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282B1 -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 Google Patents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282B1
KR102607282B1 KR1020220048386A KR20220048386A KR102607282B1 KR 102607282 B1 KR102607282 B1 KR 102607282B1 KR 1020220048386 A KR1020220048386 A KR 1020220048386A KR 20220048386 A KR20220048386 A KR 20220048386A KR 102607282 B1 KR102607282 B1 KR 10260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ased material
electrode
separator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607A (ko
Inventor
정혁
최성원
이용준
정수택
권순관
배상호
김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2811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99236A1/en
Priority to PCT/KR2022/006015 priority patent/WO2022250307A1/ko
Priority to CN202280006500.9A priority patent/CN116325276A/zh
Priority to JP2023512035A priority patent/JP2023538586A/ja
Priority to US17/750,930 priority patent/US20220376348A1/en
Publication of KR2022015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은, 정해진 개수만큼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분리막과 전극;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 사이에 위치하되, 제1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분리막과 다른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되, 제2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보다 크다.

Description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UNIT CELL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열과 압력을 이용한 라미네이션을 대신하여,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극과 분리막 및 분리막과 분리막을 접착시킨 단위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여기서, 전지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 비용, 작은 중량, 용이한 변형 형태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스택형 전극 조립체의 경우, 단위셀을 미리 제조한 후 상기 단위셀을 복수 개 적층하여 제조가 이뤄지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셀은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순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라미네이팅 장치를 통해 열과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구성 요소는 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순으로 교대로 적층된 후, 라미네이팅 장치에 진입되기 전이나 라미네이션 진행 중에, 분리막 혹은 전극 중 일부가 정 위치에서 밀려나서, 파손이 발생되거나 접착력의 차이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움직임이 방지되어 있고, 전극과 분리막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단위 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열과 압력을 이용한 라미네이션을 대신하여,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극과 분리막 및 분리막과 분리막을 접착시킨 단위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은, 정해진 개수만큼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분리막과 전극;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 사이에 위치하되, 제1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분리막과 다른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되, 제2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보다 크다.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하부 분리막 및 상부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분리막, 상기 제1 전극, 상기 상부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하부 분리막 사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상부 분리막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상부 분리막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상부 분리막과 상기 하부 분리막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각각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트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상기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접착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상기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사이마다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는 접착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은, 상기 단위 셀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과 함께 전해액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8wt% 이상 내지 1.2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6wt% 이상 내지 0.9wt%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45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및 용융형 무기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 셀은 상기 분리막이 폴딩되어 지그재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의 제조 방법은 전극의 제1 면 또는 제1 분리막의 접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제를 상기 전극의 제2 면 또는 제2 분리막의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극의 제2 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분리막의 주변 영역 또는 상기 제2 분리막의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제2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의 제1 면이 상기 제1 분리막의 접합 영역에 접하고, 상기 전극의 제2 면이 상기 제2 분리막의 접합 영역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분리막과 상기 제2 분리막 사이에 상기 전극을 적층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은 그 사이에 전극을 두지 않으면서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전해액 내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제의 상기 전해액 내 분산도보다 크다.
상기 전해액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분산도는 상기 전해액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분산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은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둘레 주위로 연장되어, 상기 주변 영역 각각이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접합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 및 상기 제2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각각의 도트 패턴으로 각각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의 도트 패턴에서 도트는 행과 열의 격자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전지 케이스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접착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해액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및 용융형 무기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6wt% 이상 0.9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0.45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접착제 및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8wt% 이상 1.2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6wt% 이상 0.9wt% 이하이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0.45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위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은, 종래의 열과 압력을 이용한 라미네이션을 대신하여, 접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극과 분리막 및 분리막과 분리막을 접착시켜,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전극과 분리막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가 결합된 단위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위셀에 포함된 접착 조성물의 함량에 따른 분산도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단위셀에 포함된 접착 조성물의 LSV(Linear Sweep Voltammetry)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가 결합된 단위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은, 정해진 개수만큼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분리막(210, 250)과 전극(110, 150); 분리막(210, 250)과 전극(110, 150) 사이에 위치하되, 제1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310); 및 분리막(210, 250)과 다른 분리막(210, 250) 사이에 위치하되, 제2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3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막(210, 250)은 하부 분리막(210) 및 상부 분리막(250)을 포함하고, 전극(110, 150)은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50)을 포함하고, 하부 분리막(210), 제1 전극(110), 상부 분리막(250), 및 제2 전극(150) 순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은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전극 탭(11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150)은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전극 탭(15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2와 같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사이에 상부 분리막(250)이 위치하도록 적층되되, 제1 전극(110)의 제1 전극 탭(115)과 제2 전극(150)의 제2 전극 탭(155)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1 전극 탭(115)과 제2 전극 탭(155)이 같은 방향에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구조 또한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50)은 각각 전극 집전체와 상기 전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는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물질층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50)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110)은 음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50)은 양극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리튬 금속, 리튬 합금, 석유 코크,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규소, 주석, 금속 산화물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은, 일 예로,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및 리튬 인산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복합 산화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 또는 상기 양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분리막(210, 250)은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210, 250)은 하부 분리막(210) 및 상부 분리막(250)을 포함하되, 하부 분리막(210) 및 상부 분리막(250)은 상이하거나 서로 동일한 소재의 분리막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분리막(210, 250)은 통상 리튬이차 전지에서 세퍼레이터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에 포함된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착부(310)는 제1 전극(110)과 하부 분리막(210) 사이, 제1 전극(110)과 상부 분리막(250) 사이, 및 제2 전극(150)과 상부 분리막(25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310)는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50)을 각각 하부 분리막(210) 및/또는 상부 분리막(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접착부(310)는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부(350)는 상부 분리막(250)과 하부 분리막(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부(350)는 하부 분리막(210)의 단부와 제1 전극(11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부(350)는 상부 분리막(250)의 단부와 제1 전극(11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2 접착부(350)는 분리막(210, 250)에서 제1 전극(110)이 접하지 않는 면에 위치하되, 제2 접착부(350)는 제1 전극(11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착부(350)는 전극(110, 150)에서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115, 155)이 위치한 부분에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분리막(210)과 하부 분리막(250) 사이에 제1 전극(110)이 위치하되, 상부 분리막(210)과 하부 분리막(250)이 제2 접착부(350)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어, 제1 전극(110)이 상부 분리막(210) 및 하부 분리막(250)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2 접착부(350)는 제1 전극(110)의 둘레를 따라 상부 분리막(210) 및 하부 분리막(250)을 서로 고정시켜, 제1 전극(110)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전극(11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각각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도트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도트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는 상술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어, 복수의 단위셀(100)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도 4, 1100)에 대해 전해액이 주액되는 경우, 전극 조립체(도 4, 1100)가 빠르게 함침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에서 복수의 도트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복수의 도트 사이로 전해액이 흐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셀(도 4, 100)의 제조 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시키고, 수율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310)는 제1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제2 접착부(350)는 제2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310)는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의 리튬 이온 통로를 방해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부(310)는 상대적으로 분산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는 제2 접착부(350)에 포함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과 제2 접착부(350)에 포함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서로 동일한 조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는 서로 상이한 조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과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분산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이 아크릴계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아크릴계 물질이 에스터기(ester group)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해액에 일정량의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제2 접착부(350)에 포함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동일하거나 높은 분산도를 가질 수 있어, 복수의 단위셀(100)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도 4, 1100)에 전해액이 주액되는 경우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에서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이 경우,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부(310)는 전해액에 용해되어,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의 리튬 이온 통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1번 위치에 해당하는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과 달리, 2번 위치에 해당하는 제2 접착부(350)에 포함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경우, 선형 주사 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에 따른 결과 4.0V 부근에서 산화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전지 셀 내에서 부반응을 야기시켜 용량 및 수명 단축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착부(310)에는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접착부(350)를 형성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전해액 주입 공정 시 야기되는 분리막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과 같은 결과는, 상기 제1 접착 조성물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로서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은 CCS(Ceramic Coated Separator)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막은, 원단 필름과 상기 원단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코팅층은 알루미나 가루와 이들을 뭉치도록 하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SRS(Safety Reinforced Separator)는 상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가 다량 코팅되어 있으나, CCS는 상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가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SRS 대비하여 표면에 분포하는 바인더 함량이 매우 낮을 수 있다. 가령, 본 실시예에 따른 CCS 분리막의 경우 분리막의 코팅층 표면에 코팅된 바인더 함량이 대략 3wt% 이하일 수 있다.
분리막이 CCS인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내부 전극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하므로, 이송 중에 정렬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물론, 분리막이 CCS인 경우에 열과 압력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전극과 분리막의 적층체를 형성한 후 열과 압력의 고정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내부 전극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다. 또한, 열과 압력으로 전극과 분리막을 붙이기 위해서는 바인더 함량이 높은 고가의 분리막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중에 내부 전극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1000)은, 상술한 단위 셀(100)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1100)과 함께 전해액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위셀(100)의 제1 전극탭(115)이 적층되어 있는 제1 전극탭들(1150)과 제2 전극탭(155)이 적층되어 있는 제2 전극탭들(1550)은 각각 전극 리드(3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 리드(30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리드 필름(40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100)는 전지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어 있되, 전극 조립체(1100)는 상기 전해액과 함께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10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2500)는 전지 케이스(2000)의 외주면이 서로 열융착되어 실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해액은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및 용융형 무기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액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부(310)는 상기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상기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상기 전해액에 모두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착부(310)는 상기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어,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의 리튬 이온 통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전지셀의 전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8wt% 이상 내지 1.2wt%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85wt% 이상 내지 1.15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9wt% 이상 내지 1.1wt%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셀(1000)은,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이 상술한 범위의 비율로 포함되어,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부(310)가 전해액에 용이하게 분산 및 용해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의 리튬 이온 통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8wt% 미만인 경우,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에 의한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 혹은 하부 분리막(210)과 상부 분리막(250) 사이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1.2wt% 초과인 경우,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부(310)가 전해액에 용이하게 분산 및 용해되지 않아, 상기 리튬 이온 경로를 방해하여 미충전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6wt% 이상 내지 0.9wt%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1wt% 이상 내지 0.45wt%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65wt% 이상 내지 0.85wt%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15wt% 이상 내지 0.4wt% 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7wt% 이상 내지 0.8wt%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0.15wt% 이상 내지 0.35wt%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셀(1000)은,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이 각각 상술한 범위의 비율로 포함되어,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가 고정되어 전극의 틀어짐을 방지하면서도,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가 전해액에 용이하게 분산 및 용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0.6wt% 미만이거나 0.9wt% 초과인 경우, 제1 접착부(310)와 전극 사이에 접착력이 부족하여 전극 틀어짐이 발생하거나, 제1 접착부(310)가 전해액에 용이하게 분산 및 용해되지 않아 리튬 이온 경로를 방해하여 미충전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0.1wt% 미만이거나 0.45wt% 초과인 경우, 하부 분리막(210)과 상부 분리막(250) 사이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감소하거나, 제2 접착부(350)의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커서 제2 접착부(350)이 형성 가능한 표면적을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이 전해액에 대한 분산도가 작은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2wt% 이상 내지 0.18wt% 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이 경우,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4wt% 이상 내지 0.16wt%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1000)은,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더라도,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을 상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전극(110, 150)과 분리막(210, 250) 사이가 고정되어 전극의 틀어짐을 방지하면서도,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50)가 전해액에 용이하게 분산 및 용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0.1wt% 미만이거나 0.2wt% 초과인 경우, 하부 분리막(210)과 상부 분리막(250) 사이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감소하거나, 제2 접착부(350)의 접착 조성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커서 분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분산도 측정>
1M LiPF6 의 리튬염이 EC : EMC = 3 : 7 비율로 섞인 전해액을 기준으로, 접착조성물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의 분산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여기서, 아크릴계 물질은 BASF사의 acResin 250UV이고, EVA계 물질은 Henkel사의 Technomelt 4046이고, 에폭시계 물질은 Henkel사의 Lotite EA608이고, 폴리올레핀계 물질은 Henkel사의 Supra502이고, 고무계 물질은 Henkel사의 2802dispomelt이고, 폴리아미드계 물질은 Henkel사의 HPX 002이고, 폴리우레탄계는 Fuller사의 EH9702이다.또한, 도 5는 Technomelt 4046의 분산도 결과로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접착 조성물의 함량을 증가시켜, 함량에 따른 분산도를 측정하였고, 도 5의 가장 우측의 결과와 같이 1wt%에서 현탁하게 나타났고, 이를 NG로 표시하였다. 이외에 다른 물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접착 조성물 분산도 (전해액 기준)
0.02wt% 0.25wt% 0.5wt% 0.75wt% 1.wt% 1.25wt%
아크릴계 acResin 250UV OK OK OK OK OK NG
EVA계 Technomelt 4046 OK OK OK OK NG NG
에폭시계 Lotite EA608 OK OK OK OK NG NG
폴리올레핀계 Supra502 OK OK NG NG NG NG
고무계 2802dispomelt OK NG NG NG NG NG
폴리아미드계 HPX 002 OK NG NG NG NG NG
폴리우레탄계 EH9702 OK NG NG NG NG NG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 LiNi0.6Mn0.2Co0.2O2, 도전재로 카본 블랙 및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올라이드(PVdF)를 각각 사용하고, 양극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의 중량비를 96 : 2 : 2 로 하여 혼합한 혼합물에 용제인 NMP에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한 뒤, 건조 및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로 인조흑연, 도전재로 카본 블랙 및 바인더로 SBR 에멀전 수용액을 각각 사용하고, 음극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의 중량비를 94 : 1 : 5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구리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한 뒤,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베이스 시트 (두께: 10㎛) 상에 Al2O3와 PVDF를 94 : 6 중량비로 혼합된 슬러리를 양면에 도포(각 두께: 3㎛)하고, 60에서 건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리막은 위치에 따라 상부 분리막 및 하부 분리막으로 명명한다.
전해액으로, 1M LiPF6의 리튬염을 EC:EMC = 3:7의 비율로 섞인 용액에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부 분리막, 음극, 상부 분리막, 양극 순으로 교대로 적층하되, 상기 분리막과 상기 음극 사이 및 상기 분리막과 또는 상기 음극 사이에 전해액의 함량 대비 0.75 wt% 함량인 acResin 250UV로 이루어진 제1 접착부가 위치하고, 상기 상부 분리막과 상기 하부 분리막 사이에 전해액의 함량 대비 0.25 wt% 함량인 acResin 250UV로 이루어진 제2 접착부가 위치하는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Lotite EA608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Technomelt 4046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Lotite EA608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Technomelt 4046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5wt% 함량인 2802dispomelt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25wt% 함량이고, 제2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75wt% 함량인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5wt% 함량이고, 제2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25wt% 함량인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접착부는 전해액의 함량 대비 0.5wt% 함량인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부는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이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분산도, 점도, 및 이온전도도 측정)>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하여, 전해액의 함량 대비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에 포함된 접착 조성물의 함량에 따른 분산도, 점도, 및 이온 전도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분산도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었고,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온전도도는 Mettler Toledo 社의 cond probe inlab710 장비를 이용해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Brookfield DV2T LV TJ10 모델 장비의 spindle부분을 cone과 plate로 교체하여, CPA-40Z cone을 적용해 10rpm 조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점도 및 이온 전도도는, 1M LiPF6 의 리튬염이 EC : EMC = 3 : 7 비율로 섞인 전해액(점도는 3.78cPs@25℃ 이고, 이온전도도는 8.65mS/cm)을 기준으로 ±10% 이내인 경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제1 접착부 제2 접착부 분산도 점도
(cPs@25℃)
이온 전도도
(mS/cm)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 1 acResin 250UV 0.75wt% acResin 250UV 0.25wt% OK 4.08 8.45
실시예 2 acResin 250UV 0.75wt% Loctite EA608 0.25wt% OK 4.10 8.40
실시예 3 acResin 250UV 0.75wt% Technomelt 4046 0.25wt% OK 4.11 8.42
실시예 4 acResin 250UV 0.75wt% Supra502 0.25wt% OK 4.11 8.27
실시예 5 Loctite EA608 0.75wt% Supra502 0.25wt% OK 4.17 8.41
실시예 6 Technomelt 4046 0.75wt% Supra502 0.25wt% OK 4.21 8.33
실시예 7 acResin 250UV 0.75wt% 2802dispomelt 0.15wt% OK 4.15 8.25
비교예 1 acResin 250UV 0.25wt% acResin 250UV 0.75wt% OK 4.08 8.45
비교예 2 acResin 250UV 0.5wt% acResin 250UV 0.25wt% OK 3.95 8.56
비교예 3 acResin 250UV 0.75wt% acResin 250UV 0.5wt% NG - -
비교예 4 Supra502 0.75wt% Supra502 0.25wt% NG - -
비교예 5 Supra502 0.75wt% acResin 250UV 0.25wt% NG - -
<실험예 3(전극 틀어짐 측정)>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각각의 단위 셀에 대하여, GE社 CT Scanner를 통해 170kV,200umA,34W의 조건에서 33um/pixel의 해상도로 전극 틀어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제1 접착부 제2 접착부 전극 틀어짐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 1 acResin 250UV 0.75wt% acResin 250UV 0.25wt% OK
실시예 2 acResin 250UV 0.75wt% Loctite EA608 0.25wt% OK
실시예 3 acResin 250UV 0.75wt% Technomelt 4046 0.25wt% OK
실시예 4 acResin 250UV 0.75wt% Supra502 0.25wt% OK
실시예 5 Loctite EA608 0.75wt% Supra502 0.25wt% OK
실시예 6 Technomelt 4046 0.75wt% Supra502 0.25wt% OK
실시예 7 acResin 250UV 0.75wt% 2802dispomelt 0.15wt% OK
비교예 1 acResin 250UV 0.25wt% acResin 250UV 0.75wt% NG
비교예 2 acResin 250UV 0.5wt% acResin 250UV 0.25wt% NG
비교예 3 acResin 250UV 0.75wt% acResin 250UV 0.5wt% OK
비교예 4 Supra502 0.75wt% Supra502 0.25wt% OK
비교예 5 Supra502 0.75wt% acResin 250UV 0.25wt% OK
<실험 결과 분석>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제1 접착부에 0.75wt% 함량인 acResin 250UV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에 0.25wt% 함량인 acResin 250UV, Loctite EA608, Technomelt 4046로 각각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분산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모두 우수하고, 전극 틀어짐 또한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 4와 같이, 제1 접착부에 0.75wt% 함량인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에 0.25wt% 함량인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전극 틀어짐은 없으나,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upra502보다 분산도가 낮은 2802dispomelt, HPX 002, EH970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와 제2 접착부의 분산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는, 비교예 4와 달리,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가 각각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acResin 250UV, Loctite EA608, 및 Technomelt 4046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총 함량이 작은 비교예 2의 경우, 전극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총 함량이 큰 비교예 3의 경우,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총 함량은 실시예 1과 같이 0.8wt%이상 내지 1.2wt%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의 총 함량이 동일하나, 제1 접착부의 함량이 작고, 제2 접착부의 함량이 큰 경우, 전극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제1 접착부의 함량이 작은 비교예 2의 경우, 전극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제2 접착부의 함량이 큰 비교예 3의 경우,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과 같이, 제1 접착부의 함량은 0.6wt% 이상 내지 0.9wt%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고, 제2 접착부의 함량은 0.1wt% 이상 내지 0.45wt% 이하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4 내지 6과 같이, 제1 접착부에 0.75wt% 함량인 acResin 250UV, Loctite EA608, Technomelt 4046로 각각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에 0.25wt% 함량인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분산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모두 우수하고, 전극 틀어짐 또한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 5와 같이, 제1 접착부에 0.75wt% 함량인 Supra502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에 0.25wt% 함량인 acResin 250UV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전극 틀어짐은 없으나,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upra502보다 분산도가 낮은 2802dispomelt, HPX 002, EH9702이 제1 접착부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와 제2 접착부의 분산도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비교예 5와 달리, 실시예 4 내지 6과 같이, 제1 접착부에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acResin 250UV, Loctite EA608, 및 Technomelt 4046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2 접착부에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Supra502, 2802dispomelt, HPX 002, 및 EH9702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와 달리, 제1 접착부의 함량이 큰 비교예 3의 경우, 전극 틀어짐은 없으나,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와 달리, 제2 접착부의 함량의 함량이 커지면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 점도 및 이온 전도도의 측정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과 같이, 제1 접착부의 함량은 0.6wt% 이상 내지 0.9wt%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고, 제2 접착부의 함량은 0.1wt% 이상 내지 0.45wt% 이하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7과 같이, 제1 접착부에 0.75wt% 함량인 acResin 250UV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되었고, 제2 접착부에 0.15wt% 함량인 2802dispomelt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사용된 경우, 분산도,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모두 우수하고, 전극 틀어짐 또한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접착부의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점도 및 이온 전도도가 측정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착부에 포함된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가 지나치게 낮은 2802dispomelt, HPX 002, 및 EH9702의 경우, 실시예 7과 같이, 제2 접착부의 함량은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3)는 기본 단위체(30)가 복수 회 반복 형성되어 제조된 전극 적층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단위체(30)는 분리막(322)이 폴딩되어 지그재그 모양을 가지면서, 전극(31)을 커버하며, 전극(31)과 분리막(322)이 적층되어 있는 단위체일 수 있다. 즉, 기본 단위체(30)는 분리막(322)의 일측 및 타측이 순차적으로 폴딩되어 전극(31)을 커버하면서, 전극(31)과 분리막(322)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 조립체(3)는 고정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 테이프를 대신하여 분리막(322)의 일 단부가 전극 적층체(40)의 외면 중 일부를 감싸고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기본 단위체(30)는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이 접착제(34)로 서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은 접착제(34)의 접착력에 의하여 정렬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극 적층체(40)는 분리막(322)이 전극(3112, 3122)의 상하부 및 일 측면을 커버하고 있어, 상기 고정 테이프 없이도, 기본 단위체(30)끼리의 적층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극 적층체(40)의 외측에 상기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거나, 분리막(322)의 일 단부가 감싸고 있는 경우에는, 기본 단위체(30)끼리의 적층 정렬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3)에서, 접착제(34)는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3)에서, 제1 전극(3112)의 하부와 분리막(322)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34)와 제1 전극(3112)의 상부와 분리막(322) 사이에 접착제(34)는 제1 전극(3112) 또는 분리막(3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접착제(34)가 배치되어 있는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극(3122)과 분리막(322)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3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3)에서, 접착제(34)는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공정 시간 및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4)에서, 접착제(34)는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 사이마다 배치되어 있으면서, 서로 인접한 층에 배치된 접착제(34)는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4)에서, 제1 전극(3112)의 하부와 분리막(3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34-1)와 제1 전극(3112)의 상부와 분리막(322) 사이에 제2 접착제(34-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제(34-1)와 제2 접착제(34-2)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뿐, 도포되어 있는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극(3122)과 분리막(322)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1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제(34-1) 및 제2 접착제(34-2)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구조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전극 조립체(4)에서, 접착제(34)는 전극(3112, 3122)과 분리막(322) 사이마다 배치되어 있으면서, 서로 인접한 층에 배치된 접착제(34)는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접착제(34)에 의한 전극 조립체(4)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서로 인접한 층에 배치된 접착제(34)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 앞에서 설명한 전지 셀에 포함된 전해액에 접착제(34)가 보다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전극 조립체(3, 4)에서 사용되는 접착제(34)는 상술한 제1 접착부(310)에 포함되는 제1 접착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단위 셀
110: 제1 전극
150: 제2 전극
210: 하부 분리막
250: 상부 분리막
310: 제1 접착부
350: 제2 접착부
1000: 전지 셀
1100: 전극 조립체
2000: 전지 케이스
3000: 전극 리드
4000: 리드 필름

Claims (34)

  1. 정해진 개수만큼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분리막과 전극;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 사이에 위치하되, 제1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분리막과 다른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서로 다른 분리막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분산도보다 큰 단위 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
  3. 제1항에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
  4. 제1항에서,
    상기 분리막은 하부 분리막 및 상부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분리막, 상기 제1 전극, 상기 상부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단위 셀.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하부 분리막 사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상부 분리막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상부 분리막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위 셀.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상부 분리막과 상기 하부 분리막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 셀.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각각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위 셀.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도트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단위 셀.
  9. 제1항에 따른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접착 패턴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1항에 따른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사이마다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는 접착 패턴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1항의 단위 셀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과 함께 전해액을 포함하는 전지 셀.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는 전지 셀.
  13. 제11항에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지 셀.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8wt% 이상 내지 1.2wt% 이하인 전지 셀.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접착 조성물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6wt% 이상 내지 0.9wt%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45wt% 이하인 전지 셀.
  16. 제13항에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은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지 셀.
  17. 제16항에서,
    상기 제2 접착 조성물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인 전지 셀.
  18. 제11항에서,
    상기 전해액은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및 용융형 무기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지 셀.
  19. 제1항에서,
    상기 분리막이 폴딩되어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전지 셀.
  20. 전극의 제1 면 또는 제1 분리막의 접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제를 상기 전극의 제2 면 또는 제2 분리막의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극의 제2 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분리막의 주변 영역 또는 상기 제2 분리막의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분리막과 상기 제2 분리막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의 제1 면이 상기 제1 분리막의 접합 영역에 접하고, 상기 전극의 제2 면이 상기 제2 분리막의 접합 영역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분리막과 상기 제2 분리막 사이에 상기 전극을 적층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은 그 사이에 전극을 두지 않으면서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전해액 내 분산도는 상기 제2 접착제의 상기 전해액 내 분산도보다 큰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전해액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분산도는 상기 전해액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분산도보다 큰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2. 제20항에서,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주변 영역은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둘레 주위로 연장되어, 상기 주변 영역 각각이 상기 제1, 2 분리막 각각의 접합 영역을 둘러싸는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3. 제20항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에폭시계 물질,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4. 제20항에서,
    상기 제1 접착제 및 상기 제2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각각의 도트 패턴으로 각각 도포되는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도트 패턴에서 도트는 행과 열의 격자로 배열되는 단위 셀의 제조 방법.
  26. 제20항의 단위 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전지 케이스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셀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해액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셀의 제조 방법.
  28. 제26항에서,
    상기 전해액은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및 용융형 무기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전지 셀 제조 방법.
  29. 제26항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6wt% 이상 0.9wt% 이하인 전지 셀의 제조 방법.
  30. 제26항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0.45wt% 이하인 전지 셀의 제조 방법.
  31. 제26항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접착제 및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8wt% 이상 1.2wt% 이하인 전지 셀의 제조 방법.
  32. 제31항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6wt% 이상 0.9wt% 이하이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0.45wt% 이하인 전지 셀의 제조 방법.
  33. 제26항에서,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 올레핀계 물질, 고무(Rubber)계 물질, 폴리아미드계 물질, 및 폴리우레탄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지 셀의 제조 방법.
  34. 제33항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접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 대비 0.1wt% 이상 내지 0.2wt% 이하인 전지 셀의 제조 방법.
KR1020220048386A 2021-05-24 2022-04-19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KR10260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11500.2A EP4199236A1 (en) 2021-05-24 2022-04-27 Unit cell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PCT/KR2022/006015 WO2022250307A1 (ko) 2021-05-24 2022-04-27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CN202280006500.9A CN116325276A (zh) 2021-05-24 2022-04-27 单元电芯及包括该单元电芯的电池电芯
JP2023512035A JP2023538586A (ja) 2021-05-24 2022-04-27 単位セ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セル
US17/750,930 US20220376348A1 (en) 2021-05-24 2022-05-23 Unit Cell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6460 2021-05-24
KR1020210066460 202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607A KR20220158607A (ko) 2022-12-01
KR102607282B1 true KR102607282B1 (ko) 2023-11-29

Family

ID=8444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386A KR102607282B1 (ko) 2021-05-24 2022-04-19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3122A (ja) * 2017-01-10 2018-07-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021A (ja) * 2012-03-07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
PL3244475T3 (pl) * 2015-09-02 2021-05-17 Lg Chem, Ltd. Membrana separacyjna zawierającego części powłoki klejowej o różnych siłach klejenia i zawierający ją zespół elektr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3122A (ja) * 2017-01-10 2018-07-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607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7387B2 (en) Bipolar battery current collector that contracts to interrupt a flow of electric current in a direction thereof and bipolar battery
EP1422780B1 (en) Polymer battery and related method
WO2012014780A1 (ja) 双極型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双極型二次電池並びに双極型電極の製造方法
KR20100112648A (ko) 전지 전극을 갖는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40552A (ja) 双極型電池用電極
JP6939685B2 (ja) 積層電池
CN113036148B (zh) 一种基于电导率可控聚合物集流体的储能系统及其制备工艺
US20110200867A1 (en) Modular battery with battery cell having bimetallic end plates
KR20130105578A (ko) 절연물질이 코팅된 파우치형 2차전지
CN110998951A (zh) 电极片制造方法、全固态电池以及全固态电池制造方法
KR101515672B1 (ko) 2 이상의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
KR102607282B1 (ko)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CN111697261A (zh) 锂二次电池
CN111213277B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KR102607283B1 (ko) 단위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EP4199236A1 (en) Unit cell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JP2011258435A (ja) 電池用電極、双極型電池用電極及び双極型電池
KR102197360B1 (ko) 향상된 기계적 강도의 단면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US20220376358A1 (en) Unit Cell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WO2023286423A1 (ja) 集電体および電池
WO2023286424A1 (ja) 集電体および電池
WO2023074845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40075723A (ko) 가스투과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 외장재 및 이차전지
KR20240100236A (ko) 파우치 필름 적층체 및 이차 전지
KR20220169402A (ko)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