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56B1 -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56B1
KR102608456B1 KR1020230097935A KR20230097935A KR102608456B1 KR 102608456 B1 KR102608456 B1 KR 102608456B1 KR 1020230097935 A KR1020230097935 A KR 1020230097935A KR 20230097935 A KR20230097935 A KR 20230097935A KR 102608456 B1 KR102608456 B1 KR 10260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heat exchanger
tube
remova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섭
구본창
김재광
Original Assignee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를 사용하는 비파괴검사를 위해 열교환기의 튜브 내에 잔존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열교환기 벽체에 각 상기 지지대의 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장착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을 따라 상기 제거장치를 이송시켜 상기 튜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내의 세관수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장치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후속하는 튜브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시 ECT의 검사용 프로브의 관내 진입이 방해받지 않아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작업자 등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Conveying device of tubular water and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n the heat exchanger tube for ECT inspection}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 내부의 스케일 및 이물질 제거공정 후의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튜브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의 전처리 공정인 열교환기 튜브의 세관작업 후 잔존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ECT(Eddy Current Test) 검사용 프로브의 관내 진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검사를 가능하게 하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작업자 등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의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 플랜트와 원자력발전소 또는 화력발전소에 설치된 열교환기는 많은 튜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튜브들은 가동시 문제점 발생을 방지하도록 정기적으로 ECT 등의 비파괴검사법에 의한 안전성 평가가 진행된다.
열교환기 튜브는 가동상황에 따라 스케일이 생성되거나 이물질이 잔존하므로 정기적으로 장치를 해체하여 워터젯 등의 방법으로 이들을 제거한 후 ECT 등 비파괴검사법을 실시하여 튜브의 건전성을 평가하게 된다. 워터젯 등의 방법으로 튜브내를 세척한 후에는 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튜브내에 잔존하여 후속 공정인 ECT 등 비파괴검사법의 진행이 원활할 수 없게 된다.
종래에는 ECT 등의 비파괴검사전 튜브 내에 잔존된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튜브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ECT 프로브의 인입 및 인출을 수행하는 사람)가 고압의 에어를 튜브내에 불어 넣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제거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조공(작업자 보조), 및 검사자(ECT 등 비파괴검사 장비 오퍼레터) 등 2인 이상이 장시간(4~6 시간) 대기하는 상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관이 끝난 튜브를 ECT 작업자가 좁은 열교환기 내에서 무거운 에어건을 들고 2000여개의 튜브를 시각에 의존하여 작업함으로 피로도가 높은 문제가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에는 최소 2098~2400개의 튜브가 일정하게 배열됨에 따라 세관수 및 이물질의 제거 누락 튜브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이 잔존하면 후속하는 ECT 프로브의 인입 중 프로브의 멈춤과 끼임(협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프로브 손상, 검사시 오류신호 발생, 내지 신호자체의 소멸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6983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튜브내의 세관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장치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후속하는 튜브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시 ECT의 검사용 프로브의 관내 진입이 방해받지 않아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작업자 등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열교환기 튜브 내부의 스케일 및 이물질 제거공정후 프로브를 사용하는 비파괴검사를 위해 열교환기의 튜브 내에 잔존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열교환기 벽체에 각 상기 지지대의 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장착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을 따라 상기 제거장치를 이송시켜 상기 튜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마그네틱척 또는 공압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제1이송레일;
상기 제1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이송블럭; 및
상기 제1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제2이송레일;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이송블럭; 및
상기 제2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부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된 제3이송레일;
상기 제3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거장치에 설치되는 제3이송블럭; 및
상기 제3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3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7)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회전프레임; 및
상기 이동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이동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8)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이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대에 의해 가려져있던 튜브를 노출시키는 지지대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9)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거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이송부, 제2이송부, 및 제3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거장치를 각 튜브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는 이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본 발명에 의한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튜브내의 세관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장치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후속하는 튜브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시 ECT의 검사용 프로브의 관내 진입이 방해받지 않아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작업자 등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용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송기부 및 흡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이송부, 제2이송부, 및 제3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이송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지지대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용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송기부 및 흡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제1이송부, 제2이송부, 및 제3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이송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지지대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용 이송장치(400)는 프로브를 사용하는 비파괴검사를 위해 열교환기의 튜브 내에 잔존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400)(이하, '이송장치'로 약칭함)는 지지대(410), 장착부(420), 이동프레임(430), 설치프레임(440), 제1이송부(450), 제2이송부(460) 및 제3이송부(4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410)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수직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수평하게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420)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위치(예로, 열교환기 벽체)에서 상기 각 지지대(410)의 단부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프레임(43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4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프레임(440)은 상기 이동프레임(4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10)(이하, '제거장치'로 약칭함)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송부(450)는 상기 지지대(410)를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43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이송부(460)는 상기 이동프레임(430)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44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이송부(470)는 상기 설치프레임(440)을 따라 상기 제거장치(10)를 상기 튜브(20)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400)에 의하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튜브(20)로 상기 제거장치(10)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위치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기부(100) 및 흡기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기부(100)는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튜브내로 고압기체를 분사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부(200)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기부(100)에서 분사된 고압기체에 의해 배출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기부(100)는 튜브(20)의 일단부와 밀폐되어 튜브내의 세관수 및 이물질을 튜브 타단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만일 세관수 및 이물질의 역류현상이 발생되어도 튜브의 일단부 외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 고압기체 분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세관수 및 이물질의 일부가 역류되어 작업자 및 작업주변에 튀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기부(200)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고압기체와 함께 배출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이 튜브(20)의 타단부 외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 고압기체 분사방향으로 세관수 및 이물질이 배출되어 작업자 및 작업주변에 튀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400)는 송기부(100) 및 흡기부(200)를 각각 이송시키도록 예로, 튜브의 일단부가 형성된 벽체와 튜브의 타단부가 형성된 벽체에 각각 대칭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400)는 자동으로 대상이 되는 튜브의 누락없이 세관수 및 이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센서(300) 및 이송제어부(3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300)는 상기 제거장치(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거장치(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300)는 처리 대상인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변위센서일 수 있으며,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모든 튜브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제어부(320)는 상기 센서(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이송부(450), 제2이송부(460), 및 제3이송부(470)를 제어하여 상기 제거장치(10)를 대상이 되는 각 튜브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대상이 되는 열교환기의 모든 튜브에 대한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대상 튜브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400)는 바람직하게는 한쌍으로 송기부(100) 및 흡기부(200)가 처리 대상이 되는 해당 튜브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이 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동기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송기부(100) 및 흡기부(200)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센서(300)가 설치될 수 있고, 각 센서(300)의 신호를 수신한 이송제어부(320)는 해당 각 이송장치(400)의 동작을 동기화하여 해당 튜브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된 튜브의 위치를 작업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310)를 둔다.
본 발명에서 이송의 대상이 되는 제거장치(10)의 일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에 예시된 제거장치(10)는 본 발명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일 뿐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다른 구성의 제거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기부(100)는 송기헤드(110), 송기흡착부(120) 및 기체공급라인(130)을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125는 송기실링패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기헤드(110)는 상기 튜브(20)의 일단부를 덮도록 거치되고, 송기흡착부(120)는 상기 송기헤드(110)를 튜브 일단부의 주변 벽면에 부착시켜 밀폐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공급라인(130)은 상기 송기헤드(11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내로 고압기체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기체공급라인(130)은 상기 송기헤드(110)에 관통 설치되어 튜브(20)내로 유입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기흡착부(120)는 송기헤드(110)를 튜브 일단부의 주변 벽면에 부착시켜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인 한 특별한 구조의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척과 같은 공지의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부(200)는 흡기헤드(210), 흡기흡착부(220), 진공펌프(230) 및 분리배출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헤드(210)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를 덮도록 거치되고, 상기 흡기흡착부(220)는 상기 흡기헤드(210)를 튜브 타단부 주변 벽면에 부착시켜 밀폐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펌프(230)는 분리배출부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흡기헤드(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기부(100)에서 분사된 고압기체와 함께 이동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배출부(240)는 상기 진공펌프(230)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에서 세관수 및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흡착부(220)는 흡기헤드(210)를 튜브 타단부의 주변 벽면에 부착시켜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인 한 특별한 구조의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송기흡착부의 경우에서와 같이 마그네틱 척과 같은 공지의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송장치(400)의 장착부(420)가 도 4에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420)는 이송장치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인 한, 특별한 구성의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로, 마그네틱척 또는 공압램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420)는 바람직하게는 장착회전부(4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회전부(427)는 상기 지지대(410)를 장착부(42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420)가 곡면인 벽체에 부착되어도 상기 지지대(410)는 수직 또는 수평하게 위치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회전부(427)는 장착회전볼트(4271), 장착회전공(4272) 및 장착고정너트(42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회전볼트(4271)는 장착부(420)의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장착회전공(4272)은 상기 장착회전볼트(4271)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대(410)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고정너트(4273)는 상기 장착회전공(4272)에 관통된 장착회전볼트(4271)에 체결되어 장착부(420) 및 지지대(410)를 상호 고정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부(450)가 도 5에 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450)는 바람직하게는 제1이송레일(451), 제1이송블럭(452) 및 제1이송구동부(45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송레일(451)은 상기 지지대(4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블럭(452)은 상기 제1이송레일(451)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430)에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송구동부(453)는 상기 제1이송블럭(452)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410)를 따라 이동프레임(430)을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부(4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2이송레일(461), 제2이송블럭(462) 및 제2이송구동부(46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레일(461)은 상기 이동프레임(430)에 설치되고, 제2이송블럭(462)은 상기 제2이송레일(46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440)에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구동부(463)는 상기 제2이송블럭(462)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430)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44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3이송부(4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3이송레일(471), 제3이송블럭(472) 및 제3이송구동부(47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3이송레일(471)은 상기 설치프레임(440)에 설치되고, 제3이송블럭(472)은 상기 제3이송레일(471)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거장치(10)에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3이송구동부(473)는 상기 제3이송블럭(472)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설치프레임(440)을 따라 상기 제거장치(1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송구동부(453), 제2이송구동부(463), 제3이송구동부(473)는 특정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기어 및 구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은 해당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랙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예가 도 6에 제시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상기 이동프레임(430)을 포함하는 이송장치(400)는 다양한 패턴의 배열을 갖는 튜브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제거장치(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프레임(43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동회전프레임(431) 및 이동회전구동부(43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회전프레임(431)은 상기 이동프레임(430)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회전구동부(433)는 상기 이동회전프레임(431)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레일(461)은 상기 이동프레임(430) 및 이동회전프레임(43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440)은 상기 이동프레임(430) 및 해당 이동회전프레임(431)이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송부(460)에 의해 해당 이동회전프레임(431)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거장치(10)는 해당 이동회전프레임(431)에 위치되어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된 튜브에 대한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400)는 지지대이송부(4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부(480)는 상기 지지대(410)를 상기 이동프레임(4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대(410)에 의해 가려져 있던 튜브를 노출시켜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부(480)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대이송프레임(481), 지지대이송레일(482), 지지대이송블럭(483) 및 지지대이송구동부(484)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프레임(481)은 상기 지지대(410)의 단부 및 장착부(420)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레일(482)은 상기 지지대이송프레임(481)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블럭(483)은 상기 지지대이송레일(482)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대(410)의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이송구동부(484)는 상기 지지대이송블럭(483)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에 의해 상기 지지대(410)가 이동프레임(4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대(410)의 하측에 가려져 있던 튜브를 노출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10 : 제거장치 20 : 튜브
400 : 이송장치 410 : 지지대
420 : 장착부 430 : 이동프레임
440 : 설치프레임 450 : 제1이송부
460 : 제2이송부 470 : 제3이송부
300 : 센서 320 : 이송제어부

Claims (9)

  1. 열교환기 튜브 내부의 스케일 및 이물질 제거공정후 프로브를 사용하는 비파괴검사를 위해 열교환기의 튜브 내에 잔존하는 세관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열교환기의 벽체에 각 상기 지지대의 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장착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이동프레임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을 따라 상기 제거장치를 이송시켜 상기 열교환기 튜브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회전프레임; 및 상기 이동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이동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마그네틱척 또는 공압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제1이송레일;
    상기 제1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이송블럭; 및
    상기 제1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제2이송레일;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이송블럭; 및
    상기 제2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부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된 제3이송레일;
    상기 제3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거장치에 설치되는 제3이송블럭; 및
    상기 제3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제3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이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대에 의해 가려져있던 튜브를 노출시키는 지지대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이송부, 제2이송부, 및 제3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거장치를 각 튜브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는 이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송장치.
KR1020230097935A 2023-07-27 2023-07-27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KR10260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935A KR102608456B1 (ko) 2023-07-27 2023-07-27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935A KR102608456B1 (ko) 2023-07-27 2023-07-27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456B1 true KR102608456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935A KR102608456B1 (ko) 2023-07-27 2023-07-27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5557A1 (en) * 2008-03-20 2009-10-15 Hydrochem Industrial Services, Inc. Automated heat exchanger tube cleaning assembly and system
KR102269838B1 (ko) 2019-09-20 2021-06-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US20220057151A1 (en) * 2020-08-18 2022-02-24 Stoneage, Inc.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positioner fram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5557A1 (en) * 2008-03-20 2009-10-15 Hydrochem Industrial Services, Inc. Automated heat exchanger tube cleaning assembly and system
KR102269838B1 (ko) 2019-09-20 2021-06-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US20220057151A1 (en) * 2020-08-18 2022-02-24 Stoneage, Inc.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positioner fram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5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inside of reactor pressure vessel
JP2005515489A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US9524803B2 (en) Nozzle stub working system for reactor vessel
US20180021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nister inspection, preparation, and maintenance
KR890004584B1 (ko) 리시버 장착설비 내부의 점검장치 또는 공구의 설치 및 제거장치
JP3075952B2 (ja) シュラウド検査装置
US8325872B2 (en) Work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JP2007003442A (ja) 原子炉容器の管台溶接部のut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102608456B1 (ko)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JP2007024857A (ja) 作業装置および作業方法
TWI431637B (zh) 圓筒狀結構物之預防保全、修補裝置以及預防保全、修補方法
KR102527873B1 (ko) 열교환기의 전열관 와전류탐상검사 신호수집 장치
JP3245067B2 (ja) 円周溶接部の検査装置
EP0023820B1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JP2002148385A (ja) 原子炉内配管検査装置
KR101482381B1 (ko)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내부 기동형 로봇
JPH10142376A (ja) 炉心シュラウドの交換方法
KR102613132B1 (ko)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
US20240024976A1 (en) Arrangement and system for repairing the lining of a spent fuel pool
JP4174898B2 (ja)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KR102613127B1 (ko) 공압시스템으로 회전하는 바이브레이터와 그에 부착된와이어에 의한 튜브내 고착된 스케일 제거장치
KR102613122B1 (ko) 공압시스템으로 회전하는 베인에 의한 튜브내 고착된스케일 제거장치
EP4209749A1 (en) Method for cleaning the heat exchange tubes of steam generators in a nuclear power station
KR102613139B1 (ko) 용접부를 갖는 튜브의 paut 검사용 이송장치
Shimamura et al. Development of Remotely Operated Inspection Devices for BWR Inter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