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07B1 -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07B1
KR102606107B1 KR1020230080585A KR20230080585A KR102606107B1 KR 102606107 B1 KR102606107 B1 KR 102606107B1 KR 1020230080585 A KR1020230080585 A KR 1020230080585A KR 20230080585 A KR20230080585 A KR 20230080585A KR 102606107 B1 KR102606107 B1 KR 10260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cket
collar
fu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윌
Priority to KR102023008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털이 부착된 모피원단을 준비한 후 몸통을 구성하는 앞판과 뒷판 각각의 본을 대고, 각 본의 형상대로 절개하여 앞판부와 뒷판부를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원단을 수거하는 1공정; 상기 앞판부와 뒷판부를 재봉하여 몸통을 형성하고, 몸통의 양측에 가죽 원단을 연결하여 소매를 형성하는 2공정; 상기 앞판부의 일부위를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주머니용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투리 원단을 주머니용 절개부의 길이에 맞도록 재단하여 덮개를 제작하는 3공정;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머니를 부착하되 상부를 제외한 측단과 하단을 재봉하여 주머니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3공정에서 수득된 덮개를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상부에 부착시키되 덮개가 주머니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시키되 털이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시키는 4공정; 상기 2공정의 몸통의 상부에 원형으로 목부분을 형성하고, 목부분에 자투리 원단으로 형성된 카라를 부착하되 카라의 털이 외면을 향하도록 하여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Women's clothing using eco-friendly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밍크털과 가죽을 재활용 하여 의류를 제조하도록 하는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피는 오늘날 보온용뿐만 아니라 장식용과 기타 다른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천연모피는 소재의 공급에 한계가 있으므로 고가이다.
천연모피로 옷을 만드는 경우에는 여러 장의 천연모피를 재봉틀로 재봉하여 연결한 후 이를 원하는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여 옷을 만들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자투리 부분이 많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점도 모피의류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종래 천연모피 원단에서 발생되는 자투리 부분은 거의 폐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원 낭비와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선행 특허인 한국특허출원 10-2022-0068173호에는 재사용 밍크 원단을 이용하는 내용이 개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자투리 원단을 이어붙여 몸통을 제조함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자투리 원단끼리 연결된 연결부위가 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특허출원 10-2022-006817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밍크와 같은 퍼가 있는 천연모피를 재단하되 몸통의 앞판과 뒷판은 천연모피의 대부분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재단 후 발생되는 자투리 원단을 이용하여 카라, 소매, 주머니 덮개에 적용함으로써 버려지던 자투리 원단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털이 부착된 모피원단을 준비한 후 몸통을 구성하는 앞판과 뒷판 각각의 본을 대고, 각 본의 형상대로 절개하여 앞판부와 뒷판부를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원단을 수거하는 1공정; 상기 앞판부와 뒷판부를 재봉하여 몸통을 형성하고, 몸통의 양측에 가죽 원단을 연결하여 소매를 형성하는 2공정; 상기 앞판부의 일부위를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주머니용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투리 원단을 주머니용 절개부의 길이에 맞도록 재단하여 덮개를 제작하는 3공정;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머니를 부착하되 상부를 제외한 측단과 하단을 재봉하여 주머니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3공정에서 수득된 덮개를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상부에 부착시키되 덮개가 주머니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시키되 털이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시키는 4공정; 상기 2공정의 몸통의 상부에 원형으로 목부분을 형성하고, 목부분에 자투리 원단으로 형성된 카라를 부착하되 카라의 털이 외면을 향하도록 하여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3공정에서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외주면에 일정 영역의 가죽 표면에 주머니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은 가죽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응고시켜 형성된 1차 레이어와, 상기 1차 레이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두께 1~3mm의 가죽원단을 접착한 다음 로울러로 가압 건조시켜 형성되는 2차 레이어와, 상기 2차 레이어의 표면에 엠보싱작업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엠보와, 상기 2차 레이어의 표면에 버핑작업에 의해 형성된 광택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공정에서, 상기 카라는, 호형으로 자투리 원단을 재단 가공하고, 내측 호형부의 외면에 일정 폭으로 털을 제거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5-1공정; 상기 목부분의 상,하면에 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5-2공정; 상기 카라의 접착부를 목부분의 상면에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한 후 내측으로 접어서 하면에도 접착되도록 하는 5-3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공정의 주머니부재는 내부에서부터 항균원단과, 알루미늄 박막지와, 전자파 차폐원단 및 표면신축원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직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3공정은 일단부에 호형으로 된 호형부가 형성된 지지판의 상면에 카라 원단을 안착시키고, 카라 원단이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카라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와이어를 배치하는 5-3-1단계;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링을 상기 지지판에 대고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카라 원단이 와이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5-3-2단계; 상기 카라 원단의 접착부의 뒷면에 심재가 삽입되는 라인을 따라 칼집을 내고, 상기 칼집 주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5-3-3단계; 상기 지지판의 호형부에 밀착되게 심재를 배치하고, 상기 카라 원단의 접착부를 하방으로 접어서 칼집에 심재가 위치되어 감싸지도록 하여 지지판의 호형부에 접착부의 뒷면 밀착되도록 하는 5-3-4단계; 상기 5-3-2단계의 피스와 와이어를 제거하고 카라 원단을 지지판에서 분리한 후 목부분이 카라 원단의 접착부의 접힌 부위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접착부의 뒷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시키는 5-3-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밍크와 같은 퍼가 있는 천연모피를 재단하되 몸통의 앞판과 뒷판은 천연모피의 대부분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재단 후 발생되는 자투리 원단을 이용하여 카라, 소매, 주머니 덮개에 적용함으로써 버려지던 자투리 원단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주머니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주머니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카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카라와 목부분의 접합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서 심재삽입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서 심재삽입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주머니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주머니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카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카라와 목부분의 접합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서 심재삽입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서 심재삽입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은,
모피원단으로 앞판부(120)와 뒷판부(140)를 제작하는 1공정(S10);
앞판부(120)와 뒷판부(140)를 조립하여 몸통(100)과 소매(160)를 제작하는 2공정(S20);
앞판부(120)에 주머니용 절개부(122)를 형성하고, 덮개(200)를 제작하는 3공정(S30);
주머니부재(400)를 부착하고, 덮개(200)를 부착시키는 4공정(S40);
몸통(100)의 목부분에 카라(300)를 부착하는 5공정(S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공정을 설명한다.
[1공정(S10)]
모피원단을 준비한다. 모피원단은 밍크털이 구비된 모피원단이 바람직하다.
모피원단에 본을 대고 앞판과 뒷판 형성을 도시한 후 절개하여 앞판부(120)와 뒷판부(140)를 각기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부분을 수거한 후 후술될 주머니 덮개(200), 카라(300)의 형상에 맞도록 재단하여 제작한다.
[2공정(S20)]
앞판부(120)와 뒷판부(140)를 맞대어 배치한 후 외곽선을 따라 재봉하여 몸통(100)을 제작한다.
몸통(100)의 양측에는 가죽 원단으로 원통형상으로 미리 제작된 소매원단을 재봉하여 소매(160)를 형성한다.
[3공정(S30)]
앞판부(120)의 일부위를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주머니용 절개부(122)를 형성한다.
자투리 원단을 주머니용 절개부(122)의 길이에 맞도록 재단하여 덮개(200)를 제작한다.
한편 주머니용 절개부(122)의 외주면에 일정 영역의 가죽 표면에 주머니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코팅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150)은 주머니에 손을 넣었다 빼거나 물건을 수납하고 빼는 과정의 잦은 마찰에 의해 가죽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코팅층(150)은
가죽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응고시켜 형성된 1차 레이어(151)와,
1차 레이어(151)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두께 1~3mm의 가죽원단을 접착한 다음 로울러로 가압 건조시켜 형성되는 2차 레이어(152)와,
2차 레이어(152)의 표면에 엠보싱작업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엠보(153)와,
2차 레이어(152)의 표면에 버핑작업에 의해 형성된 광택면(1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공정(S40)]
도 4를 참조하면, 3공정(S30)의 주머니용 절개부(122)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머니부재(400)를 부착하되 상부를 제외한 측단과 하단을 재봉하여 주머니부재(400)를 부착한다.
또한 3공정(S30)에서 수득된 덮개(200)를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122)의 상부에 부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덮개(200)가 주머니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시키되 털(M)이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시킨다. 덮개(200)는 털(M)이 외부에 형성된 가죽원단(210)으로 이루어지므로 주머니에 손을 넣었을때 보온성이 보다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주머니부재(400)는 내부에서부터 항균원단(410)과, 알루미늄 박막지(420)와, 전자파 차폐원단(430) 및 표면신축원단(4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직물재일 수 있다.
항균원단(410)은 직경이 0.015mm 내지 0.05mm인 은사(Siver fiber)를 심사로 사용하고,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를 커버링사로 구성되는 합연사를 면사와 함께 직조하여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박막지(420)는 상기 항균원단(410)에 도포된 접착제에 접착되며, 0.03~0.1mm 두께를 갖는다.
알루미늄 박막지(420)는 두께가 0.03mm 미만하는 경우에는 열을 차단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0.1mm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꺼워져 주머니로 사용하기에 불편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을 통한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알루미늄 박막지(420)에 접착성을 갖는 바인더가 도포된다.
바인더는 폴리우레탄인 것이며, 0.04mm 내지 0.1mm의 두께로 도포된다.
두께 0.04mm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부착력이 저하되고, 두께 0.1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화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알루미늄 박막지의 형상 가변성이 크게 저하되어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사용성 및 부착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전자파 차폐원단(430)은 알루미늄 박막지(420)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된다.
전자파 차폐원단(430)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직물지에 산화알루미나 분말,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흑연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열경화성 수지에 혼합하여 이루어진 수지를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표면신축원단(440)은 전자파 차폐원단(430)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되며, 고신축 스판덱스 원단에 실리콘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5공정(S50)]
2공정(S20)의 몸통(100)의 상부에 원형으로 목부분(180)을 형성한다. 물론 목부분(180)은 원형, 즉 라운드넥의 형상으로만 국한될 필요는 없고, 브이(V)넥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목부분(180)에 자투리 원단으로 형성된 카라(300)를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라(300)의 털이 외면을 향하도록 하여 카라(300)를 세웠을때 털이 목 및 얼굴 피부에 닿아 감싸줌으로써 보온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라(300)를 제작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세분될 수 있다.
상기 1공정(S10)에서 수득된 자투리 원단을 목부분(18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호형으로 재단하여 가공한다.
카라 원단(300-1)은 호형으로 형성되므로 내측 호형부(342)와 외측 호형부(342)를 갖는다.
카라 원단(300-1)의 내측 호형부(342)의 외면에 일정 폭으로 털(M)을 제거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5-1공정(S50-1);
목부분(180)의 상,하면에 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5-2공정(S50-2);
카라(300)의 접착부(300-2)를 목부분(180)의 상면에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한 후 내측으로 접어서 하면에도 접착되도록 하는 5-3공정(S50-3);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5-3공정(S50-3)은 카라의 접착부(300-2)를 접으면서 심재(320)를 삽입하는 심재삽입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심재삽입공정은
일단부에 호형으로 된 호형부(342)가 형성된 지지판(340)의 상면에 카라 원단(300-1)을 안착시키고, 카라 원단(300-1)이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카라 원단(300-1)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와이어(344)를 배치하는 5-3-1단계;
상기 와이어(344)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링을 상기 지지판(340)에 대고 피스(345)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카라 원단(300-1)이 와이어(344)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5-3-2단계;
상기 카라 원단(300-1)의 접착부(300-2)의 뒷면에 심재(320)가 삽입되는 라인을 따라 칼집(300-3)을 내고, 상기 칼집(300-3) 주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5-3-3단계;
상기 지지판(340)의 호형부(342)에 밀착되게 심재(320)를 배치하고, 상기 카라 원단(300-1)의 접착부(300-2)를 하방으로 접어서 칼집(300-3)에 심재(320)가 위치되어 감싸지도록 하여 지지판(340)의 호형부(342)에 접착부(300-2)의 뒷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5-3-4단계;
상기 5-3-2단계(S50-3-2)의 피스(345)와 와이어(344)를 제거하고 카라 원단(300-1)을 지지판(340)에서 분리한 후 목부분(180)이 카라 원단(300-1)의 접착부(300-2)의 접힌 부위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접착부(300-2)의 뒷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시키는 5-3-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몸통 120 : 앞판부
140 : 뒷판부 180 : 목부분
150 : 코팅층 151 : 1차 레이어
152 : 2차 레이어 153 : 엠보
154 : 광택면 200 : 덮개
300 : 카라 M ; 털
400 ; 주머니부재 410 : 항균원단
420 : 알루미늄 박막지 430 : 전자파 차폐원단
440 : 표면신축원단

Claims (3)

  1. 털이 부착된 모피원단을 준비한 후 몸통을 구성하는 앞판과 뒷판 각각의 본을 대고, 각 본의 형상대로 절개하여 앞판부와 뒷판부를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원단을 수거하는 1공정;
    상기 앞판부와 뒷판부를 재봉하여 몸통을 형성하고, 몸통의 양측에 가죽 원단을 연결하여 소매를 형성하는 2공정;
    상기 앞판부의 일부위를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주머니용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투리 원단을 주머니용 절개부의 길이에 맞도록 재단하여 덮개를 제작하는 3공정;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머니를 부착하되 상부를 제외한 측단과 하단을 재봉하여 주머니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3공정에서 수득된 덮개를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상부에 부착시키되 덮개가 주머니의 상부를 덮도록 부착시키되 털이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시키는 4공정;
    상기 2공정의 몸통의 상부에 원형으로 목부분을 형성하고, 목부분에 자투리 원단으로 형성된 카라를 부착하되 카라의 털이 외면을 향하도록 하여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3공정에서 상기 주머니용 절개부의 외주면에 일정 영역의 가죽 표면에 주머니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은
    가죽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응고시켜 형성된 1차 레이어와,
    상기 1차 레이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두께 1~3mm의 가죽원단을 접착한 다음 로울러로 가압 건조시켜 형성되는 2차 레이어와,
    상기 2차 레이어의 표면에 엠보싱작업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엠보와,
    상기 2차 레이어의 표면에 버핑작업에 의해 형성된 광택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4공정의 주머니부재는
    내부에서부터 항균원단과, 알루미늄 박막지와, 전자파 차폐원단 및 표면신축원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직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공정에서, 상기 카라는,
    호형으로 자투리 원단을 재단 가공하고, 내측 호형부의 외면에 일정 폭으로 털을 제거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5-1공정;
    상기 목부분의 상,하면에 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5-2공정;
    상기 카라의 접착부를 목부분의 상면에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한 후 내측으로 접어서 하면에도 접착되도록 하는 5-3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5-3공정은
    일단부에 호형으로 된 호형부가 형성된 지지판의 상면에 카라 원단을 안착시키고, 카라 원단이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카라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와이어를 배치하는 5-3-1단계;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링을 상기 지지판에 대고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카라 원단이 와이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5-3-2단계;
    상기 카라 원단의 접착부의 뒷면에 심재가 삽입되는 라인을 따라 칼집을 내고, 상기 칼집 주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5-3-3단계;
    상기 지지판의 호형부에 밀착되게 심재를 배치하고, 상기 카라 원단의 접착부를 하방으로 접어서 칼집에 심재가 위치되어 감싸지도록 하여 지지판의 호형부에 접착부의 뒷면 밀착되도록 하는 5-3-4단계;
    상기 5-3-2단계의 피스와 와이어를 제거하고 카라 원단을 지지판에서 분리한 후 목부분이 카라 원단의 접착부의 접힌 부위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접착부의 뒷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시키는 5-3-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의 제조 방법.
KR1020230080585A 2023-06-22 2023-06-22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585A KR102606107B1 (ko) 2023-06-22 2023-06-22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585A KR102606107B1 (ko) 2023-06-22 2023-06-22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107B1 true KR102606107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585A KR102606107B1 (ko) 2023-06-22 2023-06-22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1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69A (ko) * 2001-02-26 2002-09-05 삼양모피 주식회사 모피니트의류 및 그 직조방법
KR101430025B1 (ko) * 2014-01-29 2014-08-14 주식회사 러닝투런 자투리 원단을 이용한 상의 및 그의 주머니 제작방법
KR20220068173A (ko) 2020-11-17 2022-05-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췌장 오가노이드 배양 및 이식을 위한 탈세포 췌장 조직 유래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6837B1 (ko) * 2022-06-03 2022-07-05 주식회사 에프더블유코리아 재사용 밍크 원단과 및 인조 모피를 활용한 후드 자켓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8202B1 (ko) * 2022-06-28 2023-01-18 주식회사 비아체에프엔씨 모피의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69A (ko) * 2001-02-26 2002-09-05 삼양모피 주식회사 모피니트의류 및 그 직조방법
KR101430025B1 (ko) * 2014-01-29 2014-08-14 주식회사 러닝투런 자투리 원단을 이용한 상의 및 그의 주머니 제작방법
KR20220068173A (ko) 2020-11-17 2022-05-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췌장 오가노이드 배양 및 이식을 위한 탈세포 췌장 조직 유래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6837B1 (ko) * 2022-06-03 2022-07-05 주식회사 에프더블유코리아 재사용 밍크 원단과 및 인조 모피를 활용한 후드 자켓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8202B1 (ko) * 2022-06-28 2023-01-18 주식회사 비아체에프엔씨 모피의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3880B (zh) 吸收性的、芯吸的可扩展带卷以及具有这种带卷的腰带和服装
JP6844708B2 (ja) 接着芯地及び積層複合材料
KR102606107B1 (ko) 친환경 원단을 활용한 여성복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596024A (zh) 一种防卷曲衣领的制造方法
CN204780392U (zh) 拼接双面呢
WO2019131734A1 (ja) 毛髪保持具
CN103829433B (zh) 成衣及其成衣制作方法
EP1577430A1 (en) Stuffing material of down stems for thermal protection
JP2006249602A (ja) 布帛の結合部分、衣料、及び衣料の製造方法
US20120027988A1 (en) Printed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CN101283847A (zh) 将毛皮粘贴到纤维材料上的方法及用此方法制成的衣物
CN210712327U (zh) 一种高强度耐洗织唛商标
CN101263953A (zh) 环保购物袋及其制备方法
WO2014073736A1 (ko)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573035B1 (ko)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CN104975484A (zh) 拼接双面呢及其拼接方法
CN214229889U (zh) 一种带有拼接袖结构的衣服
CN207252795U (zh) 一种衣领的抗弯曲装置
CN215435464U (zh) 易撕涤纶商标布
CN114098202B (zh) 一种免烫服装双向无缝边结构的制作工艺
JP6384938B1 (ja) 皮革複合部材
JP3156838U (ja) 団扇
KR20120062182A (ko) 의복용 벨트
CN208274685U (zh) 一种纸尿裤魔术贴无溶剂复合机
KR200262992Y1 (ko) 가죽옷 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