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46B1 -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46B1
KR102604546B1 KR1020210014065A KR20210014065A KR102604546B1 KR 102604546 B1 KR102604546 B1 KR 102604546B1 KR 1020210014065 A KR1020210014065 A KR 1020210014065A KR 20210014065 A KR20210014065 A KR 20210014065A KR 102604546 B1 KR102604546 B1 KR 10260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ner space
dry gas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949A (ko
Inventor
마나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05K9/0003Shielded walls, floors, ceilings, e.g. wallpaper, wall panel, electro-conductive plaster, concrete, cement, mort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21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rooms and test sites therefor, e.g. anechoic chambers, open field sites or TEM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전파 실드 챔버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RADIO WAVE SHIELDING CHAMBER AND RADIO WAVE TEST METHOD}
본 발명은,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특허 제4440002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기기의 성능 평가의 시험 등에 이용되는 전파 실드 챔버가 알려져 있다. 이 전파 실드 챔버는, 외부로부터 챔버 내로 전파가 침입하지 않고 또한 챔버 내로부터 외부로 전파가 누설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특히, 챔버 내면에 전파 흡수체가 배치된 것은 전파 암상(暗箱)(전파 암실)으로 불린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파 암실에서는, 전자 실드실의 내면에 전파 흡수체가 배치됨과 더불어, 시험체인 전자 기기를 둘러싸는 커버가 전자 실드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자 실드실 밖에 배치된 공조 설비에 의해 당해 커버 내의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의 주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성능 평가 시험이 행해진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파 암실에서는, 커버 내의 공간을 저온으로 온도 조절한 상태에서 시험할 때에, 이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공조 설비로부터 덕트를 통해 커버 내의 공간에 저온 공기가 공급되면, 당해 저온 공기에 의해 커버도 차게 되고, 커버의 외면 온도가 외측 공간(커버의 외면과 전파 흡수체 사이의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커버의 외면에 결로수가 발생하고, 챔버 내에 있어서 전파가 결로수에 의해 난반사한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은,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은,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1)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파 실드 챔버(1)는, 예를 들면 고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 기기나 차재(車載) 모듈 등의 성능 평가에 이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 실드 챔버(1)는, 챔버(10)와, 제1 칸막이벽(30)과, 전파 흡수체(40)와, 온도 조절 유닛(50)과, 제습부(60)와, 실드 부재(80)와, 제어부(70)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 구성 요소를 각각 설명한다.
챔버(10)는, 공간(20)이 내부에 형성된 상체(箱體)이며, 챔버 밖으로부터 공간(20)으로의 전파의 침입, 및 공간(20)으로부터 챔버 밖으로의 전파의 누설을, 억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챔버(10)는, 외상(外箱)(11)과, 외상(11)과의 사이에 공기층(10A)을 사이에 두고 외상(11)의 내측에 배치된 내상(內箱)(12)을 포함한다. 외상(11) 및 내상(1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판 등의 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 어스 처리되어 있다. 또 외상(11)의 외면(공기층(10A)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에는,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칸막이벽(30)은, 챔버(10) 내의 공간(20)을, 내측 공간(21)과 당해 내측 공간(21)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22)으로 나누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칸막이벽(30)은 내상(12)보다 작은 상체로 이루어지고, 내측 공간(21)에는 통신 기기나 차재 모듈 등의 시험체(S1)가 배치된다. 제1 칸막이벽(30)은, 시험체(S1)가 송수신하는 전파를 투과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재료나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등의 수지 재료가 이용되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내측 공간(21)에는 내측 온도 센서(23) 및 내측 습도 센서(24)가 배치되어 있으며, 외측 공간(22)에는 외측 온도 센서(25) 및 외측 습도 센서(26)가 배치되어 있다.
전파 흡수체(40)는,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등에 카본 가루를 혼합한 것이며, 유전 손실에 의해 전파를 흡수한다(유전성 전파 흡수체). 전파 흡수체(40)는, 외측 공간(22)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내상(12)의 내면(외측 공간(22)측을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도 1). 또한, 전파 흡수체(40)는, 유전성 전파 흡수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전성 섬유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재료 내부의 저항에 의해 전파를 흡수하는 도전성 전파 흡수체나, 페라이트 코어 등의 자기 손실에 의해 전파를 흡수하는 자성 전파 흡수체이어도 된다.
온도 조절 유닛(50)은, 내측 공간(21)을 온도 조절하는 것이며, 온도 조절부(51)와, 공기 공급 덕트(52)와, 공기 배출 덕트(53)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부(51)는, 도시 생략의 히터, 냉동기, 가습기 및 팬 등의 기기를 갖고 있으며, 온습도가 조절된 공조 공기를 발생시킨다.
공기 공급 덕트(52)는, 일단부가 온도 조절부(51)의 공기 출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열재(13), 외상(11), 내상(12) 및 제1 칸막이벽(30)을 관통하여 내측 공간(21)까지 연장되어 있다. 공기 공급 덕트(52)의 타단부(온도 조절부(51)에 접속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내측 공간(21)으로 개구하는 공기 공급구(52A)가 형성되어 있다. 온도 조절부(51)에 의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조 공기는, 공기 공급 덕트(52) 내를 흐른 후, 공기 공급구(52A)로부터 내측 공간(21)으로 공급된다.
공기 배출 덕트(53)는, 일단부가 온도 조절부(51)의 공기 입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공기 공급 덕트(52)와 마찬가지로, 단열재(13), 외상(11), 내상(12) 및 제1 칸막이벽(30)을 관통하여 내측 공간(21)까지 연장되어 있다. 공기 배출 덕트(53)의 타단부(온도 조절부(51)에 접속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내측 공간(21)으로 개구하는 공기 배출구(53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공간(21) 내의 공기는, 공기 배출구(53A)로부터 공기 배출 덕트(53) 내로 배출되고, 당해 공기 배출 덕트(53)를 통해 온도 조절부(51)의 공기 입구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온습도가 조절된 공조 공기가, 공기 공급 덕트(52) 및 공기 배출 덕트(53)를 통해, 온도 조절부(51)와 내측 공간(21) 사이를 순환한다.
제습부(60)는, 외측 공간(22)을 제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습부(60)는, 챔버(10) 밖에 배치된 건조 기체 발생부(61)와, 건조 기체 발생부(61)에서 발생한 건조 기체를 외측 공간(22)으로 공급하는 건조 기체 공급로(62)와, 외측 공간(22)으로부터 챔버(10) 밖으로 건조 기체를 배출하는 건조 기체 배출로(63)를 포함한다.
건조 기체 발생부(61)는, 예를 들면 드라이 에어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압축 에어로부터 실리카 겔 등의 흡습제에 의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드라이 에어를 발생시킨다. 또한, 건조 기체 발생부(61)는, 쿨러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어도 되고, 건식 제습기이어도 된다. 건조 기체 공급로(62)는, 일단부가 건조 기체 발생부(61)의 출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열재(13), 외상(11) 및 내상(12)을 관통하여 외측 공간(22)까지 연장되어 있다. 건조 기체 공급로(62)의 타단부(건조 기체 발생부(61)에 접속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외측 공간(22)으로 개구함과 더불어, 건조 기체 발생부(61)에서 발생한 건조 기체(드라이 에어)를 외측 공간(22)으로 공급하는 건조 기체 공급구(62A)가 형성되어 있다. 건조 기체 공급로(62)는, 예를 들면 덕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건조 기체 배출로(63)에는, 외측 공간(22)으로 개구하는 건조 기체 배출구(63A)와, 챔버(10)의 외부 공간(대기 중)으로 개방된 건조 기체 방출구(63B)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공간(22) 내에 공급된 드라이 에어는, 건조 기체 배출로(63)를 통해 챔버(10) 밖으로 배출된 후, 건조 기체 방출구(63B)로부터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기체 배출구(63A)는, 챔버(10)의 공간(20)을 사이에 두고 건조 기체 공급구(62A)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기체 배출로(63)는, 챔버(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 중, 건조 기체 공급로(62)가 관통하는 벽(14)에 대향하는 벽(15)을 관통하고 있다.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는, 내측 공간(21)을 사이에 두도록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는, 서로 대향하고 있어도 되고,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실드 부재(80)는, 공기가 통과 가능함과 더불어 전파를 반사하는 부재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공급구(52A), 공기 배출구(53A), 건조 기체 공급구(62A) 및 건조 기체 배출구(63A)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공급구(52A) 및 공기 배출구(53A)에 있어서 공조 공기가 유통 가능함과 더불어, 건조 기체 공급구(62A) 및 건조 기체 배출구(63A)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가 유통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4개의 개구부로부터의 전파의 누설도 억제된다. 또한, 실드 부재(80)는, 본 발명의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의 필수의 구성 요소는 아니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개구부로부터의 전파 누설을 방지하는 대책이 강구되어도 된다.
제어부(70)는,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며, 접수부(71)와, 기억부(72)와, 판정부(73)와, 온도 조절 제어부(75)와, 건조 기체 제어부(76)를 포함한다. 접수부(71), 판정부(73), 온도 조절 제어부(75) 및 건조 기체 제어부(76)는, 상기 컨트롤러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실행되는 각 기능이다. 기억부(72)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수부(71)는, 내측 온도 센서(23), 내측 습도 센서(24), 외측 온도 센서(25) 및 외측 습도 센서(26)의 각각으로부터, 측정 데이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기억부(72)에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또 기억부(72)에는, 외측 공간(22)으로 건조 기체를 공급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의 데이터(예를 들면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도 격납되어 있다.
판정부(73)는, 기억부(72)로부터 취득한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의 데이터와 접수부(71)로부터 취득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습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대소 관계를 판정한다. 또 판정부(73)는, 기억부(72)로부터 취득한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의 데이터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대소 관계를 판정한다.
온도 조절 제어부(75)는, 판정부(73)에 의한 판정 결과(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습도의 비교 판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온도 조절부(51)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조절 제어부(75)는,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온습도가 설정 온습도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히터, 냉동기 및 가습기의 출력을 각각 제어(피드백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조 기체 제어부(76)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건조 기체 발생부(61)(드라이 에어 유닛)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기체 제어부(76)는, 판정부(73)에 의한 판정 결과(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의 비교 판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드라이 에어 유닛을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을, 도 2의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본 전파 시험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챔버(10) 내의 내측 공간(21)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외측 공간(22)을 제습하면서, 시험체(S1)와 안테나(S2)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한다.
우선, 시험체(S1)(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통신 기기나 차재 모듈 등)를 내측 공간(21)에 설치함과 더불어, 안테나(S2)를 외측 공간(22)에 설치한다(단계 S10). 안테나(S2)는, 시험체(S1)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챔버(10) 내의 내측 공간(21)의 온도(시험 온도)를 설정한다(단계 S2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마이너스 40℃로 된다.
다음으로, 온도 조절 유닛(50)을 운전한다(단계 S30). 이 단계 S30에서는, 온도 조절부(51)와 내측 공간(21) 사이에서 공조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내측 공간(21)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가까워지도록, 온도 조절 제어부(75)가 온도 조절부(51)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온도 센서(23)에 의해 내측 공간(21)의 온도가 측정되고, 그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온도 조절 제어부(75)가 히터의 출력을 내리고, 또는 냉동기의 출력을 올린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온도 조절 제어부(75)가 히터의 출력을 올리고, 또는 냉동기의 출력을 내린다.
한편, 상기 단계 S20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온도가 설정된 후,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한다(단계 S40).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가 예를 들면 10℃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정부(73)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마이너스 40℃)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10℃) 이하라고 판정한다(단계 S40의 YES).
상기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시킨다(단계 S50). 이에 의해, 외측 공간(22)에 드라이 에어가 공급되고, 외측 공간(22)이 제습된다. 그 결과,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가 내려간다.
이와 같이, 내측 공간(21)의 온도 조절 및 외측 공간(22)의 제습을 병행하여 행하면서, 시험체(S1)와 안테나(S2)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가 평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체(S1)로부터 발사된 전파를 안테나(S2)가 수신하고, 적정한 전파가 시험체(S1)로부터 발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또, 시험체(S1)가 안테나(S2)로부터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그리고,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하면(단계 S60의 YES), 온도 조절 유닛(50) 및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정지하고, 본 전파 시험 방법을 종료한다.
한편,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단계 S60의 NO), 단계 S40의 판정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시험 중에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변경되고, 당해 변경 후의 설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단계 S40의 NO),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정지한다(단계 S70). 그 후,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의 동안에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다시 변경되고, 당해 변경 후의 설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 이하일 때에는(단계 S40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재개한다(단계 S5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1)에 의하면, 챔버(10) 내의 외측 공간(22)의 습도를 제습부(60)에 의해 내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챔버(10) 내의 내측 공간(21)을 저온(예를 들면 마이너스 40℃)으로 온도 조절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30)의 외면 온도가 내려가도, 당해 외면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가 제1 칸막이벽(30)의 외면 온도 이하까지 내려가도록, 외측 공간(22)을 제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30)의 외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10)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결로수에 의한 전파 흡수체(40)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칸막이벽(30)의 외면 온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당해 제1 칸막이벽(30)을 두껍게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올리면, 제1 칸막이벽(30)의 전파 투과 성능이 저하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공간(22)으로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제1 칸막이벽(30)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칸막이벽(30)의 전파 투과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제1 칸막이벽(30)의 외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드라이 에어 유닛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내측 온도 센서(23)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제어가 실행되어도 된다.
도 3 중의 단계 S11~S31은, 도 2 중의 단계 S10~S30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단계 S31에서 온도 조절 유닛(50)의 운전을 개시한 후, 내측 온도 센서(23)에 의해 내측 공간(21)의 온도를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당해 측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예를 들면 10℃)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한다(단계 S41).
예를 들면, 설정 온도가 저온인 경우에 있어서, 온도 조절 유닛(50)의 운전 개시 직후이며, 내측 공간(21)의 온도가 충분히 내려가지 않았을 때에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정된다(단계 S41의 NO). 이 경우, 드라이 에어 유닛은 정지 상태인 채이며(단계 S71), 단계 S61에서 「NO」라고 판정되면, 단계 S41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온도 조절 유닛(50)의 운전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내려가고, 당해 측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 이하라고 판정된다(단계 S41의 YES). 이 경우,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개시시킨다(단계 S51).
그리고,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의 동안은, 단계 S41에 의한 판정이 반복되는데,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 이하로 유지되고 있는 한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계속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내측 공간(21)의 온도가 건조 기체 공급 기준 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의 동안은, 드라이 에어 유닛이 정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측 공간(21)의 온도 조절 개시와 더불어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하는 경우에 비해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2 중의 단계 S40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하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변형예 3>
도 3 중의 단계 S41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하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하지만,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 외측 공간(22)으로 드라이 에어가 공급되도록,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제어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제어부(70)가,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에 더하여, 연산부(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갖는다. 당해 연산부는, 내측 공간(21) 및 외측 공간(22)의 온습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내측 공간(21) 및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파 시험 방법(제어부(70)에 의한 드라이 에어 유닛의 제어 플로)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중의 단계 S12~S32는, 도 2 중의 단계 S10~S30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단계 S22 후, 외측 온도 센서(25) 및 외측 습도 센서(26)에 의해 외측 공간(22)의 온습도가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연산부가 외측 공간(22)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 S42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한다.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예를 들면 마이너스 40℃)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는(단계 S42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개시시킨다(단계 S52). 이에 의해, 외측 공간(22)에 드라이 에어가 공급되고, 외측 공간(22)의 습도가 내려감으로써 당해 외측 공간(22)의 이슬점이 내려간다.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의 동안은, 단계 S42에 의한 판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드라이 에어의 공급에 의해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가 내려가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다고 판정되면(단계 S42의 NO),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정지시킨다(단계 S72). 한편,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또한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는(단계 S42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는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을 계속한다(단계 S52).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도 고려하여, 외측 공간(22)으로의 드라이 에어의 공급 타이밍이 조정된다. 이 때문에, 외측 공간(22)에 있어서의 제습의 필요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한 다음, 적절한 타이밍으로 외측 공간(22)에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내측 온도 센서(23)의 측정 온도)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외측 공간(22)으로의 드라이 에어의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해도 된다. 즉, 도 4 중의 단계 S22 후에 내측 공간(21)의 온도를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단계 S42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을 때에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정지(또는 정지 계속)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3)의 구성을,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3)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 및 2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드라이 에어를 순환시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습부(60)는, 건조 기체 배출로(63)를 통해 드라이 에어를 건조 기체 발생부(61)로 순환시킴과 더불어, 드라이 에어의 습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기체 배출로(63) 중 건조 기체 배출구(63A)와 반대측의 단부가, 건조 기체 발생부(61)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 에어는, 건조 기체 발생부(61)와 외측 공간(22) 사이에서, 건조 기체 공급로(62) 및 건조 기체 배출로(63)를 통해 순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조 기체 발생부(61)에는, 드라이 에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기구(예를 들면 냉동 장치에 의한 냉각 제습기나 데시컨트식의 제습기 등)가 내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측 공간(22)에 있어서 수분을 흡수한 드라이 에어가 건조 기체 발생부(61)에 있어서 제습되고, 다시 외측 공간(22)으로 공급된다. 당해 수분 제거 기구는, 외측 습도 센서(26)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작동하고, 외측 공간(22)의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작동함과 더불어, 당해 목표 습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정지한다. 또, 외측 공간(22)의 습도가 소정의 목표 습도보다 높아지면, 수분 제거 기구를 작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 에어의 습도를 조절하면서 당해 드라이 에어를 순환시킴으로써, 외측 공간(22)의 습도를 보다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제거 기구는, 외측 온도 센서(25) 및 외측 습도 센서(26)의 측정치로부터 산출되는 이슬점 온도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수분 제거 기구는, 산출된 이슬점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작동함과 더불어 당해 목표 온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정지하고, 산출된 이슬점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보다 높아지면 작동한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4)의 구성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4)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3)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외측 공간(22)에 배치된 기체 안내판(81)을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3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기체 공급로(62) 및 건조 기체 배출로(63)가, 챔버(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벽 중 동일한 벽(벽(14))을 관통하고 있으며,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가 서로 인접하고 있다. 기체 안내판(81)은,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 사이에 위치하도록, 외측 공간(22)에 배치되어 있다.
기체 안내판(81)은, 드라이 에어가 외측 공간(22)을 주회(周回)하도록 당해 드라이 에어의 흐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기체 공급구(62A)로부터 외측 공간(22)으로 공급된 드라이 에어는, 챔버(10)의 벽(14), 상벽(16), 벽(15), 하벽(17)의 순으로 외측 공간(22)을 유통하고, 그 후, 건조 기체 배출구(63A)로부터 건조 기체 배출로(63) 내로 빨려 들어간다.
또한, 여기에서는, 챔버(10)의 임의의 단면(벽(14, 15), 상벽(16) 및 하벽(17)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외측 공간(22)에서의 드라이 에어의 흐름을 설명했는데, 기체 안내판(81)은 도 6 중의 지면 앞방향 및 지면 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건조 기체 공급구(62A)로부터 외측 공간(22)에 공급된 드라이 에어는, 상벽(16)측으로 흐름과 더불어, 기체 안내판(81)을 따라 도 6 중의 지면 앞방향 및 지면 안방향으로도 흐른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4에서는,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를 서로 근접시켰을 경우에도, 외측 공간(22)의 넓은 범위에 걸쳐 드라이 에어를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건조 기체 공급구(62A)와 건조 기체 배출구(63A)를 서로 반대측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비해, 건조 기체 배출로(63)의 덕트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 기체 안내판(81)은, 전파를 투과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의 구성을,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 및 2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드라이 에어를 가열하는 가열부(90)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열부(90)는, 예를 들면 히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부(90)는, 건조 기체 공급로(62)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 에어 유닛(건조 기체 발생부(61))에서 발생한 드라이 에어가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되고, 승온 후의 드라이 에어가 외측 공간(22)으로 도입된다. 그 결과,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이 가열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부(90)는, 외측 공간(22)에 공급되는 드라이 에어를 가열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30)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70)는, 가열부(90)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77)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열 제어부(77)는, CPU의 하나의 기능이며, 가열부(90)의 히터 출력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제어부(77)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와 외측 공간(22)의 온도에 의거하여 가열부(90)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70)는, 연산부(74)를 갖는다. 연산부(74)는, 내측 공간(21) 및 외측 공간(22)의 온습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내측 공간(21) 및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파 실드 챔버(5)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을, 도 8의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본 전파 시험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내측 공간(21)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제1 칸막이벽(30)을 가열하면서, 시험체(S1)와 안테나(S2)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한다.
우선,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시험체(S1)를 내측 공간(21)에 설치함과 더불어, 안테나(S2)를 외측 공간(22)에 설치한다(단계 S13). 다음으로, 챔버(10) 내의 내측 공간(21)의 온습도를 설정한다(단계 S2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85℃로 되고, 또 내측 공간(21)의 설정 습도가 85%(상대습도)로 된다.
다음으로, 온도 조절 유닛(50)을 운전시킨다(단계 S33). 내측 공간(21)의 온도 제어는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습도도 이하와 같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습도 센서(24)에 의해 내측 공간(21)의 습도가 측정되고, 그 측정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높을 때에는, 온도 조절 제어부(75)가 가습기의 출력을 내린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측정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을 때에는, 온도 조절 제어부(75)가 가습기의 출력을 올린다.
한편, 단계 S23 후, 외측 온도 센서(25)에 의해 외측 공간(22)의 온도가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다. 그리고, 단계 S43에 있어서,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한다. 여기서, 설정 이슬점 온도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85℃, 85%)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산출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83℃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험 개시 직후에 있어서, 외측 공간(22)의 온도는 상온 부근이다. 이 때문에,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 이하라고 판정되어(단계 S43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함과 더불어 가열 제어부(77)가 가열부(90)를 작동시킨다(단계 S53). 이에 의해, 가열된 드라이 에어가 외측 공간(22)에 공급되고,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이 승온한다.
그리고,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 및 가열부(90)의 작동 개시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오르고, 당해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83℃)보다 높아진다(단계 S43의 NO). 이 경우,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정지함과 더불어 가열 제어부(77)가 가열부(90)를 정지시킨다(단계 S73). 시험의 종료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의 동안은, 단계 S43에 의한 판정이 반복되는데,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를 초과할 때까지는, 드라이 에어 유닛의 운전 및 가열부(90)의 작동을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된 드라이 에어를 외측 공간(22)으로 공급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30)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챔버(10) 내의 내측 공간(21)이 고온 고습의 상태(예를 들면 85℃, 85%)이어도, 제1 칸막이벽(30)의 내면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30)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10)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설정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설정 이슬점 온도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제어하지만,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습도(내측 온도 센서(23) 및 내측 습도 센서(24)에 의한 측정치)에 의거하는 제어가 실행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중의 단계 S23 후에 내측 공간(21)의 온습도를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치에 의거하여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가 연산부(74)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그리고, 단계 S43에 있어서,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제어해도 된다.
<변형예 2>
도 8 중의 단계 S43에 있어서,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이하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또한, 변형예 2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그 외 변형예>
도 8 중의 단계 S53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 유닛의 송풍 기능이 온이고 또한 제습 기능이 오프의 상태에서, 가열부(90)를 작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습되어 있지 않은 에어가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되어 외측 공간(22)에 공급되는데,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이 동일하게 가열된다.
또 가열부(90)는, 에어의 송풍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같은 단계 S53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 유닛의 송풍 기능 및 제습 기능을 모두 오프로 하고(운전 정지), 가열부(90)의 가열 기능 및 송풍 기능을 온으로 함으로써, 외측 공간(22)에 가열 에어를 공급해도 된다. 이 경우도,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이 동일하게 가열된다.
가열부(90)는, 건조 기체 공급로(62)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라이 에어 유닛(건조 기체 발생부(61))에 내장된 히터이어도 된다. 또 건조 기체 공급로(62)에 양단이 접속된 바이패스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로에 가열부(90)가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열부(90)는,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3, 4)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6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를 이용하지 않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제어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5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제어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중의 단계 S14~S34는, 도 8 중의 단계 S13~S33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계 S44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부(73)가 판정한다. 설정 이슬점 온도는, 단계 S24에서 설정된 온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또 가열 기준 온도는, 가열된 드라이 에어의 공급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온도이며, 예를 들면 30℃로 설정된다. 이 가열 기준 온도의 데이터는, 기억부(72)에 격납된다.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일 때에는(단계 S44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함과 더불어, 가열 제어부(77)가 가열부(90)를 작동시킨다(단계 S54). 한편,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단계 S44의 NO),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정지 상태인 채로 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험 종료 조건을 만족한 시점에서(단계 S64의 YES), 전파 시험을 종료한다.
한편,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단계 S64의 NO), 단계 S44의 판정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시험 중에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가 변경되면, 당해 변경 후의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된다.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운전 중일 때,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는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운전을 계속하고, 한편으로 당해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운전을 정지한다(단계 S74). 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운전 정지 중일 때,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는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운전을 개시하고, 한편으로 당해 설정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운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변형예 1>
도 10은, 실시 형태 6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제어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가열 제어부(77)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 대신에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가열부(90)를 제어해도 된다.
도 10 중의 단계 S15~S35는, 도 9 중의 단계 S14~S34와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단계 S25 후에 내측 공간(21)의 온습도를 상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 S45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일 때에는(단계 S45의 YES), 건조 기체 제어부(76)가 드라이 에어 유닛을 운전 개시함과 더불어 가열 제어부(77)가 가열부(90)를 작동시킨다(단계 S55). 한편,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단계 S45의 NO),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정지 상태로 한다(단계 S75).
본 변형예에서는, 시험의 종료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의 동안, 단계 S45의 판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실제의 이슬점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동안은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정지 상태로 하고,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동안은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상시 작동시킨다.
<변형예 2>
도 9 중의 단계 S44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또 변형예 2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7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외측 공간(22)을 제습하는 건조 상태와, 가열부(90)에 의해 드라이 에어 또는 제1 칸막이벽(30)이 가열되는 가열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5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환부는, 적어도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또는 적어도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패턴 (1)~(6)의 각 전환 제어를 행한다.
우선, 패턴 (1)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만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소정의 기준 온도(예를 들면 25℃) 이상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일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상기 기준 온도는, 예를 들면 15℃ 이상 35℃ 이하와 같이, 소정의 범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당해 온도 범위의 상한치 이상이 될 때에 상기 가열 상태로 전환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당해 온도 범위의 하한치 이하가 될 때에 상기 건조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패턴 (1)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패턴 (2)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이슬점 온도가 소정의 기준 온도 이상이 될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가 소정의 기준 온도를 밑돌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패턴 (2)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습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습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패턴 (3)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낮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패턴 (3)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패턴 (4)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내측 공간(21)의 측정 습도 및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이슬점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낮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패턴 (4)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의 비교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다음으로, 패턴 (5)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및 외측 공간(22)의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이슬점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패턴 (5)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패턴 (6)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내측 공간(21)의 측정 습도,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및 외측 공간(22)의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이슬점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가 작동하도록 전환부가 건조 가스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연산부(74)가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를 산출하고, 당해 이슬점 온도가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 드라이 에어 유닛이 작동하고 또한 가열부(90)가 정지가 되도록, 전환부가 건조 기체 제어부(76) 및 가열 제어부(77)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또한, 패턴 (6)의 전환 제어에서는,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의 비교에 의거하여, 전환부가 상기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열 상태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 유닛 및 가열부(90)의 양쪽 모두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상기 패턴 (1)~(6)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 유닛을 정지하고 또한 가열부(90)를 작동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 5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부(90)에 의한 에어의 가열 기능 및 송풍 기능을 이용하여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을 가열해도 된다. 또 에어를 통하지 않고 제1 칸막이벽(30)을 직접 가열하는 가열부(90)를 작동시켜도 된다.
(실시 형태 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7)의 구성을,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8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7)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외측 공간(22)을 나누는 제2 칸막이벽(91)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5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칸막이벽(91)은, 외측 공간(22)을, 내측 공간(21)을 둘러싸는 제1 외측 공간(22A)과 안테나(S2)를 배치 가능한 제2 외측 공간(22B)으로 나누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기체 공급구(62A) 및 건조 기체 배출구(63A)는, 제1 외측 공간(22A)으로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된 드라이 에어는, 제1 외측 공간(22A)에 공급되지만, 제2 외측 공간(22B)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제2 칸막이벽(91)은, 전파를 투과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공간(21)이 고온 고습의 상태이며, 제1 칸막이벽(30)의 내면(내측 공간(21)측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결로를 억제하기 위해 제1 외측 공간(22A)으로 가열된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제2 외측 공간(22B)의 온도를 제1 외측 공간(22A)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열성이 낮은 안테나(S2)를 제2 외측 공간(22B)에 배치했을 경우에, 안테나(S2)가 열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2 칸막이벽(91)은, 상기 실시 형태 1~7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9)를,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9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9)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5 및 6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5)와 동일하지만, 건조 기체 발생부(61)를 구비하지 않고 또한 가열 기체가 순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가열부(90)는, 팬 등의 송풍 기구와, 당해 송풍 기구로부터 보내지는 기체(예를 들면 에어)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기구를 포함한다. 가열 제어부(77)는, 송풍 기구 및 가열 기구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전파 실드 챔버(9)는, 가열부(90)로부터 외측 공간(22)으로 가열 기체를 공급하는 가열 기체 공급로(92)와, 외측 공간(22)으로부터 배출된 가열 기체를 가열부(90)로 되돌리는 가열 기체 배출로(9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기체 공급로(92)는, 단열재(13), 외상(11) 및 내상(12)을 관통하여 외측 공간(2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공급구(92A)로부터 외측 공간(22)으로 가열 기체를 공급한다. 한편, 가열 기체 배출로(93)도 단열재(13), 외상(11) 및 내상(12)을 관통하여 외측 공간(2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 공간(22) 내의 가열 기체가 배출구(93A)로부터 가열 기체 배출로(93)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열 기체는, 가열부(90)와 외측 공간(22)의 사이에 있어서, 가열 기체 공급로(92) 및 가열 기체 배출로(93)를 통해 순환한다. 그리고, 가열 기체에 의해 외측 공간(22) 및 제1 칸막이벽(30)이 가열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부(90)는, 기본적으로 도 8~도 10과 동일한 플로로 제어된다. 즉, 도 8~도 10의 단계 S53, S54, S55에 있어서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각각 작동시키고, 같은 도면의 단계 S73, S74, S75에 있어서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각각 정지시킨다.
<변형예>
실시 형태 9에서는 가열 기체를 순환시키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외측 공간(22)으로부터 배출된 가열 기체가 대기 중에 방출되어도 된다. 즉, 가열 기체 배출로(93) 중 배출구(93A)와 반대측의 단부가 대기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가열부(90)는, 외측 공간(22)에 공급되는 기체를 가열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30) 및 외측 공간(22)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칸막이벽(30)을 직접 가열하는 히터 등이어도 된다.
가열부(90)의 제어 패턴으로서는, 이하의 변형예를 들 수 있다.
도 8 중의 단계 S43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소정의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당해 기준 온도 이상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당해 기준 온도 미만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이 때,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도 8 중의 단계 S43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소정의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당해 기준 온도 이상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당해 기준 온도 미만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이 때,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실제의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도 8 중의 단계 S43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상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미만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이 때,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설정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도 8 중의 단계 S43에 있어서,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이상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개시하고(또는 운전 계속하고),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가 외측 공간(22)의 측정 온도 미만일 때에 가열부(90)의 팬 및 히터를 운전 정지(또는 운전 정지를 계속)해도 된다. 이 때, 내측 공간(21)의 설정 이슬점 온도를 대신하여, 내측 공간(21)의 측정 온도 및 측정 습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실제의 내측 공간(21)의 이슬점 온도가 이용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8에서 설명한 제2 칸막이벽(91)은, 실시 형태 9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9)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외 실시 형태)
여기서, 본 발명의 그 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습부의 다른 예로서는, 외측 공간(22)에 배치되는 실리카 겔 등의 흡습제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 에어를 건조 기체의 일례로서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불활성 가스 등의 타종류의 건조 기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 전파 흡수체(40)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전파 흡수체(40)를 챔버(10) 내에 배치하는지 여부는, 전파 실드 챔버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시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전파 실드 챔버에는, 스마트폰 등의 전파 시험을 행하는 비교적 소형의 것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통신용 모듈이 탑재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대형의 것(전파 실드 룸)도 포함된다.
내측 공간(21) 및 외측 공간(22)의 이슬점 온도는, 측정 온습도 또는 설정 온습도에 의거하는 연산에 의해 산출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점계를 이용하여 직접 검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를 개설(槪說)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파 실드 챔버에 의하면, 챔버 내의 외측 공간의 습도를 제습부에 의해 내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챔버 내의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 유닛에 의해 저온으로 온도 조절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의 외면 온도가 내려가도, 당해 외면 온도가 외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의 외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이 억제되어,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챔버 밖에 배치된 건조 기체 발생부와,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에서 발생한 건조 기체를 상기 외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건조 기체 공급구가 형성된 건조 기체 공급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기체를 이용하여 외측 공간을 간단하게 제습할 수 있다. 또 외측 공간에 전파 흡수체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고습도 환경이나 결로수에 의한 전파 흡수체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를 제어하는 건조 기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그 측정 온도가 낮고 제1 칸막이벽의 외면 온도가 내려가기 쉬운 경우에 외측 공간으로 건조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의 외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그 측정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외측 공간으로의 건조 기체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가 상기 외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 상기 외측 공간으로 상기 건조 기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를 제어하는 건조 기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도 고려하여 외측 공간으로의 건조 기체의 공급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결로수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챔버 밖으로 상기 건조 기체를 배출하는 건조 기체 배출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건조 기체 배출로에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 개구하는 건조 기체 배출구와, 상기 챔버의 외부 공간으로 개방된 건조 기체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기체를 챔버의 외부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기체를 순환시키는 구성에 비해 설비가 간소화되어,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챔버 밖으로 상기 건조 기체를 배출하는 건조 기체 배출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건조 기체 배출로를 통해 상기 건조 기체를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기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외측 공간의 습도를 보다 확실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건조 기체가 상기 외측 공간을 주회하도록 상기 건조 기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기체 안내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기체 공급구와 건조 기체 배출구를 서로 근접시켰을 경우에도, 건조 기체를 외측 공간의 넓은 범위로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기체 공급구와 건조 기체 배출구를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순환식의 제습부를 이용했을 경우에 건조 기체 공급로나 건조 기체 배출로의 덕트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건조 기체 공급구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 기체가 통과 가능함과 더불어 전파를 반사하는 실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조 기체 공급구로부터 외측 공간으로 건조 기체를 공급 가능함과 더불어, 건조 기체 공급구를 통해 챔버 밖으로 전파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건조 기체 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열된 건조 기체를 외측 공간으로 공급하고, 또는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공간이 고온 고습의 상태이어도, 제1 칸막이벽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측정 온도와, 상기 외측 공간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측 공간의 측정 온도와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적어도 측정 온도를 고려하여, 건조 기체를 가열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공간이 고온 고습의 상태이어도, 제1 칸막이벽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측 공간의 온도와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적어도 측정 온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하여 건조 기체의 가열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가열 제어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적어도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 또는 적어도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건조 기체 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이 가열되는 가열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칸막이벽의 내면 및 외면의 양쪽 모두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바와 같이, 챔버 내의 제습과 가열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실드 챔버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파 실드 챔버에 의하면, 제1 칸막이벽의 온도를 가열부에 의해 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챔버 내의 내측 공간이 고온 고습의 상태이어도, 제1 칸막이벽의 내면 온도가 내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파 실드 챔버는, 상기 외측 공간을,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공간과,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배치 가능한 제2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2 칸막이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칸막이벽은, 전파를 투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공간이 고온 고습의 상태이며, 제1 칸막이벽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를 억제하기 위해 제1 외측 공간의 온도를 올렸을 경우에도, 제2 외측 공간의 온도를 제1 외측 공간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열성이 낮은 안테나를 외측 공간에 배치했을 경우에, 당해 안테나가 열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은,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는, 챔버 내의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외측 공간을 제습하면서, 시험체와 안테나 사이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가 평가된다. 이 때문에, 시험 조건에 따라 내측 공간을 저온으로 온도 조절함으로써 제1 칸막이벽의 외면 온도가 내려가도, 당해 외면 온도가 외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의 외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전파 시험 방법은,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는, 챔버 내의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면서, 시험체와 안테나 사이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가 평가된다. 이 때문에, 내측 공간을 고온 고습으로 한 상태에서 시험하는 경우에도, 제1 칸막이벽의 내면 온도가 내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칸막이벽의 내면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 내에서의 결로수에 의한 전파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6)

  1.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부를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챔버 밖에 배치된 건조 기체 발생부와,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에서 발생한 건조 기체를 상기 외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건조 기체 공급구가 형성된 건조 기체 공급로를 포함하는, 전파 실드 챔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를 제어하는 건조 기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가 상기 외측 공간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 때에, 상기 외측 공간으로 상기 건조 기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를 제어하는 건조 기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챔버 밖으로 상기 건조 기체를 배출하는 건조 기체 배출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건조 기체 배출로에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 개구하는 건조 기체 배출구와, 상기 챔버의 외부 공간으로 개방된 건조 기체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파 실드 챔버.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챔버 밖으로 상기 건조 기체를 배출하는 건조 기체 배출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건조 기체 배출로를 통해 상기 건조 기체를 상기 건조 기체 발생부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파 실드 챔버.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기체가 상기 외측 공간을 주회(周回)하도록 상기 건조 기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기체 안내판을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기체 공급구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 기체가 통과 가능함과 더불어 전파를 반사하는 실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기체 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측정 온도와, 상기 외측 공간의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설정 온도 또는 상기 내측 공간의 적어도 측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공간의 측정 온도 또는 적어도 상기 내측 공간의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는 건조 상태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건조 기체 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이 가열되는 가열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추가로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13.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을, 시험체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과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1 칸막이벽으로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상기 제1 칸막이벽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 유닛과,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전파 실드 챔버.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공간을,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공간과,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배치 가능한 제2 외측 공간으로 나누는 제2 칸막이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칸막이벽은, 전파를 투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전파 실드 챔버.
  15.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외측 공간을 제습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파 시험 방법.
  16. 시험체 및 상기 시험체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중 적어도 상기 시험체를, 챔버 내에 있어서 제1 칸막이벽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 공간 및 상기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외측 공간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내측 공간을 온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제1 칸막이벽을 가열하면서, 상기 시험체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서의 전파의 송수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파 시험 방법.
KR1020210014065A 2020-02-14 2021-02-01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 KR10260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3434A JP7307687B2 (ja) 2020-02-14 2020-02-14 電波シールドチャンバー及び電波試験方法
JPJP-P-2020-023434 2020-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49A KR20210103949A (ko) 2021-08-24
KR102604546B1 true KR102604546B1 (ko) 2023-11-22

Family

ID=7722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065A KR102604546B1 (ko) 2020-02-14 2021-02-01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07687B2 (ko)
KR (1) KR102604546B1 (ko)
CN (1) CN1132717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9B1 (ko) * 2006-10-10 2008-01-02 (주) 쎄믹스 고온 및 저온의 테스트 가능한 웨이퍼 프로버 장치
JP2008166474A (ja) * 2006-12-28 2008-07-17 Espec Corp 環境試験装置
JP2010003935A (ja) * 2008-06-20 2010-01-07 Tdk Corp アンテナ特性測定装置
JP2010230281A (ja) * 2009-03-27 2010-10-14 Espec Corp 環境調節方法及び恒温恒湿装置
JP2016090482A (ja) * 2014-11-07 2016-05-23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方法及び環境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978B2 (ja) * 1995-12-05 2006-05-24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電磁シールドルームへの空調ダクト取付け構造
JP5298454B2 (ja) * 2007-04-18 2013-09-25 株式会社Ihi 水中電波暗室
CN207181536U (zh) * 2017-09-20 2018-04-03 青岛中卓海泰微波科技有限公司 一种兼容性的天线测试暗室
US10935596B2 (en) * 2018-07-20 2021-03-02 Rohde & Schwarz Gmbh & Co. Kg Test system and method with a thermally isolated hollow body inside an over the air measurement cha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9B1 (ko) * 2006-10-10 2008-01-02 (주) 쎄믹스 고온 및 저온의 테스트 가능한 웨이퍼 프로버 장치
JP2008166474A (ja) * 2006-12-28 2008-07-17 Espec Corp 環境試験装置
JP2010003935A (ja) * 2008-06-20 2010-01-07 Tdk Corp アンテナ特性測定装置
JP2010230281A (ja) * 2009-03-27 2010-10-14 Espec Corp 環境調節方法及び恒温恒湿装置
JP2016090482A (ja) * 2014-11-07 2016-05-23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方法及び環境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7687B2 (ja) 2023-07-12
CN113271757A (zh) 2021-08-17
KR20210103949A (ko) 2021-08-24
JP2021129039A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8760B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US942072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JP4361272B2 (ja) 環境制御された振動器区画室を有する試験装置
JP4718437B2 (ja) 環境試験装置
US20170010006A1 (en) Dehumidification system
EP3312094B1 (en) Modular environmental control chamber
US20140341253A1 (en) Anomaly detector and environmental tester including the same
KR102604546B1 (ko) 전파 실드 챔버 및 전파 시험 방법
JP2017156120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空調装置
JP2017156120A5 (ko)
KR102311362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온습도 제어용 빌딩설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587971B2 (ja) 環境試験装置
JP2007071457A (ja) 環境試験用空調装置
JP2017032575A (ja) 環境チャンバ装置および被試験装置を試験する方法
JP2011029341A (ja) 電子機器冷却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冷却方法,プログラム
US10927493B2 (en) Dryer and absolute humidity difference sensor
CN113054573B (zh) 一种智能电力柜
KR20090029413A (ko) 환경 시험용 챔버
JP2001017868A (ja) 試験用恒温装置
JP2018105786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環境試験方法
JP2963323B2 (ja) 補助加湿器制御付き環境試験装置
KR100400744B1 (ko) 무향 시스템
KR101576485B1 (ko) 응축기의 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JP2020125901A (ja) 保管庫
KR102395467B1 (ko) 에어컨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