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968B1 -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 Google Patents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968B1
KR102602968B1 KR1020230075134A KR20230075134A KR102602968B1 KR 102602968 B1 KR102602968 B1 KR 102602968B1 KR 1020230075134 A KR1020230075134 A KR 1020230075134A KR 20230075134 A KR20230075134 A KR 20230075134A KR 102602968 B1 KR102602968 B1 KR 10260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container
lid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진원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원, 이우석 filed Critical 이진원
Priority to KR102023007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병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에 담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용기로 밀어 떨어뜨려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과, 일단이 상기 뚜껑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봉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봉을 구속하는 구속판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Case with improved shelf life and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성능을 확보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 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인삼, 홍삼, 한약, 검은깨, 청양고추, 구기자 등의 혼합음료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에 편승하여 많은 혼합건강 음료가 출시되고 있으나 혼합음료는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혼합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혼합물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분말, 엑기스 또는 알약 형태로 물이나 음료 등에 타 먹는 경우가 일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역시 매우 번거롭고 또한 꾸준히 섭취하기가 어려워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병 또는 용기에 인위적으로 혼합할 시 분말가루를 흘리는 경우가 많고, 엑기스를 혼합하는 경우에 적정한 용량을 첨가하는 것이 어려워 복용 효과가 약해지고, 건강기능식품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복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929호(2011.0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병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에 담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용기로 밀어 떨어뜨려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과, 일단이 상기 뚜껑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봉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봉을 구속하는 구속판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저장부분과, 상기 저장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체결부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가압봉이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용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상부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압봉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부분으로 상기 액체상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하부에 링 형태로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봉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압시 상기 접촉방지부분을 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찢은 후 상기 저장부분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펀치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분의 내면에는 제1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분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분에는 상기 삽입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나사 결합을 서포트하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분에는 상기 손잡이가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평상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판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판재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손잡이를 사용하고자 할 시 상기 구속판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펀치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삽입부분과 몸체부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펀치부분에 끼워지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단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된 후 상기 가압봉을 대신해 상기 삽입부분을 밀봉하는 밀봉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삽입부분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분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되기 전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가압부분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삽입부분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은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에 투입될 건강기능식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투입용량을 결정하는 용량결정단계; 및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에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보관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관단계는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용기에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는 제1투입단계와,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뚜껑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는 제2투입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의하면, 보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통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과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혼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통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과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혼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상부가 개방된 병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이 담기는 용기(100)와,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용기(100)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담기는 뚜껑(200)과, 뚜껑(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담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용기(100)로 밀어 떨어뜨려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300)과, 일단이 뚜껑(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봉(300)에 연결되어 가압봉(300)을 구속하는 구속판재(400)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100)와 뚜껑(200)은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과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혼합되기 전 동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과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혼합된 후에는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봉(300)은 일부분이 뚜껑(20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뚜껑(200)의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구속판재(400)는 일단이 뚜껑(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뚜껑(2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일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일부분이 뚜껑(20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뚜껑(2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100)는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이 담기는 저장부분(110)과, 저장부분(1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뚜껑(200)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120)을 구비할 수 있다.
뚜껑(200)은 제1체결부분(120)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분(210)과, 제2체결부분(2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위치하고 상단에 가압봉(300)이 삽입되는 삽입부분(220)과, 제2체결부분(210)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용기(10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분(230)과, 낙하방지부분(230)의 상부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가압봉(300)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부분(220)으로 액체상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분(240)과, 낙하방지부분(230)의 하부에 링 형태로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분(25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은 낙하방지부분(230)과 접촉방지부분(2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봉(300)은 몸체부분(310)과, 몸체부분(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부분(320)과, 몸체부분(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압시 접촉방지부분(240)을 하 방향으로 밀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낙하방지부분(230)을 찢은 후 저장부분(110)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펀치부분(3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를 통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과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속판재(400)의 일단을 축으로 타단을 일측으로 밀어 타단이 가압봉(300)의 몸체부분(310)과 분리되도록 하고, 가압부분(320)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몸체부분(310)을 삽입부분(220)에 삽입시켜 펀치부분(330)이 접촉방지부분(240)을 가압하도록 한다.
펀치부분(330)에 의해 가압 된 접촉방지부분(240)은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낙하방지부분(230)을 가압하도록 하고, 낙하방지부분(230)은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에 의해 찢어지게 되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은 낙하방지부분(230)이 찢어지면서 발생한 구멍을 통해 저장부분(110)에 담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떨어져 혼합하게 된다.
이후 제1체결부분(120)과 제2체결부분(210)을 분리시켜 뚜껑(200)을 용기(100)로부터 분리한 후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섭취 전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과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구획된 영역에 별도로 구비되도록 하여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과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의 보존 기한을 확보하고, 섭취 시 간단한 가압방식을 통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과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용기(100)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담기는 뚜껑(200)을 구비하고, 뚜껑(200)은 제2체결부분(2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위치하고 상단에 가압봉(300)이 삽입되는 삽입부분(220)을 구비하고, 삽입부분(220)의 내면에는 제1나사산(2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분(310)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221)과 나사 결합하는 제2나사산(311)이 구비되며, 가압부분(320)에는 삽입부분(220)과 몸체부분(310)의 나사 결합을 서포트하는 손잡이(321)가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은 청년층보다는 노년층에서 섭취하는 비중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노년층에서는 가압방식을 통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혼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어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삽입부분(220)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나사산(221), 몸체부분(310)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나사산(311) 및 가압부분(320)의 손잡이(321)는 가압방식이 아닌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몸체부분(310)을 삽입부분(220)에 삽입시켜 펀치부분(330)이 접촉방지부분(240)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낙하방지부분(230)을 찢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저장부분(110)에 담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떨어져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제1나사산(221), 제2나사산(311) 및 손잡이(321)를 구비함으로써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뚜껑(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담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용기(100)로 밀어 떨어뜨려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300)을 구비하고, 가압봉(300)은 몸체부분(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부분(320)을 구비하며, 가압부분(320)에는 손잡이(321)가 안착하는 안착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21)는 안착홈(322)에 안착하여 가압부분(320)과 동일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구속판재(400)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고,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자 손잡이(321)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구속판재(400)를 분리한 후 손잡이(321)를 안착홈(322)으로부터 기립시켜 손잡이(321)를 통해 몸체부분(310)의 노출된 일부분이 삽입부분(22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안착홈(322)을 구비하여 손잡이(321)를 미사용할 시 안착홈(322)에 안착하도록 해 가압봉(300)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손잡이(321)가 고리 등에 걸려 의도치 않게 구속판재(400)가 분리되거나 가압봉(300)이 뚜껑(200)에서 이탈하는 등과 같은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펀치부분(330)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삽입부분(220)과 몸체부분(310)의 나사 결합에 의해 낙하방지부분(230)에 접촉되어 낙하방지부분(230)을 절단하는 절단부재(500)와, 가압부분(320)에 구비되어 절단부재(500)에 의해 낙하방지부분(230)이 절단된 후 가압봉(300)을 대신해 삽입부분(220)을 밀봉하는 밀봉커버(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절단부재(50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절단부분에 끼워지는 결합링(510)과, 결합링(5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방지부분(230)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단날(520)을 구비하고, 다수의 절단날(520)은 삽입부분(220)과 몸체부분(310)의 나사 결합에 의해 낙하방지부분(230)에 접촉 및 회전되어 낙하방지부분(230)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절단날(520)은 낙하방지부분(230)의 절단된 조각이 절단된 후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떨어지지 않도록 최적의 크기, 길이 및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밀봉커버(600)는 삽입부분(220)에 끼워지는 본체(610)와, 본체(610)의 하면에 구비되고 가압부분(32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323)에 끼워져 절단날(520)에 의해 낙하방지부분(230)이 절단되기 전 밀봉커버(600)가 가압부분(320)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돌기(620)와, 본체(6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밀봉커버(600)가 삽입부분(220)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6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610)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기 전 결합돌기(620)를 통해 가압부분(32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혼합하고자 할 시에는 본체(610)를 통해 몸체부분(310)을 회전시켜 몸체부분(310)이 삽입부분(220)에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여 절단부재(500)에 의해 낙하방지부분(230)이 절단되어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부분(320)에 형성된 안착홈(322)에 안착하는 손잡이(321)가 구비되어 있을 본체(610)는 가압부분(320)으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321)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떨어져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이 담긴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는 낙하방지부분(230)이 절단날(520)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므로 뚜껑(200)과 가압봉(300) 사이로 새어나올 수 있다.
밀봉커버(600)는 가압봉(300)을 대신하여 삽입부분(220)에 끼워져 저장부분(110)에 남은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을 저장 및 보존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가 넘어지더라도 뚜껑(200)과 가압봉(300) 사이로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방지턱(630)은 본체(610)가 삽입부분(220)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커버(600)가 삽입부분(220)의 일단에 걸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밀봉커버(60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재(500)는 삽입부분(220)과 몸체부분(310)의 나사 결합에 의한 힘과 함께 절단력을 발휘하여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에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하고, 밀봉커버(600)는 가압봉(300)을 대신하여 절단된 낙하방지부분(230)에 의해 뚜껑(200)과 가압봉(300) 사이로 혼합된 건강기능식품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은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에 투입될 건강기능식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S110); 선별된 건강기능식품의 투입용량을 결정하는 용량결정단계(S120); 및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에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보관단계(S130); 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보관단계(S130)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용기(100)에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20)을 투입하는 제1투입단계(S131)와,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10)의 뚜껑(200)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30)을 투입하는 제2투입단계(S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20: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 30: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
100: 용기 110: 저장부분
120: 제1체결부분 200: 뚜껑
210: 제2체결부분 220: 삽입부분
221: 제1나사산 230: 낙하방지부분
240: 접촉방지부분 250: 기밀부분
300: 가압봉 310: 몸체부분
311: 제2나사산 320: 가압부분
321: 손잡이 322: 안착홈
323: 결합홈 330: 펀치부분
400: 구속판재 500: 절단부재
510: 결합링 520: 절단날
600: 밀봉커버 610: 본체
620: 결합돌기 630: 방지턱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된 병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에 담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용기로 밀어 떨어뜨려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과,
    일단이 상기 뚜껑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봉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봉을 구속하는 구속판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저장부분과, 상기 저장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체결부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가압봉이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용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상부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압봉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부분으로 상기 액체상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하부에 링 형태로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봉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압시 상기 접촉방지부분을 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찢은 후 상기 저장부분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펀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펀치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삽입부분과 몸체부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펀치부분에 끼워지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단날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된 후 상기 가압봉을 대신해 상기 삽입부분을 밀봉하는 밀봉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삽입부분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분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되기 전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가압부분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삽입부분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분의 내면에는 제1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분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분에는 상기 삽입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나사 결합을 서포트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분에는 상기 손잡이가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평상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판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판재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손잡이를 사용하고자 할 시 상기 구속판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에 투입될 건강기능식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투입용량을 결정하는 용량결정단계; 및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에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보관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단계에서의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병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막고 내부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에 담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용기로 밀어 떨어뜨려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혼합되도록 하는 가압봉과, 일단이 상기 뚜껑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봉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봉을 구속하는 구속판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담기는 저장부분과, 상기 저장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체결부분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가압봉이 삽입되는 삽입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용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상부에 막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압봉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부분으로 상기 액체상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분과, 상기 낙하방지부분의 하부에 링 형태로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봉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압시 상기 접촉방지부분을 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찢은 후 상기 저장부분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펀치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펀치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삽입부분과 몸체부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재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펀치부분에 끼워지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낙하방지부분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단날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된 후 상기 가압봉을 대신해 상기 삽입부분을 밀봉하는 밀봉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삽입부분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분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분이 절단되기 전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가압부분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봉커버가 상기 삽입부분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단계는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용기에 액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는 제1투입단계와,
    상기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의 뚜껑에 고체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투입하는 제2투입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KR1020230075134A 2023-06-12 2023-06-12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KR10260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34A KR102602968B1 (ko) 2023-06-12 2023-06-12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34A KR102602968B1 (ko) 2023-06-12 2023-06-12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968B1 true KR102602968B1 (ko) 2023-11-16

Family

ID=8896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134A KR102602968B1 (ko) 2023-06-12 2023-06-12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9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4573A2 (de) * 2004-03-19 2005-10-12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KG Aufsetzkappe
KR20100133044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세이브밀 용기, 혼합용기 및 가열냉각용기
KR101012929B1 (ko) 2008-06-26 2011-02-08 김의환 건강식품 혼합용 병 또는 용기의 탑재형 뚜껑.
KR20130140674A (ko) * 2010-09-17 2013-12-24 바이오파르마 에스피에이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012169A (ko) * 2013-05-17 2016-02-02 그라이프 인터내셔날 홀딩 비.브이. 수축 가능한 유출 꼭지를 구비한 용기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4573A2 (de) * 2004-03-19 2005-10-12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KG Aufsetzkappe
KR101012929B1 (ko) 2008-06-26 2011-02-08 김의환 건강식품 혼합용 병 또는 용기의 탑재형 뚜껑.
KR20100133044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세이브밀 용기, 혼합용기 및 가열냉각용기
KR20130140674A (ko) * 2010-09-17 2013-12-24 바이오파르마 에스피에이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012169A (ko) * 2013-05-17 2016-02-02 그라이프 인터내셔날 홀딩 비.브이. 수축 가능한 유출 꼭지를 구비한 용기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695B1 (ko) 음료 용기의 캡 구조
JP2007528324A (ja) プッシュ型開封装置を有する容器の栓
KR101674164B1 (ko) 진공 믹서기
KR20100085040A (ko) 안전 봉인된 저장 캡
US20090020495A1 (en) Container cap with liquid-dissolvable additive
US20080286438A1 (en) Container System for Successively Producing Multiple Servings of Reconstituted Liquid Product
KR102602968B1 (ko)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90041266A (ko) 자바라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20070193893A1 (en)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KR20090052142A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20110108823A (ko) 음료용기용 뚜껑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JP3153904U (ja) 蓋装置
JP2001206428A (ja) 飲料容器
KR200261338Y1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1444020B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101395301B1 (ko) 첨가제의 개별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캡
JP2007001651A (ja) 容器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102640517B1 (ko) 기능성식품이 충진된 용기의 뚜껑
US20240010401A1 (en) Cap device for bottles
KR20060073397A (ko)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