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274B1 -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274B1
KR102608274B1 KR1020230080750A KR20230080750A KR102608274B1 KR 102608274 B1 KR102608274 B1 KR 102608274B1 KR 1020230080750 A KR1020230080750 A KR 1020230080750A KR 20230080750 A KR20230080750 A KR 20230080750A KR 102608274 B1 KR102608274 B1 KR 10260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nection
cover
detachable
de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지스페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스페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지스페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8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NSS수신기, 신호발생기 및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항공기에 설치되는 지상이미지수집기, 레이저, 신호감지기 및 충전기를 포함하고 지상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일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시기 및 이미지입력기, 도화기, 수치정보입력기 및 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도화작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영상도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화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도화기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를 통해 백판이 항공사진양화필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 항공사진양화필름의 이미지가 중첩되게 출력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IMAGE DRAWING SYSTEM FOR UPGRADING AND IMPROVING DRAWING IMAGE}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공간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공간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공간영상도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화장치는 기본적으로 정밀입체좌표측정기와 좌표독취기로 구성되고, 공선조건식을 사용하여 수학적모델을 계산할 수 있으며,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외적 입력 값으로는 카메라의 내부표정 요소와 기준점의 지상좌표가 있고, 내적 입력 값으로는 도화기 자체에 의해 측정된 상 좌표들이 있다.
상기의 데이터를 토대로 별도의 작업용컴퓨터는 실시간으로 모델좌표 및 다른 형태의 유용한 결과값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하드카피 형태로 프린트 또는 플로터를 할 수 있도록 좌표독취기에 전달해준다.
도화기(도화장치)를 이용한 공간영상 도화방법은 크게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방법과 해석도화방법 및 수치도화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 도화기의 경우 통상 커버의 저면에 스펀지를 매개로 부착된 백판(Back Plate)이 설치됨으로 인해 잦은 사용에 따라 스펀지가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유리판과 백판 간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캐너로부터 발광되는 불빛이 이격공간 내에서 난반사되기 때문에 스캐너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중첩되게 출력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에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한 손으로 커버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항공사진양화필름을 조정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도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화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도화기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를 통해 백판이 항공사진양화필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 항공사진양화필름의 이미지가 중첩되게 출력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에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커버에 도화기본체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 접촉할 수 있는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GNSS수신기, 일정한 고유 주파수대역의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생기 및 지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항공기에 설치되는 지상이미지수집기; 상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신호발생기가 발신하는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기 및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해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지상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일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시기; 및 지상이미지수집기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입력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도화기, 완성된 도화이미지에 수치정보를 입력하는 수치정보입력기 및 도화사가 도화작업을 위해 조작하면서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확인하는 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도화작성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상기 도화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부는, 도화기본체의 상부에 개폐되게 결합되는 도화커버부; 및 도화기본체와 도화커버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커버부는, 도화기본체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커버바디; 제1커버바디와 이격 배치되며 도화기본체에 배치되는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가압하는 제2커버바디; 제1커버바디와 제2커버바디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를 항공사진양화필름이 배치된 도화기본체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1탄성지지부; 및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를 탄성지지하며 제1탄성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도화지지부는, 제2커버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제1지지바디; 제1커버바디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디; 제1지지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면부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지지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탄성부재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제2커버바디의 측벽에 마련되는 제1커버연결바; 제1커버연결바에 나사 결합되는 제1커버연결캡; 제1커버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제2커버연결바; 제2커버연결바에 나사 결합되는 제2커버연결캡; 및 일측부는 제1커버연결캡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연결캡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수평지지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승강진입수단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트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화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도화기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를 통해 백판이 항공사진양화필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 항공사진양화필름의 이미지가 중첩되게 출력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에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화커버부를 제1커버바디와 제2커버바디로 마련함과 아울러 제2커버바디를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로 항공사진양화필름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커버연결부에 커버주름부를 마련함으로써 제2커버바디의 항공사진양화필름 가압 시 제2커버바디의 탄성 미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본체와 도화커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커버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항공기에 설치되는 지상이미지수집기(1), 지상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일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시기(2) 및 지상이미지수집기(1)로부터 제공된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하고 정보를 입력해 도화이미지를 완성하는 도화작성기(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상이미지수집기(1)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수신기(1a)와, 일정한 고유 주파수대역의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생기(1b)와, 지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고해상도의 카메라(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표시기(2)는 하나 이상의 지상구조물에 다수 설치되면서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된다. 이러한 기준점표시기(2)는 상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2a)와, 신호발생기(1b)가 발신하는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기(2b)와,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해 충전하는 충전기(2c)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도화작성기(3)는 지상이미지수집기(1)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입력기(3a)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도화기(3b)와, 완성된 도화이미지에 수치정보를 입력하는 수치정보입력기(3c)와, 도화사가 도화작업을 위해 조작하면서 항공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 등을 확인하는 입출력수단(3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작성기(3)를 구성하는 도화기(3b)는, 도화기본체(401), 스캐너(402), 도화커버부(400), 가압장치부(403), 입력부(40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장치부(403)는 팽창부재, 백판, 피스톤장치, 연결호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404)는 도화기본체(401)에 설치되어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본체와 도화커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커버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지지부와 제2탄성지지부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화기(3b)의 하부에는 탈착체결부(300)가 설치되고,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수평지지대(220)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수평지지대(220)의 하부에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가 직립 설치되고,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의 하부에는 기초대(100)가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며,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는 흡수연결유닛(500)으로 연결된다. 흡수연결유닛(500)은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도화기(3b)는, 도화기본체(401)의 상부에 개폐되게 결합되는 도화커버부(400) 및 도화기본체(401)와 도화커버부(40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403)를 포함한다.
상기 도화기본체(401)는 본체프레임과 본체프레임에 얹혀져 고정되는 유리판과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설치편과 설치편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캐너(402)는 도화기본체(401)의 유리판 저면에 배치되어 유리판에 얹혀진 항공사진양화필름(미도시)을 복사하듯 읽어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스캐너(402)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항공사진양화필름은 도화기본체(401)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화기본체(401)와 도화커버부(4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도화커버부(400)는, 유리판에 놓여진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가압함과 아울러 도화기본체(401)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고, 가압장치부(40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화커버부(400)는, 도화기본체(401)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커버바디(410), 제1커버바디(410)와 이격 배치되며 도화기본체(401)에 배치되는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가압하는 제2커버바디(420), 제1커버바디(410)와 제2커버바디(420)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430),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4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420)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420)를 항공사진양화필름이 배치된 도화기본체(401)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1탄성지지부(440),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4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420)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420)를 탄성지지하며 제1탄성지지부(440)와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지지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바디(420)는 제1탄성지지부(440)에 의해 항공사진양화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2탄성지지부(450)에 의해 항공사진양화필을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바디(410)는 바디확장부(411)가 마련된 영역이 도화기본체(401)에 회전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바디(420)는 제1커버바디(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화기본체(401)의 유리판에 배치된 항공사진양화필름을 수직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하여 항공사진양화필름을 도화기본체(401)의 유리판에 더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연결부(430)는 상단부가 제1커버바디(41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2커버바디(420)에 연결되어 제2커버바디(4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결부(430)에는 커버주름부(431)가 마련되어 제2커버바디(420)의 항공사진양화필름 가압 시 제2커버바디(420)의 탄성 미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지지부(440)는 제2커버바디(420)를 항공사진양화필름의 수직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항광사진양화필름과 유리판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지지부(440)는, 제2커버바디(42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제1지지바디(441), 제1커버바디(410)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디(442), 제1지지바디(4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443), 제1플레이트(443)의 상면부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444), 제2지지바디(442)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탄성부재(444)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4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바디(441)의 내벽에는 가이드홈(441a)이 마련되고, 제2지지바디(442)에는 가이드홈(441a)에 지지됨과 아울러 가이드홈(441a)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가이드돌기(442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부(403)가 작동되어 도화커버부(400)를 도화기본체(401)의 유리판에 밀착 시 제2커버바디(420)의 가압력에 의해 제2지지바디(442)는 하강되면서 제1탄성부재(444)를 가압하여 제1탄성부재(444)는 수축되고, 제1탄성부재(444)는 수축되면서 제2커버바디(420)를 유리판에 놓여진 항공사진양화필름의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항공사진양화필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443)와 제2플레이트(445)는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고, 고정됨이 없이 단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탄성지지부(450)는 제2커버바디(420)를 항공사진양화필름의 경사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항광사진양화필름과 유리판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커버바디(420)를 제1탄성지지부(440)와 별도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지지부(450)는, 제2커버바디(420)의 측벽에 마련되는 제1커버연결바(451), 제1커버연결바(451)에 나사 결합되는 제1커버연결캡(452), 제1커버바디(41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제2커버연결바(453), 제2커버연결바(453)에 나사 결합되는 제2커버연결캡(454), 일측부는 제1커버연결캡(45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연결캡(454)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4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연결바(451)와 제1커버연결캡(452)이 나사 결합되어 제1커버연결캡(452)의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2탄성부재(455)의 스프링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제2커버바디(4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220)의 상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는 도화기(3b)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에 의해 그 상부의 도화기(3b)는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22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에는 도화기(3b)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하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상부에 놓이는 상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 올리고,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상승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상승된다. 탈착승강부(320)가 상승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탈착체결부(400)는 분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흡수연결유닛(500)은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5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500)은,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510), 흡수베이스부(5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520), 한 쌍의 제1연결부(5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5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5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5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5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5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5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5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에는 판홀(5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513)의 커넥터볼(5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511a)은 커넥터볼(5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5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5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510)의 체결레버(5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5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5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510)의 커넥터부(5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5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5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5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에 마련된 판홀(5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513a), 커넥터볼(5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513b), 커넥터로드(5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513c), 커넥터헤드(5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5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513d) 및 커넥터볼(5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5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5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513)의 커넥터볼트(513d)는 제1연결부(520)의 제1연결바디(5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513)의 제1패킹부재(513e)는 판홀(5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5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5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5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5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5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5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520)는, 커넥터부(513)의 커넥터볼트(5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521), 제1연결바디(5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5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5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5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5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521)에는 절개홀(5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5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5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5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530)의 제2연결바디(5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5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5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5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5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5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523)가 제1연결바디(5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5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5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5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5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5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510)는 커넥터볼(5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5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530)에서 흡수베이스부(5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5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5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530)는, 제1연결바(5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531), 제2연결바디(5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532), 연결로드(5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5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533) 및 연결볼(5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5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5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5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530)의 연결볼(5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541)에 마련된 볼록부(5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540)은 제1수직지지대(200)과 제2수직지지대(2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5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5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5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5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5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5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5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5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기초대 200 : 제1수직지지대 210 : 제2수직지지대
220 : 수평지지대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도화커버부 401 : 도화기본체
402 : 스캐너 403 : 가압장치부 404 : 입력부
410 : 제1커버바디 411 : 바디확장부 420 : 제2커버바디
430 : 커버연결부 431 : 커버주름부 440 : 제1탄성지지부
441 : 제1지지바디 441a : 가이드홈 442 : 제2지지바디
442a : 가이드돌기 443 : 제1플레이트 444 : 제1탄성부재
445 : 제2플레이트 450 : 제2탄성지지부 451 : 제1커버연결바
452 : 제1커버연결캡 453 : 제2커버연결바 454 : 제2커버연결캡
455 : 제2탄성부재 500 : 흡수연결유닛 510 : 흡수베이스부
511 : 흡수베이스판 511a : 판홀 512 : 체결레버
513 : 커넥터부 513a : 커넥터볼 513b : 커넥터로드
513c : 커넥터헤드 513d : 커넥터볼트 513e : 제1패킹부재
520 : 제1연결부 521 : 제1연결바디 521a : 절개홀
522 : 연결스프링부재 523 : 제1연결바 530 : 제2연결부
531 : 제2연결바디 532 : 연결로드 533 : 연결볼
534 : 제2패킹부재 540 : 기둥브래킷 541 : 브래킷플랜지
542 : 볼록부 543 : 결합부재 544 : 브래킷홀

Claims (1)

  1.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GNSS수신기, 일정한 고유 주파수대역의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생기 및 지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항공기에 설치되는 지상이미지수집기; 상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신호발생기가 발신하는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기 및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해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지상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일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시기; 및 지상이미지수집기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입력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도화기, 완성된 도화이미지에 수치정보를 입력하는 수치정보입력기 및 도화사가 도화작업을 위해 조작하면서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확인하는 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도화작성기; 를 포함하되,
    상기 도화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화기는,
    도화기본체의 상부에 개폐되게 결합되는 도화커버부; 및 도화기본체와 도화커버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압장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화커버부는,
    도화기본체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커버바디; 제1커버바디와 이격 배치되며 도화기본체에 배치되는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가압하는 제2커버바디; 제1커버바디와 제2커버바디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를 항공사진양화필름이 배치된 도화기본체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1탄성지지부; 및 일측부는 제1커버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바디에 결합되어 제2커버바디를 탄성지지하며 제1탄성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부는,
    제2커버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제1지지바디; 제1커버바디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디; 제1지지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면부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지지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탄성부재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제2커버바디의 측벽에 마련되는 제1커버연결바; 제1커버연결바에 나사 결합되는 제1커버연결캡; 제1커버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제2커버연결바; 제2커버연결바에 나사 결합되는 제2커버연결캡; 및 일측부는 제1커버연결캡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커버연결캡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트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30080750A 2023-06-23 2023-06-23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0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750A KR102608274B1 (ko) 2023-06-23 2023-06-23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750A KR102608274B1 (ko) 2023-06-23 2023-06-23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274B1 true KR102608274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750A KR102608274B1 (ko) 2023-06-23 2023-06-23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60076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60074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4068B1 (ko) * 2022-04-28 2022-12-05 (주)원지리정보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60076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60074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4068B1 (ko) * 2022-04-28 2022-12-05 (주)원지리정보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7257B (zh) 打印到物品上的方法及用于物品的柔性制造系统
US9841274B2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echanical elements
KR102608274B1 (ko)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73683B1 (ko) 항공촬영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459702B1 (ko) 영역별 영상데이터의 평면이미지만을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KR102224173B1 (ko) 이동형 멀티측량센서모듈을 통해 3차원 지형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매핑 시스템
CN114157802A (zh) 摄像机承托装置及其运动目标跟踪方法
KR100878888B1 (ko)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20170139402A (ko) 3차원 스캐닝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라인레이저 정렬용 표적기구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918962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3926B1 (ko) 현지 조사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고정밀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186199B1 (ko) 다시점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화면분할 기반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3B1 (ko)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WO2006081948A1 (de) Elektronische konstruktionsvorrichtung
KR102484623B1 (ko) 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42148B1 (ko)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08273B1 (ko) 영상이미지로부터 정밀하게 도화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5560692A (zh) 一种桥梁变形检测设备及使用方法
US4281353A (en) Apparatus for projecting enlarged video images
KR102238712B1 (ko) 레벨기 및 드론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2603927B1 (ko) 주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70108B1 (ko) 디지털 항공영상 데이터에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97369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616798B1 (ko) 지형정보의 변화를 반영하는 정밀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