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148B1 -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148B1
KR102642148B1 KR1020230047315A KR20230047315A KR102642148B1 KR 102642148 B1 KR102642148 B1 KR 102642148B1 KR 1020230047315 A KR1020230047315 A KR 1020230047315A KR 20230047315 A KR20230047315 A KR 20230047315A KR 102642148 B1 KR102642148 B1 KR 10264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mage
coupled
detacha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식
신진규
원용성
Original Assignee
중앙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항업(주) filed Critical 중앙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4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를 도화하여 영상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좌표를 합성하는 영상도화기기,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한 제1디스플레이유닛,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에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기구, 연결기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보드,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기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의 후면에 설치되는 균형조절기기, 제1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가 내부에 수용되는 차폐부, 차폐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유닛간의 상호 간격과 각각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 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CORRECTING IMAGE BY CONSIDERING DISTORTION}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화기는 한 쌍의 실체사진에서 피사체의 평면형과 높이를 측정하여 지도를 그리는 기계를 말하며, 도화기는 크게 아날로그 도화기와 해석도화기 및 수치 도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화기를 이용한 도화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화방법은 크게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방법, 해석도화방법 및 수치도화방법으로 구분된다.
먼저, 수정도화방법은 기계식 사진측량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 도화 원도를 통해 변화된 지역에 대해서 부분도화를 수행하고 수치화 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병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도화하는 방법이다.
해석도화방법은 도화기에 연결된 전산기에 기존 수치지도를 직접 화면상에서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의 비교를 통한 수정요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갱신내용에 대한 수정도화파일을 직접 제작 할 수 있으며, 해석사진측량에 의해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다수의 항공사진을 동시에 지상좌표계로 변환하여 대규모 지역에 대한 도화를 할 수 있다.
수치도화방법은 해석도화방법과 달기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치도화방법으로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항공사진의 영상화과정이 필요하며, 최초항공사진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고해상도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도화기는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는데,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간격 조절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배치 각도 조절이 어려우므로 작업자가 영상도화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정확한 영상도화 작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유닛간의 상호 간격과 각각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 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영상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영상이미지를 도화하여 영상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좌표를 합성하는 영상도화기기;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한 제1디스플레이유닛;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에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기구; 연결기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보드;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기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의 후면에 설치되는 균형조절기기; 제1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이 내부에 수용되는 차폐부; 차폐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도화기기는,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 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도화이미지DB; 영상이미지 및 영상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 수치정보를 영상도화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 및 영상도화모듈, 좌표합성모듈, 보정모듈 및 수치정보합성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연결기구는,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 우단이 연결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 좌단이 연결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 제1연결바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 및 제2연결바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차폐유닛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신규 지형지물을 기존의 영상 도화이미지에 신속하게 업데이트하여 정확한 영상 도화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영상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왜곡되게 바라봄에 따라 부정확하게 영상 도화작업이 수행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조보드에 메모를 적거나, 보조보드에 메모지를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영상 도화작업 시 편리하게 메모를 적거나 메모지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X-X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 제1디스플레이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의 부분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와 균형조절기기가 일부 도시된 도면.
도 8은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유닛이 일부 도시된 도면.
도 9는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유닛이 일부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X-X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 제1디스플레이유닛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의 부분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와 균형조절기기가 일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유닛이 일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6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유닛이 일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유닛(10), 연결기구(20), 보조보드(30), 균형조절기기(40), 제2디스플레이유닛(50), 영상도화기기(60), 차폐부(600), 탈착체결부(300) 및 흡수연결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유닛(10)은 제1디스플레이유닛(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1)를 갖추고서,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유닛(10)은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20)는 제1디스플레이유닛(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21)와, 우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21)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2)와, 좌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21)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23)와, 제1연결바(22)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24) 및, 제2연결바(23)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25)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바(22) 및 제2연결바(23)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보조보드(30)는 전방으로 개구된 다각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1)와,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구비되며 고정부(31)와 연통되는 받침대수용부(3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 및, 보조보드(3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모부(34)를 갖추고서, 우측이 연결기구(20)의 제1회전대(24)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1)는 사각홈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부(33)는 'T'자 홈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메모부(34)는 일반적인 화이트보드의 전면과 같이 지웠다 다시 쓸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균형조절기기(40)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와, 가압기구(42)와, 지지기구(43)와, 무게추(44)와, 연결와이어(45)와, 권취기구(46) 및, 하중미세조절기구(47)를 갖춘다.
상기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는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삽입체(41a)와, 삽입체(41a)의 전측에 구비되는 나사체(41b)와, 나사체(41b)의 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1c)와, 삽입체(4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를 통과하여 보조보드(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체(41d) 및, 연장체(41d)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삽탈되는 지지체(41e)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41a)는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압기구(42)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나사체(41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기구(42)는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기구(43)는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를 받치는 받침대(43a)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수용되어 받침대(43a)를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3b)을 갖춘다.
상기 무게추(44)는 보조보드(30)의 가이드부(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44)는 전단이 'T'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44)의 전면에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와이어(45)는, 좌단이 무게추(44)의 우측에 설치되고, 우단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설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권취기구(46)는 무게추(44)의 좌측에 연결되는 권취와이어(46a)를 구비하여 보조보드(30)의 후면 좌측에 배치되며, 권취와이어(46a)가 당겨지면 권취와이어(46a)를 풀고, 권취와이어(46a)에 당김력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46a)를 감는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기구(46)는, 내부에 태엽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 권취와이어(46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중미세조절기구(47)는 무게추(44)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7a)와, 회전대(47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하중조절너트(47b)를 갖춘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은 좌측이 연결기구(20)의 제2회전대(25)에 설치되어,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은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기기(60)는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61), 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62), 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도화이미지DB(63), 영상이미지 및 영상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64), 새로 작성된 영상도화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65),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 및 제1디스플레이유닛(10), 제2디스플레이유닛(50), 영상이미지DB(61), 영상도화모듈(62), 영상도화이미지DB(63), 좌표합성모듈(64), 보정모듈(65) 및 수치정보합성모듈(69)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6)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도화기기(60)는 영상도화기기(60)를 작동하기 위한 입력유닛을 더 갖춘다.
한편 수치정보합성모듈(69)에서 합성하는 수치정보는 지형,지물에 대한 속성자료 등 지형,지물과 관련된 정보를 수치화한 정보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치정보합성모듈(69)은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링크하는 방식으로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도화기기(60)는 객체선정모듈(67)과,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을 더 갖추며, 보정모듈(65)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객체선정모듈(67)은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 상에서 제1객체 및 제2객체를 선정하고,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 상에서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 상의 제1객체 및 제2객체와 대응하는 제1'객체 및 제2'객체를 선정한다. 이때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레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에는 좌표가 합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레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에는 좌표가 합성되어 있다.
상기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은 객체선정모듈(67)에서 선정한 제1객체 및 제2객체 간의 객체거리와 제1'객체 및 제2'객체 간의 객체거리를 비교하여, 객체거리 간에 일정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왜곡영상도화이미지로 판독한다. 이때 상기 보정모듈(65)은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에서 왜곡영상도화이미지로 판독되지 않은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만을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보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객체선정모듈(67) 및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은 제어모듈(66)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작업자는 통합된 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모듈(63)를 통해 영상도화한다. 이때 작업자는 좌표합성모듈(64)을 통해 영상도화이미지 상에 있는 레이어 형태의 다수의 객체(건물 등의 지형물 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한다.
이때, 작업자는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에서 도 11과 같은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와 다른 지형물 이미지가 발견될 경우,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참고하여 보정모듈(65)를 통해 도 12와 같이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보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를 통해 도 12와 같이 새로운 지형 이미지에 수치정보를 링크한다.
한편,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가 작성되면,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와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비교하여, 보정모듈(65)을 통해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편집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 중 이미지 왜곡이 발생한 영상도화이미지를 찾아내어,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만을 영상도화이미지지 보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가 작성되면, 객체선정모듈(67)은, 도 13(b)와 같이 영상도화이미지 상에서 대각선으로 각각의 끝에 위치한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도 13(a)와 같이 상기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에 대응하는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 상의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은 객체선정모듈(67)에서 선정한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객체거리와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객체거리를 비교하여, 객체거리 간에 일정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왜곡영상도화이미지로 판독한다. 즉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은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가 왜곡되어(예를 들어 일그러짐) 상기 객체거린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왜곡영상도화이미지로 판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왜곡영상도화이미지판독모듈(68)이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왜곡영상도화이미지로 판독하면, 작업자는 영상이미지를 다시 수집하거나, 영상이미지를 다시 영상도화한다. 즉 작업자는 영상이미지 자체에 왜곡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영상이미지를 다시 수집하고, 영상이미지에서 도화시 왜곡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도화 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기구적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을 통해 편리하게 영상 도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디스플레이유닛(10)의 측방에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간의 균형이 맞지 않아,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을 통해 영상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를 볼 시 왜곡되게 보일 수 있어, 부정확하게 영상 도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디스플레이유닛(50)에 바퀴를 달 수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 도화 작업시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의 하부에 메모 종이가 위치하면 상기 바퀴에 의해 메모 종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디스플레이유닛(50)에 대향되는 방향에 메모가 가능한 보조보드(30)을 배치하여,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면서, 보조보드(30)를 통해 메모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원발명은 도 14와 같이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거나, 도 15와 같이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리한 위치에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발명은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및 보조보드(30) 간에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보조보드(30)의 후면에 배치된 무게추(44)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16과 같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삽입체(41a)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서 빠져나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후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회전시키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긴 연결와이어(45)가 감기거나 풀리고, 무게추(44)는 권취기구(46)의 권취와이어(46a)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려, 무게추(44)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렇게 무게추(44)의 위치가 조절되면, 작업자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를 살짝 놓는다. 그러면 지지기구(43)의 스프링(43b)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기구(43)의 받침대(43a)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지지기구(43)의 받침대(43a)에 지지되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가 후방으로 밀려,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삽입체(41a)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은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무게추(4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면,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무게추(44)의 위치 조절에도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이 미세하게 맞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도 17과 같이 하중미세조절기구(47)의 회전대(47a)의 위치를 조절하고, 하중미세조절기구(47)의 하중조절너트(47b)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보다 정밀하게 맞춘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도화 작업 중 메모지를 육안으로 봐야할 시, 도 18과 같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전방으로 당긴 후, 가압기구(42)와 보조보드(30)의 전면 사이에 메모지(m)를 배치한 후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다시 놓으면, 도 19와 같이 메모지가 가압기구(42)에 의해 고정되어, 작업자가 영상 도화 작업을 하면서 메모지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0과 같이 가압기구(42)를 회전시켜 가압기구(4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수의 메모지(m)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보조보드(3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은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차폐부(600)의 하부에는 탈착체결부(300)가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수평지지대(100)가 결합되고, 수평지지대(100)의 하부에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가 직립 설치되며,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의 사이는 흡수연결유닛(400)이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의 하부에는 기초대(500)가 결합된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200)와 제2수직지지대(2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200)과 제2수직지지대(2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차폐부(600) 및 그 내부의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보조보드(3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하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상부에 놓이는 상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 올리고,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상승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상승된다. 탈착승강부(320)가 상승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차폐부(600)는 분리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보조보드(3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운반, 설치시 제1디스플레이유닛(10), 보조보드(30)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5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647)와, 하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하강하면, 차폐연결유닛(644), 차폐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제1디스플레이유닛 20 : 연결기구 30 : 보조보드
40 : 균형조절기기 50 : 제2디스플레이유닛 60 : 영상도화기기
100 : 수평지지대 200 : 제1수직지지대 210 : 제2수직지지대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기초대
600 : 차폐부 601 :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차폐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하부승강바
648 : 하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Claims (1)

  1. 영상이미지를 도화하여 영상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좌표를 합성하는 영상도화기기;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한 제1디스플레이유닛;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에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기구; 연결기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보드; 영상도화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기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의 후면에 설치되는 균형조절기기; 제1디스플레이유닛, 보조보드 및 제2디스플레이유닛이 내부에 수용되는 차폐부; 차폐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도화기기는,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 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도화이미지DB; 영상이미지 및 영상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새로운 영상도화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영상도화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 수치정보를 영상도화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 및 영상도화모듈, 좌표합성모듈, 보정모듈 및 수치정보합성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는,
    제1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 우단이 연결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 좌단이 연결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 제1연결바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 및 제2연결바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 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30047315A 2023-04-11 2023-04-11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4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15A KR102642148B1 (ko) 2023-04-11 2023-04-11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15A KR102642148B1 (ko) 2023-04-11 2023-04-11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148B1 true KR102642148B1 (ko) 2024-02-29

Family

ID=9004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315A KR102642148B1 (ko) 2023-04-11 2023-04-11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1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895B1 (ko) * 2017-09-26 2018-03-06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디지털 공간영상 도화이미지 왜곡을 고려한 보정식 영상 도화장치
KR102260076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94274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하여 지형변화정보를 통합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03630B1 (ko)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2699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895B1 (ko) * 2017-09-26 2018-03-06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디지털 공간영상 도화이미지 왜곡을 고려한 보정식 영상 도화장치
KR102260076B1 (ko) * 2020-10-30 2021-06-03 주식회사 그린블루 영상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94274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하여 지형변화정보를 통합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03630B1 (ko)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512699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076B1 (ko) 영상도화이미지와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7333022B (zh) 多视角图像/视频采集设备及系统
EP1224507B1 (de) Projektionswand
KR102459702B1 (ko) 영역별 영상데이터의 평면이미지만을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KR102642148B1 (ko) 영상도화이미지의 왜곡을 고려하여 보정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7367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정사영상 중첩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87808B1 (ko) 변화된 지형지물을 확인하여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205510189U (zh) 上拍式书刊扫描仪
KR102670108B1 (ko) 디지털 항공영상 데이터에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03926B1 (ko) 현지 조사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고정밀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186199B1 (ko) 다시점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화면분할 기반 영상처리시스템
CN201504275U (zh) 书籍双页同步扫描仪
KR101834895B1 (ko) 디지털 공간영상 도화이미지 왜곡을 고려한 보정식 영상 도화장치
KR101834899B1 (ko)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gis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도화시스템
WO2006081948A1 (de) Elektronische konstruktionsvorrichtung
KR102608274B1 (ko) 도화이미지를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20240084102A (ko) 수치정보를 디지털 항공영상 도화이미지에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603834B1 (ko) 엑스레이 촬영용 디스플레이 수납장치
KR102608273B1 (ko) 영상이미지로부터 정밀하게 도화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E19543959C2 (de) Computergestützte Projektionsvorrichtung
KR102603927B1 (ko) 주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207570480U (zh) 具有电子手轮的影像测量仪
KR102708908B1 (ko) 지상물 정보 기능을 갖춘 gis 전용 도화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200497077Y1 (ko) 조립의 편리성이 증대된 대형 전자칠판 조립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