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61B1 -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 Google Patents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61B1
KR102606761B1 KR1020210189448A KR20210189448A KR102606761B1 KR 102606761 B1 KR102606761 B1 KR 102606761B1 KR 1020210189448 A KR1020210189448 A KR 1020210189448A KR 20210189448 A KR20210189448 A KR 20210189448A KR 102606761 B1 KR102606761 B1 KR 10260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g ring
coupled
gun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971A (ko
Inventor
이정식
권혁배
이태희
임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1018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61B1/ko
Priority to CZ2022-187A priority patent/CZ2022187A3/cs
Priority to SK47-2022A priority patent/SK472022A3/sk
Publication of KR2023009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6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out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8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out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with means for forming the staples in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46Clip clamping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3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fluid
    • B25J9/146Rotary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으로 작동되는 관절구동부에 연결된 호그링건을 통해 호그링 체결이 필요한 제품의 체결안정성 및 완성도를 개선시키는 호그링 결속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그링 결속장치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부들을 포함하는 관절구동부, 상기 관절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및 매거진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이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에 방아쇠가 형성되는 호그링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COUPLING DEVICE FOR HOG RING AND HOG RING GUN CONNECTING MEMBER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호그링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그링을 결속시키는 호그링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호그링 결속장치는 작업자가 호그링 결속장치를 직접 호그링 결속 대상물에 이동시킨 후 방아쇠를 당겨서 호그링을 결속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호그링 결속을 위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호그링 결속 장치들의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호그링 결속 장치들을 이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시키기 때문에 호그링 결속을 위해 필요한 일정한 압력 유지가 어려워 불완전하게 체결된 제품이 완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9807호는 호그링 결속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518호는 호그링건용 죠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동일한 위치에 핀을 결속시키는 호그링 결속 작업의 체결 완성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980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518호
자동으로 작동되는 관절구동부에 연결된 호그링건을 통해 호그링 체결이 필요한 제품의 체결안정성 및 완성도를 개선시키는 호그링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호그링 결속장치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부들을 포함하는 관절구동부, 상기 관절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및 매거진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이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에 방아쇠가 형성되는 호그링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기 관절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방아쇠와 밀착된 부분이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방아쇠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기 호그링건에 공급되는 핀을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센서 및 상기 호그링건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작동을 위한 에어 공급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하부를 향해 스틱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호그링건 및 매거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상하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볼트들을 통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구동부에 결합되어 호그링건을 고정시키는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기 호그링건이 밀착되는 지지대, 양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호그링건의 방아쇠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작동유닛,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에 공급되는 핀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호그링건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작동을 위한 에어를 공급시키도록 형성되는 에어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방아쇠 액츄에이터 및 하부 측면이 상기 방아쇠 액츄에이터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에 결합되고, 하부 곡면의 곡률이 상부의 곡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하부를 향해 스틱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호그링건 및 매거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상하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볼트들을 통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호그링건의 배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그링 결속장치는 자동으로 체결위치로 호그링건을 이동시키는 관절구동부를 통해 호그링 체결이 필요한 제품의 체결안정성 및 완성도를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그링 연결부는 고정부재들을 통해 호그링건이 흔들리지 않도록 관절구동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고정부재들과 지지대를 연결시키는 볼트들을 통해 호그링건의 작동과정에서 호그린건을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그링 결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호그링 결속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호그링건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호그링건 연결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호그링 결속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그링 결속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그링 결속장치(100)는 관절구동부(200), 호그링건 연결부(300) 및 호그링건(500)을 포함하고, 관절구동부(200)는 제1 관절부(210), 제2 관절부(220), 제3 관절부(230) 및 제4 관절부(2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되는 방아쇠(540)들은 회동부재(62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방아쇠(540)들 각각의 타단 위치를 나타내고, 방아쇠(540)들 각각의 일단 이미지는 일부분 중복된 상태를 나타낸다.
관절구동부(200)는 메인서버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 로봇으로서, 하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서로 관절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내지 제4 관절부(210, 220, 230, 240)들을 통해 상부 끝단에 연결된 호그링건 연결부(300) 및 호그링건(500)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관절부(210)는 제1 액츄에이터(211) 및 제1 관절(212)을 포함한다.
제1 관절부(21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저면은 지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과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일단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결되어 제2 관절부(2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211)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제1 구동축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 관절(212)과 결합된다.
제1 관절(212)의 일단은 제1 액츄에이터(211)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구동축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제2 관절부(220)와 결합된다.
제1 액츄에이터(211)의 구동으로 상기 제1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제1 관절(212)은 상기 제1 구동축의 회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2 관절부(220)는 제2 액츄에이터(221) 및 제2 관절(222)을 포함한다.
제2 관절부(22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관절부(21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3 관절부(230)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액츄에이터(22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관절(212)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에는 제2 구동축이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제2 관절(222)의 일단과 결합된다.
제2 관절(222)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구동축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3 관절부(23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제2 액츄에이터(221)의 구동으로 상기 제2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제2 관절(222)의 타단은 상기 제2 구동축의 회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제3 관절부(230)는 제3 액츄에이터(231) 및 제4 액츄에이터(232)를 포함한다.
제3 관절부(230)의 일단은 제2 관절부(220)의 타단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4 관절부(240)와 회동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3 액츄에이터(23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3 구동축이 제2 관절(222)의 타단 타측면과 결합된다.
제3 액츄에이터(231)의 구동으로 상기 제3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제3 액츄에이터(23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4 액츄에이터(232)의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제3 액츄에이터(23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내부에 삽입된 구동로드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제4 관절부(24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4 액츄에이터(232)의 구동으로 상기 구동로드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으로 제4 관절부(240)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제4 관절부(240)는 연결브라켓(241), 제5 액츄에이터(242) 및 제6 액츄에이터(243)를 포함한다.
제4 관절부(240)의 일단은 제3 관절부(23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전방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호그링건 연결부(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브라켓(241)의 일단은 제4 액츄에이터(232)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하부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5 액츄에이터(242)와 결합된다.
제5 액츄에이터(242)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브라켓(241)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 및 하부에서 상부 및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4 구동축들이 연결브라켓(241)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5 액츄에이터(242)의 구동으로 상기 제4 구동축들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제5 액츄에이터(242)는 상기 제4 구동축들의 회동에 의해 연결브라켓(241)의 타단 내부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6 액츄에이터(243)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5 액츄에이터(242)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에서 타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5 구동축이 호그링건 연결부(300)와 결합된다.
제6 액츄에이터(24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5 구동축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호그링건 연결부(300)는 상기 제5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한편, 제1 내지 제4 관절부(210, 220, 230, 240)들은 서로 분리가 가능하고, 관절구동부(200)는 제1 관절부(210), 제1 및 제2 관절부(210, 220) 또는 제1 내지 제3 관절부(210, 220, 230)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호그링건 연결부(300)는 관절구동부(200)가 제1 관절부(210), 제1 및 제2 관절부(210, 220) 또는 제1 내지 제3 관절부(210, 220, 230)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제1 관절부(210), 제2 관절부(220) 또는 제3 관절부(230)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그링건(500)은 손잡이(510), 본체(520), 체결유닛(530), 방아쇠(540), 호그링구동유닛(550) 및 매거진(560)을 포함한다.
호그링건(500)은 연결되는 고압 에어에 의해 작동되고, 방아쇠(540)를 당기면 매거진(560)에 장착된 핀들 중 하나의 핀이 체결유닛(530)을 통해 배출되면서 전방에 배치되는 결속대상물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510)의 일단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그립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다.
전방돌출부(511)는 손잡이(510)의 타단 전방 일부분이 소정의 거리만큼 원기둥 형태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방아쇠(540)의 회동 공간을 제약시키고, 후술될 호그링건 연결부(300)에 형성되는 제2 홈(481)에 삽입되어 호그링건(500)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전방돌출부(511)의 저면에는 후술될 제3 볼트(482)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호그링건(50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호그링건(500)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510)의 타단 후방에는 에어배출수단이 형성되고, 손잡이(510)의 타단 전방에는 본체(520)와 결합되어 호그링건(500)을 작동시키는 방아쇠(540)가 형성된다.
본체(520)는 양측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수직사각판들이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손잡이(510)의 타단 상부에 결합된다.
체결유닛(530)은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로우조(Low jaw) 및 어퍼조(Upper jaw)를 포함하고, 후방에 연결되는 호그링구동유닛(5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우조 및 어퍼조가 이동되면서 매거진(56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을 상기 결속대상물에 결합시킨다.
방아쇠(540)의 일단은 전방돌출부(511)의 전방 및 본체(520)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본체(5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 및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호 형태로 형성된다.
방아쇠(540)의 타단은 평상시에 전방돌출부(511)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유닛(600)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방아쇠(540)의 타단은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체결유닛(530) 및 호그링구동유닛(550)을 작동시킨다.
호그링구동유닛(55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520)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체결유닛(530)과 연결되어 상기 로우조 및 어퍼조를 구동시키는 호그링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가 배치된다.
매거진(560)의 일단은 본체(5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체결유닛(530)의 상기 로우조 및 어퍼조 사이로 공급될 핀을 공급시키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되며 연장된다.
호그링건 연결부(300)는 지지대(400), 돌출부재(450), 브라켓(460), 제1 고정부재(470), 제2 고정부재(480), 작동유닛(600), 센서(700), 에어조절유닛(800), 압력조절유닛(850) 및 거치유닛(900)을 포함한다.
호그링건 연결부(300)는 관절구동부(200)의 상단 끝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되는 지지대(400), 돌출부재(450), 제1 고정부재(470), 제2 고정부재(480) 및 거치유닛(900)을 통해 호그링건(500)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40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제6 액츄에이터(243)에 연장되는 상기 제5 구동축과 결합되며, 타측면은 호그링건(500)의 일측면과 밀착된다.
돌출부재(450)는 일측면 및 타측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이 지지대(400)의 전방측 타측면과 면결합되며, 타측면은 본체(520)의 일측면과 밀착된다.
브라켓(46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6 액츄에이터(243)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지지대(400)의 타측면에 면결합되며,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타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센서(70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고정부재(470)의 일단은 손잡이(51)의 후방 및 호그링구동유닛(550)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볼트(472)와 결합되고, 타단은 호그링구동유닛(55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볼트(473)와 결합된다.
제1 고정부재(470)는 매거진(560) 및 호그링구동유닛(5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손잡이(510) 및 호그링구동유닛(550)의 타측면과 밀착되어 호그링건(500)을 안정적으로 호그링건 연결부(300)에 고정시킨다.
제1 홈(471)은 제1 고정부재(470)의 타단 일측면이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반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호그링구동유닛(550)과 밀착되어 호그링건(50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1 볼트(472)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7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제1 고정부재(470)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손잡이(510)의 일단 배면 및 손잡이(510)의 타단 저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400)와 결합된다.
제2 볼트(473)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70)의 타단을 관통하면서 제1 고정부재(470)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호그링구동유닛(550)의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400)와 결합된다.
고정돌출부재(474)는 제1 고정부재(47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일측면이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손잡이(510)의 타단 후방에 위치한 타측면에 밀착되어 호그링건(500)이 상하부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2 고정부재(48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510)의 타단 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510)의 타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본체(520) 및 매거진(560) 사이에서 본체(520)의 타측면과 밀착된다.
제2 홈(481)은 제2 고정부재(480)의 일단 일측면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반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510)의 타단 타측면이 삽입되어 제2 고정부재(480)와 밀착된다.
제3 볼트(482)의 일단은 제2 홈(481)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2 고정부재(48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제2 고정부재(48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돌출부(511) 및 손잡이(510)의 일단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400)와 결합된다.
제4 볼트(483)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480)의 타단을 관통하면서 제2 고정부재(480)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본체(52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400)와 결합된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470, 480)들은 호그링건(500)의 타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 내지 제4 볼트(472, 473 482, 483)들을 통해 지지대(400)와 결합되어 호그링건(500)을 안정적으로 호그링건 연결부(300)에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볼트(472) 및 제3 볼트(482)들은 손잡이(51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호그링건(500)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호그링건(50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시킨다.
또한, 전방돌출부(511)는 방아쇠(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호그링건(500)이 제3 볼트(482)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지지대 기능을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그링건(500)이 핀을 체결시키는 위해 구동되는 과정에서 체결대상물에 대해 소정의 압력을 가해야 하는데, 지지대(400), 제1 볼트(472) 및 제3 볼트(483)가 손잡이(510)를 전방을 향해 이동시켜 체결유닛(530)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제2 및 제4 볼트(473, 483)들이 본체(520) 및 호그링구동유닛(550)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호그링건(500)의 구동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작동유닛(600)은 방아쇠 액츄에이터(610) 및 회동부재(620)를 포함한다.
작동유닛(600)은 지지대(400)의 타측면 전방 및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타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방아쇠(540)의 전면과 밀착되고, 구동에 따라서 방아쇠(54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방아쇠 액츄에이터(610)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지지대(400)의 타측면에 면결합되고, 타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6 구동축은 회동부재(620)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된다.
회동부재(62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일부분은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고 하부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며, 상부 일부분은 곡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상부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다.
회동부재(620)는 방아쇠 액츄에이터(610)가 구동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하부 저면 일부분이 방아쇠(540)의 타단 전면 일부분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6 구동축은 회동부재(620)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되고, 방아쇠 액츄에이터(610)가 작동되어 상기 제6 구동축이 정회전되면 회동부재(620)는 방아쇠(540)의 타단을 후방으로 밀어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 구동축이 정회전되면, 회동부재(620)의 상부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회동부재(620)의 저면이 방아쇠(540)를 제1 단계로 밀어내며, 회동부재(620)의 배면이 방아쇠(540)와 밀착되면서 방아쇠(540)의 타단을 제2 단계로 후방을 향해 밀어낸다.
상기 제6 구동축이 역회전되면, 회동부재(620)의 상부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방아쇠(540)의 타단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며, 방아쇠(540)의 타단 전면은 회동부재(620)의 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체결유닛(530)을 하부, 전방 또는 상부에 해당되는 방향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하도록 호그링건(500)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호그링건(500)을 작동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제3 볼트(482) 및 제4 볼트(483)는 손잡이(510)의 일단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방아쇠(540)가 회동부재(620)에 의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센서(700)는 광센서이고, 매거진(56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브라켓(460)의 타단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체결유닛(530)으로 공급되는 핀들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핀들이 매거진(560)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해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핀들이 소진되면서 매거진(560)의 일단으로 모두 이동되고, 매거진(56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상기 핀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 또는 관리서버에 핀들 장전을 위한 경고신호를 발송시킨다.
에어조절유닛(800)은 지지대(400)의 일측면 후방에 결합되고, 손잡이(510)의 일단 하부에 연결되는 고압 에어 호스에서 공급되는 고압 에어가 호그링구동유닛(550)에 공급되는 양을 제어한다.
거치유닛(900)은 후방거치대(910), 제1 로드(920), 제2 로드(930) 및 전방거치대(940)를 포함한다.
거치유닛(900)은 돌출부재(450)의 후방에서 지지대(4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호그링건(500)의 일측면과 밀착되며, 후방 일부분은 호그링건(500)의 배면과 밀착되어 호그링건(50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구체적으로, 후방거치대(9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400)의 타측면 후방에 밀착되고, 전면은 호그링구동유닛(550)의 배면에 밀착된다.
제1 로드(920)의 일단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거치대(91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방거치대(940)에 결합된다.
제2 로드(930)의 일단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거치대(910)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방거치대(94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전방거치대(94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재(450)의 직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지지대(400)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로드(920, 930)들의 타단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작업자는 제1 로드(920) 및 제2 로드(930)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제1 및 제2 로드(920, 930)보다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로드들을 배치시켜 호그링건(500)의 크기에 적합한 제1 및 제2 로드(920, 930)들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는 후방거치대(910)의 위치를 이동시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호그링건(500)의 배면에 밀착이 가능하므로, 호그링건 연결부(300)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호그링건(50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전방거치대(940)에는 제1 및 제2 로드(920, 930)들 각각과 연결되고,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 로드(920, 930)들 각각을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거치대 액츄에이터들이 내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호그링 결속장치
200: 관절구동부
300: 호그링건 연결부
500: 호그링건

Claims (8)

  1.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부들을 포함하는 관절구동부;
    상기 관절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및
    손잡이와 본체, 체결유닛, 호그링구동유닛 및 매거진을 구비하며, 상기 매거진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이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에 방아쇠가 형성되는 호그링건;을 포함하고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기 관절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지지대;
    테두리에 인접하고 상기 방아쇠와 밀착된 부분이 양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방아쇠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 및
    상기 호그링건과 상기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후방 및 상기 호그링구동유닛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 볼트 및 제2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손잡이의 전방 위치에서 제3 볼트 및 제4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그링 결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그링건 연결부는,
    상기 호그링건에 공급되는 핀을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센서; 및
    상기 호그링건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작동을 위한 에어 공급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그링 결속장치.
  4. 삭제
  5.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절구동부에 결합되며,
    손잡이와 본체, 체결유닛, 방아쇠, 호그링구동유닛 및 매거진을 구비한 호그링건을 고정시키는 호그링건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호그링건이 밀착되는 지지대;
    양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호그링건의 방아쇠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작동유닛;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에 공급되는 핀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호그링건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호그링건의 작동을 위한 에어를 공급시키도록 형성되는 에어조절유닛; 및
    상기 호그링건과 상기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후방 및 상기 호그링구동유닛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 볼트 및 제2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손잡이의 전방 위치에서 제3 볼트 및 제4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그링건 연결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방아쇠 액츄에이터; 및
    하부 측면이 상기 방아쇠 액츄에이터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에 결합되고, 하부 곡면의 곡률이 상부의 곡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그링건 연결부.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호그링건의 배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그링건 연결부.
KR1020210189448A 2021-12-28 2021-12-28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KR10260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48A KR102606761B1 (ko) 2021-12-28 2021-12-28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CZ2022-187A CZ2022187A3 (cs) 2021-12-28 2022-05-06 Hog ring sponkovací spojovací zařízení a jeho spojovací člen pro hog ring sponkovací pistoli
SK47-2022A SK472022A3 (sk) 2021-12-28 2022-05-06 Hog ring sponkovacie spájacie zariadenie a jeho spájací člen pre hog ring sponkovaciu pišto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48A KR102606761B1 (ko) 2021-12-28 2021-12-28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71A KR20230099971A (ko) 2023-07-05
KR102606761B1 true KR102606761B1 (ko) 2023-11-29

Family

ID=8715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48A KR102606761B1 (ko) 2021-12-28 2021-12-28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06761B1 (ko)
CZ (1) CZ2022187A3 (ko)
SK (1) SK472022A3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852A (ja) * 2003-12-02 2005-06-23 Kaneka Corp 着脱装置、着脱システム、並びに、成膜装置
KR101617240B1 (ko) * 2016-01-22 2016-05-02 (주)한아기계 자동 클립 조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18B1 (ko) 2015-04-09 2017-05-30 지탑스 주식회사 호그링건용 죠
JP6992657B2 (ja) * 2017-04-27 2022-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KR102279807B1 (ko) 2019-09-30 2021-07-20 이준우 호그링 결속 장치
KR20210155930A (ko) * 2020-06-17 2021-12-24 (주)이오시스템 자동 격발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사격 통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852A (ja) * 2003-12-02 2005-06-23 Kaneka Corp 着脱装置、着脱システム、並びに、成膜装置
KR101617240B1 (ko) * 2016-01-22 2016-05-02 (주)한아기계 자동 클립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22187A3 (cs) 2023-08-02
SK472022A3 (sk) 2023-09-27
KR20230099971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266B2 (en) Snow removal machine
TWI343301B (ko)
CN102020137B (zh) 片材处理装置和成像装置
KR102606761B1 (ko)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JP5873305B2 (ja) チャックユニット
JP2014028426A (ja) 釘打機
SE529636C2 (sv) Häftapparat
KR102180021B1 (ko) 봉돌투척장치
US20140001225A1 (en) Stapler
KR102475272B1 (ko) 프론트 로더 퀵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로더
JP2009517565A (ja) 高速交換デバイスのセンタリング装置
CN209453120U (zh) 一种新型铰链组装装置
JP2008208579A (ja) 清掃車のサイドブラシ装置
JP5921086B2 (ja) コンバイン
JP2012205582A (ja) コンバイン
AU2007200701A1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of rotary brush for use in vacuum cleaner
CN202213533U (zh) 工程机械及其后视镜调节装置
JP2005344332A (ja) 建設機械
US5887535A (en) Thread cutt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4163181B2 (ja) 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CN109048264A (zh) 一种带有自动检测功能的钉仓自动装配生产设备
US5310037A (en) Automatic loading mechanism for electroplating
CN209453119U (zh) 一种铰链组装设备
JP7197449B2 (ja) 建設機械
JP4139528B2 (ja) 固着具打込機の固着具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