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25B1 -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725B1
KR102610725B1 KR1020220173477A KR20220173477A KR102610725B1 KR 102610725 B1 KR102610725 B1 KR 102610725B1 KR 1020220173477 A KR1020220173477 A KR 1020220173477A KR 20220173477 A KR20220173477 A KR 20220173477A KR 102610725 B1 KR102610725 B1 KR 102610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anhole
safety member
fixing frame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 뚜껑(1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측 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턱(210)에 복수의 설치공(220)이 형성된 고정틀(200); 가요성 재질에 의해 그물 구조로 형성된 안전망(301)과, 상기 안전망(301)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한 안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맨홀의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자나 보행자가 부주의로 인해 맨홀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SAFETY STRUCTURE FOR MANHO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MAN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의 하수관, 수도관, 지하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관통공 구조의 구조물로서, 그 상측 개구부에는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00)이 설치된다.
종래의 맨홀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측 개구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200)과, 상기 고정틀(200)에 안치되는 뚜껑(100)으로 구성된다.
맨홀 내에 매설된 지하매설물 등의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뚜껑(100)을 고정틀(200)로부터 분리시킨 후 형성된 개방통로를 통해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맨홀의 시공이나 내부의 보수작업을 위하여 뚜껑(100)을 인위적으로 개방하는 경우, 또는 호우에 의한 하수도의 수압 상승으로 인해 뚜껑(100)이 자연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작업자나 보행자가 부주의로 인해 맨홀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맨홀의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자나 보행자가 부주의로 인해 맨홀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의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안전 구조물로서, 맨홀 뚜껑(1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측 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턱(210)에 복수의 설치공(220)이 형성된 고정틀(200); 가요성 재질에 의해 그물 구조로 형성된 안전망(301)과, 상기 안전망(301)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한 안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십자형 적층구조로 설치된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포함하고, 맨홀의 시공 또는 보수 시,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맨홀의 내부 시공작업 또는 보수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을 상기 고정틀(200)의 타측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고정틀(200)에 대한 상기 안전부재(300)의 결합 시, 상기 고리부(311,321)가 상기 설치공(220)에 대하여 하향 인입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안전부재(300)에 대한 상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안전부재(3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안전부재(300)가 십자형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틀(200)의 설치공(220)은, 상기 걸림턱(210)의 전후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전방설치공(221a) 및 후방설치공(221b); 상기 걸림턱(210)의 양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일측설치공(222a) 및 타측설치공(222b);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고리부(311,321) 중 전방고리부(311a)가 상기 전방설치공(221a)에 결합하고, 후방고리부(311b)가 상기 후방설치공(221b)에 결합하는 전후방향 안전부재(310); 상기 고리부(311,321) 중 일측고리부(321a)가 상기 일측설치공(222a)에 결합하고,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틀(200)에는 측방을 향하여 복수의 너트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안전망(301)의 일단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400); 상기 안전망(301)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400)의 관통공(401)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201)에 나사결합하는 볼트(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안전망(301)의 가장자리를 접어 중첩된 구조로 형성된 중첩부(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심부에 상기 관통공(401)이 형성된 덮개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420)는,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심부에 상기 관통공(401)이 형성된 상부판(421);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심부에 상기 관통공(4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판(42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판(422); 상기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가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판(421)과 하부판(422)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42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421) 및 하부판(422)의 단변부(420a)가 상기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의 외측을 향하고, 상기 상부판(421) 및 하부판(422)의 장변부(420b)가 상기 안전망(301)의 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420)의 관통공(401)에는 보강링(424)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400)의 관통공(401)과 상기 볼트(500)의 사이에 결합하는 와셔(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500)는 나비볼트(500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구조물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에 상기 고정틀(200)을 설치하는 고정틀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맨홀 뚜껑(1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전후방향 안전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 맨홀의 내부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를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정상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맨홀 뚜껑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는,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안전망(30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구조물을 이용한 맨홀의 보수방법으로서, 상기 고정틀(200)로부터 상기 맨홀 뚜껑(100)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전후방향 안전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 맨홀의 내부 보수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를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정상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맨홀 뚜껑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보수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는,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안전망(30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맨홀의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자나 보행자가 부주의로 인해 맨홀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맨홀의 사시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안전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고정틀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전후방향 안전부재의 평면도.
도 5는 양측방향 안전부재의 평면도.
도 6은 고리부의 측면도.
도 7은 안전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안전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9,10은 맨홀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11은 고정틀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안전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3은 안전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분해도.
도 14는 안전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도 15는 안전망의 평면도.
도 16은 중첩부의 측면도.
도 17은 중첩부의 평면도.
도 18은 덮개부재의 정면도.
도 19는 덮개부재의 저면도.
도 20은 덮개부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의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맨홀 뚜껑(100)을 지지하도록 상측 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턱(210)에 복수의 설치공(220)이 형성된 고정틀(200); 얇은 강재와 같은 가요성 재질에 의해 그물 구조로 형성된 안전망(301)과, 안전망(301)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한 안전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안전부재(300)는 고정틀(200)에 대하여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된다.
맨홀의 뚜껑(100)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안전부재(300)가 고정틀(200)에 대하여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되므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부주의로 인해 맨홀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고정틀(200)에 대한 안전부재(300)의 결합 시, 고리부(311,321)가 설치공(220)에 대하여 하향 인입하여 걸림으로써, 안전부재(300)에 대한 상향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전부재(3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호우에 의한 하수도의 수압 상승으로 인해 뚜껑(100)이 자연적으로 개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안전부재(300)는 고정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도 6)
한 쌍의 안전부재(300)가 십자형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경우, 상술한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도 7)
이를 위하여, 고정틀(200)의 설치공(220)은, 걸림턱(210)의 전후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전방설치공(221a) 및 후방설치공(221b); 걸림턱(210)의 양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일측설치공(222a) 및 타측설치공(2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안전부재(300)는 전후방향 안전부재(310),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는 전방고리부(311a)가 전방설치공(221a)에 결합하고, 후방고리부(311b)가 후방설치공(221b)에 결합한다.(도 4)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일측고리부(321a)가 일측설치공(222a)에 결합하고, 타측고리부(321b)가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한다.(도 5)
이러한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적층구조로 설치되므로, 보행자의 추락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구조물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맨홀의 상측 개구에 고정틀(200)을 설치한다.
고정틀(200)에 맨홀 뚜껑(1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틀(200)에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한다.(도 8)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한다.(도 9,10)
이와 같이, 롤 형상으로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돌출된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맨홀 주위의 보행자에게 경고를 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맨홀 주위를 통행하는 차량이 맨홀의 상측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안전부재(300)가 십자형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경우, 맨홀의 시공 시,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는 맨홀의 개구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롤 형상으로 돌출되어 경고를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하고 타측고리부(321b)가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안전망(301)에 결합하도록 하는 경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맨홀의 내부작업 완료 후,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타측고리부(321b)를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여,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적층구조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후,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한다.
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구조물이 맨홀의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맨홀의 보수방법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고정틀(200)로부터 맨홀 뚜껑(100)을 개방한다.
고정틀(200)에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한다.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맨홀의 내부 보수작업 완료 후,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타측고리부(321b)를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한다.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안전부재(300)의 일단에는 보강부(40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복수의 고리부(311,321)가 형성된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11 내지 20)
고정틀(200)에는 측방을 향하여 복수의 너트공(201)이 형성된다.
안전부재(300)는, 안전망(301)의 일단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400); 안전망(301)의 타단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한다.
보강부(400)의 관통공(401)을 관통하여 너트공(201)에 볼트(500)가 나사결합한다.
볼트(500)로서 나비볼트(500a)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
와셔(510)가 보강부(400)의 관통공(401)과 볼트(500)의 사이에 결합하여 보강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개발된 자재를 활용하면서도, 안전부재(300)와 고정틀(200)의 결합부위를 보강부(400)에 의해 보강하므로, 저렴한 비용에 의해 안전한 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맨홀의 수는 대단히 많고, 이러한 다수의 맨홀에 대하여 안전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대단히 많은 비용과 수고가 소요되는 일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 구조물은, 저렴한 비용에 의해 안전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점, 기존의 고정틀(200)에 너트공(201)만 형성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다수의 맨홀에 대하여 저렴하고 간편한 시공에 의해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보강부(40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보강부(400)는 안전망(301)의 가장자리를 접어 중첩된 구조로 형성된 중첩부(4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15 내지 17)
철사에 의한 그물구조 등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안전망(301)은 자체의 강도는 우수하지만, 그 가장자리와 타 구조의 결합구조가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망(301)의 가장자리를 접어 중첩된 구조로 중첩부(410)를 형성하고, 그 중첩부(410)에 대하여 볼트(500)를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보강부(400)는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된 덮개부재(4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18 내지 20)
덮개부재(420)가 안전망(301)의 사방 꼭지점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그 덮개부재(420)에 대하여 볼트(500)를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덮개부재(420)는 구체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된 상부판(421);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판(42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판(422);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가 삽입되도록, 상부판(421)과 하부판(422)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4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8,19)
상부판(421) 및 하부판(422)의 단변부(420a)가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의 외측을 향하고, 상부판(421) 및 하부판(422)의 장변부(420b)가 안전망(301)의 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도 18,20)
덮개부재(420)의 관통공(401)에 보강링(424)이 설치되는 경우, 덮개부재(420)와 볼트(500)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망(301)의 사방 꼭지점 부위에 중첩부(410)를 형성하고, 이를 감싸도록 덮개부재(420)를 설치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덮개부재(420)는 강재,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420)를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안전망(301)의 사방 꼭지점 부위(중첩부(410))를 성형틀에 인입하고, 액상의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경화하는 방식으로 덮개부재(420)를 성형한 후, 관통공(401)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 덮개부재(420)가 안전망(301)의 공동부를 충전하므로, 견고한 결합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뚜껑 200 : 고정틀
201 : 너트공 210 : 걸림턱
220,221a,221b,222a,222b : 설치공 300,310,320 : 안전부재
301 : 안전망 311,321 : 고리부
400 : 보강부 401 : 관통공
410 : 중첩부 420 : 덮개부재
421 : 상부판 422 : 하부판
423 : 삽입공 424 : 보강링
500 : 볼트 500a : 나비볼트
510 : 와셔

Claims (11)

  1. 맨홀의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안전 구조물로서,
    맨홀 뚜껑(1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측 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턱(210)에 복수의 설치공(220)이 형성된 고정틀(200);
    가요성 재질에 의해 그물 구조로 형성된 안전망(301)과, 상기 안전망(301)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한 안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십자형 적층구조로 설치된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200)에는 측방을 향하여 복수의 너트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안전망(301)의 일단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관통공(401)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400);
    상기 안전망(301)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고리부(311,321);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400)의 관통공(401)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201)에 나사결합하는 볼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안전망(301)의 가장자리를 접어 중첩된 구조로 형성된 중첩부(410);를 포함하고,
    맨홀의 시공 또는 보수 시,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맨홀의 내부 시공작업 또는 보수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을 상기 고정틀(200)의 타측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200)에 대한 상기 안전부재(300)의 결합 시,
    상기 고리부(311,321)가 상기 설치공(220)에 대하여 하향 인입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안전부재(300)에 대한 상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안전부재(3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200)의 설치공(220)은,
    상기 걸림턱(210)의 전후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전방설치공(221a) 및 후방설치공(221b);
    상기 걸림턱(210)의 양측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일측설치공(222a) 및 타측설치공(222b);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재(300)는,
    상기 고리부(311,321) 중 전방고리부(311a)가 상기 전방설치공(221a)에 결합하고, 후방고리부(311b)가 상기 후방설치공(221b)에 결합하는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
    상기 고리부(311,321) 중 일측고리부(321a)가 상기 일측설치공(222a)에 결합하고,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하는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는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안전 구조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안전망(301)의 꼭지점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심부에 상기 관통공(401)이 형성된 덮개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를 구비한 맨홀의 안전 구조물.
  8. 제4항의 안전 구조물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에 상기 고정틀(200)을 설치하는 고정틀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맨홀 뚜껑(1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전후방향 안전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
    맨홀의 내부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를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정상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맨홀 뚜껑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는,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안전망(30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시공방법.
  10. 제4항의 안전 구조물을 이용한 맨홀의 보수방법으로서,
    상기 고정틀(200)로부터 상기 맨홀 뚜껑(100)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상기 전후방향 안전부재(31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전후방향 안전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의 일측설치공(222a)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일측고리부(321a)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
    맨홀의 내부 보수작업 완료 후,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를 상기 타측설치공(222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를 해먹(hammock) 구조로 설치하는 양측방향 안전부재 정상설치단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맨홀 뚜껑(1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맨홀 뚜껑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보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 돌출설치단계는,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권취하고 상기 타측고리부(321b)가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의 안전망(30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양측방향 안전부재(320)가 롤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보수방법.
KR1020220173477A 2022-08-29 2022-12-13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KR102610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8348 2022-08-29
KR1020220108348 202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725B1 true KR102610725B1 (ko) 2023-12-06

Family

ID=8916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477A KR102610725B1 (ko) 2022-08-29 2022-12-13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72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03A (ja) * 1997-01-20 1998-08-04 Okamoto:Kk マンホール蓋の転落防止構造
JPH11247457A (ja) * 1998-03-05 1999-09-14 Moririn Kk 防護シートのコーナ補強部材
KR200300037Y1 (ko) * 2002-09-30 2003-01-06 서경수 맨홀용 틀본체
JP2003082697A (ja) * 2001-09-14 2003-03-19 Miyama Ind Corp マンホール用セーフティネットの取付具
JP2003082696A (ja) * 2001-09-10 2003-03-19 Miyama Ind Corp マンホール用セーフティネットの取付具
KR100858959B1 (ko) * 2008-04-28 2008-09-17 (주) 보명 연도 안전망 설치구조
KR101184646B1 (ko) * 2012-01-31 2012-09-20 (주)일산금속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CN205475328U (zh) * 2016-01-26 2016-08-17 苏州仁和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网的园林检查井
KR20180088082A (ko) * 2017-01-26 2018-08-03 권오규 복합 맨홀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03A (ja) * 1997-01-20 1998-08-04 Okamoto:Kk マンホール蓋の転落防止構造
JPH11247457A (ja) * 1998-03-05 1999-09-14 Moririn Kk 防護シートのコーナ補強部材
JP2003082696A (ja) * 2001-09-10 2003-03-19 Miyama Ind Corp マンホール用セーフティネットの取付具
JP2003082697A (ja) * 2001-09-14 2003-03-19 Miyama Ind Corp マンホール用セーフティネットの取付具
KR200300037Y1 (ko) * 2002-09-30 2003-01-06 서경수 맨홀용 틀본체
KR100858959B1 (ko) * 2008-04-28 2008-09-17 (주) 보명 연도 안전망 설치구조
KR101184646B1 (ko) * 2012-01-31 2012-09-20 (주)일산금속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CN205475328U (zh) * 2016-01-26 2016-08-17 苏州仁和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网的园林检查井
KR20180088082A (ko) * 2017-01-26 2018-08-03 권오규 복합 맨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2765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struction element, in particular a tunnel element, having a watertight seal.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0892593B1 (ko) 조립식 맨홀
KR1006658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KR100651635B1 (ko) 프리 캐스트 박스 암거
KR20200091191A (ko) 콘크리트 측압 방지막이 구비된 일체형 pc 패널 구조물
KR102610725B1 (ko) 맨홀의 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KR102513423B1 (ko) 맨홀의 수평관 결합구조
KR102589233B1 (ko) 보강부를 구비한 맨홀의 안전 구조물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3158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변화구간 연결구조
KR101094729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낙차 연결구조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20160140122A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2469147B1 (ko) 선설치 앵커볼트 제공을 위한 슬래브 인서트 고정구
KR102570621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102540322B1 (ko) 지중 저압 접속함체
KR200333416Y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맨홀
KR20080004606U (ko) 조립식 암거
KR102461136B1 (ko) 경량화된 리브형 맨홀 뚜껑
KR101190129B1 (ko)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KR200212748Y1 (ko) 조립식 맨홀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