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848B1 -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848B1
KR102605848B1 KR1020210128180A KR20210128180A KR102605848B1 KR 102605848 B1 KR102605848 B1 KR 102605848B1 KR 1020210128180 A KR1020210128180 A KR 1020210128180A KR 20210128180 A KR20210128180 A KR 20210128180A KR 102605848 B1 KR102605848 B1 KR 10260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oil
restructured
camellia
oi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746A (ko
Inventor
조순주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after-treatment, e.g. of miscell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되기 전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항염증 효과가 유의하게 향상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부 개선 및 질환 예방, 개선,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Restructured camellia japonica seed oil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한국인의 피부 표면 지질 구성을 모사하여 재구조화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 표면 지질(Skin surface lipid: SSL)은 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구성 성분과 양에 따라 피부 상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표면 지질은 피지선의 지방세포와 표피 세포의 각화 과정에서의 각화 세포에 의해 형성된다. 이중 표피에서 나온 지질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이며 피지선에서 나온 지질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왁스에스터, 스쿠알렌 등이 있다.
대한피부과학회지에 따르면, 한국인의 피부 표면 지질(SSL)의 구성은 트리글리세라이드 27.3~39.8%, 디글리세라이드 6.7~7.5%, 자유지방산 14.6~22.6%, 왁스 이스터 약 1.5%, 스쿠알렌 22.7~29.6%, 콜레스테롤 10.9~14.3%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대한피부과학회지, 30(1), 1-7, 1992). 즉, 피부 표면은 여러 가지의 지질들이 각각 특정 구성비율에 따라 존재한다.
한국 등록 특허공보 10-1703732 및 한국 등록 특허공보 10-1626319는 동백 오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특허들 어디에도, 동백 오일의 구성 비율을 피부 표면 지질의 구성과 유사하게 재구조화 하려는 연구가 진행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는 동백 오일을 재구조화 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와 디글리세라이드, 자유지방산의 구성 비율을 인체 피부 지질, 특히, 한국인의 인체 피부 지질의 구성 비율과 유사하게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백 오일의 대부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효소적으로 전환함으로써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도록 재구조화 하였으며, 이와 같이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되기 전의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피부 개선 효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03732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26319호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콜라겐 합성 증진용,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자유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동백 오일은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5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7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용인, 재구조화 된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용인, 재구조화 된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색소, 향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염증 질환은 심내막염, 심낭염, 심근염, 구내염, 간염, 담낭염, 담도염, 식도염, 대장염, 위염, 장염, 충수염, 췌장염, 기관지염, 갑상선염, 난소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질염, 골수염, 관절염 및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방법은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리파아제는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유래 리파아제인,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하며, 상기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되기 전과 비교하여 효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되기 전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부 상태를 개선하거나 염증성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동백 오일의 HPLC-ELSD 크로마토그램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의 HPLC-ELSD 크로마토그램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되기 전 동백 오일의 DPPH 항산화 효과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되기 전 동백 오일의 아쿠아포린 유전자 발현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되기 전 동백 오일의 NO 생성 억제 효과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용어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기타 다른 참고문헌은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 내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약"은 주어진 값의 위 아래 5%내의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포함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은 임의적으로 추가되는 물질,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동백 종자 분말로부터 통상적인 추출 과정을 거쳐 얻어진 동백 종자 오일로서, 재구조화 과정 후에 지질 구성이 변경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재구조화 과정은 일 실시예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출된 동백 오일에 효소를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재구조화 단계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출된 동백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일 실시예로,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자유지방산을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자유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15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자유지방산의 구성 비율은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 비율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예를 들면, 트리올레인(triolein)을, 디글리세라이드는 예를 들면, 디올레인(diolein)을, 자유지방산은 예를 들면, 올레산(oleic acid)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백 오일"과 "동백 종자 오일"은 모두 동백나무의 종자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개시한다.
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본 발명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전과 비교하여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 비율이 변경된 동백 오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자유지방산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70 중량% 및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및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및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7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5 중량%,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및 자유지방산을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를 참고하면,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실시예 1 내지 6)이 재구조화 되기 전 동백 오일(비교예 1)과 비교하여 항산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보습 증진 효과, 항염증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5 중량%,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및 자유지방산을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에,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항산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보습 증진 효과, 항염증 효과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가장 바람직한 예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및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7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 기재된 효과 중에서 원하는 효과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의 바람직한 지질 구성의 비율이 실시예를 참고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효과에 대해서도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지질 구성 비율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및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약 7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Ⅱ. 동백 오일의 용도
1. 화장료 조성물
-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실시예 및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되기 전의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보습 증진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면 3 내지 5).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항산화용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항산화 효과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하여, 처리한 후에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하여, 처리한 후에 멜라닌 색소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탄력 증진용은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하여, 처리한 후에 프로콜라겐의 생합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보습 증진용은 보습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보습 증진 효과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하여, 처리한 후에 아쿠아포린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효과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하여, 처리한 후에 NO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이외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물질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이외에,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체, 스핑고지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이외에 유기 및 무기 안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색소, 향료, 정제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배합된 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및 상기 유기 안료와 무기 안료의 복합 안료일 수 있다.상기 살균제는, 예를 들면,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일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일 수 있다.이때, 상기 조성물은 크림, 로션, 스킨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페이스트, 크림, 겔, 오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다만, 상기 첨가제, 조성물의 형태, 제형은 상기에 기재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조성물의 형태 및 제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2. 약학적 조성물
-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약학 조성물은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다른 일 실시예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질환은 염증성 질환을 포함한다.
- 염증성 질환
상기 염증성 질환은 심내막염, 심낭염, 심근염, 구내염, 간염, 담낭염, 담도염, 식도염, 대장염, 위염, 장염, 충수염, 췌장염, 기관지염, 갑상선염, 난소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질염, 골수염, 관절염 및 피부염 등의 염증성 질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진 모든 염증성 질환을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이 항염증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 질환 치료 방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환은 위에 기재한 염증성 질환에 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3. 식품용 조성물
본 발명에서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질환은 위에 기재한 염증성 질환에 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상기 재구조화 된 오일을 0.01 ~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 음료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추가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Ⅲ. 동백 오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서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로,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은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는, 일 실시예로 당업계에 통상적인 동백 오일 추출 방법에 따라 동백 나무 종자로부터 동백 오일을 추출하여 얻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동백 나무 (Camellia japonica) 종자를 정제수로 세척하는 과정,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과정, 헥산을 이용하여 동백 종자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동백 오일을 얻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동백 오일 추출 과정을 거쳐 얻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는 이미 추출되어 있는 동백 오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백 오일을 얻는 단계는 직접 동백 나무 종자로부터 추출하는 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2. 상기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제조 방법은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리파아제를 처리함으로써, 리파아제 처리 전에 높은 구성 비율을 가지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가 감소하고, 디글리세라이드 및 자유지방산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자유지방산이 원하는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이 제조될 수 있다.
- 리파아제
이때, 상기 리파아제는 일 실시예로, 리파아제는 써모마이세스속(Thermomyces sp.),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속(Aspergillus sp.),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칸디다속(Candida sp.), 칸디다 안타크티카(Candida antarctica), 칸디다 루고스(Candida rugose), 리조푸스속(Rhizopus sp.), 리조푸스 오리재(Rhizopus oryzae), 리조푸스 니베우스(Rhizopus niveus),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 리조푸스 아르히주스(Rhizopus arrhizus), 리조푸스 자베니쿠스(Rhizopus javenicus), 리조푸스 옥시자에(Rhizopus oxyzae),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 슈도모나스 플루오르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eudomonas cepacia), 뮤코속(Mucor sp.), 뮤코 미에헤이(Mucor miehei), 뮤코 자바니쿠스(Mucor javanicus), 버크홀데리아속(Burkholderia sp.),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클로로박테리움속(Chromobacterium sp. viscosum), 클로로박테리움 비스코섬(Chromobacterium viscosum)등에서 유래한 리파아제 일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리파아제는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에서 유래한 리파아제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리파아제일 수 있다.
- 반응시간
이때, 상기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한 후 반응 시간에 따라, 동백 오일의 지질 구성이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동백 종자 오일 20g,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0.1g, 증류수 20g을 삼각플라스크에 투여하고 진탕 교반기에서 40도를 유지하며 반응시키는 경우, 약 2 시간 내지 8 시간의 반응 시간으로 원하는 지질 구성 비율을 가지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약 3 내지 5 시간의 반응 시간으로 원하는 지질 구성 비율을 가지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동백 종자 오일의 중량, 리파아제의 처리량, 리파아제의 유래, 증류수의 양, 반응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원하는 지질 구성 비율을 가지는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응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자명하다.
Ⅳ. 실시예
1. 동백 종자 오일의 제조
-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종자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한 다음 동백종자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동백종자 분말 100g을 헥산 1,000 mL로 추출한 후 시료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0.01토르(torr), 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여 동백 종자 오일 35g을 얻었다(비교예 1).
2. 재구조화 된 동백 종자 오일의 제조
1.에서 얻어진 동백 종자 오일 20g을,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 (Thermomyces lanuginosus) 유래 리파아제 0.1g, 증류수 20g과 함께 삼각플라스크에 투여하고 진탕 교반기에서 40도를 유지하며 반응시켰다. 0.5 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으로 반응 진행 시간을 각각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100g의 헥산을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추출하여 헥산층을 분리한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0.01토르(torr), 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여 재구조화 된 동백 종자 오일 약 18.5 g을 얻었다(실시예 1 내지 6). 반응 시간에 따른 동백 오일의 지질 구성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조건/
지질함량
비교예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반응시간 0hr 0.5h 1h 2h 4h 8h 12h
Triolein (%) 100 90 80 70 55 30 0
Diolein (%) 0 3 5 7 10 7 5
Oleic acid (%) 0 7 15 23 35 63 95
1. 에서 얻어진 동백 종자 오일(비교예 1)을 재구조화한 후(실시예 1 내지 6) 나타나는 변화를 HPLC-ELSD 로 확인한 결과 트리글리세라이드인 Triolein 성분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여 디글리세라이드인 diolein 과 자유지방산인 oleic acid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반응 시간 4h에서는 각 성분의 비율이 피부 지질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Triolein과 Diolein이 점차 감소되어 거의 자유지방산으로 전환되었다.
3.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된 재구조화 동백 오일 및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70% 에탄올 수용액에 100 μM 농도가 되도록 DPPH(Sigma-Aldrich Co. 미국)을 용해시켜 DPPH 라디칼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DPPH 라디칼 용액에 0.1 ㎕의 재구조화 동백 오일 또는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기 반응액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KMPR-1096A, Konvision Inc., 중국)를 이용하여 530 ㎚의 파장 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A.A)를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을 백분율(%, inhibition)로서 도 3 나타내었다.
[수학식 1]
A: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B: 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비교예 1의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4의 경우는 약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즉,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 및 5 내지 6과 비교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3 > 5 > 2, 6 > 1 순으로 비교예 1 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4.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억제능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 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세포 기반 항산화 효과를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를 형광측정용 96웰 블랙 플레이트에 각 웰당 2.0x104 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무혈청 DMEM(FBS 무첨가)에 하기 표 2에 기재된 시험물질을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넣어 24시간 배양한 후,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한 다음 HCSS에 20μM로 준비된 DCF-DA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를 100 ㎕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하고 HCSS로 세척하였다. 이 후 시료 농도별로 처리된 HCSS를 100 ㎕ 가한 다음 초기에 ROS로 산화된 DCF (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 nm, Em=530 nm)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UVB(30 mJ/cm2)를 조사하고 처리직후 및 처리 3시간 후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 nm, Em=530 nm)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시험물질의 ROS 생성억제능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ROS 생성억제능 실험결과(비처리군의 %)
농도
(ppm)
비교예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Trolox
100 71.7 81.0 65.2 64.7 58.6 72.4 82.1 71.3
50 78.5 86.8 70.2 68.5 62.0 75.5 84.6 84.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2 내지 6의 재구조화 동백 오일은 비교예 1의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 보다 우수한 ROS 생성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트롤록스(Trolox) 보다도 오히려 ROS 생성 억제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6 중에서 가장 ROS 생성 억제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3 > 2 순으로 비교예 1 보다 높은 ROS 생성 억제능을 나타냈다.
5.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미백 활성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 유래의 색소세포인 Melan-a 세포주(Melan-a 세포는 C57BL/6J(black, a/a) 마우스에서 유래한 불멸화 세포주(immortalized cell line)로 (Bennett DC, Cooper PJ, Hart IR. A line of non-tumorigenic mouse melanocyte, syngeneic with the B16 melanoma and requiring a tumor promoter for growth. Int J Cancer 1987; 39:414-418) Dr. Dorothy C Benette(St George's Hospital, London, UK)로부터 제공받아 사용)는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 -13-아세테이트(12-O-tetradecanoyphorbol-13-acetate) 및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배양은 37℃ 및 5% CO2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0.25%의 트립신-EDTA를 처리하여 배양된 Mel-Ab 세포주를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 및 배양하였다. 배양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25 ppm의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또는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을 처리하면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5일 후,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세포를 녹여 4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10 ppm 농도의 코지산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로서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샘플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6 21.4
실시예 5 22.4
실시예 4 56.2
실시예 3 23.5
실시예 2 17.5
실시예 1 15.4
비교예 1 15.6
양성 대조군(코지산) 31.7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6의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은 비교예 1의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더 나아가, 양성 대조군인 코지산과 비교하여도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3 > 5 > 6 > 2 순으로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6.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주름개선 활성을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PromoCell, 독일)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05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플레이트의 90% 정도까지 세포가 배양된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양배지로 배지를 교체하고, 50 ppm의 농도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또는 일반 동백 오일을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일부 취하여 프로콜라겐 I형 ELISA 키트(procollagen type I ELISA kit)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의 함량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확인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동일한 농도의 토코페롤 및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음성 대조군은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프로콜라겐의 함량을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계산하여 콜라겐 합성능(%)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샘플 콜라겐 합성능(%)
실시예 6 104.8
실시예 5 104.1
실시예 4 130
실시예 3 105.4
실시예 2 102.3
실시예 1 94.5
비교예 1 101
음성 대조군 100
토코페롤 115
EGCG 119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6의 재구조화 된 비교예 1의 동백 오일은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콜라겐 생합성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2 내지 6 중에서,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토코페롤 및 EGCG과 비교하여도 더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3 > 6 > 5 > 2 순으로 비교예 1 보다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냈다.
7. 보습활성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 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보습 활성을 아쿠아포린 3(aquaporins 3, AQP3) 단백질의 생성 증가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AQP3 단백질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수분 및 글리세롤의 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AQP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동물모델에서 표피층의 수분 유지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eonatal)인 HEKn 세포주(C-001-5C, invitrogen, 미국)를 10% FBS(fetal bovine serum, Lonza, 스위스),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양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HEKn 세포주에 50 ppm의 농도로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또는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을 처리하고, 12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트리졸(TRIzol?, invitrogen, 미국)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의 농도는 분광광도법으로, 무결성(integrity)은 바이오아날라이저 2100(BioAnalyzer 2100, Agilent Technologies,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의 분리된 RNA를 주형으로 슈퍼스크립트® III(SuperScript® III, invitrogen, 미국)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정량적 실시간 택맨 RT-PCR(TaqMan RT-PCR, 7500Fast, Applied Biosystems, 미국) 기기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함으로써 AQP3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증폭은 95℃에서 10분, 95℃에서 15분(50회), 및 60℃에서 1분의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AQP3 유전자의 발현량 대조군인 RPLPO 유전자의 발현량과 비교하여 상대적 값으로 계산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6의 재구조화 된 동백오일은 비교예 1의 재구조화 전 동백오일과 비교하여 각질형성세포에서 AQP3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6 중에서 가장 높은 아쿠아포린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3 > 5 > 6 > 2 순으로 비교예 1 보다 높은 아쿠아포린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8.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된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과 재구조화 전 동백 오일의 항염증 활성을 NO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NO 생성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Х104 cells/dish density로 96well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상기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과 일반 동백 오일을 각각 50 ppm(w/w)의 농도로 처리한 1시간 후에 염증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2㎍/㎖ 농도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생성되어 배양액에 존재하는 NO 수준을 그리스(Griess)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NO 디텍션키트(detection kit, intron사의 2102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O가 존재한다고 추정되는 배양액을 96 well-플레이트(well plate)에 100㎕씩 분주한 후 N1 버퍼(sulfanilamide) 50㎕를 넣어 1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다. 이어서 N2 버퍼(naphthylethylenediamine) 50㎕를 넣고 1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NO 생성량은 아질산염 기준(nitrite standard)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검량곡선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은 쿼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t-테스트(Paired t-test, 양측검증) 기능을 이용하여 시험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의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이 비교예 1의 일반 동백 오일과 비교하여,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항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6중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 > 5 > 6 > 3 > 2 > 1 순으로 높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각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참고하였을 때, 항산화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항염증 효과 각각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순위는 달랐지만, 상기 효과 모두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실시예 4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자유지방산을 포함하는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로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 포함하고;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50 내지 60 중량% 포함하고;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전체 동백 오일을 기준으로 7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
  3. 제1항의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용인, 화장료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색소, 향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의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심내막염, 심낭염, 심근염, 구내염, 간염, 담낭염, 담도염, 식도염, 대장염, 위염, 장염, 충수염, 췌장염, 기관지염, 갑상선염, 난소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질염, 골수염, 관절염 및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의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인, 식품용 조성물.
  14. 동백 종자 오일을 얻는 단계;
    상기 동백 종자 오일에 리파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파아제는 써모마이세스 라누지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유래 리파아제인, 피부 지질과 유사하게 재구조화된 동백 오일의 제조 방법.
KR1020210128180A 2021-09-28 2021-09-28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KR10260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80A KR102605848B1 (ko) 2021-09-28 2021-09-28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80A KR102605848B1 (ko) 2021-09-28 2021-09-28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46A KR20230045746A (ko) 2023-04-05
KR102605848B1 true KR102605848B1 (ko) 2023-11-24

Family

ID=8588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180A KR102605848B1 (ko) 2021-09-28 2021-09-28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1920A (ja) * 2005-12-28 2009-06-11 ユニバーシティー プトラ マレーシア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24B1 (ko) * 2003-12-12 2006-03-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03732B1 (ko) * 2013-11-07 2017-02-07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626319B1 (ko) 2014-07-15 2016-06-0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4208B1 (ko) * 2019-09-27 2021-05-21 주식회사 대한뷰티산업진흥원 효소촉매 리파제로 제조된 제주 천연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1920A (ja) * 2005-12-28 2009-06-11 ユニバーシティー プトラ マレーシア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zit.tistory.com/627, 동백오일 효능 6가지 알아보아요, 2018.10.24.
박진주. 사용감이 개선되고 벤조피렌 발생이 제거된 동백오일 개발을 위한 초임계 추출 연구.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화장품학과전공 이학석사 학위논문, 19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46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6670166B2 (ja) 化粧料
KR20070056674A (ko) 이카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KR20180124424A (ko) 신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009633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9551A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90088286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05848B1 (ko) 재구조화 된 동백 오일 및 이의 용도
KR102004150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17133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4456A (ko) 인삼 열매와 녹용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20081289A (ko) 아이소리퀴리티게닌 함량이 증가된 감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621499B1 (ko) 속수자 추출물을 포함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30047040A (ko) 백굴채 추출물 및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7002535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025316A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1037A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