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129B1 -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 Google Patents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129B1
KR101190129B1 KR1020120047444A KR20120047444A KR101190129B1 KR 101190129 B1 KR101190129 B1 KR 101190129B1 KR 1020120047444 A KR1020120047444 A KR 1020120047444A KR 20120047444 A KR20120047444 A KR 20120047444A KR 101190129 B1 KR101190129 B1 KR 10119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ecast concrete
downstream
upstream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미
Original Assignee
장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미 filed Critical 장영미
Priority to KR102012004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조립식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가 불필요하고 침하로 인하여 상호 연결되는 콘크리트 암거 박스가 분리될 염려가 없도록 하면서 경사지 낙차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제공하면서도, 이러한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형성하는 부재를 다양한 규격을 가진 제품 형태로 공급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장 운송이나 보관에 유리하며, 아울러 현장 시공 과정에서의 작업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되는 낙차부 접속구의 바닥면에서 우수 낙차로 인한 세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한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Apparatus for Connecting the Precast Concrete Box Culverts constructed in the Slope}
본 발명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조립식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가 불필요하고 침하로 인하여 상호 연결되는 콘크리트 암거 박스가 분리될 염려가 없도록 하면서 경사지 낙차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제공하면서도, 이러한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형성하는 부재를 다양한 규격을 가진 제품 형태로 공급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장 운송이나 보관에 유리하며, 아울러 현장 시공 과정에서의 작업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되는 낙차부 접속구의 바닥면에서 우수 낙차로 인한 세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한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지면 상부에 소정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되어지는 우수관로, 상하수도관로, 전력구, 통신구, 공동구(이하, "구조물"이라함) 등은 현장타설방식이나 현장조립방식에 의하여 시공되어지고 있다.
현장타설방식은 구조물이 시공되어질 부분을 따라 절토나 굴토한 후 평탄화 작업을 거쳐 평탄화된 부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거푸집을 시공한 후 가로철근 및 세로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것을 반복하여 구조물이 시공된다.
현장타설방식을 통해 얻어진 구조물은 절토, 굴토, 기초콘트리트, 거푸집 설치, 보강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제거 등의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 공기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원인이 있었다.
한편, 현장조립방식은 설계치수대로 제조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구조물인 PC(Precast Concrete) 박스 구조물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의 굴토 및 평탄화된 부분에 그대로 PC 박스 구조물을 안착시킨 후, 안착된 PC 박스 구조물에 다른 PC 박스 구조물이 맞대어지게 안착시키고, 연속하여 설치된 PC 박스 구조물의 맞대어진 부분을 연결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는, 그 접합부를 모르타르 및 수팽창 지수재를 충전하여 수밀 유지가 되도록 연결 시공하는 것을 반복하여 전체 구조물이 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PC 박스 구조물의 현장조립 방식을 통해 시공된 구조물의 경우에는 이러한 구조물이 연약지반 상에 설치될 때, 지반의 부등침하에 따라 구조물이 맞대어진 부분이 벌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조립식 구조물은 구조물의 모서리에 각각 관통홈을 형성하여 강선이 관통되게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구조물의 양측으로 노출된 강선에 강선정착구를 결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부등침하를 어느 정도 방지하고 맞대어진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현장타설이나 현장조립으로 시공된 구조물이 우수를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 구조물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구배 이상을 갖도록 시공된다. 특히, 경사진 부분에 시공될 경우, 경사진 구배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우수가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유속이 가속된 상태로 흐르게 됨에 따라 과도한 내부 마찰 발생으로 마모가 발생되고, 마모가 진행되어 구조물이 관통될 경우, 주변으로 누수되어 침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로 흘러내린 우수는 가속되어진 속도와 압력에 따라 구조물의 외부로 분출되어지거나, 맨홀뚜껑이 튀는 문제점과 아울러 많은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현장조립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개량한 기술이 등록특허 제 10-1109320호(2012. 1. 17 공고)로서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 박스는 일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타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및 이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B')의 사이에 배치되어 경사지 낙차(h)를 연결하는 낙차연결구(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낙차연결구(10)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사지 구간의 길이에 따라 설치 갯수가 증감된다.
낙차연결구(10)는 양측면으로 관통된 스페이서 중공부(11a)를 갖고 둘레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관통홀("wh")과 제1관통홀("wh")의 둘레로 헌치부("hc")가 형성된 스페이서 박스(11)와, 스페이서 박스(11)의 일측 단면과 일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관통된 하류중공부와 일측 단면의 상부에 일측의 콘크리트 PC박스(B)의 상면에 걸침되는 상부걸침턱(12a)이 구비되어 있는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스페이서 박스(11)의 타측 단면과 타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관통된 상류중공부와 일측 단면의 하부에 타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하면이 걸침되는 하부걸침턱(13a)이 구비되어 있는 상류낙차이음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상류낙차이음부재(13)는 동일한 크기와 구조로 제작되고,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상류낙차이음부재(13)는 상,하부걸침턱(12a, 13a)의 위치를 서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켜서 시공된다.
이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B'), 스페이서 박스(11), 하류낙차이음부재(12)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의 내부 수로를 형성하는 통로의 폭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스페이서 박스(11)의 내부 통로의 높이가 다른 것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페이서 박스(11)의 통로 단면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B'), 하류낙차이음부재(12)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의 통로 단면적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또한, 스페이서 박스(11), 하류낙차이음부재(12), 상류낙차이음부재(13)는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B')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상류낙차이음부재(13)는 와이어 정착구(14c)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14b)의 인장력으로 스페이서 박스(11)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상류낙차이음부재(13) 및 스페이서 박스(11)는 와이어(14b)의 인장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또한 하류낙차이음부재(12)와 상류낙차이음부재(13)는 동일한 구조의 와이어 정착구(14c)와 와이어(14b)에 의해 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 박스(11), 하류낙차이음부재(12)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에는 각기 접합면의 둘레를 따라 접합부의 전단 및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접합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단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단방지수단의 예로서 하류낙차이음부재(12), 스페이서 박스(11)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의 각기 접합면에 둘레를 따라 전단키홈(2a)(2b)이 형성되고 여기에 무수축 몰탈(M)이 충진되어 전단키가 제공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공되는 스페이서 박스(11)와, 하류낙차이음부재(12)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낙차연결구(10)를 이용하여 경사지 낙차(h)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높이의 경사지 낙차(h)에 대응하는 다양한 규격의 스페이서 박스(11) 뿐만 아니라 하류낙차이음부재(12) 및 상류낙차이음부재(13)도 큰 단면 규모의 중공 박스형 부재로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성형 몰드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경제적인 부담이 크며, 현장으로의 운송이나 보관에 있어서 파손 우려가 높으며, 그리고 현장에서 연결 시공할 때 좁은 거리에서 3개의 중공 박스형 부재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에 배치하여 총 4곳의 연결부를 정확하게 연결하여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시공 부담이 크며, 또한 상류낙차이음부재(13)와 스페이서 박스(11) 사이의 바닥면의 높이가 경사지 낙차(h) 만큼 이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 2에 도면부호 "W'로 표시된 우수(물)가 경사지 낙차(h) 만큼 떨어지는 낙차를 가지기 때문에 스페이서 박스(11)의 바닥면 중에서 도면부호 ⓐ로 나타낸 부분에서 우수 낙차로 인한 세굴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조립식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가 불필요하고 침하로 인하여 상호 연결되는 콘크리트 암거 박스가 분리될 염려가 없도록 하면서 경사지 낙차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제공하면서도, 이러한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형성하는 부재를 다양한 규격을 가진 제품 형태로 공급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장 운송이나 보관에 유리하며, 아울러 현장 시공 과정에서의 작업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되는 낙차부 접속구의 바닥면에서 우수 낙차로 인한 세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로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류측과 하류측 양측면으로 관통된 스페이서 중공부를 갖고 둘레의 모서리에 형성된 강선통과공과 강선통과공의 둘레로 형성된 헌치부를 포함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박스;
상기 스페이서 박스의 하류측 단면과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의 하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 중에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가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상면과 제1 수평 전단 걸림부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하류낙차 연결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 박스의 상류측 단면과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의 상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 중에서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하면과 제2 수평 전단 걸림부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상류낙차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는,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상면에 제공되는 돌기부와, 그리고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는,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저면에 제공되는 요홈과, 그리고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의 상면에 상기 요홈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장 조립식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가 불필요하고, 상류낙차 연결부재 및 상류낙차 연결부재의 끼움돌출부가 스페이서 중공부 중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에 끼워져서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부등 침하로 인하여 상호 연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상호 분리될 염려가 없도록 하면서, 접속구를 형성하는 주요 부재들이 내부에 중공부가 없는 단위 블록체로 형성되기에 낙차부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규격을 가진 제품 형태로 공급하기 위한 성형 몰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파손의 가능성이 낮아서 현장 운송이나 보관시에 유리하며, 아울러 현장 시공 과정에서의 작업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되는 낙차부 접속구의 바닥면에서 우수 낙차로 인한 세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시공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시공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는 하류낙차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는 상류낙차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스페이스 박스와, 그리고 하류낙차 연결부재가 이들을 연결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추가적으로 상류낙차 연결부재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b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9a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9b는 도 8의 b-a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시공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는 하류낙차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는 상류낙차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100)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이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100)로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류측과 하류측 양측면으로 관통된 스페이서 중공부(110a)를 갖고 둘레의 모서리에 형성된 강선통과공("wh")과 강선통과공("wh")의 둘레로 형성된 헌치부("hc")를 포함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박스(110);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류측 단면과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110a) 중에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110u)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122)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121)가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상면과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 단면과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110a) 중에서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110d)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132)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131)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하면과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상류낙차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류낙차 연결부재(130)를 구성하는 본체부(121)(131)의 길이는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와 대응하도록 형성하면서,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상기 끼움돌출부(122)(132)의 짧은 길이(W1)는 도 7a에 도시된 스페이서 박스(100) 내의 헌치부 사이의 폭(W0) 보다는 짧게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높이는 경사지 낙차(h)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중공부를 가진 큰 단면 크기의 연결부재를 다수개 준비하여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특히 본체부(121)(131)가 중공부 성형이 별도로 필요없는 블록 형태로 성형되기에 다양한 경사지 낙차(h)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부재를 성형할 때에도 부재의 높이를 설정하는 거푸집 패널만을 변경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성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경사지의 낙차부에서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상호 간의 연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반의 불균일한 침하가 발생하여 연결 접속부에 수직 방향의 전단 변위가 발생시키는 외력이 제공도더라도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출부(122)(132)가 이에 대항하는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상기 끼움돌출부(122)(132)의 크기와 형상이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헌치부("hc")의 형상을 포함한 해당 영역의 단면 크기 및 형상에 맞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도 9a 및 도 9b 참조)에는 수직 방향의 전단 변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전단 변위를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로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상면에 제공되는 돌기부(123a)와,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123a)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요홈(12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이 끼워 맞추어진 결합 상태는 도 7a에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로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저면에 제공되는 요홈(133a)과,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상면에 상기 요홈(133a)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돌기부(133)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이 끼워 맞추어진 결합 상태는 도 7b에 잘 표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 또는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의 구성은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또는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가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에 연결 접속되는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회전되어서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 아울러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또는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B') 사이의 접속면을 타고서 '물'이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어서 연결 접속부를 보다 충실히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끼움돌출부(132)의 상면에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드는 경사면(132a; 도 5b에 경사각 'θd'로 표기)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고 그리고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 또는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와 평행하게 지수 차단재(125, 135)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30) 각각의 끼움돌출부(122)(132) 양측의 본체부(121)(131)에는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30)와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을 관통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강선(1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강선통과공(124)(134)이 관통 형성되고, 그리고 그 강선통과공(124)(134)의 일단부에는 강선(142)의 단부를 정착하는 강선정착구(143)가 설치되는 강선 정착단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낙차부 접속구를 이용한 경사지 낙차부의 접속 시공 방법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낙차부 접속 시공은 터파기 및 기초지반처리가 된 지반에 하류측에서부터 상류측으로 시공되어 질 수 있다.
하류측에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를 설치한 다음에, 도 7a와 같이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상류측에 하류낙차 연결부재(120)를 설치한다. 이때 하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123)이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상면에 제공되는 돌기부(123a)에 올려져 맞추어지도록 하류낙차 연결부재(120)를 위치시키고, 아울러 하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측면에 제공되는 끼움돌출부(122)가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110a) 중에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110u)에 끼워지도록 스페이서 박스(110)를 인접 배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 하단 영역, 즉 후속 접속될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될 영역(110d)에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끼움돌출부(132)가 삽입되도록 상류낙차 연결부재(130)를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142)을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및 스페이서 박스(110)의 강선통과공("wh")과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강선통과공(134)에 관통 삽입시킨 후 강선정착구(14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강선(142)은 긴장되게 설치하여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와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단이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하단에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써,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스페이서 박스(110), 및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밑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에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를 추가적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133)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저면에 제공되는 요홈(133a; 도 6b 참조)에 올려져 맞추어지도록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를 위치시키고, 강선(142)을 하류낙차 연결부재(120)의 강선통과공(124)과, 스페이서 박스(110) 및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강선통과공("wh")에 관통 삽입시킨 후 강선정착구(14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강선(142)은 긴장되게 설치하여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상단과 하류낙차 연결부재(120)가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단에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높이 만큼의 상승 높이에 의해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가 상승 위치되어서 경사지 낙차(h)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경사지 낙차(h)를 완화하도록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끼움돌출부(132)의 상면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드는 경사면(132a)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를 흘러 내려가는 우수의 낙차를 완화함으로써 급격한 수로 낙차로 인하여 바닥면 세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박스(110)와,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및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이의 각 접합부에서는 접합면의 둘레를 따라 접합부의 전단 및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접합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단방지수단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전단방지수단의 예로서 접합면에 둘레를 따라 전단키홈(211, 212)이 형성되고 여기에 무수축 몰탈(M)이 충진되어 전단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시공 방법은 하나의 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특히 강선의 배치 및 정착 위치에 따라 그 시공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B, B': 하류측 및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110: 스페이서 박스
110a: 스페이서 중공부
120: 하류낙차 연결부재
121: 본체부 122: 끼움돌출부
123, 123a: 제1 수평 전단 걸림부
130: 상류낙차 연결부재
131: 본체부 132: 끼움돌출부
133, 133a: 제2 수평 전단 걸림부

Claims (5)

  1.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이를 연결하는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100)로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류측과 하류측 양측면으로 관통된 스페이서 중공부(110a)를 갖고 둘레의 모서리에 형성된 강선통과공("wh")과 강선통과공("wh")의 둘레로 형성된 헌치부("hc")를 포함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박스(110);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류측 단면과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하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110a) 중에서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122)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121)가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상면과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하류낙차 연결부재(120); 및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 단면과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 박스(110)의 상류측 단면의 스페이서 중공부(110a) 중에서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 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에 끼워져 수직 전단 저항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끼움돌출부(132)를 일측면에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형상의 본체부(131)가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하면과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에 의해 걸침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상류낙차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는,
    상기 하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상면에 제공되는 돌기부(123a)와, 그리고
    상기 하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저면에 상기 돌기부(123a)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요홈(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는,
    상기 상류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B')의 저면에 제공되는 요홈(133a)과, 그리고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20)의 상면에 상기 요홈(133a)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돌기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낙차 연결부재(130)의 끼움돌출부(132)의 상면에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드는 경사면(132a)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전단 걸림부(123, 123a) 또는 상기 제2 수평 전단 걸림부(133, 133a)와 평행하게 지수 차단재(125, 1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KR1020120047444A 2012-05-04 2012-05-04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KR10119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44A KR101190129B1 (ko) 2012-05-04 2012-05-04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44A KR101190129B1 (ko) 2012-05-04 2012-05-04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129B1 true KR101190129B1 (ko) 2012-10-16

Family

ID=4728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44A KR101190129B1 (ko) 2012-05-04 2012-05-04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21A (ko) 2020-11-17 2022-05-24 (주)모든피씨산업 낙차를 형성하는 반전형 콘크리트 피씨박스의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62B1 (ko) 2008-03-12 2008-10-09 (주)한국주조 조립식 암거
KR101109320B1 (ko)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62B1 (ko) 2008-03-12 2008-10-09 (주)한국주조 조립식 암거
KR101109320B1 (ko)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21A (ko) 2020-11-17 2022-05-24 (주)모든피씨산업 낙차를 형성하는 반전형 콘크리트 피씨박스의 연결구조
KR102541505B1 (ko) * 2020-11-17 2023-06-12 (주)모든피씨산업 낙차를 형성하는 반전형 콘크리트 피씨박스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250B2 (en) Flared leg precast concrete bridge system
CN110268124B (zh) 一种预浇筑加强重型混凝土护土墙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09320B1 (ko)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US9695558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20130044855A (ko)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2019006991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190129B1 (ko)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05445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570938B1 (ko) 강관 말뚝 기초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내 댐 건설 방법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2021005948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직구 설치구조
KR101133158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변화구간 연결구조
JP7065734B2 (ja) 構築方法
CN210369030U (zh) 分体装配的l型预制挡土墙
KR101248173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094729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낙차 연결구조
JP2018044362A (ja) L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を使用したトンネル監視員通路の簡単な構築方法
JP2017025607A (ja) ダム通廊の構築方法、ダム通廊の通廊セル及び通廊セルの製造に用いる型枠
KR102026112B1 (ko) 다양한 브라켓 연결수단을 갖는 수직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