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921B1 -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921B1
KR102602921B1 KR1020180159508A KR20180159508A KR102602921B1 KR 102602921 B1 KR102602921 B1 KR 102602921B1 KR 1020180159508 A KR1020180159508 A KR 1020180159508A KR 20180159508 A KR20180159508 A KR 20180159508A KR 102602921 B1 KR102602921 B1 KR 10260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assage
compartment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931A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921B1/ko
Priority to US16/298,676 priority patent/US10787159B2/en
Priority to DE102019109172.1A priority patent/DE102019109172A1/de
Publication of KR2020007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 B60T8/26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2Back-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3Brake circuit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4Brake-by-wire or X-by-wire failsa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유압회로 내 미세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원활한 제동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ELECTRIC BRAKE SYSTEM}
본 발명은 유압회로 내 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원활한 제동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을 이용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마스터 실린더에서 생성되는 유압을 각각의 차륜 휠에 설치된 휠 브레이크에 공급하여 차륜 휠들을 제동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에는 제동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력을 엔진에서 공급되는 진공을 이용하였으나, 최근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시장의 주목을 받으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부스터를 설치하여, 상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경우 전동 부스터가 구동되면서 마스터 실린더에 유압이 생성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편, 유압회로 내에는 유체에 의한 제동압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미세리크 발생에 의해 유체가 소실되면 제동불가상황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브레이크 튜브가 파열되거나 브레이크 튜브의 스틸관에 구멍이 생성됨에 따라 유압 형성이 제대로 안될 때, 유체 소실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보레이크 튜브 체결시 토크 완체결이 수행되지 못하거나, 미세한 이물질에 의한 미세리크 발생에 대해서는 압력변화의 차이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제동불가상황까지 유체가 소실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37874 A (2013.04.1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압회로 내 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원활한 제동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체가 저장되는 복수의 격실을 가지는 리저버;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고, 리저버의 복수의 격실 중 일부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마스터챔버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 구동부가 연결되고, 마스터챔버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격실과 연결되거나, 마스터챔버와 연결되는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유압챔버가 마련된 유압공급실린더; 유압공급실린더의 어느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제1유압서킷과, 다른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제2유압서킷; 및 제1유압서킷과 제2유압서킷에 각기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한다.
리저버는 유체가 저장되는 제1격실, 제2격실, 제3격실이 마련되고, 마스터실린더는 제1격실과 연결되는 제1마스터챔버, 제3격실과 연결되는 제2마스터챔버가 마련되며, 유압공급실린더는 제2격실과 연결되는 제1유압챔버, 제3격실과 연결되는 제2유압챔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저버의 제2격실과 유압공급실린더의 제1유압챔버는 제1공급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리저버의 제3격실과 유압공급실린더의 제2유압챔버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공급유로에는 제2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절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유압서킷은 제1유압챔버와 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1유압유로와, 제1유압유로에서 분기되어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2유압유로로 구성되고, 제2유압서킷은 제2유압챔버와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3유압유로와, 제3유압유로에서 분기되어 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4유압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격실 및 제1마스터챔버를 연결하는 유로와 제1유압서킷은 제1백업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제2공급유로와 제2유압서킷은 제2백업유로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밸브는 제1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와, 제2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와, 제3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밸브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유로에서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 전단에 각각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륜 인렛밸브 및 후륜 인렛밸브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저버 용량센싱부를 통해 리저버 내의 유체용량을 입력받고, 유압공급실린더의 구동부 및 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리저버 내의 유체용량이 저용량으로 입력된 경우 제1개폐밸브, 전륜 인렛밸브는 개방 동작시키고, 제2개폐밸브, 제3개폐밸브, 후륜 인렛밸브는 폐쇄 동작되도록 하여 전륜의 휠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공급실린더는 제1유압챔버와 제2유압챔버를 구획하고 구동부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유압피스톤이 마련되며, 제어기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제2격실 내의 유체용량이 소실범위인 것으로 입력되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유압피스톤이 제1유압챔버를 향해 최대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압력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이 한계값 이하일 경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전륜 인렛밸브는 폐쇄 동작시키고, 제3개폐밸브, 후륜 인렛밸브는 개방 동작되도록 하여 후륜의 휠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2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2차 백업모드수행시 조절밸브가 개방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회로 내 미세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원활한 제동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시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공급실린더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리시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공급실린더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저장되는 복수의 격실을 가지는 리저버(10); 브레이크 페달(20)에 연결되고, 리저버(10)의 복수의 격실 중 일부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마스터챔버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30); 구동부(40)가 연결되고, 마스터챔버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격실과 연결되거나, 마스터챔버와 연결되는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유압챔버가 마련된 유압공급실린더(50); 유압공급실린더(50)의 어느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를 연결하는 제1유압서킷(60)과, 다른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를 연결하는 제2유압서킷(70); 및 제1유압서킷(60)과 제2유압서킷(70)에 각기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시, 답력에 따라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 제동압이 전달되어 제동이 수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20)이 조작됨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위치센싱부(S3)가 마련되고, 브레이크 페달(20)의 답력에 따라 구동부(40)가 동작됨으로써, 유압공급실린더(50)의 유압챔버에서 유체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 제동압으로 작용하도록 전달되어 차량 제동이 구현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에 연동되어 마스터실린더(30)의 마스터챔버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페달 시뮬레이터(110)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유압공급실린더(50)는 구동부(40)에 연결되어 복수의 유압챔버 내의 유체가 구동부(40)의 동작에 의해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구동부(40)는 모터, 랙샤프트,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압공급실린더(50) 내의 유압피스톤(53)이 랙샤프트에 연결되어 직선 운동됨으로써, 복수의 유압챔버 내의 유체가 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압공급실린더(50)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압챔버에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 각기 연결되는 제1유압서킷(60)과 제2유압서킷(70)에 연결되고, 제1유압서킷(60)과 제2유압서킷(70)에는 개폐밸브(80)가 각기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20)이 조작되면, 구동부(40)와 복수의 개폐밸브(80)가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를 통한 제동이 수행된다. 반대로, 브레이크 페달(20)의 조작이 해제되면, 구동부(40)가 반대로 동작되어 유체의 흐름이 전환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리저버(10)가 복수의 격실로 구분되고, 마스터실린더(30)에 마련된 복수의 마스터챔버가 리저버(10)의 각 격실에 연결됨과 더불어 유압공급실린더(50)에 마련된 복수의 유압공급실린더(50)도 복수의 격실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압공급실린더(50)에 지속적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안정적인 제동이 수행될 수 있고, 유압회로 상에 유체 리크가 발생시 이에 대응하여 정상적인 제동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10)는 유체가 저장되는 제1격실(11), 제2격실(12), 제3격실(13)이 마련되고, 마스터실린더(30)는 제1격실(11)과 연결되는 제1마스터챔버(31), 제3격실(13)과 연결되는 제2마스터챔버(32)가 마련되며, 유압공급실린더(50)는 제2격실(12)과 연결되는 제1유압챔버(51), 제3격실(13)과 연결되는 제2유압챔버(52)가 마련될 수 있다.
리저버(1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유체가 저장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에 의해 제1격실(11), 제2격실(12), 제3격실(13)로 구획된다. 이러한 리저버(10)는 제1격실(11), 제2격실(12), 제3격실(13) 순으로 유체용량이 차등되며, 복수의 격실로 구분됨에 따라 유체용량이 경고등이 점등되는 수위로 저하되더라도 각 격실의 높이까지 유체가 유지되어 제동이 가능하다.
마스터실린더(30)는 내부가 마스터피스톤(33)에 의해 제1마스터챔버(31)와 제2마스터챔버(32)로 구획되며, 마스터피스톤(33)은 브레이크 페달(20)에 연동되어 직선운동됨으로써 제1마스터챔버(31)와 제2마스터챔버(32) 내의 유체가 유출되도록 한다.
유압공급실린더(50)는 유압피스톤(53)에 의해 제1유압챔버(51)와 제2유압챔버(52)로 구획된다.
한편, 리저버(10)의 제2격실(12)과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1유압챔버(51)는 제1공급유로(91)를 통해 연결되고, 리저버(10)의 제3격실(13)과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2유압챔버(52)는 제2공급유로(9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1유압챔버(51)는 제1공급유로(91)를 통해 리저버(10)의 제2격실(12)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압을 생성할 수 있고, 제2유압챔버(52)는 제2공급유로(92)를 통해 리저버(10)의 제3격실(13)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공급유로(92)에는 제2공급유로(9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절밸브(92a)가 마련되어 제2공급유로(92)에 유통되는 유체의 흐름이 제어된다.
한편, 제1유압서킷(60)은 제1유압챔버(51)와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에 연결되는 제1유압유로(61)와, 제1유압유로(61)에서 분기되어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에 연결되는 제2유압유로(62)로 구성되고, 제2유압서킷(70)은 제2유압챔버(52)와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에 연결되는 제3유압유로(71)와, 제3유압유로(71)에서 분기되어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에 연결되는 제4유압유로(7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는 제1유압서킷(60)의 제1유압유로(61)와 제2유압서킷(70)의 제3유압유로(71)를 통해 제1유압챔버(51) 및 제2유압챔버(52)의 유체를 공급받아 제동이 수행될 수 있고,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는 제1유압서킷(60)의 제2유압유로(62)와 제2유압서킷(70)의 제4유압유로(72)를 통해 제1유압챔버(51) 및 제2유압챔버(52)의 유체를 공급받아 제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밸브(80)는 제1유압유로(61)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81)와, 제2유압유로(62)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82)와, 제3유압유로(71)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8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80)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 연결되는 유로에서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 전단에 각각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륜 인렛밸브(84,85) 및 후륜 인렛밸브(86,87)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압유로(61), 제2유압유로(62), 제3유압유로(71), 제4유압유로(72)에는 각각 전륜 인렛밸브(84,85) 및 후륜 인렛밸브(86,87)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상에 각각 체크밸브(88a,88b,88c,88d)가 마련되어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서 유압공급실린더(50)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만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압유로(61), 제2유압유로(62), 제3유압유로(71), 제4유압유로(72)에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 제동 해제시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에서 유체가 역순환되는 것을 조절하는 아웃렛밸브(89a,89b,89c,89d)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렛밸브(89a,89b,89c,89d)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FL,FR,RL,RR) 제동시 제동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밸브(80)의 선택적인 개폐 동작에 의해,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 또는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가 선택적으로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개폐밸브(81), 전륜 인렛밸브(84,85)가 개방되고 제2개폐밸브(82),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는 폐쇄되면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를 통해 제동이 수행되고, 제1개폐밸브(81), 제2개폐밸브(82), 전륜 인렛밸브(84,85)가 폐쇄되고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는 개방되면,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를 통해 제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격실(11) 및 제1마스터챔버(31)를 연결하는 유로와 제1유압서킷(60)은 제1백업유로(101)를 통해 연결되고, 제2공급유로(92)와 제2유압서킷(70)은 제2백업유로(10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유압서킷(60)은 제1백업유로(101)를 통해 리저저의 제1격실(11)과 연결되어 유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2유압서킷(70)은 제2백업유로(102)를 통해 제2공급유로(92)와 연결되어 제3격실(13)로부터 유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백업유로(101)와 제2백업유로(102)는 전륜 및 후륜 휠 브레이크를 통해 제동 수행시, 제동압을 확보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는 전륜 및 후륜 휠 브레이크에 유압을 제공하여 제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미세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제동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리저버 용량센싱부(S1)를 통해 리저버(10) 내의 유체용량을 입력받고, 유압공급실린더(50)의 구동부(40) 및 개폐밸브(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E);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기(E)는 구동부(40) 및 개폐밸브(80) 외의 기타 밸브의 개폐제어를 수행하여 유체의 유통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E)는 ECU가 될 수 있으며, 구동부(40) 및 개폐밸브(8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동이 수행되도록 명령하고, 미세리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제동압을 확보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세하게, 제어기(E)는 리저버(10) 내의 유체용량이 저용량으로 입력된 경우 제1개폐밸브(81), 전륜 인렛밸브(84,85)는 개방 동작시키고, 제2개폐밸브(82),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는 폐쇄 동작되도록 하여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가 구동되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리저버(10) 내의 유체용량은 리저버 용량센싱부(S1)를 통해 센싱되며, 제어기(E)는 유체용량이 저용량으로 입력된 경우 경고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다. 특히, 제어기(E)는 유체용량이 저용량으로 입력된 경우 미세리크를 판단하며, 안정적인 제동을 위한 1차 백업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기(E)를 통한 1차 백업모드 수행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81), 전륜 인렛밸브(84,85)는 개방 동작시키고 제2개폐밸브(82),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는 폐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는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1유압챔버(51)의 유체를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를 통한 제동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1유압챔버(51)는 제1공급유로(91)를 통해 리저버(10)의 제2격실(12)과 연결되는데,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에 연결되는 유로상에 미세리크가 발생되면 제2격실(12)의 유체가 소실되어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를 통한 제동이 수행되지 못한다.
이때, 제어기(E)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제2격실(12) 내의 유체용량이 소실범위인 것으로 입력되면,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유압피스톤(53)이 제1유압챔버(51)를 향해 최대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유압피스톤(53)의 이동시 제1유압챔버(51) 내의 압력값이 한계값 이하일 경우 제1개폐밸브(81), 제2개폐밸브(82), 전륜 인렛밸브(84,85)는 폐쇄 동작시키고,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는 개방 동작되도록 하여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가 구동되는 2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E)는 2차 백업모드수행시 조절밸브(92a)가 개방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E)에 기저장된 소실범위는 유체용량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리저버 용량센싱부(S1)를 통해 입력된 유체용량에 따라 판단할 수 있고,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의 제동압력을 체크하여 제2격실(12) 내의 유체용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압서킷(60)과 제2유압서킷(70)에는 각각 압력센싱부(S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제어기(E)는 제2격실(12) 내의 유체용량이 소실될 것으로 추정되면,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유압피스톤(53)이 제1유압챔버(51)를 향해 최대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1유압챔버(51)의 유체 소실을 확인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E)는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유압피스톤(53)이 제1유압챔버(51)를 향해 최대치로 이동도록 하고, 이때 압력센싱부(S2)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이 한계값 이하일 경우 제2격실(12) 내의 유체가 소실되어 유압공급실린더(50)의 제1유압챔버(51)에도 유체가 소실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한계값은 0이 될 수 있으며, 유압피스톤(53)의 변위량에 따른 압력값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면 제1유압챔버(51)에 유체가 소실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어기(E)는 전륜의 휠 브레이크(FL,FR)에 의한 제동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개폐밸브(81), 제2개폐밸브(82), 전륜 인렛밸브(84,85)는 폐쇄 동작시키고 제3개폐밸브(83), 후륜 인렛밸브(86,87), 조절밸브(92a)는 개방 동작되도록 하여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가 구동되는 2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통됨에 따라 후륜의 휠 브레이크(RL,RR)로 제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압회로 내 리크 발생에 대응하여 1차 백업모드 이후 유체의 소실을 재확인하고, 그에 따라 2차 백업모드를 수행하여 제동압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주행시 제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리저버 11:제1격실
12:제2격실 13:제3격실
20:브레이크 페달 30:마스터실린더
31:제1마스터챔버 32:제2마스터챔버
33:마스터피스톤 40:구동부
50:유압공급실린더 51:제1유압챔버
52:제2유압챔버 53:유압피스톤
60:제1유압서킷 61:제1유압유로
62:제2유압유로 70:제2유압서킷
71:제3유압유로 72:제4유압유로
80:개폐밸브 81:제1개폐밸브
82:제2개폐밸브 83:제3개폐밸브
84,85:전륜 인렛밸브 86,87:후륜 인렛밸브
88a,88b,88c,88d:체크밸브 89a,89b,89c,89d:아웃렛밸브
91:제1공급유로 92:제2공급유로
92a:조절밸브 101:제1백업유로
102:제2백업유로 110:페달 시뮬레이터
제어기(E) S1:용량센싱부
S2:압력센싱부 S3:페달위치센싱부
FL,FR:전륜의 휠 브레이크 RL,RR:후륜의 휠 브레이크

Claims (11)

  1. 유체가 저장되는 복수의 격실을 가지는 리저버;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고, 리저버의 복수의 격실 중 일부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마스터챔버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
    구동부가 연결되고, 마스터챔버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격실과 연결되거나, 마스터챔버와 연결되는 격실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유압챔버가 마련된 유압공급실린더;
    유압공급실린더의 어느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제1유압서킷과, 다른 하나의 유압챔버와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제2유압서킷; 및
    제1유압서킷과 제2유압서킷에 각기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리저버는 유체가 저장되는 제1격실, 제2격실, 제3격실이 마련되고, 마스터실린더는 제1격실과 연결되는 제1마스터챔버, 제3격실과 연결되는 제2마스터챔버가 마련되며, 유압공급실린더는 제2격실과 연결되는 제1유압챔버, 제3격실과 연결되는 제2유압챔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저버의 제2격실과 유압공급실린더의 제1유압챔버는 제1공급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리저버의 제3격실과 유압공급실린더의 제2유압챔버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공급유로에는 제2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절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유압서킷은 제1유압챔버와 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1유압유로와, 제1유압유로에서 분기되어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2유압유로로 구성되고,
    제2유압서킷은 제2유압챔버와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3유압유로와, 제3유압유로에서 분기되어 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제4유압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격실 및 제1마스터챔버를 연결하는 유로와 제1유압서킷은 제1백업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제2공급유로와 제2유압서킷은 제2백업유로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개폐밸브는 제1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와, 제2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와, 제3유압유로에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개폐밸브는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유로에서 전륜 및 후륜의 휠 브레이크 전단에 각각 마련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륜 인렛밸브 및 후륜 인렛밸브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리저버 용량센싱부를 통해 리저버 내의 유체용량을 입력받고, 유압공급실린더의 구동부 및 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리저버 내의 유체용량이 저용량으로 입력된 경우 제1개폐밸브, 전륜 인렛밸브는 개방 동작시키고, 제2개폐밸브, 제3개폐밸브, 후륜 인렛밸브는 폐쇄 동작되도록 하여 전륜의 휠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유압공급실린더는 제1유압챔버와 제2유압챔버를 구획하고 구동부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유압피스톤이 마련되며,
    제어기는 1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제2격실 내의 유체용량이 소실범위인 것으로 입력되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유압피스톤이 제1유압챔버를 향해 최대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압력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이 한계값 이하일 경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전륜 인렛밸브는 폐쇄 동작시키고, 제3개폐밸브, 후륜 인렛밸브는 개방 동작되도록 하여 후륜의 휠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2차 백업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2차 백업모드수행시 조절밸브가 개방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80159508A 2018-12-11 2018-12-11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60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08A KR102602921B1 (ko) 2018-12-11 2018-12-11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US16/298,676 US10787159B2 (en) 2018-12-11 2019-03-11 Electronic brake system
DE102019109172.1A DE102019109172A1 (de) 2018-12-11 2019-04-08 Elektronisches Brem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08A KR102602921B1 (ko) 2018-12-11 2018-12-11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31A KR20200071931A (ko) 2020-06-22
KR102602921B1 true KR102602921B1 (ko) 2023-11-16

Family

ID=7085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08A KR102602921B1 (ko) 2018-12-11 2018-12-11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87159B2 (ko)
KR (1) KR102602921B1 (ko)
DE (1) DE102019109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1723A1 (de) * 2017-12-01 2019-06-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sowie Bremsanlage
CN112703136B (zh) * 2020-07-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液压调节单元、制动系统、车辆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874A (ko) 2011-10-07 2013-04-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시스템의 제동장치
DE102013225809A1 (de) * 2013-02-27 2014-08-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6296387B2 (ja) * 2014-03-25 2018-03-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101684132B1 (ko) * 2015-06-23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형 서킷을 갖는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180045568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356598B1 (ko) * 2017-05-23 2022-01-2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583819B2 (en) * 2017-05-23 2020-03-10 Mando Corporation Electronic brake system
CN110662679B (zh) * 2017-05-31 2022-04-1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车辆制动系统
US10696281B2 (en) * 2017-09-25 2020-06-30 Mando Corporation Electric brak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31715B1 (ko) * 2017-09-25 2022-08-1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US11046294B2 (en) * 2017-09-29 2021-06-29 Mando Corporatio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857988B2 (en) * 2017-09-29 2020-12-08 Mando Corporation Electric brak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31728B1 (ko) * 2017-09-29 2022-08-1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424997B1 (ko) * 2017-09-29 2022-07-2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479851B1 (ko) * 2018-01-30 2022-12-21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CN110406510B (zh) * 2018-04-26 2023-04-07 汉拿万都株式会社 电子制动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90136207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563595B1 (ko) * 2018-10-05 2023-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부스터 타입 제동 시스템의 킥-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86489B1 (ko) * 2018-10-15 2023-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와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09172A1 (de) 2020-06-18
US10787159B2 (en) 2020-09-29
KR20200071931A (ko) 2020-06-22
US20200180580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2668B2 (en) Brake apparatus
US8888197B2 (en) Brake system
JP5892706B2 (ja)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
US4779935A (en) Anti-skid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JP5488009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US9981642B2 (en) Electric brak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10316326A1 (en) Brake system
KR20170040358A (ko) 특히 차량 브레이크용 구동 시스템, 및 구동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US63983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braking system contained in a vehicle
JP4561464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120117789A (ko) 압력 변조 실린더를 구비한 제동 시스템
KR102602921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WO2016132938A1 (ja) ブレーキ装置
JP2004314960A (ja) ポンプ流の増大を選択可能な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6961649B2 (en)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JP4741213B2 (ja) 特に自動車用の油圧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6175114A1 (ja) 車両用制動装置
US11964643B2 (en) Vehicle braking device
EP1839979B1 (en) Vehicular brake hydraulic control device
JP539212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US20030234573A1 (en) Brake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integral precharge pump and back-flow protection
JP4432237B2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JP2001260857A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CN114572173B (zh) 制动车辆的方法和用于车辆的制动装置
JP3146954B2 (ja) 車輌の制動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