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20B1 -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20B1
KR101362220B1 KR1020120145810A KR20120145810A KR101362220B1 KR 101362220 B1 KR101362220 B1 KR 101362220B1 KR 1020120145810 A KR1020120145810 A KR 1020120145810A KR 20120145810 A KR20120145810 A KR 20120145810A KR 101362220 B1 KR101362220 B1 KR 10136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eco
present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송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송
(주)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송, (주)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송
Priority to KR102012014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보강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방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 되어지며 측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지는 저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상부 자유단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지는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의 측면부의 상부 자유단부에 형성된 요홈부에 장착되어지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옹벽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접한 블록끼리의 불완전한 연결과 결속력 약화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옹벽블록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종래의 보강옹벽블록과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시공 및 설치가 수행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THE ECO-FRIENDLY BLOCK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HAVING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친환경 보강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 되어지는 측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지는 저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자유단부 상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지는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의 측면부의 자유단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지는 보강재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옹벽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측의 절개지와 호안 주위의 사면 및 성토지의 사면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옹벽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여 미관을 해치는 일이 많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옹벽블록이 제시되어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0-641583호에서 제시된 친환경 옹벽블록(이하 "블록"이라 약칭함)은 중공의 식생공간이 형성된 통체 형상을 구성하고, 전방에 통체 상단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친환경 옹벽블록은 같은 층에 배열된 블록들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격된 저층의 블록들 사이에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이 시공되며, 식생공간에는 식생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옹벽블록들은 다층으로 적층할 경우, 상층에 적층되는 블록이 하층의 블록보다 턱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밀린 상태로 적층되므로 다층으로 블록을 적층할 경우, 시공되는 옹벽과 지면 사이의 각 즉, 옹벽의 기울기가 완만해져 옹벽이 지반의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옹벽을 시공함에 요구되는 시공면적이 지면의 넓어져 옹벽시공을 위한 토지 매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블록은 식생공간의 전면은 막히고, 후방을 개방되어 있어서 시공할 때 식생공간에 채워지는 토사가 후방의 개방된 부분으로 흘러내리고, 전면에 형성된 턱이 블록 전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에 있게 하여 블록을 시공하였을 때 전면을 향한 힘을 많이 받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은 블록들 상층에 적층된 블록들 사이에 식물이 자생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의 빈 공간을 통하여 식물이 외부로 자라나게 되나, 블록의 전면에 형성된 턱이 식물이 외부로 자라나는 공간을 막아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 문제도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블록은 바깥쪽으로 향하여 호형상으로 굽은 옹벽을 시공할 경우 저층의 블록들 사이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 블록들 사이로 식물이 자랄 수 있으나 상층으로 갈수록 블록에 의해 형성된 호의 지름이 작아지고 이렇게 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블록들 사이의 폭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상,하층의 블록들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가 달라져 상층의 블록이 하층의 식생공간을 막게 되는 시공상의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블록들은 시공이 복잡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인접한 블록끼리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옹벽블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용 옹벽블록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하면서도 인접한 옹벽블록끼리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친환경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은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어지는 측면부(12)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지는 저면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는 요홈부(14)가 추가로 형성되어지는 옹벽블록(10)과, 상기 옹벽블록(10)의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장착되어지는 보강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옹벽블록(10)의 측면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배면부에 형성되는 토사 속으로 매립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옹벽블록(10)의 측면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고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몸통부는 배면부에 형성된 토사 속으로 매립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면부에 형성된 토사 속으로 매립 설치되어지는 보강재의 타측단부 또는 몸통부에는 우발적인 인발에 저항할 수 있는 인발저항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접한 블록끼리의 불완전한 연결과 결속력 약화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옹벽블록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종래의 보강옹벽블록과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시공 및 설치가 수행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측면 모습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평면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의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과 보강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모습
도 7은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과 보강재가 서로 결합되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모습
도 8은 도 7에 대한 측면모습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측면 모습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의 평면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의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과 보강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모습이고, 도 7은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옹벽블록과 보강재가 서로 결합되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모습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측면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은 옹벽블록(10)과, 상기 옹벽블록(10)의 단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에 장착되어지는 보강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의 옹벽블록(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1)의 양쪽 단부로부터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어지는 측면부(12)와, 상기 전면부(11)와 측면부(1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저면부(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는 요홈부(14)가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요홈부(14)는 측면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면부(11)의 반대방향, 즉 자유단부 쪽에 형성되어지며, 측면부의 양쪽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요홈부(14)는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보강재의 일측단부가 상부방향에서 삽입설치(장착)되어지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보강재의 삽입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측면부(12)의 하부에는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옹벽블록이 서로 적층되어 사용되어질 때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요홈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는데,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이나 다른 개수의 사용 또는 제외하고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하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지며, 상부는 정면부에서 배면부로 갈수록 단차가 있는 것으로 형성되어지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20)는 상기 단차만큼의 두께로 형성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보강재(20)가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상부도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상하좌우로 인접한 블록간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구조물의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전면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된 옹벽블록과 전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된 옹벽블록이 서로 교차적으로 적층되어져서 사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져서 하천구조물의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물결모양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오목한 옹벽블록만이 사용되어지거나 볼록한 옹벽블록만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사용되어지는 경우 일단에 형성된 옹벽블록의 물결모양 전면부(11)와 상기 일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옹벽블록의 물결모양 전면부(11)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20)는 전술한 옹벽블록(10)의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삽입되어 설치(장착)되어짐으로써 옹벽블록(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지는 보강옹벽블록을 구성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20)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옹벽블록(10)의 측면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고 타측단부는 배면부에 형성된 토사 속으로 매립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도 6은 상기 보강재(20)가 옹벽블록(10)의 요홈부(14)에 장착되어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14)에 상부방향에서 삽입설치되어지는 보강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요홈부(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차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20)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자형상 보강재(20)는 일측단부는 옹벽블록(10)의 측면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고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몸통부만이 배면부에 형성된 토사 속으로 매립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20)의 배면부 토사 속으로 매립되어지는 부분, 즉 배면부에 형성되는 토사속으로 매립되어 설치되어지고 I자 형상 보강재의 타측단부 또는 T자 형상 보강재의 몸통부에는 우발적인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인발저항부, 예를 들어 돌기부 또는 돌출부 등의 구성요소가 추가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20)들은 (미도시된) 연결수단을 통해서 상호 결속되도록 연결됨으로써 더욱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은 별도의 보강재(20)를 통해서 옹벽블록(10)이 보강됨으로써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분리형 보강블록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하좌우 모두를 간단한 구조로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다단으로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은 저층옹벽은 일반블록(분리형)으로 사용가능하며, 중층높이 옹벽은 일체형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상층높이 옹벽은 보강블록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 : 옹벽블록 11 : 전면부
12 : 측면부 13 : 저면부
14 : 요홈부 20 : 보강재

Claims (7)

  1. 옹벽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어지는 측면부(12)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저면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는 요홈부(14)가 양측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옹벽블록(10)과, 상기 옹벽블록(10)의 측면부(12)의 자유단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에 상부방향에서 삽입설치되어지는 보강재(20)를 포함하는 보강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10)의 측면부(12)의 하부에는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옹벽블록이 서로 적층되어 사용되어질 때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요홈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보강재(20)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옹벽블록(10)의 측면부 상부에 형성된 요홈부(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홈부(14)에 상부방향에서 삽입설치되어지고 타측단부는 배면부에 형성되는 토사 속으로 매립설치 되어지며, 상기 배면부에 형성된 토사 속으로 매립 설치되어지는 보강재의 타측단부 또는 몸통부에는 우발적인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인발저항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옹벽블록(10)의 하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지며 상부는 배면부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요홈부(14)에 삽입설치되어지는 보강재(20)는 상기 단차만큼의 두께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옹벽블록(10)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면부(11)는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져서 하천구조물의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물결모양을 형성되어지며, 상기 보강옹벽블록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사용되어지며 일단에 형성된 옹벽블록의 물결모양 전면부(11)와 상기 일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옹벽블록의 물결모양 전면부(11)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45810A 2012-12-13 2012-12-13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KR10136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10A KR101362220B1 (ko) 2012-12-13 2012-12-13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10A KR101362220B1 (ko) 2012-12-13 2012-12-13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20B1 true KR101362220B1 (ko) 2014-02-28

Family

ID=5027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10A KR101362220B1 (ko) 2012-12-13 2012-12-13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23B1 (ko) * 2023-07-13 2023-11-30 (주)삼화케익블럭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418Y1 (ko) * 2000-11-24 2001-05-02 유능환 옹벽용 힌지 블록세트
KR101012193B1 (ko) 2010-06-30 2011-02-08 김수득 해안 소파블록
KR20110037317A (ko) * 2009-10-06 2011-04-13 김봉수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1167561B1 (ko) *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복원 옹벽축조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418Y1 (ko) * 2000-11-24 2001-05-02 유능환 옹벽용 힌지 블록세트
KR20110037317A (ko) * 2009-10-06 2011-04-13 김봉수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1167561B1 (ko) *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복원 옹벽축조용 블록
KR101012193B1 (ko) 2010-06-30 2011-02-08 김수득 해안 소파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23B1 (ko) * 2023-07-13 2023-11-30 (주)삼화케익블럭 앵커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20B1 (ko) 보강재를 구비한 친환경 보강옹벽블록
JP2003034970A (ja) 雨水貯留/貯留浸透槽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20140123351A (ko) 식생토낭용 연결판
KR20120103804A (ko) 친환경 사면 frp 보호공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CN211713986U (zh) 一种抗冲刷生态砌砖、护坡
KR20020076558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보강재 및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CN207862865U (zh) 一种护坡砖及护坡砖单元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WO2009019681A1 (en) Modular barrier
KR200496568Y1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CN206346086U (zh) 一种安全环保的草坪砖
KR102455507B1 (ko) 사태 방지용 옹벽 구조체
KR200431882Y1 (ko) 블록 조립구조
KR101713894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KR100954606B1 (ko)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05314B1 (ko)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20100029934A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및 시공방법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0693478B1 (ko) 보강토 블록
KR20130021961A (ko) 식생블록
CN217104919U (zh) 生态砖及生态墙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0748433B1 (ko) 전면이 층을 이루고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