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223B1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8223B1 KR102608223B1 KR1020230091303A KR20230091303A KR102608223B1 KR 102608223 B1 KR102608223 B1 KR 102608223B1 KR 1020230091303 A KR1020230091303 A KR 1020230091303A KR 20230091303 A KR20230091303 A KR 20230091303A KR 102608223 B1 KR102608223 B1 KR 102608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block
- anchor block
- extens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옹벽블록;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옹벽블록을 결속시키는 앵커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옹벽블록은,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옹벽의 전면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앵커블록과 체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블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체결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이 좌우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때, 어느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일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타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좌우 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각각의 두 개의 제1 연장부가 위치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상기 후방연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돌부;를 포함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옹벽은 도로, 하천 등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은 옹벽블록을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종래의 옹벽 시공은, 복수의 옹벽 블록이 절토부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되, 적층되는 층마다 복수의 옹벽 블록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적층되고, 연결핀을 사용하거나 단순한 요철의 맞물림을 통해 적층된다. 이때, 적층된 옹벽과 절토부 사이에는 뒷채움재가 충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옹벽 시공 구조는, 단순히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옹벽블록의 상하면이 밀착되는 힘, 즉, 상하 적층된 옹벽 블록 간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태풍과 같은 많은 강수량 등에 의한, 강한 토압이 발생될 경우,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면서,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옹벽블록 간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접한 옹벽블록을 연결 고정하는 앵커블록을 더 포함하여, 옹벽블록 들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옹벽블록;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옹벽블록을 결속시키는 앵커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옹벽블록은,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옹벽의 전면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앵커블록과 체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본체 후면부의 양 측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양 측의 상기 제1 연장부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제2 연장부의 양 측 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블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체결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이 좌우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때, 어느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일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타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좌우 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각각의 두 개의 제1 연장부가 위치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상기 후방연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돌부;를 포함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의 후방부는 상기 고정돌부보다 전후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와 상기 삽입돌부가 연결되는 후방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후방연결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은, 상기 고정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허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허리부보다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허리부 사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요홈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양 측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상기 몸통부의 후방부 소정 길이까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은,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양 측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후방연결부 내측에 비어있는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 측면부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날개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옹벽블록 간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접한 옹벽블록을 연결 고정하는 앵커블록을 더 포함하여, 옹벽블록 들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옹벽블록이 앵커블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앵커블록과 옹벽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앵커블록과 옹벽블록의 분해 사시도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에 앵커블록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우수량조절부와 센싱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4에 따른 우수량조절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옹벽블록이 앵커블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앵커블록과 옹벽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앵커블록과 옹벽블록의 분해 사시도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에 앵커블록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우수량조절부와 센싱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4에 따른 우수량조절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1)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1)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옹벽블록(10)이 앵커블록(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앵커블록(20)과 옹벽블록(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앵커블록(20)과 옹벽블록(10)의 분해 사시도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10)에 앵커블록(20)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을 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을 전방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1)은 옹벽블록(10) 및 앵커블록(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옹벽블록(10)은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위치에 좌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옹벽블록(10)은 복수개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그 위에 층층이 적층되는 구조이다.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상하로 배치된 옹벽블록(10) 간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좌측 부분 상측에는 다른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우측 부분이 적층되고,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우측 부분 상측에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좌측 부분이 적층될 수 있다. 이처럼, 옹벽블록(10)은 좌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옹벽블록(10)은 본체(11), 조립부(12), 공간부(13) 및 지지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옹벽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는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전면부(111), 측면부(112), 상면부(113), 하면부 및 후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본체(11)간에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때, 각 층이 기울지 않도록 상면부(113)와 하면부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면부(111)는 중심부가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11)의 양 측에 형성된 측면부(112)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한 본체(11)의 측면부(112)가 서로 밀착될 수 있고, 후면부(114)는 평평한 면 형태로 형성되되,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13)와 하면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양 측면부(112)에는 날개돌부(11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돌부(1121)는 본체(11)의 양 측면부(112) 각각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11)의 날개돌부(1121)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옹벽블록(10)이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옹벽블록(10)들의 날개돌부(1121)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조립부(12)는 본체(11)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앵커블록(20)과 체결될 수 있다. 조립부(12)는 제1 연장부(121), 제2 연장부(122) 및 후방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21)는 본체(11) 후면부(114)의 양 측 단부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1)의 후면은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22)는 양 측의 제1 연장부(121)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제1 연장부(121)보다 상하 높이(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121)와 제2 연장부(122)의 높이 차에 의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연결부(123)는 양 단부 각각이 양 측의 제2 연장부(12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연결부(123)는 양 측의 제2 연장부(122)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연결부(123)는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후방연결부(123)의 좌측 단부는 제2 연장부(122)의 좌측 단부와 연결되고, 후방연결부(123)의 우측 단부는 제2 연장부(122)의 우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연결부(123)의 상하 높이는 제2 연장부(122)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13)는 본체(11)의 후면부(114)와, 양 측의 제1 연장부(121) 및 제2 연장부(122)와 후방연결부(123)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간부(13)는 본체(11)의 후면부(114), 양 측의 제1 연장부(121)와 제2 연장부(122), 후방연결부(123)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일 수 있다. 공간부(13)에는 앵커블록(20)이 위치될 수 있으며, 앵커블록(20)이 위치된 후 남는 공간에는 자갈이나 흙과 같은 뒷채움재가 충진될 수 있다.
지지부재(14)는 본체(11) 또는 제1 연장부(1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옹벽블록(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4)는 본체(11)의 상면과 제1 상연장부의 상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는 본체(11)의 양 측 각각에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동그란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4)(14)는 상측에 적층되는 옹벽블록(10)을 지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면이 마찰력 있는 논슬립 재질로 형성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옹벽블록(10)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앵커블록(20)은 인접하게 배치된 옹벽블록(10)을 결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앵커블록(20)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옹벽블록(10)을 결속시켜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옹벽블록(10)이 좌우 및 상하로 배치되는 것에 따라 앵커블록(20)도 좌우,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앵커블록(20)은 고정부(21), 허리부(22) 및 말단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옹벽블록(10) 체결 고정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고정부(21)는 바디(211), 고정돌부(212) 및 삽입돌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1)는 소정 크기 및 형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되, 두 개의 옹벽블록(10)이 좌우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때,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일 측의 제1 연장부(121)와, 다른 하나의 옹벽블록(10)의 타 측의 제1 연장부(121)의 좌우 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부(212)는 바디(211)의 양 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양 측의 고정돌부(212) 내측에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옹벽블록(10) 각각의 두 개의 제1 연장부(121)가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 측의 고정돌부(212) 내측에는, 좌우로 두 개의 옹벽블록(10)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0)의 일 측의 제1 연장부(121)와, 다른 하나의 옹벽블록(10)의 타 측의 제1 연장부(121)가 위치될 수 있다. 바디(211)의 좌측 단부에서 돌출된 고정돌부(212)는 좌측에 위치된 옹벽블록(10)의 우측에 형성된 제1 연장부(121)와 밀착되고, 바디(211)의 우측 단부에서 돌출된 고정돌부(212)는 우측에 위치된 옹벽블록(10)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연장부(1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바디(211)와 고정돌부(212)의 내측 공간에 두 개의 제1 연장부(121)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삽입돌부(213)는 고정돌부(212)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본체(11)의 후면부(114)와 후방연결부(123) 사이에 삽입되며, 공간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부(213)의 후방부는 고정돌부(212)보다 전후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돌부(212)와 삽입돌부(213)가 연결되는 후방부에는 단차부(212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부(213)가 공간부(13)에 삽입되면, 단차부(2122)가 후방연결부(123)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돌부(213)의 후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방연결부(123)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돌부(212)의 전면과 삽입돌부(213)의 전면은 평평하게 이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본체(11)의 후면부(114)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의 후면부(114)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고정돌부(212)의 전면과 삽입돌부(213)의 전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허리부(22)는 고정부(21)의 후면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허리부(22)의 후방부 하부에는 비탈면(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허리부(22)의 하부에는, 허리부(22)의 중심부에서부터 말단부(23)와 이어지는 부분까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의 비탈면(221)이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23)는 허리부(2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말단부(23)는 몸통부(231), 돌출부(232) 및 요홈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31)는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되, 몸통부(231)는 허리부(2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되, 허리부(22)보다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231)의 상하 높이는 허리부(22)의 상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21)의 삽입돌부(213)가 형성된 고정돌부(212) 부분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앵커블록(20)이 상하로 적층될 때, 하측에 위치된 앵커블록(20)의 몸통부(231) 상면에 상측에 위치된 앵커블록(20)의 몸통부(231)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몸통부(231)는 배면부(2311), 제1 옆면(2312) 및 제2 옆면(2313)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31)의 배면부(2311)는 몸통부(231)의 후면으로써,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옆면(2312)은 몸통부(231)의 양 측면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돌출부(232)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몸통부(231)의 후방부 소정 길이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몸통부(231)의 양 측부 각각에 형성된 제1 옆면(23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옆면(2313)은 몸통부(231)의 양 측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제1 옆면(2312)의 후방 단부와, 배면부(2311) 일 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2 옆면(2313)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2)는 몸통부(231)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요홈부(233)는 돌출부(232)와 상기 허리부(22) 사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요홈부(233)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하나의 앵커블록(20)이 좌우로 인접한 두 개의 옹벽블록(10)(10)을 결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부(12)의 제1 연장부(121)와 제2 연장부(122)와 후방연결부(123) 내측 공간에, 고정부(21)의 고정돌부(212)와 삽입돌부(213)가 삽입되며, 두 개의 옹벽블록(10)을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좌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10)을 복수의 앵커블록(20)(20)이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공간부(13)나, 각 앵커블록(20) 사이사이 공간에 자갈이나 흙과 같은 뒷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1)에 우수량조절부(30)와 센싱부(4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에 따른 우수량조절부(3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1)은 우수량조절부(30) 및 센싱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수량조절부(30)는 옹벽블록(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비가 수용되도록 한 후, 수용된 비를 흘려보낼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우수량조절부(30)는 복수의 옹벽블록(1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우수량조절부(30)는 하우징(31), 조절판넬(32), 높이조절부(33), 완충부재(34) 및 이동레일(3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옹벽블록(10)의 본체(11) 전면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 내부에는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31)의 좌측면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좌측홀(312)이 형성되고, 우측면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우측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좌측홀(312) 또는 우측홀(311)을 통해 하우징(31) 내부의 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조절판넬(32)은 하우징(3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판넬(32)은 하우징(31)의 하부에 설치되되, 좌측홀(312) 및 우측홀(311)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판넬(32)은 하우징(31)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판넬(32)은 하우징(31)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의 크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되, 조절판넬(32)의 하우징(31)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판넬(32)은 높이조절부(33)에 의해 도 16a와 같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조절판넬(32) 상측으로 빗물이 고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절판넬(32)은 높이조절부(33)에 의해 16b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조절판넬(32) 상측에 고여있던 빗물이 좌측홀(312) 또는 우측홀(311)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33)는 피스톤부(331)와 실린더부(442)를 포함하여, 상측에 위치된 조절판넬(32)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33)는 이동레일(35)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판넬(32)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있던 높이조절부(33)가 도 16b와 같이 이동레일(35)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절판넬(32)의 우측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조절판넬(32)의 우측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우측홀(311)의 하측에 위치되어, 우측홀(311)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조절판넬(32)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있던 높이조절부(33)가 이동레일(35)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절판넬(32)의 좌측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조절판넬(32)의 좌측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좌측홀(3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좌측홀(312)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높이조절부(33)의 좌우 이동은 제어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완충부재(34)는 높이조절부(33)의 상면에 설치되며,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a와 같이, 조절판넬(32)이 수평을 이루며 완충부재(34) 상측에 배치된 경우, 조절판넬(32)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이다. 이후, 높이조절부(3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판넬(32)이 기울어지는 경우, 완충부재(34)에는 일 측 방향으로 조절판넬(32)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34)는 조절판넬(32)의 하중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4)의 상면과 조절판넬(32)의 하면은 서로 마찰력 없이 미끄러질 수 있는 재질 또는 필름지가 부착되어, 높이조절부(33)가 자유롭게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우수량조절부(30)는 장마 철에 비가 많이 올 때, 하우징(31)에 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주변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빗물을 저장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빗물의 배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좌측으로 빗물이 많이 흘러내릴 경우, 주변의 산이나 마을로 흘러내려 산사태 위험이나 침수 등의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우측홀(311)이 개방되도록 하여 우측홀(311)을 통해 빗물이 우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빗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센싱부(40)는 옹벽블록(10)과 앵커블록(20)에 설치되어, 옹벽의 붕괴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40)는 거리감지부(41), 균형감지부(42), 이격감지부(43) 및 가압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41)는 각각의 앵커블록(20) 말단부(23)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감지부(41)는 앵커블록(2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앵커블록(20)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41)는 일 측에 인접한 앵커블록(20)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날 때 관리자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앵커블록(20)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가까워지거나,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앵커블록(20)의 위치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써, 사고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균형감지부(42)는 앵커블록(20)의 바디(211)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형감지부(42)는 제1 균형감지부(421) 및 제2 균형감지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균형감지부(421)는 앵커블록(20)의 바디(211) 좌측면에 설치되고, 제2 균형감지부(422)는 앵커블록(20)의 바디(211)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균형감지부(421)는 좌측에 위치된 다른 앵커블록(20)의 바디(211)의 우측면에 설치된 제2 균형감지부(422)와 단부가 맞닿도록 위치되고, 제2 균형감지부(422)는 우측에 위치된 다른 앵커블록(20)의 바디(211)의 좌측면에 설치된 제1 균형감지부(421)와 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균형감지부(421)와 제2 균형감지부(422)는 바디(211)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제1 균형감지부(421) 또는 제2 균형감지부(422)가 바디(211)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균형감지부(421)와 제2 균형감지부(422)는 바디(211)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 변화에 따라, 앵커블록(20)의 바디(211) 부분이 좌우로 이동되는지, 기울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단부가 맞닿아 있는 제1 균형감지부(421)와 제2 균형감지부(422)에서, 제1 균형감지부(421)는 해당 바디(211)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2 균형감지부(422)는 해당 바디(211)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제1 균형감지부(421)가 삽입된 측으로 앵커블록(20) 또는 옹벽이 기울어지고 있는 것으로써, 사고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격감지부(43)는 옹벽블록(10) 본체(11)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격감지부(43)는 각각의 옹벽블록(10) 본체(11)의 날개돌부(1121)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옹벽블록(10)과 이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가압부(44)는 옹벽블록(10) 본체(11)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옹벽블록(1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옹벽블록(10)과 하나의 앵커블록(2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룰 때, 앵커블록(20)에 설치된 거리감지부(41)에서 일 측에 인접한 앵커블록(20)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나고, 균형감지부(422)에서 옹벽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것이 감지되며, 옹벽블록(10)의 이격감지부(43)에서, 기울어지고 있는 측 방향을 따라, 인접한 옹벽블록(10)이 이격되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 기울어지지 않은 인접한 옹벽블록(10) 내측에 위치된 가압부(44)가 돌출되어, 기울어진 옹벽블록(10)을 밀어낼 수 있다. 즉, 옹벽블록(10)이 무너지기 시작할 때, 옹벽블록(10) 전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무너지고 있는 부분과 무너지지 않고 있는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무너지고 있는 부분이 빠르게 분리되도록 가압부(44)가 밀어냄으로써, 무너지지 않을 수 있는 옹벽블록(10)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10: 옹벽블록 11: 본체
111: 전면부 112: 측면부
1121: 날개돌부 113: 상면부
114: 후면부 12: 조립부
121: 제1 연장부 1211: 경사면
122: 제2 연장부 123: 후방연결부
13: 공간부 14: 지지부재
20: 앵커블록 21: 고정부
211: 바디 212: 고정돌부
2122: 단차부 213: 삽입돌부
22: 허리부 221: 비탈면
23: 말단부 231: 몸통부
2311: 배면부 2312: 제1 옆면
2313: 제2 옆면 232: 돌출부
233: 요홈부 30: 우수량조절부
31: 하우징 311: 우측홀
312: 좌측홀 32: 조절판넬
33: 높이조절부 331: 피스톤부
332: 실린더부 34: 완충부재
35: 이동레일 40: 센싱부
41: 거리감지부 42: 균형감지부
421: 제1 균형감지부 422: 제2 균형감지부
43: 이격감지부 44: 가압부
10: 옹벽블록 11: 본체
111: 전면부 112: 측면부
1121: 날개돌부 113: 상면부
114: 후면부 12: 조립부
121: 제1 연장부 1211: 경사면
122: 제2 연장부 123: 후방연결부
13: 공간부 14: 지지부재
20: 앵커블록 21: 고정부
211: 바디 212: 고정돌부
2122: 단차부 213: 삽입돌부
22: 허리부 221: 비탈면
23: 말단부 231: 몸통부
2311: 배면부 2312: 제1 옆면
2313: 제2 옆면 232: 돌출부
233: 요홈부 30: 우수량조절부
31: 하우징 311: 우측홀
312: 좌측홀 32: 조절판넬
33: 높이조절부 331: 피스톤부
332: 실린더부 34: 완충부재
35: 이동레일 40: 센싱부
41: 거리감지부 42: 균형감지부
421: 제1 균형감지부 422: 제2 균형감지부
43: 이격감지부 44: 가압부
Claims (7)
- 좌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옹벽블록;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옹벽블록을 결속시키는 앵커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옹벽블록은,
소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옹벽의 전면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앵커블록과 체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본체 후면부의 양 측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양 측의 상기 제1 연장부 각각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제2 연장부의 양 측 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블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체결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이 좌우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때, 어느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일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의 타 측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좌우 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상기 옹벽블록 각각의 두 개의 제1 연장부가 위치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상기 후방연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옹벽블록은,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양 측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후방연결부 내측에 비어있는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삽입돌부 및 상기 앵커블록과 좌측으로 이웃하는 앵커블록의 삽입돌부가 좌우로 이웃하게 삽입되는 것인,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부의 후방부는 상기 고정돌부보다 전후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와 상기 삽입돌부가 연결되는 후방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후방연결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은,
상기 고정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허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허리부보다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허리부 사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요홈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양 측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상기 몸통부의 후방부 소정 길이까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부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날개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상기 옹벽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1303A KR102608223B1 (ko) | 2023-07-13 | 2023-07-13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1303A KR102608223B1 (ko) | 2023-07-13 | 2023-07-13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8223B1 true KR102608223B1 (ko) | 2023-11-30 |
Family
ID=8896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1303A KR102608223B1 (ko) | 2023-07-13 | 2023-07-13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8223B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494A (ja) * | 2001-06-26 | 2003-01-08 | Yamatomi Sangyo Kk |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 |
KR20030069689A (ko) * | 2002-02-22 | 2003-08-27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
KR200354766Y1 (ko) * | 2004-03-16 | 2004-06-30 |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 옹벽블럭 |
KR20090041479A (ko) * | 2007-10-24 | 2009-04-29 | 장범기 | 옹벽의 뒷굽 블럭체 |
KR20110037317A (ko) * | 2009-10-06 | 2011-04-13 | 김봉수 |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
KR101362220B1 (ko) * | 2012-12-13 | 2014-02-28 | 주식회사 석송 |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
JP2014211008A (ja) * | 2013-04-17 | 2014-11-13 | 株式会社箱型擁壁研究所 |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
KR101719710B1 (ko) * | 2016-09-21 | 2017-03-24 |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KR102327776B1 (ko) | 2020-12-18 | 2021-11-17 | 김재봉 |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
KR102352069B1 (ko) * | 2021-07-28 | 2022-01-18 | 한산콘크리트(주) |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
KR102438060B1 (ko) * | 2022-02-09 | 2022-08-31 |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 옹벽블록 |
-
2023
- 2023-07-13 KR KR1020230091303A patent/KR102608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3494A (ja) * | 2001-06-26 | 2003-01-08 | Yamatomi Sangyo Kk |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 |
KR20030069689A (ko) * | 2002-02-22 | 2003-08-27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
KR200354766Y1 (ko) * | 2004-03-16 | 2004-06-30 |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 옹벽블럭 |
KR20090041479A (ko) * | 2007-10-24 | 2009-04-29 | 장범기 | 옹벽의 뒷굽 블럭체 |
KR20110037317A (ko) * | 2009-10-06 | 2011-04-13 | 김봉수 |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
KR101362220B1 (ko) * | 2012-12-13 | 2014-02-28 | 주식회사 석송 |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
JP2014211008A (ja) * | 2013-04-17 | 2014-11-13 | 株式会社箱型擁壁研究所 |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
KR101719710B1 (ko) * | 2016-09-21 | 2017-03-24 |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KR102327776B1 (ko) | 2020-12-18 | 2021-11-17 | 김재봉 |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
KR102352069B1 (ko) * | 2021-07-28 | 2022-01-18 | 한산콘크리트(주) |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
KR102438060B1 (ko) * | 2022-02-09 | 2022-08-31 |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 옹벽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543327B2 (ja) | 擁壁構造及び擁壁構築工法 | |
US5072566A (en) | Landscaping block | |
CN102203349A (zh) | 挡土墙块及挡土墙 | |
KR102608223B1 (ko)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
US20050069389A1 (en) |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 |
AU2003210567A1 (en) |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 |
KR102596834B1 (ko) |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
KR100938493B1 (ko) |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 |
JPH0230814A (ja) | 盛土体の表面被覆 | |
KR200448904Y1 (ko) | 옹벽용 조립식 블록 | |
CN111511992A (zh) |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 |
KR101564352B1 (ko) |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 |
KR101699440B1 (ko) | 옹벽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KR102235093B1 (ko) | 토사유실 차단패널 | |
KR102485557B1 (ko) | 옹벽 구조물 | |
JP2970748B2 (ja) | 築堤用構造体 | |
KR200194534Y1 (ko) | 조립식옹벽블럭 | |
JP3159236U (ja) | L型擁壁およびl型擁壁ユニット | |
JP3930544B2 (ja) | 軽量盛土 | |
JP2880905B2 (ja) | 補強土構造物 | |
JPS6046213B2 (ja) | 急勾配斜面を有する地山または既設盛土の安定工法 | |
KR101551906B1 (ko) | 고정부를 구비하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JPH11172680A (ja) | 排水用裏込め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排水構造 | |
CN219973151U (zh) | 一种适用于高填方边坡坡体内排水的排水结构 | |
KR102316590B1 (ko) | 결속력이 상승된 그리드가 구비된 옹벽연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