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962B1 -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962B1
KR101918962B1 KR1020180116247A KR20180116247A KR101918962B1 KR 101918962 B1 KR101918962 B1 KR 101918962B1 KR 1020180116247 A KR1020180116247 A KR 1020180116247A KR 20180116247 A KR20180116247 A KR 20180116247A KR 101918962 B1 KR101918962 B1 KR 10191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camera
aircraft
modu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천복
Original Assignee
(주)한양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지에스티 filed Critical (주)한양지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11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지상구조물이 하늘의 직상방 위치에서 관찰하는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도록 영상처리하고 무진동 상태로 확보하여 더욱 명료한 영상이미지가 평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처리하므로 현재 위치한 도로와 주변 지상구조물과의 사이에 위치관계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영상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며, 현실감을 부여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브래킷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기체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항공동체무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항공동체무진동부는 촬영모듈과 항공기 사이에 설치되어 항공기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1차 감쇄시키는 1차무진동부 및 1차무진동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4개 이상 다수가 각각 설치되어 항공기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2차 감쇄시키는 2차무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무진동부(3000)는 1차무진동부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외부케이스, 제1외부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제1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외부케이스의 높이 보다 낮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내부케이스, 제1외부케이스의 폐쇄된 내측 상단면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1외부케이스의 내측 상단면에 안착되는 제1상측탄성평판, 제1내부케이스의 폐쇄된 내측 하단면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1내부케이스의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탄성평판, 제1외부케이스의 높이보다 더 높은 값의 높이와 제1내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상하 관통된 제1관통홀을 형성하며 제1하측탄성평판 위에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볼륨탄성체, 제1관통홀의 높이보다 높은 값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제1관통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탄성스프링 및 제1탄성스프링이 형성하는 내부의 원통형상 공간에 삽입되고 제1볼륨탄성체의 높이와 같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다공질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변의 잡음을 소거하는 제1볼륨소음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Picture processing system in realtime updating the image with anti-vibration for numerical image installed the data}
본 발명은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지상구조물이 하늘의 직상방 위치에서 관찰하는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도록 영상처리하고 무진동 상태로 확보하여 더욱 명료한 영상이미지가 평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처리하므로 현재 위치한 도로와 주변 지상구조물과의 사이에 위치관계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영상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며, 현실감을 부여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촬영한 디지털 영상이미지는 별도의 도화 작업 없이 수치지도의 배경이미지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는 실제 현장을 사진으로 확보한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치지도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하므로 이용자의 지도해석과 위치확인에 비교적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직접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같이 항공기를 이용하는 지상의 영상이미지 확보작업을 항공촬영이라 하고, 확보된 영상이미지의 각 프레임 또는 조각을 상호 연결하거나 갱신시키는 작업을 영상처리 작업이라고 한다.
확보된 영상이미지는 촬영위치에 따라 지상에 입설된 지상구조물의 모습이 도 1 (영상이미지 확보 위치에 따른 지상구조물에 대한 확보된 영상이미지 상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동일한 빌딩(주황색 네모 표시)이 촬영위치에 따라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3행 3열로 구분한 9장의 이미지 도시도 이다.
영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치지도는 그 배경에 적용되는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지상구조물을 평면으로 도시 적용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보기 위해 해당 영상이미지를 출력한 후, 출력된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키면서 수치지도를 확인하여도, 당해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은 항시 동일한 평면 모습만으로 출력되었다. 즉, 특정 지상구조물의 영상이미지가 모니터의 중앙위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해당 지상구조물이 모니터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표시되어도,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와 동일한 상태의 평면 이미지가 그대로 출력되는 것이다.
항공기에서 지상을 바라 볼 경우 항공기의 위치이동에 따라 지상구조물의 평면은 물론 측면을 볼 수도 있다.
물론, 지상구조물의 이미지가 평면인 영상이미지를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적용하면, 지상구조물과 도로,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사이의 시각적인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도로와 지상구조물 사이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길을 찾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를 이용하는 지상 사용자의 입장은 평소에 지상구조물의 옥상 구조 또는 평면 구조를 보거나 확인할 수 없으므로 수치지도와 찾고자 하는 지상구조물이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렵고, 이는 곧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한편, 종래의 특허 등록번호 제10-0947106호(2010.03.04.),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 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 시스템"을 살펴보면 8개의 디지털카메라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지상을 촬영하였는데, 이는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고정된 각도로 인하여 굴곡이 심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할 때 다양하고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카메라를 장착해야 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비교적 매우 높고 유지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특히 8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만 고장 나도 촬영을 할 수 없으므로 오작동 및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항공기에 설치된 카메라에 항공기의 진동이 직접 전달되어 진동에 의한 지상의 명료한 영상이미지 확보와 지상기준점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비교적 어렵고 영상이미지의 정밀한 합성과 편집 등과 같은 영상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해당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47106호(2010.03.04.),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 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 시스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에 항공기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명료하게 촬영하도록 하여 영상이미지의 합성과 편집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은 항공기(A)의 기체에 체결되는 브래킷(111)과, 상기 브래킷(1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부(112)와, 상기 제1회전부(112)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1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부(113)와, 상기 제1회전부(112) 및 상기 제2회전부(113)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14)와, 상기 제1회전부(112)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회전부(112)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와, 상기 제1회전부(112) 및 상기 제2회전부(113)에 설치되어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 및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15)를 구비하는 촬영모듈(110); 비행중인 항공기(A)의 속도를 확인하는 속도감지모듈(130); 비행중인 항공기(A)의 고도를 확인하는 고도확인모듈(14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사이의 각도,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 사이의 각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회전부(112)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속도감지모듈(130)과 상기 고도확인모듈(140)로부터 각각 전송된 속도와 고도 정보를 확인해서 상기 제1회전부(112) 또는 상기 제2회전부(113)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되 상기 항공기(A)의 고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에서 상기 항공기(A)의 수평이동거리와 일치하는 길이의 호를 확인하고 상기 원형이 상기 호의 길이만큼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기 항공기(A)가 상기 수평이동거리를 직선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일치되도록 원형의 각속도를 연산해서 상기 각속도를 상기 회전속도로 결정하고 일정주기로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광각회전모듈(12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의 촬영동작시 해당 위치의 GPS좌표를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16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좌표확인모듈(160)에서 확인한 해당 GPS좌표와 링크해 저장모듈(170)에 저장하는 파일형성모듈(150); 상기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상기 영상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해서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돼 연속성을 갖도록 배치된 픽셀들을 검색한 후 이들을 일렬로 연결해 경계선을 형성시켜서 상기 경계선이 일렬로 연결되어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는 구간을 지상구조물이미지로 확인하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 및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에 의해 확인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서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하고 독립된 지상구조물 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를 링크정보DB(250)에서 검색해 링크시켜서 완성된 영상이미지를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하는 이미지편집모듈(22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회전부(113)에 장착된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가 교대로 촬영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11)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항공기(A)의 기체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는 상기 촬영모듈(110)과 상기 항공기(A) 사이에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1차 감쇄시키는 1차무진동부(3000); 및 상기 1차무진동부(30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4개 이상 다수가 각각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2차 감쇄시키는 2차무진동부(4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차무진동부(3000)는 상기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외부케이스(301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 보다 낮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내부케이스(302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폐쇄된 내측 상단면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측 상단면에 안착되는 제1상측탄성평판(3030);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폐쇄된 내측 하단면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탄성평판(304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값의 높이와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상하 관통된 제1관통홀(3051)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하측탄성평판(3040) 위에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볼륨탄성체(3050); 상기 제1관통홀(3051)의 높이보다 높은 값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30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탄성스프링(3060); 및 상기 제1탄성스프링(3050)이 형성하는 내부의 원통형상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볼륨탄성체(3050)의 높이와 같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다공질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변의 잡음을 소거하는 제1볼륨소음체(307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모니터 또는 영상이미지 표시장치의 특정 위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항공기에서 지상을 바라보는 듯한 현실감 있는 상태로 표시되도록 영상처리하여 사용자가 수치지도에 대한 사실감을 효과적으로 체감하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의 이해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형에 따라 다양하고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고, 단 4 대의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오작동에 따른 불량률이 감소하며 신호,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끊어질 염려가 없어서 안정되게 동작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항공기에 장착 설치되는 카메라에 항공기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쇄시키므로 각각의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고 명확하게 확보하며 합성과 편집의 영상처리가 용이하고 영상처리된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며 영상처리의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동일한 빌딩(주황색 네모표시)이 촬영위치에 따라 표현되는 상태를 3행 3열로 구분한 9장의 이미지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확보 방식을 설명하는 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확보 순서를 설명하는 이미지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 처리방법 진행을 위한 영상이미지 수집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영상이미지 확보동작을 설명하는 도시도,
도 7 은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추출한 지상구조물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 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확보된 지상구조물의 영상이미지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 모습의 순차 도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태난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에 무진동장치를 설치한 상태 설명 도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진동장치에 브래킷과 동체고정브래킷이 설치된 상태 설명 도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1차 무진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A-A 부분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2차 무진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B-B 부분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1차무진동부의 조립 사시도,
그리고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2차무진동부의 조립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과 영상이미지 확보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요약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확보 방식을 설명하는 도시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확보 순서를 설명하는 이미지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처리(영상처리)는 사용자가 영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볼 때, 모니터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가 마치 항공기에서 직접 보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해서, 수치지도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고, 아울러 지상물(B)의 다양한 측면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지상과 수치지도의 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다.
이는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이용되는 영상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다수 개 확보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영상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능해지었고, 이러한 제공은 일정한 조건에 따라 일률적인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에서 영상이미지를 현실감 있게 볼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이미지의 테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항공기(A)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촬영모듈(110)이 요구된다.
도 2,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면, 촬영모듈(110)은 브래킷(111), 제1회전부(112), 제2회전부(113),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 제1구동부(114) 및 제2구동부(115)를 포함한다.
브래킷(111)은 항공기(A)의 저면 중 지정된 일부분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제1회전부(112)와 제2회전부(113)는 대략 역"U"자 형태를 하는 브래킷(111)의 내부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회동 상태로 설치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방향과 지정된 각도로 회전(회동)한다.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는 제1회전부(112)의 전방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는 제1회전부(112)의 후방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는 제2회전부(113)의 전방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는 제2회전부(113)의 후방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제1구동부(114)는 2개가 구비되고 브래킷(111)의 양측 외부에 각각 설치되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회전부(112)와 제2회전부(113)를 각각 회전(회동)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 회전과 회동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제2구동부(115)는 2개가 구비되되 하나는 제1회전부(112)의 전방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를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제2회전부(113)의 전방 외부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를 회전(회동)시킨다.
즉,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 및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가 회전함으로써,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사이의 각도 또는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며 지형에 따른 촬영 기준점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의 촬영이 끝남과 동시에 제2회전부(113)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3a, 113b)의 촬영이 시작되고,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는 제1회전부(112)가 회전함으로써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와 제2회전부(113)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3a, 113b)가 번갈아가며 지상을 촬영하게 된다.
가령, 복수의 디지털카메라와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된 촬영모듈을 이용하면, 굴곡이 심한 지상을 촬영해야 할 경우에는 굴곡과 굴곡 또는 건물과 건물 사이에 촬영을 위한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각도가 클수록 건물에 가려지는 건물들이 발생하므로 굴곡이 심한 지형일 경우에는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각도를 좁혀 촬영을 위한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지형에 따른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수를 늘려 장착할 수도 있겠지만 카메라와 이웃하는 카메라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카메라와 이웃하는 카메라 사이의 각도를 좁히는 데는 한계가 발생하고, 또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게다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중간에 끊어지는 접촉식 브러시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카메라와 카메라 사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서, 지형에 따라 다양하고 정밀한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단 4 대의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오작동에 따른 불량률이 감소한다.
게다가 신호 또는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접촉식으로 끊어질 필요가 없어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촬영모듈(110)은 광각회전모듈(1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한다.
제1회전부(112)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 또는 제2회전부(113)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113a, 113b)는 촬영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기(A)가 지상물(B)을 기준으로 어느 곳에 위치하든지 지상을 향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112a, 112b, 113a, 113b)는 지속적으로 지상을 촬영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부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와 제2회전부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3a, 113b)가 번갈가가며 지속적으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디지털카메라(112a, 112b, 113a, 113b)는 항공기(A)의 속도와 고도 등 운항정보에 따라 촬영시간이 결정되고, 제1회전부(112)와 제2회전부(113)의 회전속도 또한 상기 운항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계속해서, 도 2 와 도 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항공촬영을 진행하는 항공기(A)는 영상이미지의 확보를 위한 촬영대상이 되는 지점의 상공을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항공촬영을 진행한다. 이때, 특정 지점에 대한 촬영은 지정된 하나의 디지털카메라가 연속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항공기(A)의 운항정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모듈(110)의 동작모습이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은 항공기(A)에 탑재되어 지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00)와,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배경으로 한 수치지도를 출력 및 활용하는 출력부(200)로 구성된다.
촬영부(100)는 전술한 촬영모듈(110)과, 운항정보에 따라 회전부(112)의 회전속도를 결정해 회전시키는 광각회전모듈(120)과, 항공기(A)의 고도를 확인해 광각회전모듈(120)에 전송하는 고도확인모듈(140)과, 항공기(A)의 이동속도를 확인해 광각회전모듈(120)에 전송하는 속도감지모듈(130)과, 촬영모듈(110)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형성모듈(150)과, 영상이미지의 촬영지점에 대한 GPS 좌표 정보를 확인해서 해당 파일에 링크하는 좌표확인모듈(160)과, 파일형성모듈(150)에서 형성한 영상이미지 파일과 좌표확인모듈(160)에서 확인해 링크한 좌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모듈(170)은 하드디스크, 플로필디스크, CD 또는 USB메모리 등과 같은 공지,공용의 저장기록매체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력부(200)는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의 이미지만을 분류하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과, 분류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20)과, 이미지편집모듈(220)을 통해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최종 결과물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230)과, 모니터를 통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위치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해 출력시키는 출력모듈(240)과, 영상이미지의 최종 결과물 중 지상구조물이미지의 관련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링크정보DB(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모듈(240)은 이미지편집모듈(220)에 의해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는 이미지식별수단(241)과, 모니터의 픽셀을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미지추적수단(242)과, 사용자에 의한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 조정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에 따른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수단(243)과, 사용자에 의한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조정을 확인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기존 영상이미지에 대체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수단(244)으로 구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 처리방법 진행을 위한 영상이미지 수집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의 영상이미지 확보동작을 설명하는 도시도 이며, 도 7 은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추출한 지상구조물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1; 운항정보확인단계
항공기(A)의 촬영부(100)에 구성된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은 해당 항공기(A)의 운항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운항정보란, 항공기(A)의 속도와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항공기(A)의 기판과 통신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서 이를 통해 상기 속도 및 고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해당 운항정보를 측정 및 감지해서 이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항공기(A)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감지모듈(130)의 구성 및 구조와, 항공기(A)의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확인모듈(140)의 구성 및 구조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 또는 주지 기술이므로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의 회로적인 특성 및 기계적인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12; 회전속도연산단계
광각회전모듈(120)은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이 각각 수집한 운항정보를 확인해서, 이를 기초로 촬영모듈(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부(112, 113)에 역 "V"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2a, 112b, 113a, 113b)는 항공기(A)의 운항정보를 기초로 그 회전속도와 디지털 카메라(112a, 112b, 113a, 113b)의 촬영주기가 결정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지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촬영이 하나의 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112b)가 전담해서 항공기(A)의 이동 중에도 지속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려면, 회전부(112)의 회전속도는 항공기(A)의 속도 및 고도 정보와 연동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설명의 간단과 편의 및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1회전부(112)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촬영을 위해서는 항공기(A)의 고도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제에서 항공기(A)의 고도가 되는 'h'는 가상원주(C)의 반경이 되고, 항공기(A)가 일정 고도로 직진할 때에는 가상원주(C)는 마치 항공기(A)의 바퀴와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항공기(A)가 P1 지점의 'h' 고도 직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가 P1 지점을 촬영하고, 항공기(A)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해 P2 지점의 'h' 고도 직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가 P2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P1 지점과 P2 지점 간 직선거리가 가상원주(C)의 P1 지점과 P3 지점 간 호의 거리와 일치되도록 해야 하고, P1 지점과 P2 지점을 통과하는 항공기(A)의 직선속도와 P1지점과 P3 지점의 내각인 'θ'에 대한 각속도가 일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통해 광각회전모듈(120)은 회전부(112)의 회전속도를 연산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렇게 연산한 회전속도로 제1회전부(112)를 회전시킨다.
참고로 광각회전모듈(120)은 항공기(A)의 현재 고도와 속도에 따라 제1회전부(112) 및 제2회전부(113)의 회전속도를 사후 연산해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고, 회전부(112) 및 제2회전부(113)의 회전속도를 정한 상태에서 항공기(A)의 고도와 속도를 이에 맞춰 조정되도록 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S13; 지상촬영단계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및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는 회전부(112)의 일정한 회전속도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지상을 촬영한다.
한편,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의 촬영시점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1 또는 P2 지점의 직상방에서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가 연직방향으로 지상의 P1 또는 P2 지점을 정확히 겨냥할 때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와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의 사이 각도가 좁을수록 촬영주기는 짧아질 것이다.
참고로 디지털카메라(112a, 112b)의 촬영주기는 광각회전모듈(120)이 설정한다.
즉, 광각회전모듈(120)이 제1회전부(112)의 회전속도를 연산해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회전속도에 맞춰 디지털카메라(112a, 112b)의 촬영주기 또한 설정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디지털카메라(112a, 112b)에 출력하는 것이다.
S14; 촬영위치확인단계
좌표확인모듈(160)은 디지털카메라(112a, 112b)의 촬영시점을 확인해서 해당 위치에 대한 GPS좌표를 측정한다.
즉, 디지털카메라(112a, 112b)가 촬영을 위해 동작하면, 좌표확인모듈(160)은 현 위치를 측정해 이를 기록하는 것이다.
GPS좌표를 측정하는 좌표확인모듈(160)은 통상적이며 잘 알 수 있느 GPS측정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15; 이미지데이터저장단계
파일형성모듈(150)은 디지털카메라(112a, 112b, 113a, 113b)가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파일형태로 저장모듈(170)에 저장하되, 좌표확인모듈(160)에서 측정된 GPS좌표를 해당 파일에 링크시켜서, 임의 파일 검색시 링크된 GPS좌표값으로 검색돼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16;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단계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은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파일을 분석해서, 해당 파일의 영상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의 이미지를 탐색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출력하는 컬러모니터는 모니터 표면에 치밀하게 배치된 픽셀에 색상을 지정해서 식별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컬러모니터를 보는 사용자는 픽셀 별로 다르게 지정된 색상들 중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반복 및 연속하는 동일한 지정색상을 확인해서 이미지를 구분한다.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영상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는 모니터의 각 픽셀을 확인해서 동일, 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돼 연속성을 갖도록 배치된 픽셀들을 검색한 후, 이들을 일렬로 연결해 경계선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속성이란 동일, 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바로 이웃하는 것은 물론, 동일, 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일정 간격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일, 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일정 간격 범위 내로 일렬 배치된다면, 이를 연결해서 경계선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형성된 경계선이 일렬로 연결되어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지 않고 일단 또는 양단이 끊긴 형태를 이룬다면, 해당 경계선은 지상구조물이미지의 경계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참고로 건물은 동일한 골재로 건축되므로 당해 건물을 촬영한 지상구조물이미지는 그 테두리가 동일한 색상으로 명확히 구분될 것이고, 이 테두리를 따라 상기 경계선이 형성될 것이다.
S17; 영상이미지편집단계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에 의해 지상구조물이미지가 확인되면, 이미지편집모듈(220)은 해당 지상구조물 이미지를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별도로 분리한 후 영상이미지에 별도의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한다.
따라서 출력모듈(240)은 영상이미지를 출력할 때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구분해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를 대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S18; 편집데이터 저장단계
레이어 형식으로 독립된 다수의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갖는 영상이미지는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된다.
한편, 이미지편집모듈(220)은 영상이미지 저장시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관련 링크정보를 링크시켜서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링크정보는 링크정보DB(250)에 저장되고, 해당 지상구조물의 명칭, 위치, 크기, 용도 등과 같은 데이터가 될 것이다.
링크정보가 해당 지상구조물이미지에 링크되면, 출력모듈의 이미지출력수단(244)은 영상이미지 출력시, 당해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링크정보를 링크정보DB(250)에서 각각 검색해 출력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를 선택하면, 이미지출력수단(244)은 이를 인식해서 링크정보가 게시된 창을 출력한다.
참고로 링크정보DB(250)에 저장된 링크정보는 내용변동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 변경할 수 있고,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한 이미지 변경시 사후에 조정 및 갱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 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확보된 지상구조물의 영상이미지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 모습의 순차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21; 수치지도호출단계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출력모듈(240)의 이미지검색수단(243)에 입력한다. 여기서 키워드란, 주소와 같은 행정 구역명, 상점 또는 상가의 이름 등, 지도검색을 위해 입력되는 통상적인 단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출력모듈(240)은 데이터저장모듈(230)과 함께 독립된 기기로 제작될 수 있고, 이렇게 제작된 기기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구로 활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검색 서비스의 서버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S22; 영상이미지검색단계
이미지검색수단(243)은 키워드를 근거로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접속하여 해당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검색한다.
한편, 데이터저장모듈(230)은 키워드 관련 영상이미지 검색시, 상기 키워드의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동시에 검색한다.
즉, 키워드와 관련돼 검색된 영상이미지 내에서도 상기 키워드와 직접 관련된 지점을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의 중심(11)에 위치되도록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접한 다른 지역 확인을 위해 영상이미지를 도 9(b)와 같이 아래로 내릴 때 출력되는 이웃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의 이웃 영상이미지는 도 9(a)의 중심(11)에서 보는 지상모습이 도 9(b)의 중심(11)에서 보는 지상모습이어야 하므로, 지상구조물이미지(30)의 모습 또한 변경된 것이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검색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의 출력과 그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12, 12', 12")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기준점(12, 12', 12")은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분리된 지상구조물이미지일 수도 있고, 지상구조물 이미지와는 별도의 설정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S23; 영상이미지출력단계
이미지검색수단(243)에 의해 검색된 영상이미지는 이미지출력수단(244)을 통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다.
S24; 이미지이동단계
사용자는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 이외에 이웃하는 다른 지점에 대한 확인을 목적으로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도이다. 이때, 영상이미지의 이동 처리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이동 처리는 컴퓨터에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의 통상적인 이동 처리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이러한 이미지 이동 처리시 당해 영상이미지에 설정된 기준점(12, 12', 12") 및 지상구조물이미지도 당연히 함께 이동할 것이다.
S25; 지상구조물 위치확인단계
이미지식별수단(241)은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지정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미지추적수단(242)은 이미지식별수단(241)이 확인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기준점(12, 12', 12")의 위치를 추적한다.
통상적으로, 모니터에 출력 처리되는 이미지는 해당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OS에 의해 출력되도록 처리되는 위치가 결정되므로, OS가 제어하는 이미지 출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서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가 모니터의 어느 지점에 출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S26; 출력이미지교체출력단계
이미지출력수단(244)은 모니터를 다수의 공간을 구획해 경계부(20)를 설정하고, 이미지추적수단(242)의 추적으로 특정 지상구조물이미지가 경계부(20)를 이탈하면, 해당 경계부(20)와 링크된 이웃 영상이미지를 교체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검색수단(243)이 데이터저장모듈(230)에서 검색한 영상이미지는 이웃 영상이미지를 포함해 다수 개이고, 이들은 각각 모니터를 구획한 경계부(20)에 링크되어서 임의 경계부(20) 내에 있던 지상구조물이미지가 다른 경계부로 이동할 시에 해당 경계부에 링크된 이웃 영상이미지를 곧바로 교체 출력한다.
즉, 이미지검색수단(243)이 검색한 다수의 영상이미지의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기준점(12, 12', 12")과 중심(11)을 각각 연계시켜서, 해당 중심(11)이 위치한 경계부(20) 내에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가 위치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일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설정된 기준점(12, 12', 12")으로 영상이미지의 식별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을 통해 이미지검색수단(243)이 데이터저장모듈(230)에서 해당하는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면, 검색한 영상이미지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지점(이하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기준점(12, 12', 12")을 설정한 후, 상기 키워드와 관계된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기준점(12, 12', 12")이 설정된 영상이미지를 도 9(a)와 같이 모니터의 중심(11)에 맞춰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이미지가 출력되는 모니터는 두 개의 경계부(20)에 의해 3구역으로 구획된다.
한편,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이미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9(a)에 출력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12)이 중심(11)이 위치한 구역을 벗어나면, 상기 영상이미지와 연결된 이웃 영상이미지 중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웃하면서 모니터의 중심(11)이 있는 구역에 위치하는 기준점(12')을 갖는 이웃 영상이미지 확인 해 출력한다.
계속해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광촬영이미지가 지속해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9(b)의 기준점(12')은 모니터의 중심(11) 구역을 벗어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중심(11) 구역에 위치하는 기준점(12")을 갖는 또 다른 이웃 영상이미지를 검색해 출력한다.
참고로 도 9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를 상하 일렬로 3등분해 구획을 했지만, 실감나는 영상이미지 출력을 위해서 모니터를 격자형태로 다분할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중심(11)이 위치한 구역의 범위를 좁게해서, 상기 범위 내에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기준점(12, 12', 12")의 유입 및 이탈을 섬세하게 추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독립된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는 각각 식별 가능하므로, 별도의 기준점(12, 12', 12") 설정없이 지상구조물이미지로 상기 기준점(12, 12', 12")을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사용자는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를 항공기에서 지상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실감나게 볼 수 있으므로, 수치지도 이용에 대한 재미를 배가할 수 있고, 아울러 측면모습도 볼 수 있으므로 지상에서의 실제 모습과 수치지도를 매치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항공기의 하측 일부분에 브라켓(111)을 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모듈(110)은 항공기의 운항에 따라 발생하는 엔진진동, 기체진동, 기류 변화, 주변 일기 변화 등에 의한 물리적 충격 또는 진동을 그대로 전달받으므로 촬영된 지상의 영상이미지가 명료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진동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촬영 기준점의 좌표값 데이터에서도 오차값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의 합성 처리과정에서 부정확하게 합성될 수 있다.
특히,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흔들림에 의한 기준점 좌표값 데이터의 흔들림에 의하여 좌표 오차값이 커지고 또한, 촬영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확대하는 경우 흐릿하거나 불명료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의 운항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무진동상태로 상쇄하거나 약화시켜 촬영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더욱 명료한 상태로 확보하면서 기준점의 좌표값 데이터에 오차 크기를 최소로 줄이므로 실시간 업데이팅 처리되는 영상이미지의 명료도를 개선하고 또한, 기준점 데이터 값의 정밀도 향상에 의하여 검색의 정확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촬영모듈에 항공동체무진동부를 설치 사용하는 상태 설명 도시도 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항공동체무진동부에 브래킷과 동체고정브래킷이 설치된 상태 설명 도시도 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1차 무진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A-A 부분 단면도 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2차 무진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B-B 부분 단면도 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1차무진동부의 조립 사시도 이고,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2차무진동부의 조립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운항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무진동상태로 확보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촬영모듈(110)을 회동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브래킷(111)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항공기(A)의 기체 또는 동체를 통하여 전달되거나 인가되는 진동을 차단하거나 또는 무시할 크기로 감쇄시키는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를 더 포함한다.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는 1차무진동부(3000)와 2차무진동부(4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1차무진동부(3000)는 항공기동체브래킷(1000)에 의하여 촬영모듈(110)과 항공기(A) 사이에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거나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1차 감쇄시키거나 또는 완충시킨다.
항공기동체브래킷(1000)은 항공기(A)의 동체 중 지상의 영상이미지 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위치에 촬영모듈(110)을 안정되게 고정 부착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브래킷 구성이고 이러한 브래킷의 구성과 작용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차무진동부(4000)는 항공기동체브래킷(1000)과 브래킷(111)을 사이에 두고 항공기(A)로부터 전달되거나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2차로 감쇄 또는 완충시킨다.
또한, 2차무진동부(4000)는 1차무진동부(30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감쇄 또는 완충시킨다.
2차무진동부(4000)는 항공기동체브래킷(1000)과 브래킷(111)을 사이에 두고 1차무진동부(30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4개 이상 다수가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2차 감쇄시킨다.
2차무진동부(4000)는 짝수 단위로 필요에 의하여 더 구비되거나 축소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1차무진동부(3000)는 제1외부케이스(3010), 제1내부케이스(3020), 제1상측탄성평판(3030), 제1하측탄성평판(3040), 제1볼륨탄성체(3050), 제1탄성스프링(3060), 제1볼륨소음체(3070), 제1상부탄성패드(3080), 제1하부탄성패드(30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1차무진동부(3000)는 입방 센티미터 단위 마다 4 내지 5 키로그램 정도의 외부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1외부케이스(3010)는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다.
제1외부케이스(3010)의 상측 단면부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감될 수 있다.
제1외부케이스(3010)는 첨부된 도면에서 사각통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다각통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제1외부케이스(3010)는 두께가 0.5 내지 3 미리미터(mm)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0.7 밀리미터 두께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하는 것이 내구성과 견고성 및 안정적 성능 확보를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는 1 내지 10 센티미터(cm)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높이로 이루어지되, 6 센티미터의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무진동 효과를 위하여 비교적 바람직하고, 더 높은 높이로 구성하는 경우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높이에 대비하여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가 비례하지 않고 더 낮은 높이로 구성하는 경우는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제1내부케이스(3020)는 제1외부케이스(30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 보다 낮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다.
제1내부케이스(3020)의 하측 단면부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감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높이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종방향을 의미한다.
제1내부케이스(3020)의 높이 값은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 값 대비 2/3 에 해당하는 값으로 구성되는 것이 생산 및 품질검사 등에 바람직하고 두께 및 재질 등은 제1외부케이스(3010)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측벽면과 제1내부케이스(3020)의 외측벽면은 균일하게 1 밀리미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무소음과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1상측탄성평판(3030)은 제1외부케이스(3010)의 폐쇄된 내측 상단면 크기(면적)와 유사하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측 상단면에 안착된다.
제1상측탄성평판(3030)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감될 수 있다.
제1상측탄성평판(3030)은 5 내지 10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6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 킬로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1하측탄성평판(3040)은 제1내부케이스(3020)의 폐쇄된 내측 하단면 크기(면적)와 유사하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측 하단면에 안착된다.
제1하측탄성평판(3040)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가감될 수 있다.
제1하측탄성평판(3040)의 재질 및 규격은 제1상측탄성평판(3030)과 동일하다.
제1볼륨탄성체(3050)는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값의 높이와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 원통 형상을 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홀(3051)을 형성하고, 제1하측탄성평판(3040) 위에 안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킨다.
제1볼륨탄성체(3050)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가감될 수 있다.
제1볼륨탄성체(3050)의 높이는 제1외부케이스(3010)의 종방향에 의한 높이 값 대비 큰 값으로 이루어지되, 0.3 내지 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이고,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 값보다 0.5 센티미터 높은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높이가 더 높으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소음 발생 우려가 있는 동시에 비정상 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볼륨탄성체(3050)는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횡방향에 의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6 킬로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진동 흡수와 감쇠 및 내구성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1탄성스프링(3060)은 일반적인 원형코일 형상을 하며 제1관통홀(3051)의 높이보다 높은 값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제1관통홀(305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 감쇄킨다.
제1탄성스프링(3060)의 높이는 제1관통홀(3051)의 높이 값보다 0.5 센티미터(cm) 높은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스프링(3060)은 전체적으로 30 내지 50 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을 완충 또는 감쇄시키는 구성이고 40 킬로그램의 무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구성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1볼륨소음체(3070)는 제1탄성스프링(3060)이 형성하는 내부의 원통형상 공간에 삽입되고 제1볼륨탄성체(3050)의 높이와 같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다공질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변의 잡음을 흡수 소거하는 구성이다.
제1볼륨소음체(3070)는 방습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공질의 스펀지(sponge) 또는 방습처리되고 약하게 압축된 솜뭉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폰지의 원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가 있으며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상부탄성패드(3080)는 제1외부케이스(3010)의 외부 상측면과 같은 크기 및 형상을 하고, 5 내지 10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6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 킬로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1상부탄성패드(3080)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가감될 수 있다.
제1하부탄성패드(3090)는 제1내부케이스(3020)의 외부 하측면과 같은 크기 및 형상을 하고, 5 내지 10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6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 킬로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1하부탄성패드(3090)에는 4 개의 제1 연결홀(3052)이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가감될 수 있다.
2차무진동부(4000)는 제2외부케이스(4010), 제2내부케이스(4020), 제2상측탄성평판(4030), 제2하측탄성평판(3040), 제2볼륨탄성체(4050), 제2탄성스프링(4060), 제2볼륨소음체(4070), 제2상부탄성패드(4080), 제2하부탄성패드(4090), 장볼트(4100), 너트(41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2차무진동부(4000)는 전체적으로 1차무진동부(3000)와 비교하여 크기가 작고 하나의 구성으로 입방 센티미터 단위 당 약 400 내지 500 그램 크기로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2외부케이스(4010)는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다. 제2외부케이스(4010)는 첨부된 도면에서 사각통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다각통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외부케이스(4010)의 상측면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외부케이스(4010)는 두께가 0.5 내지 3 미리미터(mm)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0.7 밀리미터 두께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하는 것이 내구성과 견고성 및 안정적 성능 확보를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는 1 내지 5 센티미터(cm)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높이로 이루어지되, 3 센티미터의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무진동 효과를 위하여 비교적 바람직하고, 더 높은 높이로 구성하는 경우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높이에 대비하여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가 비례하지 않고 더 낮은 높이로 구성하는 경우는 전체적인 무진동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제2내부케이스(4020)는 제2외부케이스(40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외부케이스(40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외부케이스(4010)의 높이 보다 낮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제2내부케이스(4020)의 하측면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내부케이스(4020)의 높이 값은 제2외부케이스(4010)의 높이 값 대비 2/3 에 해당하는 값으로 구성되는 것이 생산 및 품질검사 등에 바람직하고 두께 및 재질 등은 제2외부케이스(4010)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외부케이스(4010)의 내측벽면과 제2내부케이스(4020)의 외측벽면은 균일하게 1 밀리미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무소음과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2상측탄성평판(4030)은 제2외부케이스(4010)의 폐쇄된 내측 상단면 크기(면적)와 유사하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2외부케이스(4010)의 내측 상단면에 안착된다. 제2상측탄성평판(4030)의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상측탄성평판(4030)은 2 내지 5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3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00 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2하측탄성평판(4040)은 제2내부케이스(4020)의 폐쇄된 내측 하단면 크기(면적)와 유사하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제2내부케이스(4020)의 내측 하단면에 안착된다. 제2하측탄성평판(4040)의 재질 및 규격은 제2상측탄성평판(4030)과 동일하다.
제2볼륨탄성체(4050)는 제2외부케이스(40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값의 높이와 제2내부케이스(40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 원통 형상을 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관통홀(4051)을 형성하고, 제2하측탄성평판(4040) 위에 안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킨다.
제2볼륨탄성체(4050)의 높이는 제2외부케이스(4010)의 종방향에 의한 높이 값 대비 큰 값으로 이루어지되, 0.3 내지 0.5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이고, 제2외부케이스(4010)의 높이 값보다 0.4 센티미터 높은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높이가 더 높으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소음 발생 우려가 있는 동시에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2볼륨탄성체(4050)는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횡방향에 의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00 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진동 흡수와 감쇠 및 내구성을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제2탄성스프링(4060)은 일반적인 원형코일 형상을 하며 제2관통홀(4051)의 높이보다 높은 값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제2관통홀(405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 감쇄킨다. 제2탄성스프링(4060)의 높이는 제2관통홀(4051)의 높이 값보다 0.3 센티미터(cm) 높은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스프링(4060)은 전체적으로 3 내지 5 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을 완충 또는 감쇄시키는 구성이고 4 킬로그램의 무게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구성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2볼륨소음체(4070)는 제2탄성스프링(4060)이 형성하는 내부의 원통형상 공간에 삽입되고 제2볼륨탄성체(4050)의 높이와 같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다공질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변의 잡음을 흡수 소거하는 구성이다. 제2볼륨소음체(4070)의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볼륨소음체(4070)는 방습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공질의 스펀지(sponge) 또는 방습처리되고 약하게 압축된 솜뭉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폰지의 원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가 있으며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상부탄성패드(4080)는 제2외부케이스(4010)의 외부 상측면과 같은 크기 및 형상을 하고, 3 내지 5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3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00 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2상부탄성패드(4080)의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하부탄성패드(4090)는 제2내부케이스(4020)의 외부 하측면과 같은 크기 및 형상을 하고, 3 내지 5 밀리미터(mm)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두께의 탄성고무패드 또는 탄성프라스틱패드로 이루어지되, 3 밀리미터의 두께이면서 센티미터 단위 면적당 300 그램의 무게를 지탱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2하부탄성패드(4090)의 중앙 부분에는 제2연결홀(4052)이 2차무진동부(4000)의 전체적 형상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장볼트(4100)는 한 개의 1차무진동부(3000)에 형성된 제1연결홀(3052)과 두 개의 2차무진동부(4000)에 각각 형성된 제2연결홀(4052)과 동체고정브래킷(1000) 및 브래킷(111)에 각각 형성된 해당 연결홀을 모두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 끝단은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 끝단의 외주면에는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장볼트(4100)는 첨부된 도면에서 4개가 필요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의하여 짝수로 가감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너트(4110)는 장볼트(4100)의 타측 끝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상태로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장볼트(4100)의 타측 끝단 외주면과 나사체결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촬영모듈 111; 브래킷 112; 제1회전부
113; 제2회전부 114; 제1구동부 115; 제2구동부
120; 광각회전모듈 130; 속도감지모듈 140; 고도확인모듈
150; 파일형성모듈 160; 좌표확인모듈 170; 저장모듈
210;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 220; 이미지편집모듈
230; 데이터저장모듈 240; 출력모듈 250; 링그정보DB
1000 : 항공동체브래킷 2000 : 항공동체무진동부
3000 : 1차무진동부 3010 : 제1 외부케이스
3020 : 제1내부케이스 3030 : 제1상측탄성평판
3040 : 제1하측탄성편판 3050 : 제1볼륨탄성체
3060 : 제1탄성스프링 3070 : 제1볼륨소음체
3080 : 제1상부탄성패트 3090 : 제1하부탄성패드
4000 : 2차무진동부

Claims (1)

  1. 항공기(A)의 기체에 체결되는 브래킷(111)과, 상기 브래킷(1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부(112)와, 상기 제1회전부(112)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1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부(113)와, 상기 제1회전부(112) 및 상기 제2회전부(113)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14)와, 상기 제1회전부(112)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회전부(112)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와, 상기 제1회전부(112) 및 상기 제2회전부(113)에 설치되어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 및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15)를 구비하는 촬영모듈(110); 비행중인 항공기(A)의 속도를 확인하는 속도감지모듈(130); 비행중인 항공기(A)의 고도를 확인하는 고도확인모듈(14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사이의 각도,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 사이의 각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회전부(112)와 상기 제2회전부(113)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속도감지모듈(130)과 상기 고도확인모듈(140)로부터 각각 전송된 속도와 고도 정보를 확인해서 상기 제1회전부(112) 또는 상기 제2회전부(113)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되 상기 항공기(A)의 고도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에서 상기 항공기(A)의 수평이동거리와 일치하는 길이의 호를 확인하고 상기 원형이 상기 호의 길이만큼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기 항공기(A)가 상기 수평이동거리를 직선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일치되도록 원형의 각속도를 연산해서 상기 각속도를 상기 회전속도로 결정하고 일정주기로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광각회전모듈(12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의 촬영동작시 해당 위치의 GPS좌표를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160);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 또는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좌표확인모듈(160)에서 확인한 해당 GPS좌표와 링크해 저장모듈(170)에 저장하는 파일형성모듈(150); 상기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상기 영상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해서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돼 연속성을 갖도록 배치된 픽셀들을 검색한 후 이들을 일렬로 연결해 경계선을 형성시켜서 상기 경계선이 일렬로 연결되어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는 구간을 지상구조물이미지로 확인하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 및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에 의해 확인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서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하고 독립된 지상구조물 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를 링크정보DB(250)에서 검색해 링크시켜서 완성된 영상이미지를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하는 이미지편집모듈(22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상기 제1전방디지털카메라(112a)와 상기 제1후방디지털카메라(112b)가 교대로 촬영하고 제1회전부(112)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회전부(113)에 장착된 상기 제2전방디지털카메라(113a)와 상기 제2후방디지털카메라(113b)가 교대로 촬영하므로 제1회전부(112)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2a, 112b)와 제2회전부(113)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113a, 113b)가 번갈아가며 지상의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11)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항공기(A)의 기체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공동체무진동부(2000)는
    상기 촬영모듈(110)과 상기 항공기(A) 사이에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1차 감쇄시키는 1차무진동부(3000); 및
    상기 1차무진동부(30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4개 이상 다수가 각각 설치되어 항공기(A)로부터 인가되는 진동과 충격을 2차 감쇄시키는 2차무진동부(4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차무진동부(3000)는
    상기 1차무진동부(30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외부케이스(301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 보다 낮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측 단면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제1내부케이스(302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폐쇄된 내측 상단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내측 상단면에 안착되는 제1상측탄성평판(3030);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폐쇄된 내측 하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제1하측탄성평판(3040);
    상기 제1외부케이스(30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값의 높이와 상기 제1내부케이스(30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상하 관통된 제1관통홀(3051)을 형성하며 상기 제1하측탄성평판(3040) 위에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볼륨탄성체(3050);
    상기 제1관통홀(3051)의 높이보다 높은 값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30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제1탄성스프링(3060); 및
    상기 제1탄성스프링(3060)이 형성하는 내부의 원통형상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볼륨탄성체(3050)의 높이와 같은 값의 높이로 형성되며 다공질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변의 잡음을 소거하는 제1볼륨소음체(307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80116247A 2018-09-28 2018-09-28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91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47A KR101918962B1 (ko) 2018-09-28 2018-09-28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47A KR101918962B1 (ko) 2018-09-28 2018-09-28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962B1 true KR101918962B1 (ko) 2018-11-15

Family

ID=6436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47A KR101918962B1 (ko) 2018-09-28 2018-09-28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1204A (zh) * 2019-08-19 2021-03-0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卫星对动态飞行目标多视角成像联合计算航行高度的方法
KR102246549B1 (ko) * 2020-12-11 2021-04-30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46548B1 (ko)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106B1 (ko) 2009-10-30 2010-03-12 새한항업(주)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1214584B1 (ko) 2012-08-30 2012-12-24 (주) 한양지에스티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1239939B1 (ko) 2012-11-30 2013-03-06 (주) 한양지에스티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의 관측을 통한 지형공간정보 측량 시스템
JP2015521258A (ja) 2012-04-30 2015-07-27 スレット スペクトラ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位置決めデバイス
JP2018105809A (ja) 2016-12-28 2018-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素子、物理量センサー、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106B1 (ko) 2009-10-30 2010-03-12 새한항업(주)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JP2015521258A (ja) 2012-04-30 2015-07-27 スレット スペクトラ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位置決めデバイス
KR101214584B1 (ko) 2012-08-30 2012-12-24 (주) 한양지에스티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1239939B1 (ko) 2012-11-30 2013-03-06 (주) 한양지에스티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의 관측을 통한 지형공간정보 측량 시스템
JP2018105809A (ja) 2016-12-28 2018-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素子、物理量センサー、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1204A (zh) * 2019-08-19 2021-03-0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卫星对动态飞行目标多视角成像联合计算航行高度的方法
CN112461204B (zh) * 2019-08-19 2022-08-16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卫星对动态飞行目标多视角成像联合计算航行高度的方法
KR102246549B1 (ko) * 2020-12-11 2021-04-30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46548B1 (ko)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62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4192B1 (ko)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JP6321077B2 (ja) 縦続カメラおよび/またはキャリブレーション特徴を含む広いエリア画像を詳細に取り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904200B (zh) 捕捉运动场景的设备、装置和系统
KR100947106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US7155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images of objects at geographic locations and displaying same in online directories
JPWO2008152740A1 (ja) デジタル空撮3次元計測システム
KR101583310B1 (ko)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218220B1 (ko) 항공촬영 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20070035027A (ko) 이미지 확장식 관성 항법 시스템 및 방법
KR100950996B1 (ko) 일반도화제작용 항공촬영 카메라의 광각조절시스템
US20040021767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667520B (zh) 具有运动补偿的图像捕捉系统
CN103453891A (zh) 轻小型无人机机载多视立体航空遥感装置和系统
KR101214584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2099778B1 (ko) Gis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236992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2095228B1 (ko) 다수의 항공기가 촬영한 초정밀 영상을 합성하는 항공촬영 시스템
CN106500828A (zh) 一种手持式传声器阵列及其测试自行装备驾驶舱内噪声分布的方法
GB2553148A (en) Modelling system and method
KR102099248B1 (ko) 지형정보의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KR102174823B1 (ko)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합성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JP5357966B2 (ja) 情報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91826B1 (ko) 기준점 수치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2494439B1 (ko)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