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80B1 -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 Google Patents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80B1
KR102606780B1 KR1020210123712A KR20210123712A KR102606780B1 KR 102606780 B1 KR102606780 B1 KR 102606780B1 KR 1020210123712 A KR1020210123712 A KR 1020210123712A KR 20210123712 A KR20210123712 A KR 20210123712A KR 102606780 B1 KR102606780 B1 KR 10260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prevention
filtration
contamin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500A (ko
Inventor
임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엔텍
Priority to KR102021012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35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ith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s by gas flow, e.g. blast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들과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 및 저농도의 유해가스 등을 각각 포집여과하여 방지하도록 된 각각의 1차여과부재와 2차여과부재 및 3차여과부재를 수납구조로 구비하도록;
도장부스의 도장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입구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출구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오염공기가 여과되어 방지처리되는 방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공간에 오염공기를 여과햐여 방지작업을 하도록 된 여과수단이 구비되는 장치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의 상기 방지공간에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측 방향으로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공간과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를 여과하는 2차여과공간과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공간등으로 상기 방지공간을 각각 구획분할하고, 각각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와 제2경로 및 제3경로가 형성된 각각의 1차구획격벽과 2차구획격벽 및 3차구획격벽들이 구비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Body for preventing painting booth}
본 발명은, 도장물을 도장처리하도록 된 도장부스에서 도장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방지작업한 후,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들과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 및 저농도의 유해가스 등을 각각 포집여과하여 방지하도록 된 각각의 1차여과부재와 2차여과부재 및 3차여과부재를 수납구조로 구비하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방지작업이 완료된 배기공기의 배기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외관을 위하여 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도료를 칠하는 도색작업 혹은 도장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색작업 혹은 도장작업은, 차량의 생산과정에서의 대량 생산되는 공정에 맞추어 최적화된 설비에 의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오염방지시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색작업 혹은 도장작업은, 의무적 오염방지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종합정비업이나 소형자동차정비업, 즉 과거 1급 공업사 또는 2급 공업사에서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색작업 혹은 도장작업 공간에는, 외부와 차단되는 밀폐된 공간인 도장부스를 설치하고; 상기 도장부스에는 별도의 방지장치가 구비되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에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료(도장성입자)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카센터라 칭하는 자동차 부분정비업, 즉 과거 3급 공업사의 경우에는,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신고하기 전에는 도장작업을 진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32775호(명칭: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2005.11.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장 부스의 내부 상측에 공기가 도장 부스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유입수단과, 상기 공기유입수단을 통해 도장 부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도장 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가 혼합된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오염공기안내수단과, 상기 오염공기안내수단을 통해 안내된 오염공기에 수액적(水液滴)을 분무하는 물분사용 노즐이 구비되어 오염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액적분사세척수단과, 상기 액적분사세척수단에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공기유입수단에 공급하는 악취제거수단과, 상기 도장 부스 내부의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강제송풍수단으로 이루어진 여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60858호(명칭: 도장부스/2014.05.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일 측면에 출입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 공기를 공급받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 외부와 연통되어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하부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면 상부에 상방으로 솟아 오르는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상부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부스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관통공에 삽입고정되는 틀; 상기 고정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부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공기배출통로로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기통과망; 및 판재 형상으로 상기 공기통과망 상면을 덮고, 상면에 복수의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부스 내에 수용되는 물품 또는 자동차를 떠받쳐 지지하는 그레이팅;으로 구성되는 도장부스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9525호(명칭: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 도장 및 열처리 부스/2017.04.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착되고, 정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외부 몸체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측에 도어가 형성된 전방을 제외하고 전후 좌우와 배면 및 저면이 외부 몸체의 내벽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기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은 스틸그레이팅에 의하여 배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스틸그레이팅의 하부로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은 경사판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의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물 세척노즐을 구비하는 내부 몸체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급기덕트를 통하여 외부 몸체의 상면에서 내부 몸체의 내측으로 연결된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내부 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내부 몸체의 내측 상부는 천정과 이격된 상부를 하부와 분리되도록 장착되는 필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도록 하며, 하강된 공기는 흡입력에 의하여 내부 몸체의 외측 배기 공간부를 통하여 상승한 후 외부 몸체에 형성되는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 공간부에는 물을 미세입자로 분사하도록 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이 물 입자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물 세척노즐과 미스트 분사노즐에 물을 공급하고 외부 몸체의 내측 바닥면의 분진이 포함된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부를 구비하는 환경오염방지시설과; 상기 내부 몸체의 양측 내벽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 끝단에는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장착되고 양측에 장착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 윈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이동장치와; 저면에 복수 개의 발열수단을 구비하고, 대구경의 파이프에 소구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단은 이동프레임에 고정된 승하강포스트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 윈치의 와이어가 상기 승하강포스트를 관통한 후 상단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는 열처리판넬로 구성된 부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95404호(명칭: 오염 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용 도장 부스/2019.08.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송풍기와, 집진기 및 적외선 건조기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장 부스에 있어서, 자동차가 위치하는 공간을 사방으로 막도록 벽체 상단에 설치되고, 에어 커튼을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에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하거나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전동 에어 커튼부와; 상기 전동 에어 커튼부의 회전봉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와 덕트를 통해 연결되며, 복수의 에어 공급홀이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전동 에어 커튼부의 에어 커튼으로 공급하는 에어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커튼과 함께 감길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에어 커튼의 일측 외측에 부착되는 적외선 LED부와; 상기 에어 커튼과 함께 감길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에어 커튼의 일측 외측에 부착되는 조명 LED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 부스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32775호(2005.11.2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60858호(2014.05.2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9525호(2017.04.1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95404호(2019.08.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장부스 및 그 방지장치들은, 점착성 분진(점액, 고액상)의 도장성 입자들에 대한 포집 효율이 낮아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가스상 물질(시너(thinner), 유분)과 점착성 분진이 여과필터에서 제거시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점착되어 여과필터의 막힘 현상으로 필터의 교체주기가 짧고 여과필터를 통과한 분진이 흡착제 표면을 막음으로 방지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여과필터에 점착된 폭발성 분진과 가스(시너(thinner), 유분) 등이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물을 도장처리하도록 된 도장부스에 구비되어 도장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여과한 후, 외부로 배기하도록 한 것으로, 오염된 공기중에 함유된 고액상의 도장성 입자들을 1차적으로 충돌포집 및 여과하고, 제거되지 않은 미세입자를 2차적으로 여과하는 탈진형 여과필터로서 1차 필터는 점착성 오염물질이 직접 2차 필터에 점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고안된 도장부스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 후 탈진된 분진의 폭발성 입자들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도장부스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는, 도장부스의 도장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입구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출구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오염공기가 여과되어 방지처리되는 방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공간에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방지작업을 하도록 된 여과수단이 구비되는 장치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의 상기 방지공간에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측 방향으로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점착성)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공간과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를 여과하는 2차여과공간과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공간등으로 상기 방지공간을 각각 구획분할하고, 각각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와 제2경로 및 제3경로가 형성된 각각의 1차구획격벽과 2차구획격벽 및 3차구획격벽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1차여과공간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점착성)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부재와; 상기 2차여과공간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를 여과하는 2차여과부재; 및 상기 3차여과공간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1차여과부재를 수용하면서 오염공기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툴' 형상의 제1개폐통이 '수납구조'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하우징에는, 상기 2차여과공간과 상기 3차여과공간들을 외부에 대하여 각각 개폐하도록 된 제2개폐도어와 제3개폐도어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하우징에서 상기 여과공간과 상기 출구의 사이에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방지공간에 대하여 강제적인 흡입공기압을 형성된 송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를 통해 강제적으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출구로 유도하도록 된 배기공간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는,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방지공간에서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들과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 및 저농도의 유해가스 등을 각각의 1차여과공간과 2차여과공간과 3차여과공간 등에 각각 구비된 1차여과부재와 2차여과부재와 3차여과부재 등을 통해 각각 여과하여 방지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각각의 1차여과공간과 2차여과공간과 3차여과공간 등을 각각의 제1개폐도어와 제2개폐도어와 제3개폐도어들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각각의 1차여과부재와 2차여과부재 및 3차여과부재를 수납하도록 됨에 따라, 교체 및 수리작업이 편안하게 이루어져 적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장치하우징의 출구를 배기공간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시설하여 방지작업된 공기를 배기하도록 되어, 실내에 설치된 도장부스에 대하여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하면서 시설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를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가 적용된 도장부스용 방지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는, 도장물을 도장처리하도록 된 도장부스(100)에 구비되어 도장작업에 따라 발생된 오염공기를 여과하는 방지작업을 수행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된 도장부스 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오염공기가 여과되는 방지공간을 형성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외부와 밀폐된 상기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과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도장작업시 소모되는 도료, 시너 등과 같은 오염원이 공기중에 함유되어 발생된 오염공기의 방지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는, 상기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입구(21)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출구(22)와 상기 입구(21)와 상기 출구(22)의 사이에 오염공기가 여과되어 방지처리되는 상기 방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공간에 오염공기를 여과햐여 방지작업을 하도록 된 여과수단이 구비되는 장치하우징(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장부스(100)에 상기 장치하우징(2)의 입구(21)가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시설되어, 상기 도장부스(100)의 내부에서 수행되어 상기 도장공간(P)에 형성되는 오염공기를 유입받아 상기 방지공간을 경유하고 상기 출구(22)로 배출되는 중에 상기 여과수단에 의한 여과에 따른 방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하우징(2)의 출구(22)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기하도록 됨에 따라, 도장작업 중에 발생된 오염물질에 의해 환경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장부스(100)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로 이루어져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에서 도장작업시 발생되는 오염공기는, 각종 도장도료들이 함유되어 밀도 및 하중이 일반 공기보다 크게 됨에 따라 하부로 낙하하면서 상기 도장공간(P)의 하부에 저류하게 된다.
상기에서 입구(21)는, 상기 장치하우징(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장공간(P)의 하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장공간(P)의 하부에서 오염공기를 유입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장공간(P)의 하부에 저류하는 공기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자의 호흡기보다 하부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오염공기가 작업자를 침해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출구(22)에는,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된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방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펌프하도록 된 송풍기(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기(12)의 구동시 상기 방지공간에서의 강제적인 흡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에서 상기 입구(21)로의 오염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방지공간을 경유하면서 상기 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치되는 공기의 이동운동(이동흐름)이 형성될 수 잇다.
따라서, 상기 도장공간(P) 및 상기 방지공간에서의 전기적 노출없이 공기의 흐믐이 발생되어, 오염공기에 대한 '폭발요소'가 형성되지 않게 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에서, 상기 장치하우징(2)의 상기 방지공간에는, 상기 입구(21)에서 상기 출구측 방향으로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공간(A1)과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를 여과하는 2차여과공간(A2)과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공간(A3) 등으로 상기 방지공간을 각각 구획분할하고, 각각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a1)와 제2경로(a2) 및 제3경로(a3)가 형성된 각각의 1차구획격벽(31)과 2차구획격벽(32) 및 3차구획격벽(33)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도장공간(P)에서 상기 입구(21)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1차여과공간(A1)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1경로(a1)를 통해 상기 2차여과공간(A2)으로 이동된 후, 상기 2차여과공간(A2)을 경유하고 상기 제2경로(a2)를 통해 상기 3차여과공간(A3)으로 유도된 후, 상기 3차여과공간(A3)을 경유하고 상기 제3경로(a3)를 통해 상기 출구(22)로 이동된 후, 상기 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1차여과공간(A1)에서 상기 2차여과공간(A2)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1경로(a1)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방에 편향된 외곽부위에 형성되어, 오염공기가 상기 1차여과공간(A1)의 전체를 통과한 후, 상기 제1경로(a1)를 통해 상기 2차여과공간(A2)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에서 1차여과공간(A1)에는, 상기 임구(21)에서 상기 제1경로(a1)측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분할하는 분할격벽(34)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1차구획격벽(31)과 상기 분할격벽(34)은, 상기 입구(21)측에서 상기 제1경로(a1)측 방향으로 각각 상향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형성된 다.
즉, 상기 1차구획격벽(31)과 상기 분할격벽(34)을 통해 상기 입구(21)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2분할되면서 상기 제1경로(a1)로 유도된다.
이때, 2분할되는 상기 1차여과공간(A1)에서 오염공기중에 비교적 고중량의 하중을 가지는 도장성입자(도료입자)들은 가벼운 공기입자들과 분리되며, 상기 1차구획격벽(31)과 상기 분할격벽(34)은, 상기 입구(21)에서 상기 출구(22)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는 중신선상에 대하여 수평상 교각(교차각도)을 가지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져, 오염공기가 1차여과공간(A1)을 통과시 균등하게해주며, 압력손실을 줄여서 원할한 공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1차구획격벽(31)과 상기 분할격벽(34)의 경사각도는, 5 ~ 30˚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에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1차여과공간(A1)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점착성)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부재(4)와; 상기 2차여과공간(A2)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를 여과하는 2차여과부재(5); 및 상기 3차여과공간(A3)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들이 상기 1차여과공간(A1)에 구비된 상기 1차여과부재(4)를 통해 포집되어 1차방지작업을 수행한 후;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시너(thinner), 유분)들이 상기 2차여과공간(A2)에 구비된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해 포집되어 2차방지작업을 수행한 다음;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들이 상기 3차여과공간(A3)에 구비된 상기 3차여과부재(6);를 통해 포집되어 3차방지작업을 수행하여 오염공기에 대한 전체적인 방지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1차여과부재(4)는, '안드레아필터(andreae filter)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입구(21)로 유입되는 오염공기중에 함유된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들을 1차적으로 포집하여 여과한 후, 상기 제1경로(a1)로 유도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구성하는 '안드레아필터(andreae filter) 구조체'를 통과하는 중에 함유된 고액상의 도장성입자(페이트 도료입자)들을 1차적으로 포집하여 1차적인 방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1차여과공간(A1)에서 상기 제1경로(a1)를 경유하는 오염공기에는, 가벼운 오염입자(시너(thinner) 등)가 함유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추후 진행되는 2차방지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2차여과부재(5)에 대하여 도장성입자의 접착을 최소화하여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드레아필터(andreae filter) 구조체'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조로 이루어져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치하우징(2)에는, 내부에 상기 1차여과부재(4)를 수용하면서 오염공기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툴' 형상의 제1개폐통(71)이 '수납구조'를 가지면서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제1개폐통(71)을 빼내거나 수납하는 간편한 작업을 통해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교체 및 시설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개폐통(71)의 형상과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형상과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2차여과부재(5)는,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 구조체'로 이루어져, 1차방지작업이 수행된 오염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 구조체'로 이루어진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해 오염공기를 통과하는 중에 함유된 시너(thinner) 및 유분 둥과 같은 폭발성가스를 포함하는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방지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제2경로(a2)로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여과부재(5)들은, 상기 제1경로(a1)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방지작업된 오염공기가 상기 2차여과부재(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직행하여 다량 접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할 지라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2차여과부재(5)의 표면에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방폭성'을 가지는 기능성물질로 이루어지는 '방폭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방폭도포층을 통해 1차방지작업중에 오염공기들중에서 미처리된 도장성입자가 상기 2차여과부재(5)를 구성하는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 구조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내면여과를 시행함으로 에어탈진시 분진이 점착되지 않고 떨어짐은 물론, 폭발성 입자를 함유하는 오염공기가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중에 비정상적으로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물질은, 시너(thinner) 및 유분 등과 같은 폭발성입자와 화학적인 연관을 통해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2차구획격벽(32)의 저면에서 상기 제2경로(a2)의 하부에는, 상기 2차여과부재(5)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움되어 결속조립되는 2치결속프레임구조체(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2치결속프레임구조체(26)를 통해 상기 2차구획격벽(32)의 저면에 상기 2차여과부재(5)를 조립 및 교체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2치결속프레임구조체(26)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형상과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여과부재(5)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는, '활성탄'을 주재료로 하는 3차여과부재(6)가 구비되어,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과하여 2차적으로 방지작업된 오염공기에서 총탄화수소(THC) 등과 같은 저농도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 후, 상기 출구(22)로 전달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3차여과부재(6)를 통해 상기 1차여과부재(4) 및 상기 2차여과부재(5)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 중에서 방지처리되지 않는 저농도의 유해가스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처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3차여과부재(6)는, '활성탄'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흡착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과하여 2차방지작업된 오염공기에서 총탄화수소(THC) 등과 같은 저농도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제3경로(a3)를 통해 상기 출구(22)로 전달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3차여과부재(6)를 통해 상기 1차여과부재(4) 및 상기 2차여과부재(5)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 중에서 방지처리되지 않는 저농도의 유해가스물질을 흡착하여 정화터리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3차여과부재(6)는, '상기 '흡착물질'이 '다공성포켓'에 충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포켓'은,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서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염공기에 함유된 저농도의 유해물질이 상기 '다공성포켓'을 통과하는 중에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착물질'에 흡착되어 정화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3차여과부재(6)는, 상기 3차여과공간(A3)에서 다수 개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오염공기가 수직상으로 직진하면서 이동되지 않고, 지그재그 방향성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3차여과부재(6)를 통과하도록 됨에 따라, 오염공기와 상기 3차여과부재(6)의 접촉시간 및 공간을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방지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3차구획격벽(33)의 저면에서 상기 제3경로(a3)의 하부에는, 상기 3차여과부재(6)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움되어 결속조립되는 3치결속프레임구조체(2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3치결속프레임구조체(27)를 통해 상기 3차구획격벽(33)의 저면에 상기 3차여과부재(6)를 조립 및 교체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3치결속프레임구조체(27)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형상과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에서, 상기 장치하우징(2)에는, 상기 2차여과공간(A2)과 상기 3차여과공간(A3)들을 외부에 대하여 각각 개폐하도록 된 제2개폐도어(72)와 제3개폐도어(73)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2차여과공간(A2)과 상기 3차여과공간(A3) 등을 각각의 상기 제2개폐도어(72)와 상기 제3개폐도어(73)들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각각의 상기 2차여과부재(5) 및 상기 3차여과부재(6)를 수납하게 될 수 있다.
에에 따라,상기 2차여과부재(5)와 상기 3차여과부재(6)를 각각 교체 및 수리작업이 편안하게 이루어져 적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는, 상기 송풍기(12)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12)를 통해 강제적으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출구(22)로 유도하도록 된 배기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하우징(2)의 상기 출구(22)를 상기 배기공간(B)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시설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지공간을 통해 방지작업된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기하도록 되어, 실내에 설치된 상기 도장부스(100)에 대하여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하면서 설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출구(22)과 상기 3차구획격벽(32)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12)의 흡인구가 연결된 배기공(a4)이 형성된 배기격벽(35)이 구비되어, 상기 배기격벽(35)을 통해 상기 배기공간(B))을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2차여과공간(A3)과 상기 배기공간(B))을 구획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격벽(35)에 상기 송풍기(12)를 안정적으로 시설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는,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여과공간(A2)에서 자유 및 강제 탈진에 의해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수용하도록 된 수거조(23)가 구비되되; 상기 수거조(23)에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방폭성'을 가지는 '기능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충진재(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해 오염공기에서 여과되어 낙하하는 오염물질이 상기 충진재(24)와 화학적인 연관을 통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발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거조(23)는, 상기 2차구획격벽(3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조(23)에는, 외부에서 수납하도록 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충진재(24)가 수용된 수납통(74)이 외부에서 수납되는 '수납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통(74)에 수거되는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수거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는, 상기 2차여과부재(5)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2차여과부재(5)로 분사하여 상기 2차여과부재(5)에 포집된 각종 오염물질을 상기 2차여과부재(5)에서 분리시켜 상기 2차여과공간(A2)으로 토출하도록 된 압축공간분사수단(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을 통해 상기 2차여과부재(5)를 청소하여 내부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상기 2차여과부재(5)의 외부로 분리하여 추후 진행되는 방지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압 축공기는, '비휘발성/비폭발성' 기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10)을 통해 선택적/주기적으로 상기 2차여과부재(5)를 청소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형성하는 공기의 종류 및 그 분사주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은, 상기 방지공간(A)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하우징(2)의 외부에서 상기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된 주공급관(81)과; 상기 주공급관(81)에서 다수로 분기되어 압축공기를 분할 유입하도록 된 다수의 분할공급관(82)들과; 상기 분할공급관(8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측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2차여과부재(5)로 분사하도록 된 다수의 분사노즐(8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주공급관(81)을 통해 상기 2차여과공간(A2)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분할공급관(82)들을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83)들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2차여과부재(5)를 청소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압축공기분사수단(8)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치하우징(2)에는, 외부에서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의 상기 주공급관(81)과 상기 분할공급관(82)에 대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되는 한 쌍의 보조개폐문(25)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이 위치된 상기 장치하우징(2)의 양측부에 대하여 한 쌍의 상기 보조개폐문(25)을 통해 개폐하여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의 조립 및 보수작업을 진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에서 작업자에 의해 도장작업이 진행되면 실내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실내공기가 오염되며, 오염공기가 자체하중에 의해 상기 도장공간(P)의 바닥으로 낙하하면서 저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송풍기(12)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장치하우징(2)의 상기 방지공간에서 상기 입구(21)에 대한 공기흡입력이 강제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아에 따라, 상기 도장공간(P)의 바닥에 저류하는 오염공기가 상기 장치하우징(2)의 입구(21)로 강제흡입되면서 상기 방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이동운동이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장공간(P)과 상기 방지공간에서의 공기의 이동운동에 따라, 상기 입구(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1차여과공간(A1)에서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경유하는 중에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구성하는 '안드레아필터(andreae filter) 구조체'에 의해 비교적 고중량/고액성(점착성)의 도장성입자들이 포집되면서 1차방지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경유하는 중에 고중량/고액성(점착성)의 도장성입자들이 1차적으로 포집된 오염공기는 상기 1차구획격벽(31)과 상기 분할격벽(34)을 통해 형성되는 각각의 구획된 통로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경로(a1)로 전달된 후,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의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분할격벽(34)은 1차여과부재에서 통과하는 도장성 입자가 균등하게 배기되고,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여과부재(4)를 경유하는 중에 1차방지작업이 진행된 오염공기들이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상기2차여과부재(5)를 경유하면서 이동되는 중에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 구조체'로 이루어진 상기 2차여과부재(5)에 의해 함유된 시너(thinner) 및 유분 둥과 같은 폭발성가스를 포함하는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2차적인 방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과하지 못하는 오염입자들은 낙하하여 상기 수납통(74)에 저장되면서 상기 충진재(24)와 혼합되어 폭발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를 통과하여 2차방지작업이 수행된 오염공기는 상기 3차여과공간(A3)에서 상기 3차여과부재(6)를 경유하면서 저농도의 유해가스가 흡착되어 정화된 후, 상기 배기공간(B)을 경유하여 상기 출구(22)로 유도된 후, 외부로 배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장공간(P)에서 이루어지는 도장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깨끗하게 방지처리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 및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상기 압축공기분사수단(8)을 통해 상기 2차여과부재(5)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상기 2차여과부재(5)가 청소됨에 따라, 추후의 방지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본체 10 : 제어수단
11 : 전원공급부 12 : 송풍기
100 : 도장부스 2 : 장치하우징
21 : 입구 22 : 출구
23 : 수거조 24 : 충진재
25 : 보조개폐문 26 : 2치결속프레임구조체
27 : 3치결속프레임구조체 31 : 1차구획격벽
32 : 2차구획격벽 33 : 3차구획격벽
34 : 분할격벽 35 : 배기격벽
4 : 1차여과부재 5 : 2차여과부재
6 : 3차여과부재 71 : 제1개폐통
72 : 제2개폐도어 73 : 제3개폐도어
74 : 수납통 8 : 압축공기분사수단
81 : 주공급관 82 : 분할공급관
83 : 분사노즐 A1: 1차여과공간
A2: 2차여과공간 A3: 3차여과공간
a1 : 제1경로 a2 : 제2경로
a3 : 제3경로 a4 : 배기공
B : 배기공간 P : 도장공간

Claims (5)

  1. 도장부스(100)의 도장공간(P)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입구(21)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출구(22)의 사이에 형성되며 오염공기가 여과되어 방지처리되는 방지공간에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방지작업을 하도록 된 여과수단이 구비되는 장치하우징(2)과; 상기 장치하우징(2)의 상기 방지공간을 각각 구획분할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입구(21)에서 상기 출구(22)측 방향으로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점착성)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공간(A1)과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를 여과하는 2차여과공간(A2)과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공간(A3) 등을 형성하고, 상기 1차여과공간(A1)과 상기 2차여과공간(A2)과 상기 3차여과공간(A3)들을 각각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와 제2경로 및 제3경로를 형성하는 1차구획격벽과 2차구획격벽 및 3차구획격벽들;을 포함하되;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1차여과공간(A1)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고액상의 도장성입자를 여과하는 1차여과부재(4)와, 상기 2차여과공간(A2)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비교적 가벼운 하중을 가지는 폭발성 미세입자를 여과하는 2차여과부재(5) 및 상기 3차여과공간(A3)에 구비되며 오염공기중에서 저농도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3차여과부재(6)를 포함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1)에 있어서;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2차여과공간(A2)에서 자유 및 강제 탈진에 의해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수용하고, '방폭성'을 가지는 '기능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충진재(24)가 충진된 수거조(23)과; 상기 2차여과부재(5)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2차여과부재(5)로 분사하여 상기 2차여과부재(5)에 포집된 각종 오염물질을 상기 2차여과부재(5)에서 분리시켜 상기 2차여과공간(A2)으로 토출하도록 된 압축공간분사수(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조(23)에는,
    외부에서 수납하도록 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충진재(24)가 수용된 수납통(74)이 외부에서 수납되는 '수납구조'로 구비되고;
    압축공기분사수단(8)은,
    상기 방지공간(A)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하우징(2)의 외부에서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된 주공급관(81)과, 상기 주공급관(81)에서 다수로 분기되어 압축공기를 분할 유입하도록 된 다수의 분할공급관(82)들과, 상기 분할공급관(82)에서 상기 2차여과부재(5)측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2차여과부재(5)로 분사하도록 된 다수의 분사노즐(8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에는,
    내부에 상기 1차여과부재(4)를 수용하면서 오염공기가 관통하여 이동되는 '툴' 형상의 제1개폐통(71)이 '수납구조'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에는,
    상기 2차여과공간(A2)과 상기 3차여과공간(A3)들을 외부에 대하여 각각 개폐하도록 된 제2개폐도어(72)와 제3개폐도어(73)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에서 상기 3차여과공간(A3)과 상기 출구(22)의 사이에는,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1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방지공간에 대하여 강제적인 흡입공기압을 형성된 송풍기(12)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12)를 통해 강제적으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출구(22)로 유도하도록 된 배기공간(B)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KR1020210123712A 2021-09-16 2021-09-16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KR10260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12A KR102606780B1 (ko) 2021-09-16 2021-09-16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12A KR102606780B1 (ko) 2021-09-16 2021-09-16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00A KR20230040500A (ko) 2023-03-23
KR102606780B1 true KR102606780B1 (ko) 2023-11-29

Family

ID=8579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712A KR102606780B1 (ko) 2021-09-16 2021-09-16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67B1 (ko) * 2019-09-18 2020-01-20 임기엽 도장부스용 배기시스템
KR102123648B1 (ko) * 2019-10-14 2020-06-17 한일기기(주) 냉방기를 갖는 급기장치와 여과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장부스
KR102240092B1 (ko) * 2021-01-26 2021-04-1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여과 흡착에 의한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440B1 (ko) 2012-11-12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체-액체 계면 형상에 대한 측정 방법, 측정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미세 유체 방식의 가변 광학 소자
US9882397B2 (en) 2014-09-11 2018-01-30 Cpg Technologies, Llc Guided surface wave transmission of multiple frequencies in a lossy media
EP3554422A4 (en) 2016-12-18 2020-07-08 Rapid Medical Ltd. CONTROLLABLE RECOVERY DEVICE HAVING DISTAL CAILLOT ANCHOR
KR102129529B1 (ko) * 2018-12-14 2020-07-02 주식회사 썬프라 도료 분진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67B1 (ko) * 2019-09-18 2020-01-20 임기엽 도장부스용 배기시스템
KR102123648B1 (ko) * 2019-10-14 2020-06-17 한일기기(주) 냉방기를 갖는 급기장치와 여과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장부스
KR102240092B1 (ko) * 2021-01-26 2021-04-1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여과 흡착에 의한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00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6926B2 (ja) 塗装設備
US7959722B2 (en) Device and process for separating wet paint overspray
US7988769B2 (en) Device and process for separating wet paint overspray
JP5576042B2 (ja) 液体塗料の過剰噴霧を分離するデバイス
KR100530770B1 (ko) 습식 미스트 엘리미네이터가 부착된 건식 공기정화장치
KR102129529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CN103143471B (zh) 一种整体移动式环保等离子喷涂设备及漆雾净化方法
CN111249843A (zh) 一种汽车涂装过喷漆雾干式捕集系统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101525774B1 (ko) 도료의 분진제거장치
KR101943835B1 (ko) 우레탄 페인트용 집진장치
MXPA06008560A (es) Cubiculo de rociado de pintura.
KR200492136Y1 (ko)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CN112354283A (zh) 一种分离过喷漆雾的装置和具备该装置的漆雾分离系统
KR101928450B1 (ko) Uv 페인트용 집진장치
JP2005314972A (ja) トンネル坑内空気浄化装置及び坑内空気換気方法
KR102606780B1 (ko) 도장부스 방지장치용 본체
US6962621B2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dust and volatile toxic organic compounds
JP2005068950A (ja) トンネル坑内換気用集塵機及び坑内換気方法
KR20230040499A (ko) 도장부스용 방지장치
KR102223389B1 (ko)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CN211159289U (zh) 一种垃圾焚烧废气处理装置
KR200405800Y1 (ko) 자동차 도장 부스의 활성탄 필터
CN105537042B (zh) 一种带有净化功能的钢构喷涂方法
CA1303967C (en) Combined fume scrubber/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