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088B1 - 스킨 케어 시트 - Google Patents

스킨 케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088B1
KR102608088B1 KR1020217032738A KR20217032738A KR102608088B1 KR 102608088 B1 KR102608088 B1 KR 102608088B1 KR 1020217032738 A KR1020217032738 A KR 1020217032738A KR 20217032738 A KR20217032738 A KR 20217032738A KR 102608088 B1 KR102608088 B1 KR 10260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skin care
lotion
skin
she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86A (ko
Inventor
이치로 와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한다. 스킨 케어 시트(1)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2)와,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3)을 구비한다. 겔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도포 영역에,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갖는다.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킨 케어 시트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스킨 케어에 이용되는 스킨 케어 시트가 알려져 있다. 스킨 케어 시트는, 시트 부재와, 그 시트 부재에 유지되는 스킨 케어제를 구비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기재와, 겔로 구성된 겔층과, 겔의 일부가 기재에 침투하여 구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적어도 겔에 화장료 조성물이 유지되어 구성되며, 겔을 안면에 첩부하여 사용되는 시트형의 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탄화수소, 탄소수 10∼25의 에스테르, 및 약효 성분이 혼합된 기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6193846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7-11940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로서 수용성의 겔을 이용하고 있다. 수용성의 겔은,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에 장착한 직후부터, 피부의 체온에 의해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장착 시간이 길어지면 확실히 수용성 겔의 증발이 진행되어, 수용성의 겔에 의해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로서 유성의 겔을 이용하고 있다. 유성의 겔은,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에 장착한 후에 피부의 체온에 의해서도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기 어려워, 시트 부재에 오래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유성의 겔은, 시트 부재의 피부 접촉면의 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의 땀샘을 막기 쉬워, 땀샘으로부터 땀이 방출되더라도 그 땀이 빠져나갈 곳이 적다. 그러므로, 장착 시간이 길어지면, 확실히 유성의 겔과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장착자는 스킨 케어 시트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밖에 없어,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1)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을 구비하는 스킨 케어 시트로서, 상기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상기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이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소정 성분을 갖는 유성의 겔 로션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의 도포 영역에, 겔 로션을 갖는 겔 영역과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유성의 겔 로션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겔 로션이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지 않고 그 표면에 오래 머무를 수 있고, 또한, 서방성이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장착시에 있어서, 비겔 영역에는 유성의 겔 로션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겔 영역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비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의 땀샘은 겔 로션으로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은, 비겔 영역과 비겔 대향 피부 사이의 영역에 방출되고, 그 후,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때, 스킨 케어 시트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신축성을 더 갖고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신장되면, 시트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땀은,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겔 영역에는 유성의 겔 로션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겔 영역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의 땀샘은 겔 로션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땀은, 예컨대 피부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는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에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의 땀샘이 겔 로션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과 겔 대향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는 스킨 케어 시트를 단시간에 제거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동안 계속 장착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2)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겔 로션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서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3) 상기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상기 도포 영역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상기와 같이 통기도가 0.15∼0.5 KPa·s/m이기 때문에,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확실하게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4)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피부(겔 대향 피부)에 접촉했을 때, 겔 로션이 돌출된 두께만큼 비겔 영역의 시트 부재가 피부(비겔 대향 피부)로부터 부상하여, 비겔 영역의 시트 부재와 피부(비겔 대향 피부) 사이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5)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영역의 구성 섬유는 겔 로션에 의해 대략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킨 케어 시트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복수의 겔 영역은, 겔 로션에 신장이 저해되어 상대적으로 작게 신장하고, 비겔 영역은 겔 로션에 신장이 저해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크게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겔 로션이 존재하지 않는 시트 부재를 동일하게 신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겔 영역을 그다지 신장할 수 없게 하여, 비겔 영역을 보다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겔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6)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의 도중의 위치까지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의 구성 섬유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겔 로션이 도포된 표면(이하, 「도포 표면」이라고도 함)측의 부분은 겔 로션에 의해 대략 고정되고, 겔 로션이 도포되지 않은 표면(이하, 「비도포 표면」이라고도 함)측의 부분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스킨 케어 시트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그 전체가 신장할 수 있고, 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비겔 영역은 신장할 수 있지만, 겔 영역은 겔 로션에 의해 신장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단, 비겔 영역)가 높아지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섬유 밀도가 낮아진다. 한편, 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그다지 커지지 않아, 섬유 밀도는 그다지 낮아지지 않는다. 즉, 비겔 영역에서는,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도포 표면으로부터 비도포 표면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도포 표면의 비겔 영역에 도달한 땀이 액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도포 표면으로부터 비도포 표면으로 이행할 수 있고, 비도포 표면의 외측의 공기에 닿아 용이하게 증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7)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투명도가 복수의 겔 영역과 비겔 영역에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의 다른쪽의 표면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8)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상기 도포 영역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각 겔 영역이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이 각 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고 있다. 그 때문에, 겔 대향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은, 예컨대 피부 위에서 확산되어 겔 대향 피부에 둘러싸도록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의 땀샘이 겔 로션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과 겔 대향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9) 평면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인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상기와 같이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이 30∼95%이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에 의한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점착과, 비겔 영역에 의한 통기성의 확보를 적당하게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10)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페이스 스킨 케어 시트이며, 상기 페이스 스킨 케어 시트는, 상기 시트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은, 상기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보다 많은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겔 로션의 평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가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개구부의 주변 영역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부분 배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땀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신축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부분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킨 케어 시트에 관해, 안면(의 팩)용의 페이스 마스크(이하, 단순히 「페이스 마스크」라고도 함)를 예로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제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스킨 케어 시트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시트로는, 안면 전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부분(예시: 눈가, 코, 입가)이나, 신체의 부위(예시: 팔, 손, 복부, 목, 흉부, 데콜테, 발)용의 스킨 케어 시트를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은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1의 페이스 마스크(1)의 부분 배면도이며, 도 2의 (a)는 도 2의 (b)의 IIa-IIa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페이스 마스크(1)는,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L)과 가로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평면상에 놓은 페이스 마스크(1)를 그 평면의 수직 상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하고, 평면시에서 파악되는 형상을 「평면 형상」이라고 하고, 세로 방향(L) 및 가로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 방향을 「면내 방향」이라고 한다.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페이스 마스크(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을 각각 의미한다.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와, 시트 부재(2)에 도포된 겔 로션(3)을 구비한다. 겔 로션(3)은 스킨 케어에 기여하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시트 부재(2)는, 한쪽의 면인 제1면(S1)과, 제1면(S1)과는 반대측의 다른쪽의 면인 제2면(S2)을 갖고 있다. 제1면(S1)은 겔 로션(3)이 도포된 면이다. 제2면(S2)은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의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페이스 마스크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시트 부재(2)의 형상은, 예컨대 삼차원의 안면을 이차원의 평면으로 전개한 형상이나, 타원 형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시트 부재(2)에는 복수의 개구부(4a∼4d)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개구부(4a, 4a)는 오른쪽 눈 및 왼쪽 눈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개구부(4b)는 콧구멍의 위치에 절개선으로서 형성되고, 개구부(4c)는 입의 위치에 형성되고, 2개의 개구부(4d, 4d)는 오른쪽 귀 및 왼쪽 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의 형상이나, 복수의 개구부(4a∼4d)의 위치나 형상에 관해서는,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자로서 상정되는 인물의 평균적인 안면의 형상이나 귀, 눈, 코, 입의 형상이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4a∼4d)의 적어도 하나는 적절하게 생략해도 좋다.
시트 부재(2)는, 도포 영역(AT)과 비도포 영역(AU)을 갖는다. 도포 영역(AT)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는 피부에 대향하고, 겔 로션(3)이 도포되는 영역이다. 도포 영역(AT)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에서의, 가로 방향(W)의 안면의 중앙부 영역, 즉 대략 오른쪽 볼의 외연으로부터 왼쪽 볼의 외연과의 사이의 부분을 덮는 영역이다. 비도포 영역(AU)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지 않는 피부에 대향하고,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이며, 따라서 시트 부재(2)에서의 도포 영역(AT) 이외의 영역이다. 비도포 영역(AU)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에서의, 안면의 양쪽 단부의 영역, 즉 대략 오른쪽 귀 및 왼쪽 귀의 주변 부분을 덮는 영역이며, 도포 영역(AT)의 가로 방향(W)의 양 외측의 영역이다. 또, 비도포 영역(AU)은, 실질적으로 면적 제로(0)의 비도포 영역(AU)이어도 좋다. 도포 영역(AT)의 면적은, 예컨대 시트 부재(2)의 면적의 30∼95%를 들 수 있고, 50∼90%가 바람직하다.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스킨 케어의 효율이 낮아지고, 지나치게 크면 핸들링이 어려워진다.
시트 부재(2)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직포나 부직포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화학 섬유를 들 수 있지만, 천연 섬유이어도 좋다. 화학 섬유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공지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단섬유, 심초형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섬/바다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자형, C자형 등의 이형 단면형 섬유; 잠재 권축 또는 현재 권축의 입체 권축 섬유 ; 수류, 열, 엠보스 가공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하는 분할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섬유를 병용해도 좋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고, 그리고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수성 섬유로서, PE/PP 심초형 복합 섬유와 PE/PET 심초형 복합 섬유를 소정비(예시: 85∼65:15∼35)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천연 섬유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코튼과 같은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펄프 섬유와 같은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와 같은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웨브를 에어스루법, 서멀본딩법, 니들펀치법, 케미컬본딩법, 스펀레이스법 등의 방법으로 구성 섬유끼리 결합·교락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8∼15 dtex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구성 섬유의 섬유 길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5∼100 mm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200 g/㎡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1∼5 mm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는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고 있다.
신축성으로는, 예컨대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반송 방향(MD)에서의 최대점 신도는 110∼180%, 횡단 방향(CD)에서의 최대점 신도는 150∼350%를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반송 방향(MD)에서의 최대점 강도는 20∼100 N/50 mm, 횡단 방향(CD)에서의 최대점 강도는 100∼200 N/50 mm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를 가로 방향(W)으로 신장시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횡단 방향(CD)이 시트 부재(2)의 제품시의 가로 방향(W)이 되도록 하여 페이스 마스크(1)를 형성한다.
또한, 통기성으로는, 시트 부재(2)에 겔 로션(3)이 도포된 상태(후술)로 시트 부재(2)를 10% 신장했을 때,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비겔 영역(BU):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05∼0.15 KPa·s/m을 들 수 있다. 또한, 겔 로션(3)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겔 영역(BG):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5∼0.7 KPa·s/m을 들 수 있다. 겔 로션(3)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겔 영역(BG))과 도포되지 않은 영역(비겔 영역(BU))이 혼재하는 영역(도포 영역(AT):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15∼0.5 KPa·s/m을 들 수 있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자(P)는, 시트 부재(2)를 주로 가로 방향(W)으로 신장하면서, 겔 로션(3)이 도포된 제1면(S1)이 피부로 향하도록 하여 안면에 얹고, 오른쪽 귀 및 왼쪽 귀를 각각 2개의 개구부(4d, 4d)에 삽입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1)를 안면에 장착한다.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 도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겔 로션(3)은, 도포 영역(AT)인 시트 부재(2)의 제1면(S1)에서의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는 피부에 대향하는 영역, 즉 안면의 중앙부의 영역이며, 즉 대략 오른쪽 볼의 외연으로부터 왼쪽 볼의 외연과의 사이의 부분을 덮는 영역에 도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는, 도포 영역(AT)에, 겔 로션(3)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BG)과, 겔 로션(3)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BU)을 갖고 있다. 즉,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평면 형상으로 도포되고, 도포 영역(AT)에서의 비겔 영역(BU)에 도포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겔 로션(3)의 스킨 케어제는, 겔 영역(BG)이 피부에 접함으로써 겔 영역(BG)으로부터 피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것에 더하여, 그 스킨 케어제는 겔 영역(BG)으로부터 시트 부재(2) 내에서 면내 방향으로 확산되어 비겔 영역(BU)에 도달하고, 거기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아일런드(섬)형 또는 라인(선)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관해,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하도록 둘러싸고 있고, 통기성의 관점에서는, 전부에 접하도록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일랜드형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원형, 타원형, 정방형, 직사각형, 다각형, 하트형, 꽃모양, 나뭇잎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인형의 형상은, 소정 폭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된 직선, 곡선, 파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달라도 좋고, 아일랜드형의 형상과 라인형의 형상이 혼합되어도 좋다. 형상이나 그 크기(면적)나 조합 등은,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사용자가 기억하는 인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있어서, 가장 근접한 겔 영역(BG)의 서로의 간격(최단 거리)은, 예컨대 0.2∼1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5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 mm를 들 수 있다. 제2 근접의 겔 영역(BG)의 서로의 간격(최단 거리)은, 예컨대 0.4∼2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10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m를 들 수 있다. 간격이 지나치게 좁으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지고,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진다.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면적은, 예컨대 1 ㎟∼9 ㎠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4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1 ㎠이다.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지고,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각 겔 영역(BG)이 임의의 제1 방향(예시: 세로 방향(L))으로 제1 간격을 두고(또는 간격을 두지 않고) 열을 이뤄 나열되고, 또한, 각 열이 제1 방향과는 수직인 제2 방향(예시: 가로 방향(W))으로 제2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도 좋다. 그와 같은 배열로는, 예컨대, 겔 영역(BG)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경우, 바둑판 무늬(체커)형이나 스트라이프형을 들 수 있다.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예컨대 0.2 mm∼2 cm을 들 수 있고, 0.4 mm∼1 cm이 바람직하고, 0.8 mm∼1 cm이 보다 바람직하다. 간격이 지나치게 좁으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지고,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진다.
또, 평면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겔 영역(BG)을 그룹화해도 좋고, 대응하여, 비겔 영역(BU)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에 접하도록 둘러싸는 것 뿐만 아니라,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에 접하도록 하여 겔 영역(BG)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 좋다. 또 간격은 최단 거리로 측정하는 것으로 하고, 겔 영역(BG)의 형상이 부정형 등으로 서로의 거리 등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겔 영역(BG)을, 그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면적의 원에 근사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바둑판 무늬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겔 영역(BG)은 대략 정방형(예시: 한 변은 3∼10 mm)이며, 가장 근접한 겔 영역(BG)의 정방형의 모서리끼리는 서로 미세한 거리(예시: 0.8∼2 mm)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와,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의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의 면적에 대한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 R1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 비율 R1은, 예컨대 30∼80%를 들 수 있고, 35∼70%가 바람직하다. 이들에 대응하여,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의 면적에 대한 비겔 영역(BU)의 면적의 비율 R2는, 예컨대 70∼20%를 들 수 있고, 65∼30%가 바람직하다. R1이 작으면(R2가 크면),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R1이 크면(R2가 작으면), 비겔 영역(BU)이 작아져 땀을 통기시키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겔 로션(3)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겔 로션(3)의 평량은, 예컨대 50∼500 g/㎡를 들 수 있고, 100∼400 g/㎡이 바람직하다. 평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평량이 지나치게 크면, 비겔 영역(BU)이 작아져 땀을 통기시키기 어려워진다. 겔 로션(3)의 두께 dM은, 예컨대 0.1∼6 mm를 들 수 있고, 0.2∼4 mm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으면, 장시간 스킨 케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두께가 두꺼우면, 겔 로션(3)이 지나치게 많아 끈적함 등이 생길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은,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a)를 포함한다. 돌출부(3a)의 두께 dK>0이다. 돌출부(3a)는, 페이스 마스크(1)를 안면에 장착했을 때, 시트 부재(2)의 제1면(S1)과 안면의 피부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두께 dK의 크기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dM 이하의 조건으로, 예컨대 0.05∼3 mm를 들 수 있고, 0.1∼2 mm이 바람직하다. 혹은, 시트 부재(2)의 두께 dM에 대한 두께 dK의 비율로는, 20∼90%를 들 수 있고, 30∼80%가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얇으면(지나치게 작으면), 비겔 영역(BU)에서의 땀의 통기가 어려워진다. 지나치게 두꺼우면(지나치게 크면), 비겔 영역(BU)에서의 땀의 통기는 용이하지만,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 내에서 비겔 영역(BU)에 확산되더라도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은,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한 침투부(3b)를 포함한다. 침투부(3b)의 두께 dL>0이다. 두께 dL을 두껍게 하면, 침투부(3b)는, 페이스 마스크(1)가 신장되면서 안면에 장착되었을 때,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를 겔 영역(BG)에 고정하여,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가 그다지 신축하지 않고, 비겔 영역(BU)의 구성 섬유를 보다 신축할 수 있다. 한편, 두께 dL을 얇게 하면, 시트 부재(2)에서의 제1면(S1)측의 부분과 제2면(S2)측의 부분에서, 구성 섬유의 섬유 밀도의 차가 생길 수 있다. 두께 dL의 크기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dM 이하의 조건으로, 예컨대, 0.05∼4 mm를 들 수 있고, 0.1∼2 mm이 바람직하다. 혹은, 시트 부재(2)의 두께 dM에 대한 두께 dL의 비율로는, 10∼80%를 들 수 있고, 20∼70%가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얇으면(지나치게 작으면) 겔 로션(3)의 스킨 케어제를 시트 부재(2)에서 비겔 영역(BU)에 확산시키기 어려워져, 비겔 영역(BU)으로부터 비겔 영역(BU)에 대향하는 피부에 스킨 케어제를 공급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두꺼우면(지나치게 크면) 시트 부재(2)의 제2면(S2)측으로 새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는, 복수의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 사이의 광반사율 또는 광투과율의 차이로부터,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과는 반대측의 제2면(S2)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BG)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그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은, 그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보다 많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에 복수의 개구부(4a∼4d)를 갖고 있다. 그 복수의 개구부(4a∼4d)의 각각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은, 그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보다 많다.
겔 로션(3)은 겔화제와 로션을 포함하고 있다. 겔화제는 로션을 유지하기 위한 성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다.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 및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겔 로션(3)에서는, 로션(탄화수소 오일, 스킨 케어제)이, 일정량 겔 로션의 표면에 계속적으로 블리드한다. 따라서, 겔 로션(3)은, 겔 로션(3)의 표면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즉, 겔 로션(3)은 스킨 케어제에 관해 서방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스킨 케어제가 장착자의 피부에 방출되어, 겔 로션(3)의 표면으로부터 사라졌다 하더라도, 겔 로션(3)의 내부로부터 겔 로션(3)의 표면에 새로운 스킨 케어제를 공급할 수 있어, 스킨 케어제를 장착자의 피부에 계속 방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킨 케어제를 장시간에 걸쳐, 시트 부재(2)에 대향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장착자의 안면의 피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페이스 마스크(1)(스킨 케어 시트)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땀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페이스 마스크(1)(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소정 성분을 갖는 유성의 겔 로션(3)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 겔 로션(3)을 갖는 겔 영역(BG)과 겔 로션(3)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BU)을 형성하고 있다.
이 페이스 마스크(1)에서는, 겔 로션(3)이 유성이기 때문에, 시트 부재(2)의 시트 부재(2)로부터 증발하지 않고 시트 부재(2)의 표면에 오래 머무를 수 있고, 또한, 서방성이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있어서, 비겔 영역(BU)에는 유성의 겔 로션(3)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착자(50)의 피부(50S) 중, 비겔 영역(BU)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비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50SU)의 땀샘(62)은 겔 로션(3)으로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땀샘(62)으로부터 방출된 땀(64)은, 비겔 영역(BU)과 비겔 대향 피부(50SU) 사이의 영역(V)에 방출되고, 그 후,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때, 페이스 마스크(1)는, 부직포(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신축성을 더 갖고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신장되면, 시트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땀(64)은, 비겔 영역(BU)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겔 영역(BG)에는 유성의 겔 로션(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겔 영역(BG)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50SG)의 땀샘(61)은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땀(63)은, 예컨대 피부(50SG)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는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에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50SU)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의 땀샘(61)이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3)과 겔 대향 피부(50SG)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는 페이스 마스크(1)를 단시간에 제거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 계속 장착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페이스 마스크(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도포 영역(AT)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이다. 그 때문에,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확실하게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이 피부(겔 대향 피부)(50SG)에 접촉했을 때, 겔 로션(3)이 돌출된 두께만큼 비겔 영역(BU)의 시트 부재(2)가 피부(비겔 대향 피부)(50SU)로부터 부상하여, 비겔 영역(BU)의 시트 부재(2)와 피부(비겔 대향 피부)(50SU) 사이의 영역(V)을 넓힐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는, 겔 로션(3)이 없는 영역, 즉 비겔 영역(BU)과 비교하여, 겔 로션(3)에 의해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고, 즉 대략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페이스 마스크(1)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복수의 겔 영역(BG)은, 겔 로션(3)에 신장이 저해되어 상대적으로 작게 신장하고, 비겔 영역(BU)은 겔 로션(3)에 신장이 저해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크게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겔 로션(3)이 존재하지 않는 시트 부재를 동일하게 신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겔 영역(BG)을 그다지 신장할 수 없게 하여, 비겔 영역(BU)을 보다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겔 영역(BU)에서의 단위 면적당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의 신축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단, 도 5의 (a)는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의 신장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의 신장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다. 예컨대, 겔 로션(3)의 두께 dM에 대한 침투부(3b)의 두께 dL의 비율은 30∼60%를 들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를 두께 방향(T)으로는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겔 로션(3)이 도포된 표면인 제1면(S1)(도포 표면)측의 부분은 겔 로션(3)에 의해 대략 고정되고,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표면인 제2면(S2)(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2면(S2)(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그 전체가 신장할 수 있고, 제1면(S1)(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비겔 영역(BU)은 신장할 수 있지만, 겔 영역(BG)은 겔 로션(3)에 의해 신장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비겔 영역(BU)에서는, 제1면(S1)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높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섬유 밀도가 낮아지지만, 제2면(S2)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그다지 커지지 않아, 섬유 밀도는 그다지 낮아지지 않는다. 즉, 비겔 영역(BU)에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으로, 제1면(S1)으로부터 제2면(S2)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S1)에 있어서,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의 폭 e2, e4와, 비겔 영역(BU)의 폭 e1, e3, e5를 서로 전부 같게 한다. 즉, e2=e4=e1=e3=e5로 한다. 그 때, 제2면(S2)에 있어서, 제1면(S1)에서의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폭 e2, e4)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2, f4와, 비겔 영역(BU)(폭 e1, e3, e5)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1, f3, f5는 서로 전부 같아지고, 또한, e2, e4, e1, e3, e5와 같아진다. 즉, f2=f4=f1=f3=f5=e2=e4=e1=e3=e5가 된다. 단, 겔 영역(BG) 및 비겔 영역(BU)과, 겔 영역(BG)에 대응하는 영역 및 비겔 영역(BU)에 대응하는 영역 사이의 두께 방향(T)의 경계는, 시트 부재(2)의 절반의 두께의 위치로 한다. 그 때, 도 5의 (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를 가로 방향(W)으로 신장한 경우, 제1면(S1)에 있어서,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의 폭 e2, e4가 폭 E2(>e2), E4(>e4)로 신장하고, 비겔 영역(BU)의 폭 e1, e3, e5가 폭 E1(>e1), E3(>e3), E5(>e5)이 되고, 또한, 대략 (E2=E4)<(E1=E3=E5)이 된다. 한편, 제2면(S2)에 있어서, 제1면(S1)에서의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폭 e2, e4)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2, f4가 폭 F2(>f2), F4(>f4)로 신장하고, 비겔 영역(BU)(폭 e1, e3, e5)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1, f3, f5가 폭 F1(>f1), F3(>f3), F5(>f5)가 되고, 또한, 대략 F2=F4=F1=F3=F5가 된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대략 (E2=E4)<(F2=F4=F1=F3=F5)<(E1=E3=E5)이 된다. 따라서, 시트 부재(2)는, 폭이 E1=E3=E5가 되는 영역, 즉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의 폭이 가장 넓어지도록 신장한다. 이어서, 시트 부재(2)는, 폭이 F2=F4=F1=F3=F5가 되는 영역, 즉 제2면의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의 폭이 다음으로 넓어지도록 신장한다. 그리고, 시트 부재(2)는, 폭이 E2=E4가 되는 영역, 즉 제1면(S1)의 겔 영역(BG)의 폭이 가장 넓어지지 않도록 신장한다. 여기서, 각 영역끼리에서의 폭의 대소 관계는, 대략 각 영역끼리에서의 섬유 밀도의 대소 관계에 대응한다. 예컨대, 한쪽 영역의 폭이 다른쪽 영역의 폭보다 큰 경우, 한쪽 영역의 섬유 밀도가 다른쪽 영역의 섬유 밀도보다 크다. 따라서,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의 섬유 밀도보다, 제2면의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의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에 도달한 땀이 액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제1면(S1)으로부터 제2면(S2)으로 이행할 수 있고, 제2면(S2)의 외측의 공기에 닿아 용이하게 증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한쪽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2)의 투명도가 복수의 겔 영역(BG)과 비겔 영역(BU)에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2)의 다른쪽 표면인 제2면(S2)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BG)을 시인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페이스 마스크(1)를 피부에 부착할 때, 겔 로션(3)이 도포된 제1면(S1)을 피부측으로 하여, 거울 등으로 제2면(S2)을 보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비겔 영역(BU)은, 도포 영역(AT)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겔 대향 피부(50SG)로부터 방출된 땀은, 예컨대 피부(50S) 위에서 확산되어 겔 대향 피부(50SG)에 둘러싸도록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50SU)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에 보다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의 땀샘(61)이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3)과 겔 대향 피부(50SG)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시트 부재(2)의 면적에 대한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이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에 의한 시트 부재(2)의 피부에 대한 점착과, 비겔 영역(BU)에 의한 통기성의 확보를 적당하게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페이스 마스크(1)는, 개구부(4a∼4d)의 적어도 하나에서의 주변 영역의 겔 로션(3)의 평량이,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의 겔 로션(3)의 평량보다 증가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2)가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개구부의 주변 영역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겔 로션(3)은, 특별한 제한없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한 로션 중에 겔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도포액을 제조하고, 그 도포액을 겔 로션(3)을 도포해야 할 시트 부재(2)에 도포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1) 상에 겔 로션(3)이 제조될 수 있다.
겔 로션(3)은, 필요에 따라, 휘발성 용매, 예컨대, 알코올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 등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서 시트 부재(2)에 도포할 수 있다. 그 도포액이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그 도포액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도포가 용이해지고, 도장시의 가온이 불필요해지는 등의 도포 공정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도포액을 가열하여, 예컨대, 비접촉식 코터, 접촉식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비접촉식 코터로는, 예컨대, 스파이럴 코터, 커튼 코터, 스프레이 코터, 딥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접촉식의 코터로는, 예컨대, 슬롯 코터, 패턴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겔 로션(3)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하드 세그멘트 및 소프트 세그멘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세그멘트로는 폴리스티렌 블록이 바람직하고, 소프트 세그멘트로는 폴리올레핀 블록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블록으로는, 예컨대, 스티렌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즉, 폴리스티렌 블록), α-메틸스티렌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즉, 폴리α-메틸스티렌 블록), 및, 스티렌과 α-메틸스티렌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이 포함된다. 폴리올레핀 블록으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 및, 폴리올레핀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부틸렌 블록 및 폴리부타디엔 블록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으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부타디엔 등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을 들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부타디엔도 올레핀계 모노머로서 취급한다. 소프트 세그멘트에는, 폴리부타디엔 블록의 수소 부가물, 및 부타디엔과,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부타디엔 등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의 수소 부가물도 포함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양쪽 말단에 하드 세그멘트를 가지며, 이들의 사이에 1종 또는 복수종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EPS), 및,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5,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4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3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겔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초과이면, 장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50∼90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60∼85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8∼35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65∼82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폴리스티렌 블록의 양이 10 질량% 미만이면, 폴리스티렌 블록이 후술하는 미크로층 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스티렌 블록의 양이 50 질량% 초과이면, 로션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블록의 양이 적어지고, 나아가서는 유지할 수 있는 로션의 양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 블록의 미크로층 분리 구조의 양이 많아지고, 형성되는 겔 로션이 딱딱해져, 장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겔 로션을 생성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멘트는, 서로 응집하여 도메인을 형성하여 가교점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소프트 세그멘트는, 이들 가교점을 연결하는 메쉬의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탄성체로서 기능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로션과 혼합하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멘트가 로션을 유지하는 한편, 하드 세그멘트는 도메인을 형성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로션의 혼합물(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단체보다 낮은 압축 응력을 갖는 탄성체로서 기능한다. 또,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멘트의 헐거운 메쉬에 유지되어 있을 뿐이며, 겔 로션의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탄화수소 오일로는, 예컨대, 쇄형 탄화수소 및 환형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쇄형 탄화수소로는, 예컨대, 파라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 및 삼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음; 알칸), 올레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을 하나 포함; 알켄), 아세틸렌계 탄화수소(삼중 결합을 하나 포함; 알킨), 및, 이중 결합 및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환형 탄화수소로는,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환식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로는, 쇄형 탄화수소 및 지환식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쇄형 탄화수소가 보다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탄화수소, 올레핀계 탄화수소 및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삼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음)가 더욱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 쇄형 탄화수소에는, 직쇄형 탄화수소 및 분기쇄형 탄화수소가 포함된다.
탄화수소 오일은, 40℃에서의 0.01∼80 ㎟/s의 동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션이 겔 로션(3)의 표면에 블리드하는 작용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화수소 오일은,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 이용하는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해도 좋다.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의 탄화수소 오일은, 40℃에서의 80∼400 ㎟/s의 동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의 탄화수소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중의 20∼80 질량%이 바람직하다. 20 질량% 미만의 경우, 피부에 점착하기 어려워지고, 80 질량% 초과의 경우, 겔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로션은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스킨 케어제는, 스킨 케어(예시: 에몰리언트 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스킨 케어제로는, 예컨대,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제제, 지방산류의 제제, 지방족 알코올류의 제제나, 이들을 조합한 제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올레인산, 이코센산, 도코사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예컨대,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종자) 오일, 호호바(종자) 오일, 동백 오일을 들 수 있다.
로션은, 바람직하게는 50∼90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50∼10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5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45∼15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로션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40∼20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의 양이 90 질량% 초과, 즉 스킨 케어제의 양이 10 질량% 미만이면, 스킨 케어제의 피부에 대한 부착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 오일의 양이 50 질량% 미만, 즉 스킨 케어제의 양이 50 질량% 이상이면, 겔의 강도가 저하되어 겔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겔 로션(3)은, 겔화제 및 로션에 더하여, 예컨대 실리콘 오일을 혼합해도 좋다. 실리콘 오일을 넣음으로써 겔 로션(3)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다.
겔 로션(3)은, 바람직하게는 0.0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03의 정적 마찰계수를 갖는다. 장착자의 피부 염증이 생기기 어려운 관점에서이다. 정적 마찰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겔 로션(3)은, 예컨대, 감마제를, 겔 로션 100 질량부(겔화제 및 로션의 합계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2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7 질량부의 양으로 포함한다.
겔 로션(3)은, 로션으로서, 전술한 탄화수소 오일이나 스킨 케어제 이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로션으로서 알려져 있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예컨대, 천연 비타민 또는 합성 비타민을 들 수 있고, 혹은 수용성 비타민 또는 지용성 비타민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B군, 예컨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 등, 비타민 C를 들 수 있다.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A군, 비타민 D군, 비타민 E군 및 비타민 K군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에는 이들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또 다른 성분으로서, 예컨대, 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프롤린 및 히드록시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 및, 펩티드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레시틴, 세라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고, 제올라이트로는, 예컨대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로는, 예컨대, 방비석, 능비석, 휘비석, 나트롤라이트, 속비석 및 톰소나이트를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약제를 들 수 있고, 약제로는, 예컨대, 피부 수렴제, 항여드름제, 항주름제, 항셀룰라이트제, 미백제, 항균제, 항곰팡이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피부 수렴제로는, 예컨대, 산화아연, 황산알루미늄, 탄닌산 등, 유용성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성 피부 수렴제를 들 수 있다.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예컨대, 황백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카모밀라 추출물, 우엉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서양보리수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수타호두 추출물, 하이비스커스 추출물, 비파잎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홉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율무쌀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여드름제로는, 예컨대, 살리실산, 과산화벤조일, 레졸시놀, 황, 에리트로마이신,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항주름제로는, 예컨대, 락트산,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글리콜산, 피틴산, 리포산, 리소포스파티드산을 들 수 있다. 항셀룰라이트제로는, 예컨대, 크산틴 화합물, 예컨대, 아미노피린, 카페인, 테오피린, 테오브로민 등을 들 수 있다. 미백제로는, 예컨대, 나이아신아미드, 코지산, 알부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피토스테롤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및 뽕 추출물 및 태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항염증 성분, pH 조정제, 항균제, 보습제, 향료, 예컨대, 아로마 오일, 색소, 염료, 안료,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 성분으로는, 예컨대, 천연 유래의 항염증제, 예컨대, 모란, 황금, 고추나물, 카모마일, 감초, 복숭아잎, 쑥, 차조기 추출물 등, 합성 항염증제, 예컨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 예컨대,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는, 예컨대, 산화티탄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성분으로는,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분산계의 화합물(예시: 축차 중합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복수의 지방산과, 복수의 지방족 1가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에스테르)과, 단일 화합물(예시: 1종의 지방산과, 1종의 지방족 1가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에스테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Ni개의 분자량 Mi의 분자(i=1, 또는 i=1, 2, …)로 이루어진 계에 있어서, 다음 식: Mw=ΣNiMi 2/ΣNiMi에 의해 구해지는 Mw를 의미한다.
겔 로션(3)은, 겔화제와 로션의 합계를 100 질량부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40 질량부의 겔화제와, 98∼60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질량부의 겔화제와, 95∼70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질량부의 겔화제와, 90∼75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한다. 겔화제의 비율이 2 질량부를 하회하면, 형성되는 겔 로션(3)이, 탄성체로서 작용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겔 로션(3)의 탄성 한계를 넘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겔화제의 비율이 40 질량부를 넘으면, 형성되는 겔 로션(3)의 탄성이 높아, 장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에서는, 유효 성분을 소정의 장소에 고정할 때에는, 이들을 고점도화(점성체화)하는 수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고점도화하면, 유효 성분(에몰리언트제 등)이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의 내부에 갇혀,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종래의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은, 점성체에 불과하며, 장착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지 않고, 시트 부재의 내부로 이동하여, 장착자의 피부에 계속 작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겔 로션(3)은, 체장착의 압력 등이 가해지는 범위에서 탄성체로서의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겔 로션(3)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변형되는 것에 그치고, 시트 부재(2)의 구성 섬유 등의 사이에 압입되지 않고,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 회복하여, 원래의 위치(제1면(S1) 부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겔 로션(3)에 포함되는 로션이 원하는 위치에서 그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겔 로션은, 전술한 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예컨대, 산화 방지제, 예컨대, BHT(2,6-디-t-부틸-p-크레졸), BHA(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또,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a)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의 (b)는 도 6의 페이스 마스크(1)의 부분 배면도이며, 도 7의 (a)는 도 7의 (b)의 VIIa-VIIa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의 페이스 마스크(1a)는,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이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이 바둑판 무늬로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페이스 마스크(1)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주로 상이점에 관해 설명한다.
페이스 마스크(1a)의 도포 영역(AT)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세로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겔 영역(BU)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서로 인접하는 겔 영역(BG)의 사이에, 세로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겔 영역(BG) 및 비겔 영역(BU)의 단속적인 개소에는, 각각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이 배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비겔 영역(BU)은, 인접하는 비겔 영역(BU)이 가로 방향(W)으로 양측으로부터 겔 영역(BG)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겔 영역(BG)의 폭(가로 방향(W)의 치수) dW1은, 예컨대 1∼3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0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 mm를 들 수 있다. 비겔 영역(BU)의 폭(가로 방향(W)의 치수) dW2는, 예컨대 0.2∼1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5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 mm를 들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페이스 마스크(1a)에 있어서도, 도 1∼도 5에 도시되는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이스 마스크(1a)에 있어서는,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이, 복수의 비겔 영역(BU)의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보다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종 값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계측되는 것으로 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을 의미한다. GPC의 측정 조건으로는, 예컨대 다음 조건을 들 수 있다. 기종은,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스 제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램 Lachrom Elite이다. 컬럼은, 쇼와덴꼬 주식회사 제조 SHODEX KF-801, KF-803 및 KF-804이다. 용리액은 THF이며, 유량은 1.0 mL/분이며, 주입량은 100 μL이며, 검출은 RI(시차 굴절계)이다.
(시트 부재의 평량, 두께 및 섬유 밀도)
시트 부재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시트 부재를 5 cm×5 c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하여, 100℃ 이상의 분위기에서의 건조 처리후에 질량을 측정한다. 측정한 질량을 시료의 면적으로 나누어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 부재의 평량으로 한다.
시트 부재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5 ㎠의 측정자를 구비한 두께계(주식회사 다이에 화학 정기 제작소 제조 모델 FS-60DS)를 이용하여, 3 g/㎠의 측정 하중의 조건으로 시트 부재의 두께를 측정한다. 하나의 시료에서 3개소의 두께를 측정하고, 3개소의 두께의 평균치를 시트 부재의 두께로 한다.
(통기도 및 신축도의 측정 방법)
시트 부재의 통기도(통기 저항)의 측정 방법으로는, KES 통기성 시험기(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품번 KES-F8-AP1)로 측정한다. 이 시험기는, 시험편의 압력 손실(표준 측정에서 일정 유량 4 ㎤/㎠·s일 때의 시험편의 저항에 의한 대기압과의 차압)을 압력 센서로 측정하고, 「통기 저항(kPa·s/m)」으로서 출력한다. 단, 페이스 마스크(1)의 신장시의 통기도에서는, 소정의 시트 부재(2)의 일부를 시료편으로서 신장하여 측정한다.
시트 부재의 신축성의 측정 방법으로는,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JISL 1913: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에 준거)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 페이스 마스크(1)의 신축성에서는, 소정의 시트 부재(2)의 일부를 시료편으로서 측정한다.
(동점도의 측정 방법)
동점도의 측정 방법은, JIS K 2283: 2000의 「5. 동점도 시험 방법」에 따라서, 캐논펜스케 역류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40℃의 시험 온도로 측정한다.
(겔 로션의 평량의 측정 방법)
겔 로션(3)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측정해야 할 범위(비피부 접촉 영역을 포함하지 않음)를, 예리한 날붙이, 예컨대, 커터의 교체용 날로 잘라내어 시료를 얻는다.
(2) 시료의 면적: S(㎡) 및 질량: M0(g)을 측정한다.
(3) 시료를, 겔 로션(3)이 가용인 용매, 예컨대, 방향족계 용매, 예컨대, 크실렌 등의 중에서 적어도 3분간 교반하여, 겔 로션을 용매 중에 용해시킨다.
(4) 시료를, 질량을 측정한 여과지 상에서 여과하고, 여과지 상에서 시료를 용매로 충분히 세정한다. 여과지 상의 시료를 100℃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킨다.
(5) 여과지 및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여과지의 질량을 감하여, 건조후의 시료의 질량: M1(g)을 산출한다.
(6) 겔 로션(3)의 평량 GBW(g/㎡)을, 다음 식:
GBW(g/㎡)=[M0(g)-M1(g)]/S(㎡)
에 의해 산출한다. 또,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해, 시료의 총면적이 100 ㎠를 넘도록, 복수의 페이스 마스크로부터 복수의 시료를 채취하고, 복수회 실험을 반복하여, 이들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겔 로션의 배합 성분
실시예의 페이스 마스크에서의 겔 로션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각종 배합 성분으로서 각각 이하의 시판품을 이용했다.
(1)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a)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PIONIER GEL 12 PAO(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Hansen&Rosenthal KG사 제조)
(b)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크레이톤 G1654(중량 평균 분자량: 약 20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크레이톤 폴리머사 제조)
(2) 탄화수소 오일
·팔림(PARLEAM) 6(37.8℃에서의 동점도: 20 ㎟/s, 수첨 폴리이소부텐,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
·팔림 18(37.8℃에서의 동점도: 300 ㎟/s, 수첨 폴리이소부텐,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
(3) 스킨 케어제
·파나세트 810S(40.0℃에서의 동점도: 13 ㎟/s,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
·올리브 오일(20℃에서의 점도: 107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DSP 고쿄 푸드&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20℃에서의 점도: 35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닛코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호호바 오일(25℃에서의 점도: 40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마루젠 약품 산업 주식회사 제조)
(4) 기타
(a) 실리콘 오일
·SH200-100cs(25℃에서의 동점도가 100 ㎟/s인 디메틸폴리실록산,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2. 겔 로션의 제조
상기 각종 배합 성분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성으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넣고,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140℃에서 5시간 용융 혼합한 후 냉각시켜, 겔 로션의 시료 1을 얻었다.
Figure 112021116354018-pct00001
3. 겔 로션의 평가 방법
제조된 겔 로션에 관해,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 및 성분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또한, 가려움에 관한 감응 평가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1)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
피부로 이행하는 겔 로션의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i) 상기 "2. 겔 로션의 제조"에서 제조된 겔 로션이 전면에 도포된 시트 부재로부터, 4cm×4cm의 범위를, 예리한 날붙이, 예컨대 커터의 교체용 날로 잘라내어 시료를 얻는다. 시료는 복수매 준비한다.
(ii) 각 시료의 질량: MT0(g)을 측정한다.
(iii) 각 시료를 5 cm×5 cm의 약 포장지 위에, 겔 로션이 약 포장지를 향하도록 하여, 각각 소정 시간(예시: 15, 30, 90, 180, 300분) 정치한다.
(iv) 겔 로션의 오일이 약 포장지로 이행한 후의 각 시료의 질량: MT1(g)을 측정한다.
(v) 각 시료에 관해 겔 로션의 이행량 GTW(g/㎡)을, 다음 식:
GTW(g/㎡)=[MT0(g)-MT1(g)]/(0.04×0.04)(㎡)
에 의해 산출한다. 복수회(예시: 5회) 실험을 행하여, 이들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2)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성분의 동정 방법
피부로 이행하는 겔 로션의 오일의 성분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i) 상기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의 (i)∼(iii)을 행한다.
(ii) 각 시료에 대응하는, 겔 로션의 오일이 이행한 각 약 포장지를 각각 스크류관에 넣는다. 그리고, 각 스크류관에 있어서, 각 약 포장지를 중클로로포름 1 mL 중에 15분 침지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iii) H1-NMR에 의해 각 중클로로포름 중의 오일을 동정한다.
(3) 가려움의 감응 평가
가려움의 감응 평가의 방법은 이하와 같다.
(i) 상기 "2. 겔 로션의 제조"에서 제조된 겔 로션이 도포된 도 1∼도 2에 도시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한다.
(ii) 페이스 마스크를 복수의 피험자에게 장착시켜, 소정 시간(예시: 15, 30, 90, 180, 300분)후의 가려움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을 구했다.
○: 가려움이 없다, △: 가려움은 있지만 신경쓰이지 않는다, ×: 가렵다
4. 겔 로션의 평가 결과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 및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성분의 평가 결과, 및 가려움의 감응 평가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116354018-pct00002
오일(스킨 케어제)은 피부를 모방한 약 포장지에 계속적으로 이행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300분(5시간)후에도 오일이 계속 방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오일로서 스킨 케어제인 파나세트 810S,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이 방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감응 평가로서, 300분(5시간)후에도 가려움이 느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인 PIONIER GEL 12 PAO(흡유성 중시 타입; 저분자량 엘라스토머)와, 크레이톤 G1654(신축성 중시 타입; 고분자량 엘라스토머)와, 팔림 6(탄화수소 오일)으로 겔을 형성하고 있다. 팔림 18(탄화수소 오일)이 피부 점착 부여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SH200-100cs(실리콘 오일)이 평활성 부여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파나세트 810S,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 호호바 오일은, 스킨 케어제이며, 지방산이나 지방산에스테르로 분류되고, 분자 구조 내에 극성(산소)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스킨 케어제는, 팔림 6과의 상용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팔림 6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겔을 형성하지만, 이들 스킨 케어제는, 겔의 표면에 블리드아웃하기 쉬워, 피부로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페이스 마스크(1)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고, 다른 종류의 스킨 케어 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1: 페이스 마스크(스킨 케어 시트)
2: 시트 부재
3: 겔 로션

Claims (10)

  1.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을 구비하는 스킨 케어 시트로서,
    상기 겔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상기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스킨 케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상기 도포 영역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인 스킨 케어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는 스킨 케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해 있고,
    상기 겔 로션의 두께에 대한,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해 있는 부분의 두께의 비율은 30∼60%인 스킨 케어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상기 도포 영역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인 스킨 케어 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페이스 마스크이며,
    상기 페이스 마스크는 상기 시트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은, 상기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보다 많은 스킨 케어 시트.
KR1020217032738A 2019-04-19 2020-03-10 스킨 케어 시트 KR102608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0546A JP7170579B2 (ja) 2019-04-19 2019-04-19 スキンケアシート
JPJP-P-2019-080546 2019-04-19
PCT/JP2020/010364 WO2020213300A1 (ja) 2019-04-19 2020-03-10 スキンケア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86A KR20220002886A (ko) 2022-01-07
KR102608088B1 true KR102608088B1 (ko) 2023-11-29

Family

ID=7283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738A KR102608088B1 (ko) 2019-04-19 2020-03-10 스킨 케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70579B2 (ko)
KR (1) KR102608088B1 (ko)
CN (1) CN113710220B (ko)
WO (1) WO20202133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743A (ja) * 2001-09-13 2003-03-19 Lion Corp 化粧料含有シート
JP2005104929A (ja) * 2003-10-01 2005-04-21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40A (ja) * 1998-09-24 2000-04-04 Uni Charm Corp 高含水性のジェルを用いたパック
JP2005348974A (ja) * 2004-06-11 2005-12-22 Kurosshingu Kk フェイスペイント用シール
JP2007119405A (ja) 2005-10-28 2007-05-17 Sansho Kaken Kk 皮膚貼付剤
CN104244896B (zh) * 2012-04-18 2016-12-28 株式会社Taica 提高了护理/医疗适合性的床垫
JP6193846B2 (ja) 2013-12-27 2017-09-0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パック
CN103948534A (zh) * 2014-05-16 2014-07-30 赵紫雄 一种植物纤维膜体
JP6415119B2 (ja) * 2014-06-06 2018-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8818B2 (ja) * 2014-06-30 2018-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6668081B2 (ja) * 2016-01-14 2020-03-18 株式会社ニッピ パック化粧料およびトイレタリー用品
KR20180006141A (ko) * 2016-07-08 2018-01-17 고경찬 스포츠용 마스크 패치
WO2018061947A1 (ja) * 2016-09-28 2018-04-05 旭化成株式会社 ゲルマスク用不織布
CN206508266U (zh) * 2016-11-08 2017-09-22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孔径可变的多孔脱水水凝胶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743A (ja) * 2001-09-13 2003-03-19 Lion Corp 化粧料含有シート
JP2005104929A (ja) * 2003-10-01 2005-04-21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0579B2 (ja) 2022-11-14
KR20220002886A (ko) 2022-01-07
CN113710220B (zh) 2024-01-16
JP2020176098A (ja) 2020-10-29
CN113710220A (zh) 2021-11-26
WO2020213300A1 (ja)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7076B2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BRPI0916032B1 (pt) Composição aderente à pele para ligação de um substrato à pele, e, artigo absorvente
CN105407850B (zh) 吸收性物品
CN209575071U (zh) 吸收性物品
CN110167391B (zh) 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
KR20200103625A (ko)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용의 온감 부재, 및 흡수성 물품에 첩부하여 사용하기 위한 온감 부재의 제조방법
CN109419586A (zh) 温感物品
CN111148452A (zh) 面膜及其制造方法
CN106102513B (zh) 皮肤遮蔽材料
TWI772504B (zh) 溫感物品
KR20210021993A (ko) 흡수성 물품
TWI823861B (zh) 吸收性物品
KR20170016837A (ko) 흡수성 물품
KR102305170B1 (ko)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KR102608088B1 (ko) 스킨 케어 시트
JP6193846B2 (ja) パック
JP2019042166A (ja) 温感物品
CN115052570A (zh) 吸收性物品
KR102414416B1 (ko) 온감 시트
JP2016013414A (ja) 吸収性物品
KR102221311B1 (ko) 온감 시트
TWI711436B (zh) 溫感物品
WO2016208044A1 (ja) パック
TWI829736B (zh) 合成纖維、纖維處理劑、及其利用
JP2019118507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