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45B1 -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 Google Patents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745B1
KR102610745B1 KR1020180153849A KR20180153849A KR102610745B1 KR 102610745 B1 KR102610745 B1 KR 102610745B1 KR 1020180153849 A KR1020180153849 A KR 1020180153849A KR 20180153849 A KR20180153849 A KR 20180153849A KR 102610745 B1 KR102610745 B1 KR 10261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opening
cavity
bracket
exhaust system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011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745B1/ko
Priority to DE102019114318.7A priority patent/DE102019114318A1/de
Priority to US16/426,772 priority patent/US11028762B2/en
Publication of KR2020006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Abstract

개시된 배기계용 탄성지지구는, 제1브라켓이 끼워지는 제1끼움개구 및 제2브라켓이 끼워지는 제2끼움개구를 가지고,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개구의 축선은 상기 제2끼움개구의 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계용 탄성지지구{ELASTIC SUPPORT FOR AN EXHAUST SYSTEM}
본 발명은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와 같은 2축 벡터 외력에 대한 진동 절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행거러버(hanger rubber or hanger device)는 배기계의 배기관, 배기정화장치, 머플러(muffler) 등과 같은 배기계 부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구의 일종이다. 행거러버는 차체 및 배기계 사이를 기계적인 연결(mechanical connection)을 제공한다.
종래의 행거러버는 금속 재질의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러버 재질의 탄성 바디를 포함한다.
종래의 행거러버는 차량의 사양에 특정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사용범위가 제한적이고, 브라켓 및 탄성 바디 사이의 기밀성 또는 내구성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행거러버는 하드탄성특성(hard elastic property)을 가진 하드 타입의 행거러버 및 소프트탄성특성(soft elastic property)를 가진 소프트 타입의 행거러버로 구분된다.
하드 타입의 행거러버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가진 배기계 부품에 적합하고,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을 흡수 내지 방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하드 타입의 행거러버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모멘트, 토션(torsion) 등에 의한 손상 내지 진동 전열 성능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드 타입의 행거러버는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못하므로 그 지지하는 대상물이 고가의 배기정화장치인 경우에는 배기정화장치 측으로 진동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공진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고가의 배기정화장치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소프트 타입의 행거러버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가진 배기계 부품에 적합하고, 3차원 좌표계의 3축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지만, 연속적인 외력으로 인해 행거러버가 가진 고유한 탄성변형율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소성변형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배기계 부품을 지지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비틀림, 모멘트 등의 외력에 대해 내구력이 극히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와 같은 2축 벡터 외력에 대한 진동 절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계용 탄성지지구는,
제1브라켓이 끼워지는 제1끼움개구 및 제2브라켓이 끼워지는 제2끼움개구를 가지고,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개구의 축선은 상기 제2끼움개구의 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개구 및 상기 제2끼움개구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제1끼움개구에 인접한 제1캐비티 및 상기 제2끼움개구에 인접한 제2캐비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 및 상기 제1끼움개구 사이에 위치한 제1탄성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편은 한 쌍의 제1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크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측벽은 상기 제1캐비티와 면하는 제1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캐비티 및 상기 제2끼움개구 사이에 위치한 제2탄성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편은 한 쌍의 제2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2측벽 사이를 가로지리는 제2크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측벽은 상기 제2캐비티와 면하는 제2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끼움개구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끼움개구에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와 같은 2축 벡터 외력에 대한 진동 절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의 제1끼움개구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의 제2끼움개구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배기계의 배기관이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의 제1끼움개구에 제1브라켓의 일단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의 제2끼움개구에 제2브라켓의 일단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배기관이 복수의 배기계용 탄성지지구에 의해 차체 측에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계용 탄성지지구(10)는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15)는 정육면체(cube), 직육면체(rectangular cuboid), 원통형(cylinder), 원추(cone), 원뿔대(trucaated cone)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바디(15)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직육면체(rectangular cuboid)일 수 있다.
지지바디(15)는 제1축선(Y)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끼움개구(11) 및 제2축선(X)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끼움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끼움개구(11)의 축선(Y)은 제2끼움개구(12)의 축선(X)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끼움개구(11) 및 제2끼움개구(12)는 지지바디(15)의 높이방향 즉, 제3축선(Z)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축선은 3차원 좌표계의 Y축에 해당할 수 있고, 제2축선은 3차원 좌표계상의 X축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3축선은 3차원 좌표계의 Z축에 해당할 수 있다.
제1브라켓(1)의 일단(1a)이 지지바디(15)의 제1끼움개구(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브라켓(1)은 그 양측에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라켓(1)은 차체측 브라켓(vehicle body side bracket)일 수 있고, 제1브라켓(1)의 타단(1b)이 차체의 프레임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브라켓(2)의 일단(2a)이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2)은 그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브라켓(2)은 배기관측 브라켓(exhaust pipe side bracket)일 수 있고, 배기관(5)을 지지하는 홀더(4)가 제2브라켓(2)의 타단(2b)에 결합됨으로써 제2브라켓(2)의 타단(2b)은 배기관(5)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1) 및 제2브라켓(2)이 지지바디(15)의 제1끼움개구(11) 및 제2끼움개구(12)를 통해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축선(Y), 제2축선(X), 제3축선(Z) 등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으로 인한 외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과 같은 2축 벡터 외력에 대한 진동 절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지지바디(15)는 제1측면(51), 제1측면(51)에 대해 직교하는 제2측면(52), 제1측면(51)과 대향하는 제3측면(53), 제2측면(52)과 대향하는 제4측면(54), 상면(55) 및 저면(56)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끼움개구(11)는 제1축선(Y)을 따라 제1측면(51) 및 제3측면(53) 사이를 관통(extend)할 수 있다. 제1끼움개구(11)는 제1측면(51) 및 제3측면(53)의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를 수 있다. 제1끼움개구(11)는 그 양측(both side)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사이드개구(first side opening, 13)를 가질 수 있고, 각 제1사이드개구(13)는 제1끼움개구(11)의 두께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단면(circular cross-section)일 수 있다. 제1브라켓(1)의 각 플랜지가 각 제1사이드개구(1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끼움개구(12)는 제2축선(X)을 따라 제2측면(52) 및 제4측면(54) 사이를 관통(extend)할 수 있다. 제2끼움개구(12)는 제2측면(52) 및 제4측면(54)의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를 수 있다. 제2끼움개구(12)는 그 양측(both side)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사이드개구(second side opening, 14)를 가질 수 있고, 각 제2사이드개구(14)는 제2끼움개구(12)의 두께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단면(circular cross-section)일 수 있다. 제2브라켓(2)의 각 플랜지가 각 제2사이드개구(14)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바디(15)는 제1끼움개구(11)에 인접한 제1캐비티(21) 및 제2끼움개구(12)에 인접한 제2캐비티(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캐비티(21)는 제1끼움개구(11)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1탄성편(30)이 제1캐비티(21) 및 제1끼움개구(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력,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이 탄성지지구(10)에 전달됨에 따라 제1탄성편(30)은 제1캐비티(21) 및 제1끼움개구(11)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편(30)은 한 쌍의 제1측벽(31) 및 한 쌍의 제1측벽(31)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크로스부(32, first cross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벽(31)은 제1캐비티(21)의 양측에 대향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제1측벽(31)은 각 제1사이드개구(13)와 면할 수 있다. 각 제1측벽(31)은 제1캐비티(21)와 면하는 제1경사면(33)을 가질 수 있다.
제1끼움개구(11)는 제1브라켓(1)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면(11a), 제1브라켓(1)의 저면과 접촉하는 저면(11b), 상면(11a)으로부터 상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면(11c)을 가질 수 있다. 제1브라켓(1)의 일단(1a)은 돌기(1c)를 가질 수 있고, 제1브라켓(1)의 돌기(1c)가 제1끼움개구(11)의 오프셋면(11c)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캐비티(21)는 상면(21a) 및 상면(21a)에 대해 이격된 저면(21b)을 가질 수 있다. 제2끼움개구(12)에 끼워지는 제2브라켓(2) 측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예컨대, 배기관(5)의 중량)에 따라 제1캐비티(21)의 주변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저면(21b)이 서로 이격 내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라켓(1)의 일단(1a)이 제1끼움개구(11)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끼움개구(11)의 치수가 제1브라켓(1)의 일단(1a)의 치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캐비티(22)는 제2끼움개구(1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탄성편(40)이 제2캐비티(22) 및 제2끼움개구(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력, 모멘트(moment) 또는 토션(torsion) 등이 탄성지지구(10)에 전달됨에 따라 제2탄성편(40)은 제2캐비티(22) 및 제2끼움개구(12)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탄성편(40)은 한 쌍의 제2측벽(41) 및 한 쌍의 제2측벽(41)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크로스부(42, second cross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벽(41)은 제2캐비티(22)의 양측에 대향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제2측벽(41)은 각 제2사이드개구(14)와 면할 수 있다. 각 제2측벽(41)은 제2캐비티(22)와 면하는 제2경사면(43)을 가질 수 있다.
제2끼움개구(12)는 제2브라켓(2)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면(12a), 제2브라켓(2)의 저면과 접촉하는 저면(12b), 저면(12b)으로부터 하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면(12c)을 가질 수 있다. 제2브라켓(2)의 일단(2a)은 돌기(2c)를 가질 수 있고, 제2브라켓(2)의 돌기(2c)가 제2끼움개구(12)의 오프셋면(12c)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브라켓(2)의 일단(2a)이 제2끼움개구(12)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2끼움개구(12)의 치수가 제2브라켓(2)의 일단(2a)의 치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캐비티(22)는 상면(22a) 및 상면(22a)에 대해 이격된 저면(22b)을 가질 수 있다. 제2끼움개구(12)에 끼워지는 제2브라켓(2) 측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예컨대, 배기관(5)의 중량)에 따라 제2캐비티(22)의 주변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저면(22b)은 이격 내지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1) 및 제2브라켓(2)이 본 발명의 탄성지지구(10)에 대해 교차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브라켓(1)의 타단이 차체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제2브라켓(2)의 타단(2b)이 배기계의 배기관(5)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도중에 차량의 롤링, 요밍, 피칭 등에 의해 배기관(5)으로부터 충격, 진동 등과 같은 외력(F1, F2) 및 모멘트(Mxy, Mxz, Myz) 등이 탄성지지구(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지지구(10)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끼움개구(11, 12)를 통해 제1브라켓(1) 및 제2브라켓(2)을 교차하도록 결합하고, 제1캐비티(21), 제1탄성편(30), 제2캐비티(22), 제2탄성편(40)에 의해 각 축선(X, Y, Z) 방향을 따른 진동,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완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멘트(M1, M2)가 탄성지지구(10)의 제1끼움개구(11) 측에 작용할 경우에는 제1탄성편(30)의 각 제1측벽(31)은 제1경사면(33)의 탄성적인 변형을 통해 모멘트 내지 토션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방진할 수 있다. 또한, 제1끼움개구(11)의 축선(Y) 및 이에 직교하는 축선(X, Z)을 따라 외력이 작용하더라고 제1탄성편(30)의 각 제1측벽(31) 및/또는 제1크로스부(32)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축선(X, Z, Y)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내지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방진할 수 있다.
제2브라켓(2)에 장착된 배기계 부품(예컨대, 배기관(5))의 중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제1캐비티(21)의 저면(21b)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지바디(15)는 각 제1측벽(31) 및/또는 제1크로스부(32)가 소프트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소프트탄성특성(soft elastic property)을 가질 수 있다. 즉, 배기계 부품의 중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제1캐비티(21)의 저면(21b)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소프트 타입의 진동흡수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지지바디(15)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제1캐비티(21)의 저면(21b)이 서로 접촉하는 기준 중량일 수 있다.
제2브라켓(2)에 장착된 배기계 부품(예컨대, 배기관(5))의 중량이 설정값 이이상인 경우에는 제1캐비티(21)의 주변 즉,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저면(21b)에 외력이 상호간에 작용함으로써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또는 제1캐비티(21)의 저면이 변형됨으로써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제1캐비티(21)의 저면(21b)이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예컨대, 도 7의 점선 참조), 이를 통해 지지바디(15)는 각 제1측벽(31) 및/또는 제1크로스부(32)가 하드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하드탄성특성(hard elastic property)를 가질 수 있다. 즉, 배기계 부품의 중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제1캐비티(21)의 상면(21a) 및 제1캐비티(21)의 저면(21b)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하드 타입의 진동흡수구조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멘트(M3, M4)가 탄성지지구(10)의 제2끼움개구(12) 측에 작용할 경우에는 제2탄성편(40)의 각 제2측벽(41)은 제2경사면(43)의 탄성적인 변형을 통해 모멘트 내지 토션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방진할 수 있다. 또한, 제2끼움개구(12)의 축선(X) 및 이에 직교하는 축선(Y, Z)을 따라 외력이 작용하더라고 제2탄성편(40)의 각 제2측벽(41) 및/또는 제2크로스부(42)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축선방향에 따른 진동 내지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방진할 수 있다.
제2브라켓(2)에 장착된 배기관 부품(예컨대, 배기관(5))의 중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제2캐비티(22)의 저면(22b)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지바디(15)는 각 제2측벽(41) 및/또는 제2크로스부(42)가 소프트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소프트탄성특성(soft elastic property)을 가질 수 있다. 즉, 배기계 부품의 중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제2캐비티(22)의 저면(22b)은 서로 이격됨에 따라 소프트 타입의 진동흡수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지지바디(15)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제2캐비티(22)의 저면(22b)이 서로 접촉하는 기준 중량일 수 있다.
제2브라켓(2)에 장착된 배기계의 중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2캐비티(22)의 주변 즉,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제2캐비티(22)의 저면(22b)에 외력이 상호간에 작용함으로써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또는 제2캐비티(22)의 저면이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제2캐비티(22)의 저면(22b)이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예컨대, 도 8의 점선 참조), 이를 통해 지지바디(15)는 제2측벽(41)들과 제2크로스부(42)가 하드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하드탄성특성(hard elastic property)를 가질 수 있다. 즉, 배기계 부품의 중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제2캐비티(22)의 상면(22a) 및 저면(22b)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하드 타입의 진동흡수구조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지지구(10)가 배기계의 배기관(5)을 차체 측에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제1브라켓 2: 제2브라켓
10: 탄성지지구 11: 제1끼움개구
12: 제2끼움개구 13: 제1사이드개구
14: 제2사이드개구 15: 지지바디
21: 제1캐비티 22: 제2캐비티
30: 제1탄성편 31: 제1측벽
32: 제1크로스부 40: 제2탄성편
41: 제2측벽 42: 제2크로스부

Claims (11)

  1. 제1브라켓이 끼워지는 제1끼움개구 및 제2브라켓이 끼워지는 제2끼움개구를 가지고,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개구의 축선은 상기 제2끼움개구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제1끼움개구에 인접한 제1캐비티와, 상기 제1캐비티 및 상기 제1끼움개구 사이에 위치한 제1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편이 한 쌍의 제1측벽과, 한 쌍의 제1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크로스부를 포함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개구 및 상기 제2끼움개구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제2끼움개구에 인접한 제2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제1측벽은 상기 제1캐비티와 면하는 제1경사면을 가지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캐비티 및 상기 제2끼움개구 사이에 위치한 제2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은 한 쌍의 제2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2측벽 사이를 가로지리는 제2크로스부를 포함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각 제2측벽은 상기 제2캐비티와 면하는 제2경사면을 가지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1끼움개구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끼움개구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KR1020180153849A 2018-12-03 2018-12-03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KR10261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49A KR102610745B1 (ko) 2018-12-03 2018-12-03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DE102019114318.7A DE102019114318A1 (de) 2018-12-03 2019-05-28 Elastische haltevorrichtung für ein abgas-system
US16/426,772 US11028762B2 (en) 2018-12-03 2019-05-30 Elastic support for an exhau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49A KR102610745B1 (ko) 2018-12-03 2018-12-03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11A KR20200067011A (ko) 2020-06-11
KR102610745B1 true KR102610745B1 (ko) 2023-12-07

Family

ID=7068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49A KR102610745B1 (ko) 2018-12-03 2018-12-03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8762B2 (ko)
KR (1) KR102610745B1 (ko)
DE (1) DE102019114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7958A1 (en) * 2022-03-14 2023-09-14 Carrier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bracket for exhaust treatment un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523A (ja) 1984-12-26 1986-07-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イルに対する胴巻結束機
FR2680846A1 (fr) 1991-09-02 1993-03-05 Hutchinson Dispositif elastique de support a caracteristique elastique non lineaire.
KR19980018776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US6402119B1 (en) * 2000-10-26 2002-06-11 Schlegel Systems, Inc. Textile-reinforced rubber exhaust system hanger
KR20020035356A (ko) * 2000-11-06 2002-05-11 류정열 자동차의 배기장치 행거러버
JP3867591B2 (ja) * 2002-02-28 2007-01-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マフラハンガー
DE202005008665U1 (de) * 2005-06-03 2005-09-08 Wegu Gmbh & Co. Kg Elastische Schlaufe, insbesondere zur Aufhängung der Abga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S7510043B2 (en) * 2006-08-29 2009-03-31 The Pullman Company Exhaust isolator
KR100844731B1 (ko) 2006-12-11 2008-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기계의 행거구조
JP4484245B2 (ja) * 2006-12-28 2010-06-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マフラーハンガ
US20090230601A1 (en) * 2008-03-14 200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iaxial Exhaust Isolator With Dual-Band Reinforcement
JP6424095B2 (ja) * 2014-03-11 2018-11-14 住友理工株式会社 マフラーハンガ
KR101808573B1 (ko) 2016-08-26 2017-12-14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JP2018179053A (ja) * 2017-04-06 2018-11-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
JP6948902B2 (ja) * 2017-09-29 2021-10-13 住友理工株式会社 排気管支持体
US10801391B2 (en) * 2018-04-04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bration damping isolator for a vehicle
US10718253B2 (en) * 2018-08-14 2020-07-21 The Pullman Company Exhaust system isolator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3335A1 (en) 2020-06-04
US11028762B2 (en) 2021-06-08
KR20200067011A (ko) 2020-06-11
DE102019114318A1 (de)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793B1 (en) Six-degree-of-freedom micro vibration suppression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8414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진동저감장치
CN108240415B (zh) 复合屈曲梁/板负刚度动力吸振器的大载荷高阻尼减振器
EP2679860A2 (en) Annular isolator with secondary features
RU2279584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907104B1 (ko) 배관용 이중 내진 행거시스템
CN202402559U (zh) 一种无源低频隔振器
KR102610745B1 (ko)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CN105756216A (zh) 带有碰撞耗能功能的调谐质量阻尼器
JPWO2011125488A1 (ja) 球状サスペンション
WO2008095350A1 (fr) Ensemble joint et axe de support
JP5858569B2 (ja) 減震器具
US9261155B2 (en) Compact vertical-motion isolator
CN111379818A (zh) 一种低频无转角减振器
WO1982004091A1 (en) A vibration-damping device
CN108757801B (zh) 减震装置
JP2013231478A (ja) 防振支持構造体
JP4676797B2 (ja) 制震装置
WO2017213049A1 (ja) 防振装置
KR20030040507A (ko) 진동 아이솔레이터를 위한 레이디얼 스너버
JP2000145889A (ja) 搭載機器の締結構造
JP2012219500A (ja) 制振耐力壁パネル
JP2008175332A (ja) 防振部材及び防振部材製造方法
KR101758867B1 (ko) 내진형 절연 부하 개폐기
CN104948650A (zh) 基于气浮和磁浮组合三向解耦的自适应等刚度隔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