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439B1 -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439B1
KR102494439B1 KR1020220119844A KR20220119844A KR102494439B1 KR 102494439 B1 KR102494439 B1 KR 102494439B1 KR 1020220119844 A KR1020220119844 A KR 1020220119844A KR 20220119844 A KR20220119844 A KR 20220119844A KR 102494439 B1 KR102494439 B1 KR 10249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age
unit
coupl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재
박종필
김창훈
전세민
강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명메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명메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명메타
Priority to KR102022011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장착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처리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지표면에 설치되어 기준좌표값을 송출하는 지상좌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영상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GIVING SENSE OF REALITY BY APPLYING REFERENCE POINT DATA}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항공 촬영 위치에 따른 지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동일한 빌딩(주황색으로 표시)이 항공기의 촬영 위치에 따라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3행 3열로 구분해 9장의 이미지로 출력한 것이다.
영상처리 작업을 위한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항공기에서 지상을 직접 촬영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항공기의 촬영 위치에 따라 지상에 배치된 지상구조물의 촬영 모습은 다양하게 변형된다.
종래 영상이미지는 지상구조물이 가급적 평면인 것으로 적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보기 위해 해당 영상이미지를 출력한 후, 출력된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키면서 수치지도를 확인하더라도 당해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은 항상 동일한 평면 모습만으로 출력된다.
즉, 특정 지상구조물이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지상구조물이 모니터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더라도,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평면 그대로가 출력된다는 것이다.
물론, 지상구조물의 평면이미지를 영상이미지로 적용하면, 지상구조물과 도로,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간의 시각적인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도로와 지상구조물 간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평상시 지상구조물의 평면이미지(예컨대, 옥상의 이미지)를 볼 수 없으므로 지상구조물을 영상이미지 상에서 매칭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주변 지형 및 지상구조물 등의 지형정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러한 지형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계속하여 갱신 또는 보정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영상이미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좌표기가 실시간으로 정확한 좌표를 제공하여 지형이 변하더라도 해당 좌표 주변의 변한 지형 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기에 장착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처리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지표면에 설치되어 기준좌표값을 송출하는 지상좌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출력부는, 촬영부의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하여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는 구간을 지상구조물이미지로 확인하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 및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에 의해 확인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서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하는 이미지편집모듈;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가 저장되는 링크정보DB; 이미지편집모듈을 통해 편집된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를 링크시켜서 완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 및 모니터를 통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출력모듈은, 이미지편집모듈에 의해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는 이미지식별수단; 모니터의 픽셀을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미지추적수단;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 조정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에 따른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수단; 및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조정을 확인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기존 영상이미지에 대체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지상측정기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카메라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조절부는,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기둥; 지지기둥에 저면부가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링크유닛;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가장자리를 절개하여 마련되는 절개홀; 및 절개홀과 연통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링크체유닛은, 가이드홀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이동바디; 복수의 제1이동바디와 마주보도록 가이드홀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이동바디; 복수의 제1이동바디 및 복수의 제2이동바디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 서로 근접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체가 구비된 링크부; 일측부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링크부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가 결합되는 엔드링크;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어 복수의 링크체 중 선택된 링크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링크체를 접어지게 하거나 펼치는 링크체구동부; 및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마련되어 제1이동바디와 제2이동바디를 지지함과 아울러 엔드링크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링;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공급밸브부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줄여 효율적인 카메라 운용이 가능하고,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킬 때 항공기에서 지상을 바라보는 듯한 현실감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체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해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점 주변의 지형변화를 지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영상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지형변화를 입체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지상좌표기가 실시간으로 정확한 좌표를 제공하여 지형이 변하더라도 해당 좌표 주변의 변한 지형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 지도를 구현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고, 지상좌표기의 효율적인 운용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항공 촬영 위치에 따른 지상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이미지의 수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각회전모듈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구조물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좌표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과 링크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에서 링크부와 엔드링크가 생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항공기(A)에 장착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부(100), 촬영부에서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처리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200) 및 지표면에 설치되어 기준좌표값을 송출하는 지상좌표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100)는 촬영모듈(110), 광각회전모듈(120), 속도감지모듈(130), 고도확인모듈(140), 파일형성모듈(150), 좌표확인모듈(160) 및 저장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110)은 항공기(A)의 기체에 체결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112) 및 상기 회전축(111)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면서 회전체(112)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모듈(110)은 항공기(A)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다시 말하면, 항공기(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촬영모듈(110)은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가 회전체(112)를 매개로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후술되는 광각회전모듈(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는 모두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위치한다.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는 촬영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A)가 지상물(B)을 기준으로 어느 곳에 위치하든지 지상을 향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113)는 지속적으로 지상을 촬영하게 된다.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는 회전체(112)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므로 지상을 겨냥하는 디지털카메라(113)는 물론 지상의 반대방향을 겨냥하는 디지털카메라가 동시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촬영모듈(110)을 구성하는 디지털카메라(113) 모두가 동시에 촬영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고, 효율성을 고려해 지상을 겨냥하는 디지털카메라(113)만 촬영동작을 동시에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카메라(113)는 항공기(A)의 속도와 고도 등 운항정보에 따라 촬영 시간이 결정되고, 회전체(112)의 회전속도 또한 이러한 운항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항공촬영을 진행하는 항공기(A)는 영상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지점의 상공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촬영을 진행한다. 이때, 특정 지점에 대한 촬영은 지정된 하나의 디지털카메라(113)가 연속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항공기(A)의 운항정보에 따라 촬영모듈(110)의 동작모습이 달라진다.
상기 속도감지모듈(130)은 항공기(A)의 비행 속도를 확인하여 광각회전모듈(120)로 전송한다. 상기 고도확인모듈(140)은 항공기(A)의 비행 고도를 확인하여 광각회전모듈(120)로 전송한다.
상기 광각회전모듈(120)은 속도감지모듈(130) 및 고도확인모듈(140)로부터 각각 전송된 비행 속도 및 비행 고도를 확인하며, 이러한 운항정보에 따라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일정 주기로 디지털카메라(113)가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파일형성모듈(150)은 촬영모듈(110)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좌표확인모듈(160)은 디지털카메라(113)를 통한 촬영 동작시 해당 촬영지점에 대한 GPS 좌표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파일형성모듈(150)에서 형성한 영상이미지 파일과 좌표확인모듈(160)에서 확인해 링크한 좌표정보는 저장모듈(17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모듈(170)은 하드디스크, 플로필디스크, CD 또는 USB 메모리 등과 같은 공지공용의 저장기록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00)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 이미지편집모듈(220), 데이터저장모듈(230), 출력모듈(240) 및 링크정보DB(2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은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이미지만을 분류한다. 상기 이미지편집모듈(220)은 분류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모듈(230)은 이미지편집모듈(220)을 통해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최종 결과물을 저장한다. 상기 출력모듈(240)은 모니터를 통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위치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해 출력시키고, 상기 링크정보DB(250)는 영상이미지의 최종 결과물 중 지상구조물이미지의 관련 링크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모듈(240)은 이미지편집모듈(220)에 의해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는 이미지식별수단(241), 모니터의 픽셀을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미지추적수단(242), 사용자에 의한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 조정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에 따른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수단(243) 및 사용자에 의한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조정을 확인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기존 영상이 미지에 대체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수단(24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상좌표기(300)는 지상카메라(320), 무선통신부(330) 및 GPS수신기(340)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해당 지점의 좌표값을 송출하여 영상처리 작업시 지형지물의 변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상카메라(320)를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지형변화를 입체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상좌표기(300)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이미지의 수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각회전모듈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구조물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S11 : 운항정보확인단계
항공기(A)의 촬영부(100)에 구성된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은 해당 항공기(A)의 운항정보를 확인한다. 이러한 운항정보는 항공기(A)의 기판과 통신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서 이를 통해 속도와 고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해당 운항정보를 측정 및 감지해서 이를 수집할 수도 있다.
항공기(A)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감지모듈(130)의 구성 및 구조와, 항공기(A)의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확인모듈(140)의 구성 및 구조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공용 기술이므로,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의 회로적인 특성 및 기계적인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12 : 회전속도연산단계
상기 광각회전모듈(120)은 속도감지모듈(130)과 고도확인모듈(140)이 각각 수집한 운항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촬영모듈(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체(112)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는 항공기(A)의 운항정보를 기초로 그 회전속도와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주기가 결정된다.
즉, 지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촬영이 하나의 디지털카메라(113)가 전담해서 항공기(A)의 이동 중에도 지속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려면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는 항공기(A)의 속도 및 고도 정보와 연동해 이루어져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상 촬영을 위해서는 항공기(A)의 고도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제에서 항공기(A)의 고도가 되는 'h'는 가상원주(C)의 반경이 되고, 항공기(A)가 일정 고도로 직진할 때에는 가상원주(C)는 마치 항공기(A)의 바퀴와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항공기(A)가 P1 지점의 'h' 고도 직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임의 디지털카메라(113)가 P1 지점을 촬영하고, 항공기(A)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해 P2 지점의 'h' 고도 직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임의 디지털카메라(113)에 이웃하는 다른 디지털카메라가 P2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P1 지점과 P2 지점 간 직선거리가 가상원주(C)의 P1 지점과 P3 지점 간 호의 거리와 일치되도록 해야 하고, P1 지점과 P2 지점을 통과하는 항공기(A)의 직선 속도와 P1 지점과 P3 지점의 내각인 'θ'에 대한 각속도가 일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통해 광각회전모듈(120)은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를 연산하고, 이렇게 연산한 회전속도로 회전축(111)을 회전시킨다. 광각회전모듈(120)은 항공기(A)의 현재 고도와 속도에 따라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를 사후 연산해 처리할 수도 있고,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를 정한 상태에서 항공기(A)의 고도와 속도를 이에 맞춰 조정할 수도 있다.
S13 : 지상촬영단계
회전체(112)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113)는 회전체(112)의 일정한 회전속도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지상을 촬영한다. 물론, 회전체(112)에 설치된 모든 디지털카메라(113)가 동시에 촬영을 진행하는데, 설계를 변경해서 지상을 겨냥하는 디지털카메라(113) 만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시점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1 또는 P2 지점의 직상방에서 디지털카메라(113)가 연직방향으로 지상의 P1 또는 P2 지점을 정확히 겨냥할 때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12)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디지털카메라(113)의 수가 많을수록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주기는 짧아질 것이다.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주기는 광각회전모듈(120)이 설정한다. 즉, 광각회전모듈(120)이 회전체(112)의 회전속도를 연산해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회전속도에 맞춰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주기 또한 설정한다.
S14 : 촬영위치확인단계
상기 좌표확인모듈(160)은 디지털카메라(113)의 촬영시점을 확인해서 해당 위치에 대한 GPS좌표를 측정한다. 즉, 디지털카메라(113)가 촬영을 위해 동작하면, 좌표확인모듈(160)은 현 위치를 측정해 이를 기록한다. GPS좌표를 측정하는 좌표확인모듈(160)은 통상적인 GPS측정기가 적용될 수 있다.
S15 : 이미지데이터저장단계
상기 파일형성모듈(150)은 디지털카메라(113)가 촬영한 이미지를 데이터화해 파일 형태로 저장모듈(170)에 저장한다. 이때, 좌표확인모듈(160)에서 측정된 GPS좌표를 해당 파일에 링크시키고, 임의 파일 검색시 링크된 GPS좌표 또한 검색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16 :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단계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은 저장모듈(170)에 저장된 파일을 분석하여 해당 파일의 이미지데이터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탐색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출력하는 컬러모니터는 모니터 표면에 치밀하게 배치된 픽셀에 색상을 지정해서 식별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컬러모니터를 보는 사용자는 픽셀별로 다르게 지정된 색상들 중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반복 및 연속하는 동일한 지정색상을 확인해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영상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는 모니터의 각 픽셀을 확인해서 동일/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돼 연속성을 갖도록 배치된 픽셀들을 검색한 후, 이들을 일렬로 연결해 경계선을 형성시킨다.
여기에서 연속성이란 동일/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바로 이웃하는 것은 물론, 동일/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일정 간격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일/유사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이 일정 간격 범위 내로 일렬 배치된다면, 이를 연결하여 경계선으로 형성시킨다. 한편, 이렇게 형성된 경계선이 일렬로 연결되어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지 않고 일단 또는 양단이 끊긴 형태를 이룬다면, 해당 경계선은 지상구조물이미지의 경계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동일한 골재로 건축되므로 당해 건물을 촬영한 지상구조물 이미지는 그 테두리가 동일한 색상으로 명확히 구분될 것이고, 이 테두리를 따라 경계선이 형성될 수 있다.
S17 : 영상이미지편집단계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210)에 의해 지상구조물이미지가 확인되면, 이미지편집모듈(220)은 해당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분리한 후, 영상이미지에 별도의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모듈(240)은 영상이미지를 출력할 때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구분해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를 대체 출력할 수 있다.
S18 : 편집데이터 저장단계
레이어 형식으로 독립된 다수의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갖는 영상이미지는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된다. 상기 이미지편집모듈(220)은 영상이미지 저장시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관련 링크정보를 링크시켜서 데이터저장모듈(230)에 저장한다. 이때, 링크정보는 링크정보DB(250)에 저장되고, 이는 해당 지상구조물의 명칭, 위치, 크기, 용도 등과 같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링크정보가 지상구조물이미지에 링크되면, 출력모듈(240)의 이미지출력수단(244)은 영상이미지 출력시 당해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링크정보를 링크정보DB(250)에서 각각 검색해 출력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를 선택하면, 이미지출력수단(244)은 이를 인식해서 링크정보가 게시된 창을 출력한다.
상기 링크정보DB(250)에 저장된 링크정보는 내용변동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 변경할 수 있고,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한 이미지 변경시 사후에 조정 및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S21 : 수치지도호출단계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 대한 키워드(예컨대, 주소와 같은 행정 구역명, 상점 또는 상가의 이름 등)를 출력모듈(240)의 이미지검색수단(243)에 입력한다.
상기 출력모듈(240)은 데이터저장모듈(230)과 함께 독립된 기기로 제작될 수 있고, 이렇게 제작된 기기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구로 활용되거나, 이외에도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검색 서비스의 서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S22 : 영상이미지검색단계
상기 이미지검색수단(243)은 키워드를 근거로 데이터저장모듈(230)에서 관련 항공영상이미지를 검색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모듈(230)은 키워드 관련 영상이미지 검색시, 키워드의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동시에 검색한다.
즉, 키워드와 관련돼 검색된 영상이미지 내에서도 키워드와 직접 관련된 지점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 화면의 중심(11)에 위치되도록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접한 다른 지역 확인을 위해 영상이미지를 도 8(b)와 같이 아래로 내릴 때 출력되는 이웃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이웃 영상이미지는 도 8(a)의 중심(11)에서 보는 지상 모습이 도 8(b)의 중심(11)에서 보는 지상 모습이어야 하므로 지상구조물이미지(30)의 모습 또한 변경된다.
검색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의 출력과 그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12, 12', 12")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준점(12, 12', 12")은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분리된 지상구조물이미지일 수도 있고, 지상구조물이미지와는 별도의 설정값일 수도 있다.
S23 : 영상이미지출력단계
상기 이미지검색수단(243)에 의해 검색된 영상이미지는 이미지출력수단(244)을 통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에 출력된다.
S24 : 이미지이동단계
사용자는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 이외에 이웃하는 다른 지점에 대한 확인을 목적으로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영상이미지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영상이미지의 이동은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조작을 통해 통상적인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이동은 컴퓨터에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의 통상적인 이동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이러한 이미지 이동시 당해 영상이미지에 설정된 기준점(12, 12', 12") 및 지상구조물이미지도 당연히 함께 이동할 것이다.
S25 : 지상구조물 위치확인단계
상기 이미지식별수단(241)은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지정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미지추적수단(242)은 이미지식별수단(241)이 확인한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기준점(12, 12', 12")의 위치를 추적한다.
통상적으로 모니터에 출력되는 이미지는 해당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OS에 의해 출력위치가 결정되므로 OS가 제어하는 이미지 출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서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가 모니터의 어느 지점에 출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26 : 출력이미지교체출력단계
상기 이미지출력수단(244)은 모니터를 다수의 공간을 구획해 경계부(20)를 설정하고, 이미지추적수단(242)의 추적으로 특정 지상구조물이미지가 경계부(20)를 이탈하면, 해당 경계부(20)와 링크된 이웃 영상이미지를 교체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검색수단(243)이 데이터저장모듈(230)에서 검색한 영상이미지는 이웃 영상이미지를 포함해 다수 개이고, 이들은 각각 모니터를 구획한 경계부(20)에 링크되어서 임의 경계부(20) 내에 있던 지상구조물이미지가 다른 경계부로 이동할 시에 해당 경계부에 링크된 이웃 영상이미지를 곧바로 교체 출력한다.
즉, 이미지검색수단(243)이 검색한 다수의 영상이미지의 지상구조물이미지 또는 기준점(12, 12', 12")과 중심(11)을 각각 연계시켜서, 해당 중심(11)이 위치한 경계부(20) 내에 상기 지상구조물이미지가 위치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점(12, 12', 12")으로 영상이미지의 식별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을 통해 이미지검색수단(243)이 데이터저장모듈(230)에서 해당하는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면, 검색한 영상이미지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기준점(12, 12', 12")을 설정한 후, 키워드와 관계된 지상구조물이미지에 기준점(12, 12', 12")이 설정된 영상이미지를 도 8(a)와 같이 모니터의 중심(11)에 맞춰 출력한다. 이때, 영상이미지가 출력되는 모니터는 두 개의 경계부(20)에 의해 3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이미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8(a)에 출력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12)이 중심(11)이 위치한 구역을 벗어나면, 영상이미지와 연결된 이웃 영상이미지 중 이동 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웃하면서 모니터의 중심(11)이 있는 구역에 위치하는 기준점(12')을 갖는 이웃 영상이미지 확인해 출력한다.
계속해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광촬영이미지가 지속해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8(b)의 기준점(12')은 모니터의 중심(11) 구역을 벗어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중심(11) 구역에 위치하는 기준점(12")을 갖는 또 다른 이웃 영상이미지를 검색해 출력한다.
한편, 독립된 레이어 형식의 지상구조물이미지는 각각 식별 가능하므로 별도의 기준점(12, 12', 12") 설정 없이 지상구조물이미지로 기준점(12, 12', 12")을 대신할 수도 있다.
결국, 사용자는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이미지를 항공기에서 지상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실감나게 볼 수 있고, 측면의 모습도 볼 수 있으므로 지상에서의 실제 모습과 효율적으로 매칭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좌표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과 링크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에서 링크부와 엔드링크가 생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지상좌표기(300)는 지상의 정해진 좌표 상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항공기(A)에 탑재된 디지털카메라(113)에는 지상좌표기(300)와 무선통신하여 좌표값을 취득하는 좌표확인수단이 탑재된다.
좌표확인수단은 좌표확인모듈(160)로 해당 지상좌표기(300)의 좌표값을 송출하여 영상처리시 지형지물이 변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지상좌표기(300)는 지상카메라(320), 무선통신부(330) 및 GPS수신기(340)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해당 지점의 좌표값을 송출하여 영상처리 작업시 지형지물의 변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상카메라(320)를 이용하여 영상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지형변화를 입체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좌표기(300)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대(310), 기초대(3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이동수단(600), 이동수단(6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700),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800) 및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3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카메라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조절부(400)는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에 의해 지상카메라(3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조절부(400)는,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대(410), 지지대(41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기둥(420), 지지기둥(420)에 저면부가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430) 및 베이스프레임(430)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3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링크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30)은, 베이스프레임(430)의 가장자리를 절개하여 마련되는 절개홀(431) 및 절개홀(431)과 연통되는 가이드홀(4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전방 가이드홀(432)에는 4개의 제1이동바디(510)가 지지될 수 있고, 각각의 제1이동바디(510)는 링크체구동부(560)의 구동실린더(562)의 작동에 의해 전방 가이드홀(4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은, 가이드홀(432)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와 마주보도록 가이드홀(432)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이동바디(515),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 및 복수의 제2이동바디(515)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520), 서로 근접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520)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체가 구비된 링크부(540), 일측부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520)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링크부(540)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320)가 결합되는 엔드링크(550) 및 베이스프레임(430)에 마련되어 복수의 링크체 중 선택된 링크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링크체를 접어지게 하거나 펼치는 링크체구동부(560)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는 전방 가이드홀(432)에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링크체구동부(560)의 작동에 의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링크부(540)에 의해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는 전방 가이드홀(4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대략 굽어진 "ㄴ"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복수의 제2이동바디(515)는 복수의 제1이동바디(510)와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지지판(520)의 저면부에 결합되어 링크부(540)의 접어짐이나 펼쳐짐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이동바디(515)는 베이스지지판(520)과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베이스지지판(520)은 제1이동바디(510)와 제2이동바디(515)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이동바디(510)와 제2이동바디(515)에 각각 결합되어 제1이동바디(510) 및 제2이동바디(515)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지지판(5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연장부(731)가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521)에는 엔드링크(550)의 제1엔드링크(551)와 제6엔드링크(55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521)에는 제3엔드링크(553)와 제4엔드링크(5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지지링(530)은 베이스지지판(520)의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링(530)은 제1엔드링크(551)와 제6엔드링크(556)의 회전을 지지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링(530)은 제3엔드링크(553)와 제4엔드링크(554)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링크부(540)는, 일단부가 좌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상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체(541)와, 일단부가 우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링크체(541)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체(542)와, 일단부가 좌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체(543)와, 일단부과 우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상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링크체(543)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4링크체(544)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엔드링크(550)는 지상카메라(32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것으로, 좌측에 베이스지지판(5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엔드링크(551)와, 제1엔드링크(551)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엔드링크(552)와, 일측부는 제2엔드링크(552)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우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3엔드링크(553)와, 우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하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4엔드링크(554)와, 제4엔드링크(554)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5엔드링크(555)와, 일측부는 제5엔드링크(555)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좌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지지판(520)의 하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6엔드링크(55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엔드링크(550)는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링크부(540)의 접어짐이나 펼침을 쉽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540)의 접어짐이나 펼침 시 엔드링크(550)에 결합된 지상카메라(320)의 위치도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지상카메라(320)는 링크유닛(500)의 링크부(540) 및 엔드링크(550)를 다양한 조합으로 이동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다양한 위치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500)의 링크체구동부(560)는 베이스프레임(430)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링크체 중 선택된 링크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링크체를 접어지게 하거나 펼쳐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링크체구동부(560)는, 베이스프레임(430)에 마련되는 실린더베이스(561) 및 실린더베이스(561)에 마련되는 한 쌍의 구동실린더(56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구동실린더(562) 중 하나의 구동실린더(562)는 링크부(540)의 제1링크체(541)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구동실린더(562)는 링크부(540)의 제4링크체(54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810), 높이로드(820), 높이조절판(830), 유압펌프(840) 및 공급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8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8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로드(820)는 높이케이스(8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높이로드(820)의 상단에는 지상카메라(320)가 결합된다. 높이로드(8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지상카메라(32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830)은 높이로드(8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82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8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높이로드(8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900), 제1열교환기(850) 및 제2열교환기(8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9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8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8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8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8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811)은 높이케이스(8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8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900)는 밸브케이스(910), 공급유로(920), 제1이동부(930), 중간유로(940), 제2이동부(950), 제1배출유로(960) 및 제2배출유로(9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4의 (a)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의 (b)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의 (c)는 제2개폐유닛(954)이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9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911) 및 유체배출실(9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9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높이케이스(8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9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9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유체배출실(9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9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1열교환기(8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9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9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9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931), 제1이동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932), 제1이동로드(9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9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934) 및 제1이동케이스(931)와 제1개폐유닛(9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9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14(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8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9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9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85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940)와 제1배출유로(9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954)은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951), 제2이동케이스(9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952), 제2이동로드(9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9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954) 및 제2이동케이스(951)와 제2개폐유닛(9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9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14(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9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9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86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850)와 제2열교환기(8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진동흡수부(700)는, 높이조절부(800)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87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710), 단턱(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720),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30),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740), 일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871)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체(750) 및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71)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7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2탄성체(7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 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710)은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다리(87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다리(87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높이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상부지지구(72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높이다리(870)의 내벽에 단턱(7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상면이 높이다리(870)에 형성된 단턱(710)에 맞닿고 하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7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하면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높이다리(87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높이다리(870)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7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상면이 높이다리(870)의 하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형성된 결합부(87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7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상방돌기(7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7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750)가 하방돌기(7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구(730)는 제2탄성체(75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740)의 타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740)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740)는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의 하면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7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높이조절부(80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높이조절부(8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750)는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제1탄성체(7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7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좁고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의 직경이 높이다리(870)의 하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760)는 상부지지구(720), 하부지지구(730) 및 받침부(871)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제1탄성체(740)와 제2탄성체(7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7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진동흡수부(700)는 하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하방돌기(732)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770), 하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상방돌기(73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지지구(72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중심지지부(780),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7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승강 시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제1중심지지부(7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는, 받침부(871)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771a)이 마련된 하부조절바(771),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772), 상측부는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772)이 지지되는 상부조절바(7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하부조절바(771)는 받침부(871)에 나사 결합되므로 하부조절바(771)의 받침부(871)에의 결합 깊이를 조절하면 제1스프링(772)의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절바(771)를 상부조절바(773)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상부에는 제1홈(771a)이 마련되고, 제1홈(771a)의 내벽에는 하부지지구(730)의 하강 시 상부조절바(773)에 마련된 제1돌기(77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하측 외벽에는 제1나사산(771b)이 마련되어 받침부(871)에 마련된 홈을 통과한 후 이동블럭(620)에 마련된 블럭홈(6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부(871)에 마련된 홈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나사산(771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의 제1스프링(772)은 하측부는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제1돌기(773a)를 통과하여 상부조절바(773)의 저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스프링(772)은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부조절바(771)와 상부조절바(773)의 결합 깊이 조절에 의해 제1스프링(772)의 탄성 에너지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상부조절바(773)는 외벽에 마련되는 제2나사산(773b)에 의해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3나사산(7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는 결합 상태에서 하부지지구(730)에 마련된 제2홈(73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를 하부조절바(771)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의 사이즈는 제2탄성체(750)보다 작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도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2탄성체(750)의 수축 및 팽창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중심지지부(780)는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승강 시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는 높이다리(87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감쇄할 수 있고, 제2중심지지부(7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다리(87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중심지지부(780)는 상방돌기(731)에 마련된 제3홈(735)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781), 하측부는 제2스프링(781)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4홈(721)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78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하측부는 제3홈(735)에 슬라이딩 승강되고, 이는 제2스프링(781)이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상부에는 제4나사산(782a)이 마련되고, 중심바(782)는 제4나사산(782a)을 통해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5나사산(7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심바(782)를 하부지지구(730)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2스프링(781)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와 상부지지구(7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87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87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축(791), 가이드축(791)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높이조절부(800)의 높이다리(870)에 마련된 다리홀(87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792), 덮개(872)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792)의 양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포스트(79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포스트(793)에는 가이드바(79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가이드홈(793a)이 마련되는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7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630),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부(630)는 상측부는 받침부(87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871)를 지지함으로써 지상카메라(320)의 이동 시 받침부(8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지상카메라(3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7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수평부(631), 제1수평부(6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마련되는 수직부(632), 수직부(632)의 단부에서 레일(610)의 방향으로 마련되어 레일(610)의 측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부(6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수평부(633)는 레일(6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레일홈(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상카메라(320)가 레일(610)을 이동 시 제2수평부(633)도 제2레일홈(6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87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쇄부(640)는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부(640)는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바디(641), 일측부는 진동감쇄바디(64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이동블록(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바디(641)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4개의 영역에서 등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기준으로 정할 때,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제1수평부(631)에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수직부(632)에 결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제2수평부(633)에 결합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이동블록(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상카메라(320)를 기초대(310) 상에서 수평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600)은 기초대(310)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610), 받침부(871)에 구비되며 레일(6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610)은 기초대(310)의 상면에 배치되되 기초대(310)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71) 저면에 구비되어 레일(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에는 블럭돌기(621)가 마련되고, 블럭돌기(621)는 레일(610)에 마련된 제1레일홈(6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은 받침부(87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촬영부 200 : 출력부 300 : 지상좌표기
310 : 기초대 320 : 지상카메라 330 : 무선통신부
340 : GPS수신기 400 : 카메라조절부 410 : 지지대
420 : 지지기둥 430 : 베이스프레임 431 : 절개홀
432 : 가이드홀 433 : 지지포스트 500 : 링크유닛
510 : 제1이동바디 515 : 제2이동바디 520 : 베이스지지판
521 : 연장부 530 : 지지링 540 : 링크부
541 : 제1링크체 542 : 제2링크체 543 : 제3링크체
544 : 제4링크체 550 : 엔드링크 551 : 제1엔드링크
552 : 제2엔드링크 553 : 제3엔드링크 554 : 제4엔드링크
555 : 제5엔드링크 556 : 제6엔드링크 560 : 링크체구동부
561 : 실린더베이스 562 : 구동실린더 600 : 이동수단
610 : 레일 611 : 제1레일홈 612 : 제2레일홈
620 : 이동블럭 621 : 블럭돌기 622 : 블럭홈
630 : 지지다리부 631 : 제1수평부 632 : 수직부
633 : 제2수평부 640 : 진동감쇄부 641 : 진동감쇄바디
642 : 진동감쇄스프링 700 : 진동흡수부 710 : 단턱
720 : 상부지지구 721 : 제4홈 722 : 제5나사산
730 : 하부지지구 731 : 상방돌기 732 : 하방돌기
733 : 제2홈 734 : 제3나사산 735 : 제3홈
740 : 제1탄성체 750 : 제2탄성체 760 : 흡수체
770 : 제1중심지지부 771 : 하부조절바 771a : 제1홈
771b : 제1나사산 772 : 제1스프링 773 : 상부조절바
773a : 제1돌기 773b : 제2나사산 780 : 제2중심지지부
781 : 제2스프링 782 : 중심바 782a : 제4나사산
790 : 승강가이드부 791 : 가이드축 792 : 가이드바
793 : 가이드포스트 793a : 가이드홈 800 : 높이조절부
810 : 높이케이스 811 : 역류방지판 820 : 높이로드
830 : 높이조절판 840 : 유압펌프 850 : 제1열교환기
851 : 제1열교환유로 860 : 제2열교환기 861 : 제2열교환유로
870 : 높이다리 870a : 다리홀 871 : 받침부
872 : 덮개 873 : 결합부 900 : 공급밸브
910 : 밸브케이스 911 : 온도감지실 912 : 유체배출실
920 : 공급유로 930 : 제1이동부 931 : 제1이동케이스
932 : 제1이동로드 933 : 제1이동스프링 934 : 제1개폐유닛
940 : 중간유로 950 : 제2이동부 951 : 제2이동케이스
952 : 제2이동로드 953 : 제2이동스프링 954 : 제2개폐유닛
960 : 제1배출유로 970 : 제2배출유로

Claims (1)

  1. 항공기에 장착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처리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지표면에 설치되어 기준좌표값을 송출하는 지상좌표기;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촬영부의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하여 일정한 범위의 폐구간을 형성하는 구간을 지상구조물이미지로 확인하는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 및 지상구조물이미지확인모듈에 의해 확인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분리해서 영상이미지의 배경과 독립된 레이어 형식으로 합성하는 이미지편집모듈;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가 저장되는 링크정보DB; 이미지편집모듈을 통해 편집된 독립된 지상구조물이미지와 관련한 링크정보를 링크시켜서 완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 및 모니터를 통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은,
    이미지편집모듈에 의해 레이어 형식으로 편집된 지상구조물이미지를 확인하는 이미지식별수단; 모니터의 픽셀을 확인해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미지추적수단;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 조정시 지상구조물이미지의 위치에 따른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수단; 및 영상이미지의 출력위치조정을 확인하고 검색된 영상이미지를 기존 영상이미지에 대체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지상좌표기는,
    지면에 설치된 기초대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카메라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조절부는,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기둥; 지지기둥에 저면부가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링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가장자리를 절개하여 마련되는 절개홀; 및 절개홀과 연통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유닛은,
    가이드홀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이동바디; 복수의 제1이동바디와 마주보도록 가이드홀에 이동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이동바디; 복수의 제1이동바디 및 복수의 제2이동바디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 서로 근접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체가 구비된 링크부; 일측부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링크부에 결합되며 지상카메라가 결합되는 엔드링크;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어 복수의 링크체 중 선택된 링크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링크체를 접어지게 하거나 펼치는 링크체구동부; 및 한 쌍의 베이스지지판에 마련되어 제1이동바디와 제2이동바디를 지지함과 아울러 엔드링크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링;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20119844A 2022-09-22 2022-09-22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9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44A KR102494439B1 (ko) 2022-09-22 2022-09-22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44A KR102494439B1 (ko) 2022-09-22 2022-09-22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439B1 true KR102494439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844A KR102494439B1 (ko) 2022-09-22 2022-09-22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11384B1 (ko) * 2021-07-02 2021-10-13 주식회사 지오앤 디지털 촬영이미지의 위치별 3차원 가시화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459701B1 (ko) * 2021-10-18 2022-10-27 (주)스페이스 시점 변화를 반영하여 영상이미지의 3차원 가시화를 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11384B1 (ko) * 2021-07-02 2021-10-13 주식회사 지오앤 디지털 촬영이미지의 위치별 3차원 가시화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459701B1 (ko) * 2021-10-18 2022-10-27 (주)스페이스 시점 변화를 반영하여 영상이미지의 3차원 가시화를 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384B1 (ko) 디지털 촬영이미지의 위치별 3차원 가시화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4192B1 (ko)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03630B1 (ko) 새로운 지형정보 및 기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해 수치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N102157011B (zh) 利用移动拍摄设备进行动态纹理采集及虚实融合的方法
KR100947106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0881345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항공사진 수치도화시스템
US11682103B2 (en) Selecting exterior images of a structure based on capture positions of indoor images associated with the structure
CN104904200A (zh) 使用多设备的环境的多维数据捕捉
EP0523166A1 (en) Computer assisted video surveying and method therefor
CN101919235A (zh) 正射影像图像的生成方法以及摄影装置
CN1965578A (zh) 数码3d/360度照相机系统
KR102260071B1 (ko) 3차원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05606076B (zh) 大地测量系统
KR102476678B1 (ko)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94439B1 (ko)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918962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무진동 수치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174823B1 (ko)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합성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0875524B1 (ko) 기준점 적용에 따른 영상도화 작업의 보정시스템
KR102186199B1 (ko) 다시점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화면분할 기반 영상처리시스템
KR102459701B1 (ko) 시점 변화를 반영하여 영상이미지의 3차원 가시화를 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214584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0881346B1 (ko) 디지털 촬영에 의한 항공영상의 기준점 삽입식영상도화시스템
KR102503636B1 (ko) 도화이미지의 실시간 보정을 통해 오차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236992B1 (ko)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