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641B1 -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641B1
KR102606641B1 KR1020230089713A KR20230089713A KR102606641B1 KR 102606641 B1 KR102606641 B1 KR 102606641B1 KR 1020230089713 A KR1020230089713 A KR 1020230089713A KR 20230089713 A KR20230089713 A KR 20230089713A KR 102606641 B1 KR102606641 B1 KR 10260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ink bar
frame
rotatably connect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오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철 filed Critical 오세철
Priority to KR102023008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는, 차량의 루프패널에 결합되는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상단이 상부박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박스를 수평상태로 수직하게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전체를 상기 하부박스 둘레로부터 상부로 완전 이격되게 개방시키는 한 쌍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Electric open and shut type roof box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에 설치되어 각종 물품을 적재하는 루프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박스에 대해 상부박스가 전동식으로 자동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시킴은 물론, 상부박스가 하부박스에 대해 힌지 회동되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박스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승강구동되도록 구성되어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면서도 상부박스와 하부박스의 둘레부에 대한 밀착을 높여 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나 레저 차량에는 일정한 공간의 트렁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트렁크는 차량 유지에 필요한 각종 도구 및 물품을 적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승합차의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후방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트렁크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차량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은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공간에 적재할 수 없는 물품은 차량 루프 패널에 별도로 루프 박스와 같은 외부 적재장소를 설치하여 수납하게 된다.
특히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여행이나 트렁크에 적재하여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루프박스가 장착된다.
루프박스는 물품을 담는 하박스와 그 하박스를 뚜껑처럼 덮는 상박스로 이루어져 있고, 하박스와 상박스의 한쪽 끝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박스를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적재공간을 개폐한다.
이러한 기존 루프박스는 힌지축에 의해 상박스를 여닫히 식으로 회동시켜 개방시키기 때문에 여러 방향에서 짐을 싣을 수가 없고 열려진 쪽에서만 한방으로 짐을 싣을 수 밖에 없어 짐을 싣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존 루프박스는 사용자가 상박스를 들어 올리면 적재공간이 열리고, 상박스를 눌러 내리면 적재공간이 닫히는데, 뚜껑처럼 활용되는 상박스는 인력으로 들어올리기가 무거우므로 힌지축 근처에 상박스를 들어올릴 수 있는 쇽업쇼바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박스가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루프박스는, 열리는 것은 자동으로 열리지만, 눌러주는 것은 자동이 아니라 쇽업쇼바의 탄성력에 대해 수동으로 강하게 눌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완전 자동 방식이 아닌 반자동 형태로 이루어져 여전히 사용자의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반자동 형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등록특허 10-1692495호에서는 근력이 약한 노약자가 루프박스를 열고 닫는 작업 자체가 어렵고 차량 디딤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져 부상입는 것을 방지하고자 자동으로 상부박스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자동개폐형 루프박스를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692495호에 제안된 자동개폐형 루프박스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지붕에 장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을 덮도록 세로방향 일측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세로방향 일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길이가 증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신장유닛; 상기 신장유닛의 길이를 증감시켜 상기 상부하우징을 개폐시키도록 공기펌프 또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등록특허 10-1692495호의 루프박스도 상부박스가 일측의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여닫이방식의 개폐구조이기 때문에 개방된 일측부를 통해서만 짐을 실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힌지연결부분에 의해 상부박스와 하부박수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빗물의 유입으로 수납한 짐이 오염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 10-2019-0043256호 등록특허 10-2506240호 등록특허 10-169249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하부박스에 대해 상부박스가 전동식으로 자동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시킴은 물론, 상부박스가 하부박스에 대해 힌지 회동되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박스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승강구동되도록 구성되어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면서도 상부박스와 하부박스의 둘레부에 대한 밀착을 높여 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는, 차량의 루프패널에 결합되는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상단이 상부박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박스를 수평상태로 수직하게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전체를 상기 하부박스 둘레로부터 상부로 완전 이격되게 개방시키는 한 쌍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리프팅수단 각각은, 상기 하부박스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는 하측 프레임; 상기 상부박스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는 상측 프레임; 상기 하측프레임과 상측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접철운동에 따라 상기 하측프레임에 대해 상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접철동작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x자 형태로 교차되고 교차힌지핀을 구비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링크바와 제2링크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링크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차힌지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링크바와 제2링크바가 상대 회전하여 접철운동을 하면서 상기 하측 프레임에 대해 상기 상측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하측 이동가이드부가 구성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상측 이동가능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하측 이동안내축과, 상기 하측 이동안내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상측 이동안내축과, 상기 상측 이동안내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바는 각각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링크바는 상기 제2링크바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교차힌지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바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전동실린더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상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바가 이루는 사이각도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바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쇽업쇼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쇽업쇼바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하단과 상기 쇽업쇼바의 하단은 모두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1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상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2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상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3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핀은 상기 제1링크바의 양측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고정핀과, 상기 내측고정핀에서 동일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바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측고정핀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부재가 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박스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측 프레임 일측부에서 전방으로 직각되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박스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를 덮은 상태에서 눕혀지고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 위로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세워져서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의 둘레 전체에는 역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수평상태로 수직하강하여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가 상기 하부박스의 둘레를 감싸도록 덮을 때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박스와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밀착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프팅 수단에 의해 전동식으로 상부박스를 개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을 덜들이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박스를 수평상태로 수직 상승시켜 수직개방동작을 진행하여 상부박스와 하부박스의 사이공간이 전후 좌우 사방으로 개방되어 물품의 투입적재가 용이함은 물론, 상부박스가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수직하강하여 닫히기 때문에 상부박스와 하부박스의 둘레가 서로 밀착되어 박스 수납공간에 대한 밀폐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박스가 하부박스에서 수직상승하여 개방된 경우, 지지수단이 승강부재를 전방에서 삼각형 트러스 구조 형태로 지지해주기 때문에 상부박스가 앞이나 뒤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물품의 적재시나 인출시에 보다 안정적인 물품 수납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부재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팅 수단의 요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리프팅 수단의 수직개방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리프팅 수단의 수직개방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에서 리프팅 수단의 수직개방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에서 리프팅 수단의 수직개방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에서 리프팅 수단의 수직개방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회동개방동작상태가 추가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100)는 차량의 루프패널에 고정장착되는 하부박스(110)와, 이 하부박스(110)의 상부를 덮는 상부박스(120)와, 하부박스(110)와 상부박스(1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하부박스(100)에 대해 상부박스(120)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상부박스(1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프팅수단(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부박스(110)는 차량의 루프패널의 상면에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부박스(120)는 하부박스(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하부박스(110)의 둘레를 덮도록 구성된다.
리프팅수단(130)은 하부박스(110)와 상부박스(1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하부박스(110)에 대해 상부박스(12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리프팅수단(130)이 상부박스(120)를 하강시키면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결합되어 닫힘상태가 되게하고, 리프팅수단(130)이 상부박스(120)를 상승시키면 상부박스(120)의 둘레 전체가 하부박스(110)의 둘레에서 상부로 완전히 분리되어 개방상태가 되게 한다.
본 발명의 리프팅수단(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박스(110)와 상부박스(120)의 전측부 및 후측부에 각각 구성되어, 하부박스(110)에 대해 상부박스(120)의 전측부와 후측부를 함께 승강시킴으로써 상부박스(120)를 수평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킨다.
각각의 리프팅 수단(130)은 하측프레임(140), 상측프레임(150), 승강부재(160), 상측 이동가이드부(170), 하측 이동가이드부(180), 승강구동부재(1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측프레임(140)은 하부박스(110)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측프레임(150)은 상부박스(110)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하측프레임(140)의 일측부에는 승강부재(160)의 일측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회전지지부(145)가 마련되고, 상측프레임(150)의 일측부에는 승강부재(160)의 일측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회전지지부(155)가 마련된다.
승강부재(160)는, 하측프레임(140)과 상측프레임(15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측프레임(150)을 하측 프레임(140)에 대해 승강시켜 상부박스(12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부재(160)는 x자 형태로 교차되고 중간에 교차힌지핀(163)을 구비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링크바(161)와 제2링크바(162)로 이루어진다.
제1링크바(161)의 하단부는 하측프레임(140)의 일측부에 구비된 하측 회전지지부(145)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링크바(162)의 상단부는 상측 프레임(150)의 일측부에 구비된 상측 회전지지부(155)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링크바(161)의 상단부는 상측프레임(150)의 타측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되고, 제2링크바(162)의 하단부는 하측프레임(140)의 타측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된다.
승강부재(160)는 교차힌지핀(163)을 기준으로 상대회전되어 도 2와 같이 접어진 상태와, 도 5와 같이 펴진 상태로 접철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승강부재(160)는 이러한 접철운동에 따라 도 2와 같이 상측프레임(150)이 하강되어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가 되거나 도 5와 같이 상측프레임(150)이 상승하여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로부터 분리되어 열린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상측 이동가이드부(170)는 상측프레임(150)의 타측부에 구성되어 제1링크바(161)의 상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하측 이동가이드부(180)는 하측프레임(140)의 타측부에 구성되어 제2링크바(162)의 하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측 이동가이드부(170)는 상측프레임(150)의 타측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상측 지지브라켓(172)과, 이 한 쌍의 상측 지지브라켓(17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측 이동안내축(173)과, 이 상측 이동안내축(17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1링크바(161)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슬라이더(174)로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측 이동가이드부(180)는 하측프레임(140)의 타측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하측 지지브라켓(182)과, 이 한 쌍의 하측 지지브라켓(18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측 이동안내축(183)과, 이 하측 이동안내축(18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2링크바(162)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슬라이더(18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부재(190)는 전동실린더로 이루어지며, 하단은 제1링크바(161)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링크바(162)의 상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바(161)의 하부 일측에는 제1고정핀(164)이 구성되고, 승강구동부재(190)의 하단은 이 제1고정핀(164)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제2링크바(162)의 상부 일측에는 제2고정핀(165)이 구성되고, 승강구동부재(190)의 상단 즉 승강구동부재(190)의 신축로드(193)의 상단은 제2고정핀(165)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승강구동부재(190)의 신축동작에 따라 제1및제2링크바(161,162)가 이루는 사이각도가 변형되면서 승강부재(160)의 접철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상측프레임(150)과 함께 상부박스(120)가 승강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리프팅수단(130)은 하부박스(110) 및 상부박스(120)의 전측부 및 후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박스(120)의 앞뒤부분을 함께 상승시키고 하강시킴으로써, 상부박스(120)를 수평상태를 유지한채로 그대로 수직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1링크바(161) 및 제 2 링크바(162) 각각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패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링크바(162) 및 제2링크바(161,162) 각각은 베이스판(161a,162a)과 이 베이스판(161a,162a)의 양측부에 절곡되어 구성된 측판부(161b,16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링크바(162)의 길이 중간에 관통부(162c)가 형성되어, 제1링크바(161)가 관통부(162c)를 통과한 상태에서 교차힌지핀(163)에 의해 연결되어 제1링크바(161) 및 제2링크바(162)가 상호 회전되어 접철동작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리프팅수단(130)의 구동에 의해 상부박스(120)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대로 수직하게 상향 이동시키거나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기존의 힌지에 의해 회동방식의 개폐에 비해 상부박스(120)의 둘레전체를 하부박스(110)의 둘레전체에서 완전히 이격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전후 좌우의 사방 어디에서든지 하부박스(110)에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과 같이, 승강구동부재(190)가 수축되는 경우, 승강부재(160)가 접어진 상태가 되어 상부박스(120)의 둘레전체가 하부박스(110)의 둘레전체를 덮도록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승강구동부재(190)가 신장되는 경우, 도 5 및 도 7과 같이 승강부재(160)가 펼쳐지면서 상부박스(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대로 상승하게 함으로써 상부박스(120)의 둘레전체가 하부박스(110)의 둘레전체에서 이격되는 개방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하부박스(110)의 둘레전체에는 역 "U"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밀착부(113)가 구성된다. 상부박스(120)가 하부박브(110)를 향해 하강하여 닫힐 때 도 및 도 6과 같이, 탄성밀착부(113)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부박스(120)의 둘레부(122) 내면을 가압하여 상부박스(120)의 둘레외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부박스(110)와 상부박스(120)가 이루어는 내부 공간의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부재(160)가 도 5 및 도 7과 같이 펴져서 상부박스(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부재(160)를 전방에서 지지하여 승강부재(160)까 전방이나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200)은 고정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을 포함한다.
고정패널(210)은 하측프레임(140)의 일측부에서 전방으로 직각되게 연장되며 말단부가 하부박스(11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지지패널(220)은 일단은 고정패널(210)의 말단에 설치된 회전지지편(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1링크바(161)의 하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설치된다.
지지패널(220)은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닫히도록 도 2 및 도 6과 같이 승강부재(160)가 접힌 상태에서 눕혀지고,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서 이격되어 열리도록 도 5 및 도 7과 같이 승강부재(160)가 펴진 상태에서 세워져서 승강부재(16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지지패널(220)이 승강부재(160)가 펴진 상태에서 승강부재(160)를 지지해줌으로써 상부박스(120)는 열린상태에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박스(120)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박스(120)가 폭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접히는 등의 휨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휨방지부(300)가 더 구성된다. 이 휨방지부(3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부박스(12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각 휨방지부(300)는 상부박스(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중앙 결합패널(301)과, 이 중앙결합패널(301)의 전후로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박스(120)의 접힘을 방지하는 한 쌍의 보강패널(302)과, 이 한 쌍의 보강패널(30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박스(120)의 하면에 결합설치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패널(30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링크바(161)와 제2링크바(16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닫힌 상태에서 덜컹거리는 등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부가스(120)가 닫히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스쇼바로 이루어진 쇽업쇼바(3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쇽업쇼바(350)의 압축 쇼바로서 신장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쇼바이며, 일단은 제1링크바(161)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바(162)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제2링크바(162)의 하단부가 제1링크바(161)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구동부재(190)과 쇽업쇼바(350)의 각 하단은 제1링크바(161)의 하부 일측에 구성된 동일 고정핀 상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바(161)의 하부에는 제1고정핀(164)이 구성되고, 제2링크바(162)의 상부에는 양측판부(162b, 도 4 참조)를 연결하는 제2고정핀(165)이 구성되며, 제2링크바(162)의 하부에는 일측판부(162b)의 외측으로 제3고정핀(167)이 구성된다. 이때, 제1고정핀(164)은 제1링크바(161) 하부의 양측판부(161b, 도 4 참조)를 연결하는 내측고정핀(164a)과, 이 내측고정핀(164a)으로부터 제1링크바(161)의 일외측으로 동일축선상으로 연장되는 외측고정핀(164b)가 더 구성된다.
승강구동부재(190)의 하단은 제1링크바(161)의 하부의 양측판부(161b) 내부로 삽입되어 제1고정핀(164)의 내측고정핀(164a)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승강구동부재(190)의 상단은 제2링크바(162)의 상부의 양측판부(162b)에 내부로 삽입되어 제2고정핀(165)에 회전되게 연결된다. 또한, 쇽업쇼바(350)는 제1링크바(161)와 제2링크바(16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쇽업쇼바(350)의 하단은 제1고정핀(164)의 외측고정핀(164b)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쇽업쇼바(350)의 상단은 제3고정핀(167)에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부재(190)의 신축로드(193)가 수축하여 승강부재(160)가 접혀지면서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 쇽업쇼바(3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링크바(162)의 하단부가 제1링크바(161)의 하단부에서 멀어지게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게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구동부재(190)의 하단과 제1고정핀(163)의 연결부위, 승강구동부재(190)의 신축로드(193)의 상단과 제2고정핀(165)의 연결부위에 유격이 있거나 신축로드(193)의 신축동작 상에 약간의 유격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신축로드(193)가 수축동작하여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도 상부박스(120)가 외부의 공기저항이나 충격에 의해 덜컹거리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 닫힌 상태에서 쇽업쇼바(350)가 제2링크바(162)의 하단부를 제1링크바(161)의 하단부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밀어주면서 상부박스(120)가 움직임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한 쌍의 리프팅 수단(130)에 의해 상부박스(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로 수직하게 상승하여 개방됨으로써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에서 완전분리되면서 상부박스(120)와 하부박스(110) 사이공간의 사방이 모두 개방되는 수직개방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수직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상부박스(120)가 하부박스(110)가 완전분리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회동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일측부의 투입공간을 크게함으로써 대형 물품도 용이하게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측프레임(150)의 상측으로 상부박스(120)가 회동구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프팅 수단(130)의 상측으로 상부박스(120)를 회동개방시키는 틸팅개방수단(4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틸팅개방수단(400)은 박스 힌지부(401)와, 이동 레일부(410), 틸팅부재(420), 틸팅구동부재(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박스 힌지부(401)는 상측프레임(150)의 일측부와 상부박스(110)를 힌지되게 연결하여 상부박스(110)가 상부프레임(150)의 일측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측프레임(150)은 상부박스(1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상측프레임(150)의 일측부에는 박스 힌지부(401)가 구성되고, 이 박스힌지부(401)가 상부박스(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부박스(120)가 상측프레임(1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 레일부(410,412)는 상측프레임(150)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틸팅부재(420)의 하단부에 대한 이동을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으로, 상측프레임(150)의 타측부에 설치된 레일부재(410)와, 이 레일부재(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되고 틸팅부재(420)의 상단부를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된 푸쉬블럭(4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틸팅부재(420)는 상부박스(120)의 타측부를 상측프레임(150)에 대해 밀어 올려 상부박스(120)가 회동방식으로 추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단은 상부박스(120)의 타측부에 구성된 힌지부(403)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단은 푸쉬블럭(412)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틸팅구동부재(430)는 전동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측프레임(150)의 상단 중간부에 고정설치되며, 신축로드(432)의 말단부가 푸쉬블럭(412)에 결합되어 푸쉬블럭(41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틸팅구동부재(430)의 구동에 따라 신축로드(432)가 수축하면 푸쉬블럭(412)이 레일부재(410)의 도면상 좌측단으로 이동하여 틸팅부재(420)가 상부박스(120)의 타측부를 끌어당겨 상부박스(120)가 수평상태인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며, 도 11을 참조하면, 틸팅구동부재(430)의 구동에 따라 신축로드(432)가 신장하면 푸쉬블럭(412)이 레일부재(410)의 도면상 우측단으로 이동하여 틸팅부재(420)가 상부박스(120)의 타측부를 위로 밀어올리면 상부박스(120)가 박스힌지부(401)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하여 도 10과 같은 수평개방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회동개방동작를 수행하여 상부박스(120)의 타측부에 대한 개방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리프팅 수단(130)에 의해 상부박스(120)를 수평상태로 수직 상승시켜 수직개방동작을 진행하여 상부박스(120)와 하부박스(110)의 사이공간이 전후 좌우 사방이 개방되어 물품의 투입적재가 용이함은 물론, 수직개방동작이 완료된 후 틸팅개방수단(400)에 의해 상부박스(120)를 추가적으로 회동시켜 회동개방동작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수직개방동작 완료시 형성되는 물품투입높이(상부박스(120)와 하부박스(110)의 사이공간 높이) 보다 큰 대형 물품도 회동개방된 상부박스(120)의 타측 개방부를 통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부박스(120)를 하부박스(110)에 결합하여 닫을 경우, 먼저 틸팅개방수단(400)에 의해 상부박스(120)가 도 9와 같은 수직개방상태가 되게 하고, 이후, 리프팅수단(130)에 의해 상부박스(120)를 수평상태로 수직하강시켜 상부박스(120)를 하부박스(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하부박스
113...탄성밀착부
120...상부박스
122...둘레부
130...리프팅수단
140...하측 프레임
145...하측 회전지지부
150...상측 프레임
155...상측 회전지지부
160...승강부재
161...제1링크바
162...제2링크바
163...교차힌지핀
170...상측 이동가이드부
172...상측 지지브라켓
173...상측 이동안내축
174...상측 슬라이더
180...하측 이동가이드부
182...하측 지지브라켓
183...하측 이동안내축
184...하측 슬라이더
190...승강구동부재
193...신축로드
200...지지수단
210...고정패널
212...회전지지편
220...지지패널
300...휨방지부
301...중앙 결합패널
302...보강 패널
303...단부 결합패널
350...쇽업쇼바
400...틸팅개방수단
401...박스 힌지부
410...이동 레일부
420...틸팅부재
430...틸팅구동부재

Claims (10)

  1. 차량의 루프패널에 결합되는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상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상단이 상부박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박스를 수평상태로 수직하게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전체를 상기 하부박스 둘레로부터 상부로 완전 이격되게 개방시키는 한 쌍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리프팅수단 각각은,
    상기 하부박스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는 하측 프레임;
    상기 상부박스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결합고정되는 상측 프레임;
    상기 하측프레임과 상측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접철운동에 따라 상기 하측프레임에 대해 상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접철동작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부재가 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박스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측 프레임 일측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박스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를 덮은 상태에서 눕혀지고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 위로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세워져서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x자 형태로 교차되고 교차힌지핀을 구비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링크바와 제2링크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링크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차힌지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링크바와 제2링크바가 상대 회전하여 접철운동을 하면서 상기 하측 프레임에 대해 상기 상측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하측 이동가이드부가 구성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상측 이동가이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하측 이동안내축과, 상기 하측 이동안내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상측 이동안내축과, 상기 상측 이동안내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링크바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바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상기 하부박스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쇽업쇼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쇽업쇼바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바의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바의 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하단과 상기 쇽업쇼바의 하단은 모두 상기 제1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1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상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2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상단은 상기 제2링크바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제3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핀은 상기 제1링크바의 양측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고정핀과, 상기 내측고정핀에서 동일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바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측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의 둘레 전체에는 역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박스가 수평상태로 수직하강하여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가 상기 하부박스의 둘레를 감싸도록 덮을 때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박스의 둘레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박스와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밀착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KR1020230089713A 2023-07-11 2023-07-11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KR10260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713A KR102606641B1 (ko) 2023-07-11 2023-07-11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713A KR102606641B1 (ko) 2023-07-11 2023-07-11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641B1 true KR102606641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713A KR102606641B1 (ko) 2023-07-11 2023-07-11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6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95B1 (ko) 2016-05-20 2017-01-03 정재경 자동개폐형 루프박스
KR101949166B1 (ko) * 2017-03-03 2019-02-18 김영원 차량용 루프탑 텐트
CN109664827A (zh) * 2018-12-29 2019-04-23 广州金科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车顶箱及其共享系统
KR20190043256A (ko) 2017-10-18 2019-04-26 이든텍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박스의 잠금장치
KR102113262B1 (ko) * 2019-09-26 2020-05-21 (주)이삭특장차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루프 박스
KR102489124B1 (ko) * 2021-02-02 2023-01-13 오완곤 차량용 루프장치
KR102506240B1 (ko) 2020-12-29 2023-03-07 (주)탑아이엔디 차량용 루프박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95B1 (ko) 2016-05-20 2017-01-03 정재경 자동개폐형 루프박스
KR101949166B1 (ko) * 2017-03-03 2019-02-18 김영원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20190043256A (ko) 2017-10-18 2019-04-26 이든텍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박스의 잠금장치
CN109664827A (zh) * 2018-12-29 2019-04-23 广州金科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车顶箱及其共享系统
KR102113262B1 (ko) * 2019-09-26 2020-05-21 (주)이삭특장차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루프 박스
KR102506240B1 (ko) 2020-12-29 2023-03-07 (주)탑아이엔디 차량용 루프박스
KR102489124B1 (ko) * 2021-02-02 2023-01-13 오완곤 차량용 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147A (en) Jacking device
US7243965B2 (en) Convertible camper shell and hard tonneau
US5393192A (en) Underfloor extendible ramp for vehicles
US7445416B2 (en) Wheelchair lift with slidable support arm
WO2014138605A1 (en) Truck bed cover
CN102535370B (zh) 清扫车垃圾箱垂直举升倾倒装置
JPS63291722A (ja) サンル−フ装置
US20230391171A1 (en) Vehicle with a platform unit on a bodywork opening
US20050093339A1 (en) Truck with folding sidewalls
WO2008014928A1 (en) Convertible vehicle body
KR20200125161A (ko) 탑차
KR102606641B1 (ko) 전동 개폐식 루프 박스 장치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206768B1 (ko) 화물차 적재함 개폐장치
US9586463B2 (en) Top for an openable vehicle roof
CN218623632U (zh) 一种带有床板的折叠帐篷架
JPH0456628A (ja) 自動車用ルーフ装置
CN212002608U (zh) 帐篷组件
JPH04334630A (ja) 安全駆動回路付きの昇降装置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KR200273284Y1 (ko) 트럭 적재함용 리프트 게이트
CN219447281U (zh) 翻折水密门
WO2024040664A1 (zh) 一种车载硬顶帐篷及其汽车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KR102677007B1 (ko) 화물운송용 적재함의 리어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