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21B1 -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Google Patents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2721B1 KR102412721B1 KR1020220041611A KR20220041611A KR102412721B1 KR 102412721 B1 KR102412721 B1 KR 102412721B1 KR 1020220041611 A KR1020220041611 A KR 1020220041611A KR 20220041611 A KR20220041611 A KR 20220041611A KR 102412721 B1 KR102412721 B1 KR 102412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extinguishing agent
- fire
- inlet
- 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은, (a)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을 위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충전용 케이블의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과 함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 내부에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 (b)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을 위해 커넥터를 인렛에 끼워 접속함에 따라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를 센서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즉시 경고등 또는 경고음에 의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충전용 케이블의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단계;(e) 상기 단계는 (a),(b),(c),(d)를 포함한 일체형 system rac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ESS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배관과 케이블에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기 ESS 배터리팩을 충전 및 송전하는 중에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센서 어셈블리가 이를 즉시 감지하여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전기 ESS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기술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기술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배터리만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하여, 태양광발전시설은 고연비 및 CO2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발전시설 공급에 박차를 가하고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친환경 발전시설의 보급에 따라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배터리팩은 주로 리튬 이차전지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를 ESS(Energy Storage System)의겹겹이 쌓아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모듈을 외부 충격이나 방습을 위해 금속 재질의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이용한 배터리팩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열폭주에 의해 발화 내지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접한 이차전지로 열 또는 화염이 전달되어 2차 발화 내지 폭발이 일어날 경우에는 인명피해를 동반한 매우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2차 발화 내지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소화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소방시설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경우에는 ESS 배터리 모듈을 진화하는데 약 4시간이상 소요되고, 대용량의 물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운전 중인 ESS 발전시설이 정지되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소화약제의 제거 및 배터리팩의 복구를 위해 배터리팩을 전면 교체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이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국내등록특허 제10-2086842호
(특허문헌 002) 국내등록특허 제10-215431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ESS(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전기 발전시설의 소화용 케이블에 온도,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ESS 배터리팩을 충전하는 중에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센서 어셈블리가 이를 즉시 감지하여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ESS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라, (a) 배터리 내부에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 내부에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배터리 외부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팩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를 센서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즉시 경고등 또는 경고음에 의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c에서 알람의 발생과 동시에 ESS(Energy Storage System) 소유자 또는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에도 자동으로 알람을 송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c에서 알람의 발생과 동시에 충전 스테이션의 상황실 또는 인근 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신고를 송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d에서 제어부에 의해 소화장치가 구동됨으로써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주입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d에서 배터리팩 내부로 주입된 소화약제는 배터리팩 내부를 순환하면서 화재를 소화한 후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a에서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이물질 차단필름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은 평소 배터리팩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다가 배터리팩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방되고 차단필름에는 전기가 통하는 얇은 띠가 있어 저항값이 없어지면 제어부로 차단필름의 개방이 통보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b에서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이물질 차단필름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방된 후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를 센서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감지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c에서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즉시 BMS의 발전용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는 침윤액 또는 액화질소를 포함한 탁월한 냉각기능과 리튬이온 배터리로 침투력이 탁월한 재료로 이루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은, 특히 ESS의 발전 및 송전 중에 빈번히 발생되는 배터리팩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로 결합된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즉시 주입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 화재를 발생 즉시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에 ESS(Energy Storage System) 내부에 소화 탱크를 비롯한 각종 소화 유닛을 탑재한 SYSTEM RACK으로 모듈단위로 1단계로 화재발생한 모듈에 자동소화가 되고, 2단계로 화재 발생한 모듈의 위와 아래 모듈로 동시 자동소화장치가 작동하고, 3단계로 연결된 모든 자동소화장치가 작동하는 SYSTEM RACK으로 초기진화에 의한 배터리 손실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모듈단위로 소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손상을 최소화 하고,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ESS(Energy Storage System)화재를 완전 진압이 가능한 SYSTEM RACK은 화재안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SYSTEM RACK에 탑재할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에 결합된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 및 이와 결합 커넥터, 소화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과 결합된 인렛을 확대하여 보인 (a)측면도 및 (b)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소화약제 배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및 소화약재, 속보기, 소화호스, 센서어셈블리, 밸브와 결합된 SYSTEM RACK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 및 이와 결합 커넥터, 소화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과 결합된 인렛을 확대하여 보인 (a)측면도 및 (b)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소화약제 배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및 소화약재, 속보기, 소화호스, 센서어셈블리, 밸브와 결합된 SYSTEM RACK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및 이와 결합된 소화호스,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SYSTEM RACK에 탑재할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에 결합된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 및 이와 결합 커넥터, 소화장치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과 결합된 인렛을 확대하여 보인 (a)측면도 및 (b)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소화약제 배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요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및 소화약재, 속보기, 소화호스, 센서어셈블리, 밸브와 결합된 SYSTEM RACK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범주에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을 이용하여 비상전원장치 및 배터리실 등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비상용 배터리팩이 내장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소화약제 배관(1308)을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 배관(10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1200)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1010)의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 등을 포함하며, 상기 쉬스층(1010)의 내부에는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은 배터리팩(1200) 내부의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ESS(Energy Storage System) 일체형으로 구비된 소화장치(2100, 도 2 및 도 4 참조)로부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배터리팩(1200)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과 별도로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은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200)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배터리팩(1200)에 연결배관(1000)이 결합된 상태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외측에는 충전을 위해 커넥터(1300,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참조)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접속되는 인렛 바디부(1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렛 바디부(1110)의 일측에는 상기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및 배출배관(1040)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1150) 및 배출구(1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150) 및 배출구(1140)의 배터리팩(1200) 반대쪽 일단에는 이물질 차단필름(10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030)은 일례로 투명 또는 유색의 접착필름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030)이 소화약제 주입구(1150) 및 배출구(1140)에 부착된 경우 평소 배터리팩(12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후, 배터리팩(12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된 경우, 즉 배터리팩 내부에 열폭주 또는 화재 발생 시 상기 배터리팩(1200)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030)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1150) 및 배출구(1140)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차단필름(1030)에는 전기가 통화는 얇은 띠가 있어 저항값이 없어지면 제어부(주장치(202))로 신호를 보내 차단필름(1030)의 개방이 통보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030)은 90도의 온도에서 녹아내릴 수 있도록 열가소성 핫멜트 필름이나 유기재료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0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필름 형태로 소화약제 주입구(1150) 및 배출구(1140)를 커버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캡(cap)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350) 및 배출구(1340)에 마개처럼 끼워 고정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150) 또는 배출배관(11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0)에는 상술한 구성의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연결배관(1000)과 결합된 상태로 인렛(1100)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 바디부(1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바디부(1310)의 일측에는 상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연결배관(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및 배출배관(1040)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1350) 및 배출구(13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350) 및/또는 배출구(1340)에는 배터리팩(1200) 내부의 열폭주 또는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 온도감지 센서(1460),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14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5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500)가 소화약제 주입구(1350) 및/또는 배출구(1340)에서 90도 이상의 고온 또는 연기나 불꽃 등의 이상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미도시)는 현장에서 즉시 경고등 또는 경고음에 의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상기 센서 어셈블리(1500)의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90도를 상회하는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배터리팩(1200) 내부에 열폭주 또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상기 센서 어셈블리(1500)의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는 연기, 열기 또는 불꽃 등을 직접 촬영하여 감지하도록 열화상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미도시)는 알람의 발생과 더불어 배터리팩(1200)의 송전 및 충전을 자동으로 즉시 중지시킨 다음, 상기 비상상황의 발생을 유무선 통신을 통해 현장의 상황실 및/또는 인근 소방서 상황실로 즉시 자동으로 화재발생 및 발생위치를 포함한 화재신고를 즉시 송출한다.
이에 더해, 상기 알람의 발생 및 화재신고와 더불어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App)으로도 배터리팩 열폭주 또는 화재 등 비상상황의 발생을 즉시 자동으로 알람 송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화재신고 및 ESS(Energy Storage System)의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비상상황의 알람 송출은 무선 모뎀(1700, 도 4 내지 도 6 참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인근에 위치하고 있던 사람은 상술한 비상상황의 발생 시 알람 또는 육안을 통해 이를 확인한 후 즉시 커넥터 바디부(1310) 또는 주장치(202) 등에 연결된 케이블로 소화약제 밸브(408, 409)를 조작하여 소화장치(2100)를 가동시키고, 상기 소화장치(2100)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연결배관(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을 통해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로 소화약제가 즉시 주입된다.
이어서, 상기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로 주입된 소화약제는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열폭주 또는 화재의 발화점을 소화시키고, 내부에 있던 공기와 함께 연결배관(1000)의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을 통해 배터리팩(1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소화약제의 주입 및 배출 과정은 소화약제를 주입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팩(1200)의 케이스(1210) 내부에서 소화약제가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5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연결배관(1000)의 일단에 형성된 배터리팩 접속부(1400)는 배터리팩 케이스(1210)와 기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400)의 외측에는 커넥터(1300, 도 1 내지 도 5 참조)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접속되는 배터리팩 바디부(14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ESS(Energy Storage System) 연결배관(1000)의 내부의 장치들이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400)를 통해 배터리팩 케이스(1210) 내부의 이차전지 모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한편 상기 ESS 연결배관(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450) 및 배출배관(1440)은 각각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400)의 소화약제 주입구(1350) 및 배출구(1340)를 통해 금속재 케이스(1210)와 기밀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400)의 소화약제 주입구(1450) 및 배출구(1440)는 배터리팩 케이스(1210) 내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350) 또는 배출배관(13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350) 또는 배출배관(13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약제는 침윤액 또는 액화질소를 포함한 탁월한 냉각기능과 리튬이온 배터리로 침투력이 탁월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BMS연결배선(1810), 제어부(미도시)와 소화장치(2100), 무선 모뎀(1700), 그리고 비상벨(미도시) 또는 화재신고장치(미도시) 등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송전 및 충전을 위한 BMS(1800)에 통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BMS(1800)와 인접하여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ESS 배터리팩이 수납되고 자동소화장치를 탑제한 rack(케이스)는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모듈단위로 소화가 진행되어 배터리팩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ESS(Energy Storage System) 화재를 완전 진압이 가능하하게 하여 화재안전이 개선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장애 시에는 실시간 장애 발생을 시스템 제조사로 자동으로 통보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속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0 : 연결배관(약제입구쪽) 1010 : 쉬스층
1050 : 소화약제 주입배관 1040 : 소화약제 배출배관
1100 : 인렛(inlet) 1110 : 인렛 바디부
1150,1350,1450 : 소화약제 주입구 1140,1340,1440 : 소화약제 배출구
1200 : 배터리팩 1210 : 배터리팩 케이스
1300: 커넥터 1400 : 배터리팩 접속부(배터리쪽)
1500 : 센서 어셈블리 1700 : 제어장치 (무선모뎀)
1800 : BMS 2100 :소장장치
1050 : 소화약제 주입배관 1040 : 소화약제 배출배관
1100 : 인렛(inlet) 1110 : 인렛 바디부
1150,1350,1450 : 소화약제 주입구 1140,1340,1440 : 소화약제 배출구
1200 : 배터리팩 1210 : 배터리팩 케이스
1300: 커넥터 1400 : 배터리팩 접속부(배터리쪽)
1500 : 센서 어셈블리 1700 : 제어장치 (무선모뎀)
1800 : BMS 2100 :소장장치
Claims (10)
- (a)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을 위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연결배관의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과 함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 내부에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단계;
(b)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을 위해 커넥터를 인렛에 끼워 접속함에 따라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를 센서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즉시 경고등 또는 경고음에 의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충전용 케이블의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알람의 발생과 동시에 전기 모빌리티 소유자 또는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에도 자동으로 알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알람의 발생과 동시에 충전 스테이션의 상황실 또는 인근 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신고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제어부에 의해 소화장치가 구동됨으로써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과 결합되는 연결배관의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배터리팩 내부로 주입된 소화약제는 배터리팩 내부를 순환하면서 화재를 소화한 후 충전용 케이블의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이물질 차단필름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은 평소 배터리팩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다가 배터리팩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방되고, 차단필림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주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배터리팩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이물질 차단필름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방된 후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배터리팩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를 센서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감지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열기에 의한 이상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즉시 충전용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화약제는 침윤액 또는 액화질소를 포함한 탁월한 냉각기능과 리튬이온 배터리로 침투력이 탁월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611A KR102412721B1 (ko) | 2022-04-04 | 2022-04-04 |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1611A KR102412721B1 (ko) | 2022-04-04 | 2022-04-04 |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2721B1 true KR102412721B1 (ko) | 2022-06-27 |
Family
ID=8224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1611A KR102412721B1 (ko) | 2022-04-04 | 2022-04-04 |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272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9601A (ko) * | 2022-08-25 | 2024-03-06 | 양상일 | 전기차량의 배터리 화재 진압 장치 |
KR20240138637A (ko) | 2023-03-09 | 2024-09-20 | 김종삼 |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단위의 열 폭주에 대한 화재진압장치 및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842B1 (ko) | 2018-10-22 | 2020-03-10 |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
KR102154314B1 (ko) | 2019-12-18 | 2020-09-10 |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
KR20200112461A (ko) * | 2019-03-22 | 2020-10-05 | 주식회사 티팩토리 | 소화약재 개별 투입이 가능한 ess 모듈 소화 장치 |
KR20210014402A (ko) * | 2019-07-30 | 2021-02-09 | (주)샤론테크 | 화재감시 및 안전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KR20210075235A (ko) * | 2019-12-12 | 2021-06-23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리튬이온 배터리용 화재감지 센서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
-
2022
- 2022-04-04 KR KR1020220041611A patent/KR1024127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842B1 (ko) | 2018-10-22 | 2020-03-10 |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
KR20200112461A (ko) * | 2019-03-22 | 2020-10-05 | 주식회사 티팩토리 | 소화약재 개별 투입이 가능한 ess 모듈 소화 장치 |
KR20210014402A (ko) * | 2019-07-30 | 2021-02-09 | (주)샤론테크 | 화재감시 및 안전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KR20210075235A (ko) * | 2019-12-12 | 2021-06-23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리튬이온 배터리용 화재감지 센서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
KR102154314B1 (ko) | 2019-12-18 | 2020-09-10 |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9601A (ko) * | 2022-08-25 | 2024-03-06 | 양상일 | 전기차량의 배터리 화재 진압 장치 |
KR102672448B1 (ko) * | 2022-08-25 | 2024-06-07 | 양상일 | 전기차량의 배터리 화재 진압 장치 |
KR20240138637A (ko) | 2023-03-09 | 2024-09-20 | 김종삼 |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단위의 열 폭주에 대한 화재진압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2721B1 (ko) |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
KR102552703B1 (ko) |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자동소화시스템 | |
CN213724537U (zh) | 一种锂离子电池包水基火灾防控装置 | |
CN109568833A (zh) | 一种动力电池包防复燃自动灭火装置与方法 | |
CN104784847A (zh) | 一种电池箱专用自动灭火装置 | |
CN205598472U (zh) | 一种车辆安全电池箱和车辆动力安全系统 | |
CN111603709A (zh) | 一种集装箱储能电池柜消防系统 | |
CN112604203A (zh) | 一种新能源汽车的灭火方法 | |
KR102531012B1 (ko) |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 |
CN114712758A (zh) | 一种锂电池储能站全过程火灾探测及自动灭火方法 | |
CN111864685A (zh) | 一种电缆接头消防系统及实现方法 | |
CN114899509A (zh) | 一种多触发方式的新能源汽车动力电池自动降温及灭火装置 | |
CN112947268A (zh) | 动力电池试验安全防护系统、方法及监控系统 | |
CN114404835A (zh) | 一种储能系统的消防安全控制方法 | |
CN116154331A (zh) | 一种锂电池箱、锂电池柜及其火情预警控制方法 | |
CN112002846A (zh) | 电池容器及其电池的灭火方法、车辆 | |
CN107871906A (zh) | 自带火险防控功能的锂电池箱 | |
CN215231740U (zh) | 一种适用于储能电站火灾防控的消防系统 | |
CN212625720U (zh) | 带有消防灭火功能的锂离子电池 | |
CN114522363A (zh) | 一种适用于变电站磷酸铁锂电池直流系统的三级防火策略 | |
CN117258183A (zh) | 一种储能箱消防装置及其灭火方法 | |
CN212751839U (zh) | 锂电池充电保护装置 | |
KR102531013B1 (ko) |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 |
CN111682256A (zh) | 带有消防灭火功能的锂离子电池及其管理系统和控制方法 | |
CN111682142A (zh) | 一种带有消防灭火功能的电池包及其控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