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54B1 - 트럭 프레임 - Google Patents

트럭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754B1
KR102610754B1 KR1020190006169A KR20190006169A KR102610754B1 KR 102610754 B1 KR102610754 B1 KR 102610754B1 KR 1020190006169 A KR1020190006169 A KR 1020190006169A KR 20190006169 A KR20190006169 A KR 20190006169A KR 102610754 B1 KR102610754 B1 KR 10261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ail
web
flange
overlapping portion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449A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754B1/ko
Priority to US16/600,867 priority patent/US11447182B2/en
Priority to CN201911010861.7A priority patent/CN111439305A/zh
Priority to DE102019216352.1A priority patent/DE102019216352A1/de
Publication of KR2020008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X-shaped or fork-shaped construction, i.e. having members which form an X or fork as the frame is seen in plan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트럭 프레임은,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와, 상기 제1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를 가진 제1사이드레일;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와, 상기 제2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에 대향하도록 이격된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럭 프레임{TRUCK FRAME}
본 발명은 트럭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강성을 개선하고 한 쌍의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터리 또는 다양한 부속품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트럭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트럭은 화물이나 무거운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트럭 프레임은 트럭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레일을 가지며, 한 쌍의 사이드레일은 트럭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각 사이드레일은 일정 높이를 가진 웨브(web) 및 웨브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flange)를 가진 C-형상의 빔(beam)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럭 프레임은 사이드레일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멤버를 가지며, 복수의 크로스멤버는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각 크로스멤버는 사이드레일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 및 각 사이드레일의 웨브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이에 각 크로스멤버는 사이드레일들의 웨브들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도록 구성된다.
내연기관을 가진 트럭은 배기가스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를 초래하며, 특히 디젤 엔진을 가진 트럭은 미세먼지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배터리 및 전기모터를 이용한 전기트럭이 개발되고 있다. 전기트럭은 전기모터, 기타 전장품의 작동을 위한 전자시스템이 신규로 개발되었지만, 전기트럭의 차체는 기존의 디젤 엔진용 트럭 프레임을 사용하는 실정이다.
전기트럭은 디젤엔진 트럭과는 달리 엔진 및 차량의 앞뒤를 가로지르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없지만, 전기모터 등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 장착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로 한다. 특히, 전기트럭은 배터리에 의한 주행거리가 가장 중요한 상품성 요소이고, 예컨대 배터리 2개가 장착되면 그 주행거리는 380km이지만, 배터리가 1개 더 장착되면 그 주행거리가 기존 보다 50% 정도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그 상품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트럭 프레임은 복수의 크로스멤버가 사이드레일들의 웨브들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움에 따라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즉, 기존 트럭 프레임은 사이드레일들 사이의 빈 공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 트럭 프레임은 사이드레일들 사이의 빈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사이드레일들 사이의 일부 구간에서 크로스멤버를 삭제할 경우 전기트럭의 차체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쌍의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터리 또는 다양한 부속품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차체 강성을 개선함으로써 디젤엔진 트럭, 전기트럭 등과 같은 다양한 트럭에 공용으로 적용가능한 트럭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은,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와, 상기 제1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를 가진 제1사이드레일;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와, 상기 제2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에 대향하도록 이격된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강멤버;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강멤버;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강멤버;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강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멤버 및 상기 제2보강멤버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보강멤버 및 상기 제4보강멤버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지며, 상기 제2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 및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지며, 상기 제4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보강멤버의 중첩부 및 상기 제4보강멤버의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은, 상기 제1보강멤버, 상기 제2보강멤버, 상기 제3보강멤버, 상기 제4보강멤버,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배터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럭 프레임은,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와, 상기 제1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를 가진 제1사이드레일;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와, 상기 제2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에 대향하도록 이격된 제2사이드레일;
트럭의 전륜과 인접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방측 보강구조;
트럭의 후륜과 인접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후방측 보강구조;
상기 전방측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 및
상기 후방측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후방측 부품 장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외장부품이 상기 전방측 보강구조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외장부품이 상기 후방측 보강구조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터리 또는 다양한 부속품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차체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디젤엔진 트럭, 전기트럭 등과 같은 다양한 트럭에 공용으로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의 전방측 보강구조 및 후방측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방측 보강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후방측 보강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10)은 트럭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레일(11)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사이드레일(11)은 C형상의 단면 또는 I형상의 단면을 가진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이드레일(11)은 대략 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사이드레일(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에 해당됨)으로 연장된 제1웨브(21)와, 제1웨브(21)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23)와, 제1웨브(21)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레일(12)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사이드레일(12)은 C형상의 단면 또는 I형상의 단면을 가진 빔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사이드레일(12)은 대략 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사이드레일(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에 해당됨)으로 연장된 제2웨브(22)와, 제2웨브(22)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24)와, 제2웨브(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사이드레일(12)은 C형상 또는 I형상의 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 프레임(10)은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크로스멤버(13)는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크로스멤버(1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각 크로스멤버(1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각 크로스멤버(1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 사이의 공간을 채우므로, 크로스멤버(13)가 장착된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는 배터리, 또는 무거운 중량을 가진 부품들이 장착될 수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외장부품(1, 2, 3, 4)이 제1사이드레일(11)의 외측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외측에 브라켓(9)들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외장부품(1, 2, 3, 4)은 배터리(1), 컨트롤러(2), 배터리(1)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쿨링모듈(3, cooling module), 냉장기(4, chiller) 들일 수 있다. 배터리(1) 및 쿨링모듈(3)은 제2사이드레일(12)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고, 컨트롤러(2) 및 냉장기(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1)로부터 전기모터, 기타 전장부품의 작동을 위한 전자시스템(5)이 트럭 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특히 전자시스템(5)은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전륜(6)이 트럭 프레임(1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고, 배터리(1) 및 컨트롤러(2)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외장부품들은 전륜(6)들에 인접할 수 있다. 한 쌍의 후륜(7)이 트럭 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고, 쿨링모듈(3) 및 냉장기(4)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외장부품들은 후륜(7)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럭 프레임(10)은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50, 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50, 60)은 추가 배터리(8) 또는 기타 무거운 중량을 가진 부품 등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50, 60)은 복수의 보강멤버(31, 32, 33, 34, 41, 42, 43, 44)를 가진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30, 40)에 의해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부품 장착공간(50, 60)은 전륜(6)들과 후륜(7)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보강멤버(31, 32, 33, 34, 41, 42, 43, 44)는 메탈 스트립(metal strip)일 수 있고, 각 보강멤버(31, 32, 33, 34, 41, 42, 43, 44)의 두께는 대략 6mm정도일 수 있다.
각 보강구조(30, 40)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를 연결하도록 X자형태로 교차하는 제1보강멤버(31, 41) 및 제2보강멤버(32, 42)와,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를 연결하도록 X자형태로 교차하는 제3보강멤버(33, 43) 및 제4보강멤버(34, 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부품 장착공간(50, 60)은 제1보강멤버(31, 41), 제2보강멤버(32, 42), 제3보강멤버(33, 43), 제4보강멤버(34, 44),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장착공간(50, 60)은 전륜(6)에 인접한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50) 및 후륜(7)에 인접한 후방측 부품 장착공간(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50)은 전방측 보강구조(30)에 의해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전방측 보강구조(30)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를 가로질러 연결하고,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를 가로질러 연결함으로써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웨브(21)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웨브(22) 사이에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50)을 한정할 수 있다. 전방측 보강구조(30)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전방측 제1보강멤버(31)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와,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전방측 제3보강멤버(33)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제1보강멤버(31)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front reinforcing member 31 may extend diagonally between the first top flange 23 of the frist side rail 11 and the second top flange 24 of the second side rail 12). 전방측 제1보강멤버(31)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31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1b)와, 전방측 결합플랜지(31a) 및 후방측 결합플랜지(31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31c)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결합플랜지(31a)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1b) 보다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측 제2보강멤버(32)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제2보강멤버(32)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2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32b)와, 후방측 결합플랜지(32a) 및 전방측 결합플랜지(32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32c)를 가질 수 있다. 후방측 결합플랜지(32a)가 전방측 결합플랜지(32b) 보다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전방측 결합플랜지(31a)는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전방측 결합플랜지(32b)와 대향할 수 있고,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후방측 결합플랜지(31b)는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후방측 결합플랜지(32a)와 대향할 수 있다.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는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와 중첩될 수 있고,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는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측 조인트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 제1보강멤버(31)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각 결합플랜지(31a, 31b)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각 결합플랜지(32a, 32b)는 2개의 볼트를 통해 각 사이드레일(11, 12)의 각 상측플랜지(23, 24)에 결합될 수 있고,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는 4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전방측 제1보강멤버(31)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가 다른 전방측 보강멤버의 전방측 중첩부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recessed)될 수 있고, 이에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가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됨으로써 전방측 제2보강멤버(32)의 중첩부(32c)가 전방측 제1보강멤버(31)의 중첩부(31c)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측 제1보강멤버(31) 및 전방측 제2보강멤버(32)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대해 평탄하게(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방측 제3보강멤버(3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제3보강멤버(3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33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3b)와, 전방측 결합플랜지(33a) 및 후방측 결합플랜지(33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33c)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결합플랜지(33a)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3b) 보다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측 제4보강멤버(3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제4보강멤버(3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34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34b)와, 후방측 결합플랜지(34a) 및 전방측 결합플랜지(34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34c)를 가질 수 있다. 후방측 결합플랜지(32a)가 전방측 결합플랜지(32b) 보다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전방측 결합플랜지(33a)는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전방측 결합플랜지(34b)와 대향할 수 있고,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후방측 결합플랜지(33b)는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후방측 결합플랜지(34a)와 대향할 수 있다.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는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와 중첩될 수 있고,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는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하측 조인트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 제3보강멤버(33)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는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각 결합플랜지(33a, 33b)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각 결합플랜지(34a, 34b)는 2개의 볼트를 통해 각 사이드레일(11, 12)의 각 하측플랜지(25, 26)에 결합될 수 있고,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는 4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전방측 제3보강멤버(33)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가 다른 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될 수 있고, 이에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가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됨으로써 전방측 제4보강멤버(34)의 중첩부(34c)가 전방측 제3보강멤버(33)의 중첩부(33c)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측 제3보강멤버(33) 및 전방측 제4보강멤버(3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에 대해 평탄하게(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측 보강구조(30)는 전륜(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방측 보강구조(30)는 가장 무거운 부품에 해당하는 배터리(1) 및 컨트롤러(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럭 프레임(10)의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은 그 외측에 장착된 배터리(1) 및 컨트롤러(2)에 의해 그 비틀림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지만, 전방측 보강구조(30)가 배터리(1) 및 컨트롤러(2)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트럭 프레임(10)의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은 비틀림 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트럭 프레임(10)은 전방측 보강구조(30)에 의해 차체의 강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 추가적인 배터리(8) 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 들을 장착할 수 있는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50)을 한정할 수 있다.
후방측 보강구조(40)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후방측 제1보강멤버(41)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와,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후방측 제3보강멤버(43)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측 제1보강멤버(41)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측 제1보강멤버(41)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41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1b)와, 전방측 결합플랜지(41a) 및 후방측 결합플랜지(41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41c)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결합플랜지(41a)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1b) 보다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측 제2보강멤버(42)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측 제2보강멤버(42)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상측플랜지(23)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2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42b)와, 후방측 결합플랜지(42a) 및 전방측 결합플랜지(42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42c)를 가질 수 있다. 후방측 결합플랜지(42a)가 전방측 결합플랜지(42b) 보다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전방측 결합플랜지(41a)는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전방측 결합플랜지(42b)와 대향할 수 있고,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후방측 결합플랜지(41b)는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후방측 결합플랜지(42a)와 대향할 수 있다.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는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와 중첩될 수 있고,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는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측 조인트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 제1보강멤버(41)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각 결합플랜지(41a, 41b)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각 결합플랜지(42a, 42b)는 2개의 볼트를 통해 각 사이드레일(11, 12)의 각 상측플랜지(24, 25)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는 4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후방측 제1보강멤버(41)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가 다른 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될 수 있고, 이에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 및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가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됨으로써 후방측 제2보강멤버(42)의 중첩부(42c)가 후방측 제1보강멤버(41)의 중첩부(41c)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후방측 제3보강멤버(4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측 제3보강멤버(43)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43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3b)와, 전방측 결합플랜지(43a) 및 후방측 결합플랜지(43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43c)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결합플랜지(43a)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3b) 보다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측 제4보강멤버(4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측 제4보강멤버(4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후방측 결합플랜지(44a)와,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상측플랜지(24)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결합플랜지(44b)와, 후방측 결합플랜지(44a) 및 전방측 결합플랜지(44b)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44c)를 가질 수 있다. 후방측 결합플랜지(44a)가 전방측 결합플랜지(44b) 보다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전방측 결합플랜지(43a)는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전방측 결합플랜지(44b)와 대향할 수 있고,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후방측 결합플랜지(43b)는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후방측 결합플랜지(44a)와 대향할 수 있다.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는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와 중첩될 수 있고,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는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하측 조인트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 제3보강멤버(43)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는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각 결합플랜지(43a, 43b)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각 결합플랜지(44a, 44b)는 2개의 볼트를 통해 각 사이드레일(11, 12)의 각 하측플랜지(25, 26)에 결합될 수 있고,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는 4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후방측 제3보강멤버(43)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가 다른 후방측 보강멤버의 중첩부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될 수 있고, 이에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가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에 대해 트럭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함몰됨으로써 후방측 제4보강멤버(44)의 중첩부(44c)가 후방측 제3보강멤버(43)의 중첩부(43c)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측 제3보강멤버(43) 및 후방측 제4보강멤버(4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제1하측플랜지(25) 및 제2사이드레일(12)의 제2하측플랜지(26)에 대해 평탄하게(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후방측 보강구조(40)는 후륜(7) 특히, 후륜 서스펜션(7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 보강구조(40)는 후륜 서스펜션(7a)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X"자형태로 교차하는 복수의 후방측 보강멤버(41 및 42, 43 및 44)를 통해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측으로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보강구조(40)가 쿨링모듈(3) 및 냉장기(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트럭 프레임(10)의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은 그 외측에 장착된 쿨링모듈(3) 및 냉장기(4)에 의해 그 비틀림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트럭 프레임(10)은 후방측 보강구조(40)가 쿨링모듈(3) 및 냉장기(4)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트럭 프레임(10)의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은 비틀림 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 프레임(10)은 후방측 보강구조(40)에 의해 차체의 강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 사이에 추가적인 배터리(8) 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들을 장착할 수 있는 후방측 부품 장착공간(60)을 마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터리 2: 컨트롤러
3: 쿨링모듈 4: 냉장기
5: 전기시스템 6: 전륜
7: 후륜 8: 추가 배터리
10: 트럭 프레임 11: 제1사이드레일
12: 제2사이드레일 21: 제1웨브
22: 제2웨브 23: 제1상측플랜지
24: 제2상측플랜지 25: 제1하측플랜지
26: 제2하측플랜지 30: 전방측 보강구조
31: 전방측 제1보강멤버 31a, 31b: 제1결합플랜지
31c: 제1중첩부 32: 전방측 제2보강멤버
32a, 32b: 제2결합플랜지 32c: 제2중첩부
33: 전방측 제3보강멤버 33a, 33b: 제3결합플랜지
33c: 제3중첩부 34: 전방측 제4보강멤버
34a, 34b: 제4결합플랜지 34c: 제4중첩부
40: 후방측 보강구조 41: 후방측 제1보강멤버
41a, 41b: 제5결합플랜지 41c: 제5중첩부
42: 후방측 제2보강멤버 42a, 42b: 제6결합플랜지
42c: 제6중첩부 43: 후방측 제3보강멤버
43a, 43b: 제7결합플랜지 43c: 제7중첩부
44: 후방측 제4보강멤버 44a, 44b: 제8결합플랜지
44c: 제8중첩부 50: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
60: 후방측 부품 장착공간

Claims (12)

  1.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와, 상기 제1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를 가진 제1사이드레일;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와, 상기 제2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에 대향하도록 이격된 제2사이드레일;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첩부를 가진 제1보강멤버;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첩부를 가진 제2보강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강멤버 및 상기 제2보강멤버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 및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고 결합되고, 상기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가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에 대해 함몰됨으로써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가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 내에 삽입되는 트럭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3보강멤버;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4보강멤버;를 더 포함하는 트럭 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보강멤버 및 상기 제4보강멤버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트럭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2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를 가지는 트럭 프레임.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지며,
    상기 제4보강멤버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중첩부를 가지는 트럭 프레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보강멤버의 중첩부 및 상기 제4보강멤버의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고 결합되는 트럭 프레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은, 상기 제1보강멤버, 상기 제2보강멤버, 상기 제3보강멤버, 상기 제4보강멤버,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의해 한정되는 트럭 프레임.
  9.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트럭 프레임.
  10.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와, 상기 제1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를 가진 제1사이드레일;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와, 상기 제2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에 대향하도록 이격된 제2사이드레일;
    트럭의 전륜과 인접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방측 보강구조;
    트럭의 후륜과 인접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하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하측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후방측 보강구조;
    상기 전방측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전방측 부품 장착공간; 및
    상기 후방측 보강구조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 사이에 한정된 후방측 부품 장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구조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첩부를 가진 제1보강멤버;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상측플랜지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상측플랜지 사이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첩부를 가진 제2보강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강멤버 및 상기 제2보강멤버는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 및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고 결합되고, 상기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가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에 대해 함몰됨으로써 상기 제2보강멤버의 중첩부가 제1보강멤버의 중첩부 내에 삽입되는 트럭 프레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외장부품이 상기 전방측 보강구조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장착되는 트럭 프레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외장부품이 상기 후방측 보강구조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사이드레일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에 장착되는 트럭 프레임.
KR1020190006169A 2019-01-17 2019-01-17 트럭 프레임 KR10261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69A KR102610754B1 (ko) 2019-01-17 2019-01-17 트럭 프레임
US16/600,867 US11447182B2 (en) 2019-01-17 2019-10-14 Truck frame
CN201911010861.7A CN111439305A (zh) 2019-01-17 2019-10-23 卡车框架
DE102019216352.1A DE102019216352A1 (de) 2019-01-17 2019-10-24 Lastkraftwagen-Rahm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69A KR102610754B1 (ko) 2019-01-17 2019-01-17 트럭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49A KR20200089449A (ko) 2020-07-27
KR102610754B1 true KR102610754B1 (ko) 2023-12-07

Family

ID=7140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69A KR102610754B1 (ko) 2019-01-17 2019-01-17 트럭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7182B2 (ko)
KR (1) KR102610754B1 (ko)
CN (1) CN111439305A (ko)
DE (1) DE102019216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97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샤시프레임
KR102410520B1 (ko) * 2020-08-20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배터리 장착구조
WO2023167896A1 (en) * 2022-03-01 2023-09-07 Daimler Truck North America Llc Vehicle chassis crossmember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3127A1 (en) * 2004-12-06 2009-02-05 Daimlerchrysler Ag Subframe for a Chassis Frame of a Utility Vehicle
CN106926903A (zh) * 2015-12-29 2017-07-07 天津市雅敏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改进结构的电动汽车地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768A (ja) * 2007-10-22 2009-05-14 Honda Motor Co Ltd 車体構造
CN202016504U (zh) * 2011-03-03 2011-10-26 广州市赛导电气技术有限公司 车架和电动车
DE102011104483A1 (de) * 2011-06-17 2012-12-20 MAN Truck & Bus Aktiengesellschaft Rahmenlängsträgeraufbau für Fahrgestellrahmen von Nutzfahrzeugen, insbesondere von Lastkraftwagen und/oder Bussen
CN106428211B (zh) * 2016-08-31 2019-02-01 东风襄阳旅行车有限公司 一种纯电动两级踏步公交客车车架
CN207697815U (zh) * 2017-12-22 2018-08-07 山东红荷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反变形运输车底架
US10967720B2 (en) * 2018-05-16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ody-on-frame electric vehicle with battery pack integral to frame
DE102018122854A1 (de) * 2018-09-18 2020-03-19 Hörmann Automotive GmbH Chassis für ein Straßenfahrzeug mit elektrischem Energiespeicher
US10988014B2 (en) * 2019-07-25 2021-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ame suppor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3127A1 (en) * 2004-12-06 2009-02-05 Daimlerchrysler Ag Subframe for a Chassis Frame of a Utility Vehicle
CN106926903A (zh) * 2015-12-29 2017-07-07 天津市雅敏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改进结构的电动汽车地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39305A (zh) 2020-07-24
DE102019216352A1 (de) 2020-07-23
US11447182B2 (en) 2022-09-20
US20200231212A1 (en) 2020-07-23
KR20200089449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754B1 (ko) 트럭 프레임
JP3817953B2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US7527326B2 (en) Vehicle floor structure
US9365165B2 (en) Onboard equipment fixing structure
US882735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485978B1 (ko) 앞 차체 구조
US11975600B2 (en) Electric truck
KR102610746B1 (ko) 차량용 터널구조
US11453442B2 (en) Truck chassis frame
US1149204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KR20230037301A (ko) 강성이 보강된 차량의 사이드실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9777A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20210057620A (ko) 차량용 전방구조
WO2023228656A1 (ja) 駆動用バッテリの支持装置
US20230312018A1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CN219487577U (zh) 车辆前地板下纵梁结构及车辆
US20240132007A1 (en) Bumper assembly with a connecting device between a deformation element and a cross member, and motor vehicle
CN219948348U (zh) 前围板加强结构、前部车身结构及汽车
US11254267B2 (en) Vehicle undercov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undercover assembly having the same
JP4712434B2 (ja) 車両の緊締フック構造
CN216102384U (zh) 车身结构
CN217532987U (zh) 车架结构及其新能源车
US11639197B2 (en) Reinforced rail assembly
US20240055716A1 (en) Battery enclosure for electrified vehicle
JP3790445B2 (ja) シャシ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