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39B1 -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39B1
KR102606439B1 KR1020230040940A KR20230040940A KR102606439B1 KR 102606439 B1 KR102606439 B1 KR 102606439B1 KR 1020230040940 A KR1020230040940 A KR 1020230040940A KR 20230040940 A KR20230040940 A KR 20230040940A KR 102606439 B1 KR102606439 B1 KR 10260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as
discharge line
dischar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근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4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58External gas exhaust passages located on the battery cover or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60L1/0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fed by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B)의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구(110), 배출구(110)와 연결되어, 오프가스(off gas)를 전기자동차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L), 전기자동차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어 배출라인(L)과 연결된 개방밸브(120),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의 플렉시블 튜브 또는 파이프의 형상이고,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방화벽 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전기자동차의 개방밸브(120)에 결합되는 배출배관(P), 배출배관(P)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오프가스(off gas)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30)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Battery off-gas emission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열폭주로 인해 발생되는 오프가스를 가연물이 없는 안전한 장소로 배출하고, 배출되면서 점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LIB팩은 내부의 배터리를 95% 이상 충전한 뒤 염수수조에 1시간동안 완전 침수하는 시험을 통과한 제품으로 정상적으로는 외부에서 소화약제가 내부로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LIB팩 내부에 있는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열폭주 발생 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오프가스(off-gas)가 발생하면서 배터리팩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모듈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후 플라스틱 재질의 플러그나 밀봉의 약한 부분으로 가스가 방출하게 되는데, 외부로 유출된 오프가스(off-gas)로 연소범위가 형성되었을 때 점화원과 만나면 화염을 발생하게 된다.
즉,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열폭주가 발생하여 1000℃ 정도 상승할 경우 내부 압력은 4배 이상 증가하게 되며 이런 압력증가로 인하여 주로 배터리팩의 실링부분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방향으로 가연성 오프 가스가 배출되는데, 일부 모델의 경우 고온의 오프가스(off-gas)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의 안전플러그가 용융되고, 이 틈으로 가연성 가스가 방출되어 자동차 뒷바퀴 부분에 화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전기자동차 화재 시 배터리의 온도상승 막기 위해 일차적으로는 배터리팩 하부에 물을 주수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낮추고, 전기자동차를 물로 채워진 수조에 넣어 냉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가열된 배터리팩을 냉각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므로, 열폭주 발생 초기에 대응하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배터리에서 열폭주가 일어나는 현상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열화되면, 오프가스가 배출되어 열폭주가 발생하게되고, 주변으로 열폭주가 전이되는 형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배터리는 내부의 오프가스가 방출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오프가스로 인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배터리팩의 형태가 파손되면서 전체적으로 오프가스가 동시에 배출되어 화재점화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480842호(2022.12.2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열폭주로 인하여 증가된 내부의 압력으로 오프가스 배출구가 열리게 하고, 지정된 곳으로 오프가스를 방출함으로서, 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한 피해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의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구, 배출구와 연결되어, 오프가스를 전기자동차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 전기자동차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어 배출라인과 연결된 개방밸브,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의 플렉시블 튜브 또는 파이프의 형상이고,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방화벽 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전기자동차의 개방밸브에 결합되는 배출배관, 배출배관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오프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가 더 구비되되; 센서는, 배출배관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오프가스가 배출되는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면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경보등 및 알람설비를 작동시켜 발광 및 경보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구는, 배터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와, 몸체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개구부와, 연질 또는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또는 막의 구조를 가지며, 개구부에 설치된 밀봉막과, 원판형 판재의 형상이며, 몸체의 내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이동판과, 이동판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통기공과, 이동판의 중앙에 돌출된 기둥형상이며, 상부 끝단에는 날카로운 첨단부가 형성된 파단침과, 이동판 상부면과 몸체의 상부 저면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구는, 배터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와, 몸체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개구부와, 개구부를 밀봉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오프가스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재질로 형성된 용융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0)에는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111)가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터리(B)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터리에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구비되며, 전면의 배출구에는 각각 제1 분기 배출라인, 제2 분기 배출라인, 제3 분기 배출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각 분기 배출라인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1 배출라인이 구비되며, 후면의 배출구에는 각각 제4 분기 배출라인, 제5 분기 배출라인, 제6 분기 배출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각 분기 배출라인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2 배출라인이 구비되며, 제1 배출라인 및 제2 배출라인은 배출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LIB팩 내부에서 열폭주가 발생했을 때 오프가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화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거나 충전하고 있을 때 오프가스 배출구와 연결된 개방밸브에 배출배관을 연결시켜 둠으로써 예기치 못한 열폭주로 인한 화재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중이거나 충전중일 때 열폭주가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지하주차장 등 대규모 주차장에서의 화재확산을 차단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에서 열폭주가 일어나는 현상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오프가스 배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 배출구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 배출구의 다른 실시 예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배터리 배출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주차장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오프가스 배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 배출구의 확대단면도, 도 6은 주차장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100)는, 배출구(110), 개방밸브(120), 배출라인(L)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출배관(P), 체크밸브(130), 센서(S), 경보등(140)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배출구(110)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B)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11), 스프링(112), 이동판(113), 파단침(114), 밀봉막(115), 개구부(116), 통기공(11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11)는, 배터리(B)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6)은, 몸체(111)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열폭주가 일어날 때 오프가스(off gas)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밀봉막(115)은, 후술하는 파단침(114)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연질 또는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또는 막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개구부(116)에 설치되어 밀봉하는 기능을 가진다.
위 밀봉막(115)의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취홈 또는 파단홈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판(113)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 판재의 형상으로 가지고 있으며, 몸체(111)의 내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통기공(117)은, 이동판(113)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오프가스(off gas)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파단침(114)은, 이동판(113)의 중앙에 돌출된 직경이 작은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 끝단에는 날카로운 첨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열폭주가 일어날 때 상승하여 밀봉막(115)을 찢거나 파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112)은, 이동판(113) 상부면과 몸체(111)의 상부 저면 사이에 구비된다.
배출라인(L)은, 배출구(110)의 몸체(111)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6)와 연결되어 있어, 오프가스(off gas)를 전기자동차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의 기능을 가진다.
개방밸브(120)는, 전기자동차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어 배출라인(L)과 연결되어 있다.
배출배관(P)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의 플렉시블 튜브 또는 파이프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방화벽 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개방밸브(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서, 열폭주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프가스(off gas)를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배출배관(P)의 실외측 끝단에는 인화방지망 또는 화염방지기를 설치하여 배출배관(P)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인화방지망 또는 화염방지기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주지, 관용의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의 연동관계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체크밸브(130)는, 배출배관(P)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있어, 오프가스(off gas)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센서(S)는, 배출배관(P)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있어, 배출배관(P)으로 배출되는 오프가스(off gas)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도시를 생략함)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오프가스(off gas)가 배출되는 센서(S)의 신호를 수신하면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경보등(140) 및 알람설비를 작동시켜 발광 및 경보음를 발생시킴으로서, 전기자동차에서 열폭주가 발생한 것을 주변에 알리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같은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B) 내부에서 열폭주가 일어나면 오프가스(off gas)가 발생하면서 팽창하고, 오프가스(off gas)는 그 팽창력으로 이동판(113)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동판(113)이 오프가스(off gas)의 급격한 팽창력에 의하여 스프링(11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면, 이동판(113)의 중앙에 구비된 파단침(114)이 개구부(116)를 밀봉하고 있던 밀봉막(115)을 파단시킴으로서, 오프가스(off gas)는 배터리(B)에서 이동판(113)의 통기공(117) 및 배출구(110)의 개구부(116)을 경유하여 배출라인(L)을 타고 전기자동차의 개방밸브(120)로 배출된다
즉, 오프가스(off gas)가 열폭주로 인하여 급격하게 팽창하면, 오프가스(off gas)는 이동판(113)의 통기공(117)으로 미처 빠져나기 못하고, 이동판(113)을 저면으로부터 압박하여 밀어 올리는 것이다.
이때, 개방밸브(120)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물을 관통하는 배출배관(P)을 따라 오프가스(off gas)는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고, 센서(S)가 오프가스(off gas)의 배출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면 제어부에서 경보등(140) 밀 알람수단을 발생시켜 전기자동차에서 열폭주가 일어난 것을 주변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의 LIB팩 내부에서 열폭주가 발생했을 때 오프가스(off gas)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화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거나 충전하고 있을 때 오프가스 배출구(110)와 연결된 개방밸브(120)에 배출배관(P)을 연결시켜 둠으로써 예기치 못한 열폭주로 인한 화재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주차중이거나 충전중일 때 열폭주가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지하주차장 등 대규모 주차장에서의 화재확산을 차단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가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배출구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배출구의 다른 실시 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배출구(110)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B)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11), 용융막(215), 개구부(1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11)는, 배터리(B)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6)은, 몸체(111)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열폭주가 일어날 때 오프가스(off gas)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용융막(215)은, 개구부(116)를 밀봉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오프가스(off gas)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융막(215)은, 주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스무트 65 내지 69 중량부, 납 7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융막(215)은, 용융온도가 110 내지 120 ℃이고, 용융시간은 약 4초 내지 7초이므로, 열폭주에 의한 오프가스(off gas)를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오프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의 배출구(110)에는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111)가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터리(B)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도 5는 배터리 배출구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배터리(B)에 다수개의 배출구(110)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그 예로 도 5에서는 배터리(B)에 6개의 배출구(11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면의 배출구(110)에는 각각 제1 분기 배출라인(L11), 제2 분기 배출라인(L12), 제3 분기 배출라인(L13)이 구비되어 있고, 각 분기 배출라인(L11)(L12)(L13)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1 배출라인(L1)이 구비된다.
또한, 후면의 배출구(110)에는 각각 제4 분기 배출라인(L21), 제5 분기 배출라인(L22), 제6 분기 배출라인(L23)이 구비되어 있고 각 분기 배출라인(L21)(L22)(L23)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2 배출라인(L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출라인(L1) 및 제2 배출라인(L2)은 배출라인(L)에 연결됨으로서, 배터리(B)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off gas)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증가된 내부의 압력으로 오프가스 배출구가 열리게 하고, 지정된 곳으로 오프가스를 방출함으로서, 피해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00: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110:배출구
111:몸체 112:스프링
113:이동판 114:파단침
115:밀봉막 116:개구부
117:통기공 120:개방밸브
130:체크밸브 140:경보등
215:용융막
B:배터리 L:배출라인
L1:제1 배출라인 L11:제1 분기 배출라인
L12:제2 분기 배출라인 L13:제3 분기 배출라인
L2:제2 배출라인 L21:제4 분기 배출라인
L22:제5 분기 배출라인 L23:제6 분기 배출라인
P:배출배관 S:센서

Claims (6)

  1.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B)의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구(110),
    배출구(110)와 연결되어, 오프가스(off gas)를 전기자동차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L),
    전기자동차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어 배출라인(L)과 연결된 개방밸브(120),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의 플렉시블 튜브 또는 파이프의 형상이고,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방화벽 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전기자동차의 개방밸브(120)에 결합되는 배출배관(P),
    배출배관(P)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오프가스(off gas)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센서(S)가 더 구비되되;
    센서(S)는, 배출배관(P)의 일정구간에 구비되어, 배출배관(P)으로 배출되는 오프가스(off gas)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오프가스(off gas)가 배출되는 센서(S)의 신호를 수신하면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경보등(140) 및 알람설비를 작동시켜 발광 및 경보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110)는,
    배터리(B)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111)와,
    몸체(111)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개구부(116)와,
    연질 또는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또는 막의 구조를 가지며, 개구부(116)에 설치된 밀봉막(115)과,
    원판형 판재의 형상이며, 몸체(111)의 내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이동판(113)과,
    이동판(113)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통기공(117)과,
    이동판(113)의 중앙에 돌출된 기둥형상이며, 상부 끝단에는 날카로운 첨단부가 형성된 파단침(114)과,
    이동판(113) 상부면과 몸체(111)의 상부 저면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110)는,
    배터리(B)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111)와,
    몸체(111) 상면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개구부(116)와,
    개구부(116)를 밀봉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오프가스(off gas)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재질로 형성된 용융막(2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0)에는 배터리(B)의 내부와 연통된 몸체(111)가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터리(B)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6. 청구항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B)에는 다수개의 배출구(110)가 구비되며,
    전면의 배출구(110)에는 각각 제1 분기 배출라인(L11), 제2 분기 배출라인(L12), 제3 분기 배출라인(L13)이 구비되고, 각 분기 배출라인(L11)(L12)(L13)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1 배출라인(L1)이 구비되며,
    후면의 배출구(110)에는 각각 제4 분기 배출라인(L21), 제5 분기 배출라인(L22), 제6 분기 배출라인(L23)이 구비되고, 각 분기 배출라인(L21)(L22)(L23)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제2 배출라인(L2)이 구비되며,
    제1 배출라인(L1) 및 제2 배출라인(L2)은 배출라인(L)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KR1020230040940A 2023-03-29 2023-03-29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KR10260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940A KR102606439B1 (ko) 2023-03-29 2023-03-29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940A KR102606439B1 (ko) 2023-03-29 2023-03-29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439B1 true KR102606439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940A KR102606439B1 (ko) 2023-03-29 2023-03-29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4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789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120102677A (ko) * 2010-11-30 2012-09-18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지 팩
CN203148890U (zh) * 2013-04-05 2013-08-21 成都科林苑电子设备有限公司 便携式汽车尾气检测装置
KR20140032833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양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2020198738A (ja) * 2019-06-04 2020-12-10 株式会社Subaru バッテリガス放出装置
KR102332774B1 (ko) * 2021-08-18 2021-12-01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배터리모듈의 오프가스 배출구조
KR102480842B1 (ko) 2021-12-24 2022-12-23 정대원 전기차량용 화재안전을 위한 배터리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789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120102677A (ko) * 2010-11-30 2012-09-18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지 팩
KR20140032833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양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N203148890U (zh) * 2013-04-05 2013-08-21 成都科林苑电子设备有限公司 便携式汽车尾气检测装置
JP2020198738A (ja) * 2019-06-04 2020-12-10 株式会社Subaru バッテリガス放出装置
KR102332774B1 (ko) * 2021-08-18 2021-12-01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배터리모듈의 오프가스 배출구조
KR102480842B1 (ko) 2021-12-24 2022-12-23 정대원 전기차량용 화재안전을 위한 배터리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44344B (zh) 一种锂系动力电池的消防系统
US5826664A (en) Active fire and explosion suppression system employing a recloseable valve
US20160175626A1 (en) Fire retardation missile system and method
SE538229C2 (sv) Brandsläckningssystem med ett fast drivmedel
JP2008541937A (ja) タイヤ消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102137814B1 (ko)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CN205598472U (zh) 一种车辆安全电池箱和车辆动力安全系统
CN109475766B (zh) 自动自灭火装置及防火方法
KR102152823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CN110538404A (zh) 一种自动锂电池灭火系统
CN209045709U (zh) 一种安全环保车用电池包系统
CN109260627A (zh) 一种防爆防火电池包装置及灭火控制系统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KR102606439B1 (ko) 배터리 오프가스 배출 유도장치
KR101746304B1 (ko)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KR102623288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MX2013004038A (es) Metodos y aparatos para el control y señalizacion de peligro.
CN111744124A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自动灭火装置
CN112451875A (zh) 用于车辆轮胎的灭火系统
CN108189743A (zh) 一种分舱式防爆运油车
CN209933883U (zh) 一种动力电池系统及电动汽车
JPS5937562B2 (ja) 変圧器の消火装置
KR102412721B1 (ko)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EP1878471A1 (en) Fire protection system
US20180099168A1 (en) Fire retardation missil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