되게 위치될 수 있게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를 구동모터(170)와 연결하여 구동모터(17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체(160)를 정위치에 정지 및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분배기(100)는 양어장 내의 각 사육실에 사료를 자동으로 분배할 수 있으며, 사료가 분배기 내에 잔류하지 않게되어 결과적으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료분배기 110 : 베이스
120 : 제1플랜지 122 : 유입공
130 : 제2플랜지 132 : 배출공
140 : 하우징 142 : 제1하우징
142a : 유입공 144 : 제2하우징
144a : 배출공 150 : 고정체
151 : 스프링 152 : 제1유로
160 : 회전체 162 : 제2유로
163 : 배출구 170 : 구동모터
172 : 회전축

Claims (7)

  1.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공(142a)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공(142a)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될 수 있게 복수개의 배출공(144a)이 형성된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유입공(142a)을 통해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제1유로(152)가 형성된 고정체(150)와,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체(150)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152)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구(163) 통해 상기 하우징(14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144a)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게 제2유로(162)가 형성된 회전체(160)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140)과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0) 내의 상기 회전체(160)와 축결합되어 회전체(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2.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중심에 유입공(122)이 관통 형성된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마주보게 위치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배출공(132)이 형성된 제2플랜지(130)와,
    상기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2플랜지(130)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랜지(120)와 접촉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유입공(142a)을 통해 사료가 유입될 수 있게 제1유로(152)가 형성된 고정체(150)와,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체(150)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4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유로(152)을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구(163)을 통해 상기 제2플랜지(130)의 복수개의 배출공(132)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게 제2유로(162)가 형성된 회전체(160)와,
    일측이 상기 제2플랜지(130)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0) 내의 상기 회전체(160)와 축결합되어 회전체(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3. 청구항 1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4. 청구항 1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50)는 상기 회전체(160)가 위치되는 면의 내측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만곡진 형태를 이루고, 상기 회전체(160)는 일면이 상기 고정체(150)의 움푹 패이게 형성된 일면과 대응되게 상기 고정체(150)가 위치된 방향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60)는
    상기 고정체(150)의 제1유로(152)와 맞닿는 중앙부터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제2유로(16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 상기 제2유로(162)와 연통되게 배출구(1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6. 청구항 1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50)는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복수개의 스프링(151)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7. 청구항 1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60)의 배출구(163)와 상기 하우징(140)의 제2하우징(144)에 형성된 배출공(144a)과 일치되게 상기 회전체(16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위치감치센서를 구동모터(170)와 연결하여 상기 회전체(16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체(160)를 정위치에 정지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KR1020210142482A 2021-10-25 2021-10-25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KR10261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482A KR102612212B1 (ko) 2021-10-25 2021-10-25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482A KR102612212B1 (ko) 2021-10-25 2021-10-25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17A KR20230058817A (ko) 2023-05-03
KR102612212B1 true KR102612212B1 (ko) 2023-12-11

Family

ID=8638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482A KR102612212B1 (ko) 2021-10-25 2021-10-25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60B1 (ko) 2007-09-27 2008-02-01 한일사료 주식회사 사료 분배장치
KR101000884B1 (ko) 2010-01-11 2010-12-13 (주)성운프렌트 사료 분배기
KR101229080B1 (ko) 2011-02-17 2013-02-04 주식회사 홍익플랜트 사료분배기
KR102342826B1 (ko) 2021-10-12 2021-12-23 최삼규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058U (ja) * 1983-03-09 1984-09-17 岸本 良幸 自動給餌装置
JPH03292837A (ja) * 1990-04-12 1991-12-24 Daikin Ind Ltd 自動給餌機
JPH0570268U (ja) * 1992-03-06 1993-09-24 日新興業株式会社 活餌魚の移送装置
KR102483357B1 (ko) 2020-11-10 2023-01-02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
KR102233426B1 (ko) 2020-11-11 2021-03-29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급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60B1 (ko) 2007-09-27 2008-02-01 한일사료 주식회사 사료 분배장치
KR101000884B1 (ko) 2010-01-11 2010-12-13 (주)성운프렌트 사료 분배기
KR101229080B1 (ko) 2011-02-17 2013-02-04 주식회사 홍익플랜트 사료분배기
KR102342826B1 (ko) 2021-10-12 2021-12-23 최삼규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17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nhydrous ammonia application by optimizing distribution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EP3175696A1 (en) Distributing device, manuring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liquid substances
KR20180120918A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CN103975888B (zh) 远程气动送料投饲增氧机
KR102612212B1 (ko)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CN204324314U (zh) 螺钉分配器
KR102134167B1 (ko) 액상 자동 급이기
US6505756B1 (en) Delivery device for small parts and transportation channel
CN105854727A (zh) 用于物料自动混合的装置
US20200323176A1 (en) A method of filling feeding pans as well as a feeding system
KR102415816B1 (ko)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CN106040034A (zh) 物料自动混合装置
KR102233426B1 (ko)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급이기
CN215200991U (zh) 一种机床切削液自动调配供应装置
CN212382024U (zh) 一种离心式分送装置
KR20220063422A (ko) 사료정량공급장치
KR20230162389A (ko) 사료분배기
EP1145631A1 (en) Automatic feeder construction for poultry
KR20190132180A (ko)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CN109964836B (zh) 喂养器
CN111972104A (zh) 一种新型排肥器
KR200188614Y1 (ko)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CN211657166U (zh) 一种便于自动化养殖饲养装置
CN210524390U (zh) 全自动锁螺丝机的螺丝进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