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627B1 -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627B1
KR102607627B1 KR1020220051279A KR20220051279A KR102607627B1 KR 102607627 B1 KR102607627 B1 KR 102607627B1 KR 1020220051279 A KR1020220051279 A KR 1020220051279A KR 20220051279 A KR20220051279 A KR 20220051279A KR 102607627 B1 KR102607627 B1 KR 10260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train
vibration
reaction force
driving reaction
rea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1668A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6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파워트레인에서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메인 진동의 방향과 러버체의 전단방향이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진동절연 효과는 향상되는 것이나 메인 진동방향과 구동반력의 작용 방향이 유사하여 구동반력 제어 기능이 저하되어 차량의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어 탑승자들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외측으로 대향되어 경사진 양 측면의 경사부(310)에는 진동절연용 러버체(400)의 한쪽 면이 구동반력 입력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구비된 제1 체결볼트(320)에 의해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리어 마운팅부(300); 일측단(510)은 상기 경사부(310)와 마주보도록 양쪽 러버체(400)의 다른쪽 면에 각각 부착되고, 장착공이 구비된 양쪽의 타측단(520)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으로 놓이는 진동흡수부(500); 양단의 경사진 절곡부(610)가 볼트(620)에 의해 상기 진동흡수부(500)의 타측단(520)에 조립되며, 제2 체결볼트(630)에 의해 파워트레인(100)의 후미에 장착되는 어댑터(600);로 구성된 것으로서 러버체(400)의 압축방향과 구동반력 충격 입력 방향이 일치되어 구동반력 제어 기능이 향상되게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Rear Mounting Structure of Powertrain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러버체의 압축 방향과 구동반력 충격 입력 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진동절연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구동반력 제어 기능이 향상되게 하여 구동반력으로 발생되는 충격력을 최대한 감소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파워트레인 리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트레인(PowerTrain)은 동력 전달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엔진의 출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파워트레인은 엔진, 클러치, 트랜스미션, 프로펠러 샤프트 및 종감속 기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트레인은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할 때, 진동 제어 및 롤링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3점 지지 방식으로 장착하고 있다.
즉, 차량의 구동을 위하여 탑재되는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 변화와 실린더 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 부분의 관성력, 커넥팅 로드로부터 크랭크축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 변화 등에 의해서 상당한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된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량 주행 중에 차체의 흔들림이 엔진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섀시 프레임(혹은 차체)과 파워트레인 간에는 파워트레인 마운팅 구조가 개재된다.
특히, 파워트레인을 차체 프레임에 결합할 때 사용하는 마운트는 엔진의 시동 및 아이들링의 진동 및 소음 뿐만 아니라 도로조건이나 변속및 가속, 감속, 제동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도 엔진의 진동 및 소음이 달라지기 때문에 작은 진폭의 진동 및 소음부터 큰 폭의 진동 및 소음까지 차단할 수 있는 마운트가 필요하다.
즉, 도 1 에서와 같이 파워트레인(10)을 차체 프레임(20)에 마운팅 시에는 주로 3점 지지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워트레인(10)의 좌측과 우측 그리고 리어에 마운팅 하는 것이나 종래 리어 마운팅 구조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리어 마운팅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차체 프레임(20)에 볼팅 체결되는 리어 마운팅부(30)의 경사면(31)에 진동절연용 러버체(40)의 일측면이 장착되고 러버체(40)의 타측면에는 메탈 소재의 진동흡수부(50)가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며, 진동흡수부(50)에는 파워트레인(100)의 후미에 장착되는 어댑터(60)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의 리어 마운팅 구조는 파워트레인(10)에서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메인 진동의 방향과 러버체(40)의 전단방향이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진동절연 효과는 향상되는 것이나 메인 진동방향과 구동반력의 작용 방향이 유사하여 구동반력 제어 기능이 저하되어 차량의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어 탑승자들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러버체의 압축방향과 구동반력 작용 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하중지지 및 진동절연 기능의 저하 없이 구동반력제어 기능이 향상되게 하여 그만큼 구동반력에 의한 충격력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후미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는 리어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외측으로 대향되어 경사진 양 측면의 경사부에는 진동절연용 러버체의 한쪽 면이 구동반력 입력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구비된 제1 체결볼트에 의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리어 마운팅부; 일측단은 상기 경사부와 마주보도록 양쪽 러버체의 다른쪽 면에 각각 부착되고, 장착공이 구비된 양쪽의 타측단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진동흡수부; 양단의 경사진 절곡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진동흡수부의 타측단에 조립되며, 제2 체결볼트에 의해 파워트레인의 후미에 장착되는 어댑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중지지나 진동절연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엔진의 구동으로 인한 구동반력 제어기능을 향상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차체 프레임에 파워트레인을 마운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파워트레인을 마운팅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파워트레인을 마운팅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리어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외측으로 대향되어 양 측면의 경사부(310)에는 진동절연용 러버체(400)의 한쪽 면이 구동반력 입력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구비된 제1 체결볼트(320)에 의해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리어 마운팅부(3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일측단(510)은 경사부(310)와 마주보도록 양쪽 러버체(400)의 다른쪽 면에 각각 부착되고 장착공이 구비된 양쪽의 타측단(520)은 직각으로 절곡된 진동흡수부(500); 양단의 경사진 절곡부(610)가 볼트(620)에 의해 진동흡수부(500)의 타측단(520)에 조립되며 제2 체결볼트(630)에 의해 파워트레인(100)의 후미에 장착되는 어댑터(6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어 마운팅 구조에 의해 파워트레인(100)을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하여 파워트레인(100)의 거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쇄시켜 실내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러버체(400)의 압축방향과 구동반력 충격 입력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구동반력 제어기능이 향상되게 하여 탑승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마운팅 구조는 차체 프레임(200)에 제1 체결볼트(320)로 체결되는 리어 마운팅부(300)를 양 측면에 경사부(310)가 구비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한 후 경사부(310)에 진동절연용 러버체(400)의 일측면이 밀착되게 장착하고, 진동흡수부(500)는 직각으로 절곡시켜 일측단(510)은 러버체(400)의 타측면에 부착되고 타측단(520)에는 파워트레인(100)의 후미에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600)를 결합한다.
상기 어댑터(600)는 양단에 경사진 절곡부(610)가 구비되어 즉, 진동흡수부(500)의 타측단(520)과 어댑터(600)의 절곡부(610)를 서로 접면시킨후 볼트(620)를 체결하여 어댑터(600)를 진동흡수부(500)와 체결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리어 마운팅부는 도 2 에서와 같이 러버체(400)의 압축방향과 구동반력 충격 입력 방향이 서로 일치되어 구동반력 제어기능이 향상되어 리어 마운팅부(300)의 역할인 하중지지나 진동절연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엔진의 구동으로 인한 구동반력 제어기능을 그만큼 향상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동절연용 러버체(400)는 중앙 부위에 단면 현상을 축소시키는 소정 깊이의 골(410)을 횡 방향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이는 진폭이 적은 진동 입력 시는 단면적이 작은 골(410)에 의해 소프트한 특성이 구현되게 하고, 진폭이 큰 구동반력 쇼크 입력 시에는 큰 단면적 부위에 의해 하드한 특성이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다리꼴 형으로 이루어진 리어 마운팅부(300)는 차체 프레임(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양쪽에 제1 체결볼트(320)가 구비되는 밑단부(330)와 상측의 경사부(310) 사이에 볼트 지지부(340)를 구비함으로써 제1 체결볼트(320)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그만큼 리어 마운팅부(300)를 차체 프레임(200)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파워트레인 200 : 차체 프레임
300 : 리어 마운팅부 310 : 경사부
320 : 제1 체결볼트 330 : 밑단부
340 : 볼트 지지부 400 : 진동절연용 러버체
410 : 골 500 : 진동흡수부
510 : 일측단 520 : 타측단
600 : 어댑터 610 : 절곡부
620 : 볼트 630 : 제2 체결볼트

Claims (3)

  1. 자동차용 파워트레인(100)의 후미를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하는 리어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외측으로 대향되어 경사진 양 측면의 경사부(310)에는 진동절연용 러버체(400)의 한쪽 면이 구동반력 입력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구비된 제1 체결볼트(320)에 의해 차체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리어 마운팅부(300);
    일측단(510)은 상기 경사부(310)와 마주보도록 양쪽 러버체(400)의 다른쪽 면에 각각 부착되고, 장착공이 구비된 양쪽의 타측단(520)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으로 놓이는 진동흡수부(500);
    양단의 경사진 절곡부(610)가 볼트(620)에 의해 상기 진동흡수부(500)의 타측단(520)에 조립되며, 제2 체결볼트(630)에 의해 파워트레인(100)의 후미에 장착되는 어댑터(600);
    로 구성되어 러버체(400)의 압축방향과 구동반력 충격 입력 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구동반력 제어 기능이 향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절연용 러버체(400)는
    중앙 부위에 단면 형상을 축소시키는 소정 깊이의 골(410)은 진동 절연용 러버체(4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진폭이 적은 진동 입력 시는 단면적이 작은 골(410)에 의해 소프트한 특성이 구현되게 하고,
    진폭이 큰 구동반력 쇼크 입력 시는 큰 단면적 부위에 의해 하드한 특성이 구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리어 마운팅부(300)는
    양쪽의 제1 체결볼트(320)가 구비되는 밑단부(330)와 상측의 경사부(310) 사이에 볼트 지지부(340)를 구비하여
    제1 체결볼트(320)의 지지력이 증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0220051279A 2022-04-26 2022-04-26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60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79A KR102607627B1 (ko) 2022-04-26 2022-04-26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79A KR102607627B1 (ko) 2022-04-26 2022-04-26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68A KR20230151668A (ko) 2023-11-02
KR102607627B1 true KR102607627B1 (ko) 2023-11-29

Family

ID=8874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79A KR102607627B1 (ko) 2022-04-26 2022-04-26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6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4791A (ja) 2008-09-29 2010-04-15 Kurashiki Kako Co Ltd 防振装置
JP2012092854A (ja) 2010-10-22 2012-05-17 Bridgestone Corp ブッシュタイプ防振ゴムの取付方法および防振ブッシュならびに、防振ブッシュを用いたトルクロッド
KR102341479B1 (ko) 2020-09-24 2021-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027B2 (ja) * 1995-03-24 2004-09-02 倉敷化工株式会社 マウントラ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4791A (ja) 2008-09-29 2010-04-15 Kurashiki Kako Co Ltd 防振装置
JP2012092854A (ja) 2010-10-22 2012-05-17 Bridgestone Corp ブッシュタイプ防振ゴムの取付方法および防振ブッシュならびに、防振ブッシュを用いたトルクロッド
KR102341479B1 (ko) 2020-09-24 2021-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68A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2043B2 (ja) 車両のパワートレーンの配置構造
JPH0367724A (ja) 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装置
CN201484164U (zh) 用于在汽车中支承动力装置的设备
KR102341479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607627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341484B1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로워 구조
KR102437470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JP3972592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牽引装置の制振構造
KR102330875B1 (ko) 차량 파워트레인의 트랜스퍼케이스용 튜닝 장치
KR10052778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JPS6340012Y2 (ko)
KR20230174485A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구조
KR100410846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KR20120126711A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 마운트
KR20220017646A (ko) 자동차용 모터 마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07082B1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트 브라켓
KR20240058326A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구조
KR100513871B1 (ko) 자동차용 엔진룸의 변속기 마운팅부 결합구조
CN214092852U (zh) 阻尼拉杆
CN2885646Y (zh) 单缸机动车轴传动柔性悬置装置
JP3319236B2 (ja) パワーユニット支持装置
JP7260051B2 (ja) ペンデュラム式マウントシステム
CN213199458U (zh) 一种重型汽车底盘传动轴减震器装置
KR20140062628A (ko) 부시 구조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