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850B1 -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850B1
KR102602850B1 KR1020220177929A KR20220177929A KR102602850B1 KR 102602850 B1 KR102602850 B1 KR 102602850B1 KR 1020220177929 A KR1020220177929 A KR 1020220177929A KR 20220177929 A KR20220177929 A KR 20220177929A KR 102602850 B1 KR102602850 B1 KR 10260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tong
damage
magnetic field
half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빈
박광연
곽임종
최지영
이주형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7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하프본체로 이루어져서 텐던을 감싸면서 조립되어 텐던에 대하여 유도자기장을 인가하여, 텐던의 손상이나 또는 텐던 내의 긴장응력(단면력)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변화 및/또는 그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텐던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텐던의 단면력 크기 및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텐던을 진단하여 텐던의 상태를 파악하는 텐던진단장치에서, 제1집게 부재(301)과 제2집게 부재(302)가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집게 모듈(300)을 구비하고 있어서 현장에서 텐던을 감싸면서 제1,2하프본체를 조립하는 것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제1,2하프본체가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업자가 텐던을 따라 텐던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텐던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Tend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of Tendon using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사장교, 현수교 등과 같이 케이블 교량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에 사용되거나 기타 다양한 용도로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텐던(tendo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봉, 철사, 철근 등의 선재(線材)가 복수개로 집합되어 다발을 이루고 있으며 교량의 케이블, 인장보강을 위한 보강재 등으로 사용되는 텐던에 대하여 유도자기장을 인가하여, 텐던의 손상이나 또는 텐던 내의 긴장응력(단면력)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변화 및/또는 그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텐던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텐던의 단면력 크기 및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텐던을 진단하여 텐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1,2하프본체로 이루어져서 텐던을 감싸면서 조립되는 텐던진단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집게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텐던을 감싸면서 제1,2하프본체를 조립하는 것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제1,2하프본체가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작업자가 텐던을 따라 텐던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텐던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텐던의 상태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텐던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장교, 현수교 등과 같은 케이블 교량에 설치된 케이블을 이루거나 또는 기타 다른 형식의 교량이나 거더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텐던(tendon/ 강재 긴장재)의 부식 내지 손상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8721호를 통해서는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의 손상 탐지 기술에 제안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제10-2292726호, 제10-2312616호 등을 통해서는 이러한 기술에 기반한 구체적인 텐던진단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의 텐던진단장치(100)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2726호의 텐던진단장치(100)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해외의 관련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 특개2020-183897호가 있으며, 위와 같은 텐던진단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대하여 딥러닝 방식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덕트의 공동을 탐지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1879호를 통해서 공지되어 있다.
도 3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의 텐던진단장치(100)에서 본체(1)를 이루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텐던(200)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200)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텐던은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텐던진단장치(100)는 횡방향으로 2개 부재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프 파이프(half pipe) 형태를 가지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로 횡방향으로 조립되어 원통형상의 본체(1)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텐던진단장치(100)를 현장에서 텐던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제1,2하프본체(1a, 1b)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서로 조립하는 것이 텐던진단장치의 활용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1,2하프본체를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체결 조립되게 하는 것 역시 텐던진단장치의 활용 효율 향상에 특히 중요하다.
텐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텐던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유도자기장 인가 및 유도전압 측정에 의한 텐던의 진단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텐던진단장치의 이동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수록 텐던 진단 작업의 효율성도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8721호(2020. 11. 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5062호(2021. 07. 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726호(2021. 08. 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2616호(2021. 10. 07.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183897호(2020. 11. 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1879호(2021. 04. 20.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텐던진단장치를 더욱 편리하게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텐던의 상태를 진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텐던을 감싸면서 텐던진단장치의 제1,2하프본체를 조립하는 것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제1,2하프본체가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맞물려서 체결되게 하며, 더 나아가 작업자가 텐던을 따라 텐던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공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재의 본체, 상기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서치코일,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 및 상기 자기장 형성체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본체의 종방향 양단면에 구비되는 단부연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하프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제1하프본체와 제2하프본체로 횡방향으로 조립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집게 부재와 제2집게 부재가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집게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데; 제1집게 부재는 일측에 제1하프본체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하프본체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제2집게 부재는 일측에 제2하프본체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2하프본체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제1,2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 사이를 멀어지게 하여 제1,2하프본체 사이를 벌어지게 한 후, 제1,2하프본체 사이에 텐던이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2집게 부재의 손잡이부를 조작하면 제1,2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제1,2하프본체가 텐던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를 이루게 되어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에 설치되며; 텐던진단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자기장을 형성하고 텐던을 따라 추진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텐던의 단면력 변화 또는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하여 텐던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진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정도 및 손상 발생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텐던진단방법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텐던진단장치를 텐던에 설치하여 텐던진단장치를 측정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텐던의 단면력 변화 또는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하여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정도 및 손상 발생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진단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텐던진단장치에는 집게 작동을 하는 집게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텐던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1,2하프본체를 일체로 조립하여 원통형 본체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2하프본체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텐던진단장치가 설치된 후에는 집게 모듈의 손잡이부를 붙잡고 텐던진단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을 따라 텐던진단장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 여부를 진단하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의 텐던진단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2726호의 텐던진단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의 텐던진단장치에서 본체를 이루는 제1하프본체와 제2하프본체가 텐던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 모듈이 구비된 텐던진단장치가 닫혀 있는 상태와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 모듈이 구비된 텐던진단장치가 닫혀 있는 상태와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작업자가 텐던을 따라 본 발명의 텐던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제어장치와 전원장치가 집게 모듈의 손잡이부에 더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에 각각 개시된 텐던진단장치와 그 기본적인 구성을 같이 하고 있는 바, 아래에서 본 발명의 텐던진단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에 개시된 "텐던진단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채, 간단한 부재 내지 구성의 명칭만 기재하며, 위 텐던진단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서술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텐던진단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 및 도 5에는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와 (b)에는 각각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의 (a)는 도 4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도 6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위에서 표기하였듯이,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는 상태"는 도 4, 도 5, 도 8의 (a)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 또는 체결되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하며, 반대로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는 상태"는 도 6, 도 7, 도 8의 (b)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벌어진 상태 또는 벌어지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은 텐던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은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후술하는 것처럼 텐던진단장치(100)가 2개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에 개시된 텐던진단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는 중공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 본체(1)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며 유도자기장의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서치코일(2),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 및 유도자기장의 자기력선이 텐던을 따라 종방향으로 집중되어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의 종방향 양단면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연결링(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서 텐던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0 및 31은 각각 코어부재(30) 및 솔레노이드 코일(31)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서치코일(2), 자기장 형성체(3), 단부연결링(4), 코어부재(30) 및 솔레노이드 코일(31)의 상세한 구성 및 그 기능, 그리고 텐던진단장치가 텐던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도자기장 형성과 그에 후속하는 유도전압 등의 물리량 측정값 취득 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의 개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에 대한 도면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본체(1), 서치코일(2), 자기장 형성체(3), 단부연결링(4), 코어부재(30) 및 솔레노이드 코일(31)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하였는 바,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에 개시된 텐던진단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1)가 횡방향으로 2개 부재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하프 파이프(half pipe) 형태를 가지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로 분할되어 있으며,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횡방향으로 조립되어 원통형상의 본체(1)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및 제10-2292726호에 개시된 텐던진단장치와 달리,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집게 모듈(3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집게 모듈(300)은 물건을 집는 집게 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횡방향으로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1집게 부재(301)의 일측에는 제1하프본체(1a)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하프본체(1a)와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10)이 구비되어 있고, 제1집게 부재(301)의 타측에는 손잡이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2집게 부재(302)는 상기 제1집게 부재(301)과 횡방향으로 거울대칭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제1집게 부재(301)와 마찬가지로, 제2집게 부재(302)도 일측에 제2하프본체(1b)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2하프본체(1b)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2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321)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집게 모듈(300)에서 제1,2집게 부재(301, 302)는 횡방향으로 거울대칭 관계로 배치되는데,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 각각에서 손잡이부와 하프 결합링은 횡방향으로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다.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도 1 내지 도 10의 경우 제1공간은 아래쪽에 위치함)과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도 1 내지 도 10의 경우 제2공간은 위쪽에 위치함)으로 나눈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집게 부재(301)의 손잡이부(311)와 하프 결합링(310)은 모두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302)의 손잡이부(321)와 하프 결합링(320)은 모두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게 되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가까워져서 체결 조립되어 원통형 본체(1)가 만들어진다. 즉,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면 집게 모듈(300)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집게 모듈(300)이 닫히는 것이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처럼 손잡이부(311, 321)의 마주보는 간격에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도 4, 도 5 및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닫혀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는 서로 체결 조립되어 원통형 본체(1)가 만들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태 즉,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르게 되면, 도 6, 도 7 및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열리고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는 서로 벌어져서 텐던(200)에 장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벌어져 있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의 사이에 텐던(200)이 위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311, 321)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스프링(33)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져서 벌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원상 복귀되고,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이 서로 가까워져서 텐던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어서 설치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집게 모듈(300)이 구비되어, 집게 작동에 의해 제1,2하프본체(1a, 1b)는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게 되므로, 제1,2하프본체(1a, 1b)를 조립하여 원통형 본체(1)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된다. 특히,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잡이부(311, 321)만을 간단히 가깝게 누르게 되면, 집게 작동에 의해 집게 모듈(300)이 열리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의 누르고 있던 상태를 해제하면 집게 모듈(300)이 닫혀서 텐던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서로 접근하여 체결되는 바, 제1,2하프본체(1a, 1b)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맞물려서 일체화된다. 즉, 제1,2하프본체(1a, 1b)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을 구비하여,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횡방향으로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짐에 있어서,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달리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게 될 때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도록 작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집게 모듈(300)은,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가까워져서 체결 조립되어 원통형 본체(1)가 만들어지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8에는 위와 같이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에서는 집게 모듈(300)이 닫히고,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면 집게 모듈(300)이 열리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텐던진단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1 및 도 12에는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 및 도 14에는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 및 (b)에는 각각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5의 (a)는 도 11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의 (b)에는 도 13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에 예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결합핀(303)에서 서로 교차한다. 따라서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 각각에서 손잡이부와 하프 결합링은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쪽 측면에 위치한다.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을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도 11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제1하프본체가 도면의 위쪽에 위치함)과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도 11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제2하프본체는 도면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 나눈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 11 내지 도 17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집게 부재(301)의 손잡이부(311)은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제1집게 부재(301)의 하프 결합링(310)은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제2집게 부재(302)의 손잡이부(321)는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302)의 하프 결합링(320)은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2실시예어서도 손잡이부(311, 321)의 마주보는 간격에 스프링(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도 11, 도 12 및 도 1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벌어져 있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의 사이에 텐던(200)을 위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311, 321)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르게 되면 스프링(33)이 압출되면서 집게 모듈(300)이 닫히고, 그에 따라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이 서로 가까워져서 텐던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어서 설치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텐던(200)의 외면을 본체(1)가 감싸도록 텐던진단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텐던(200)을 따라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키면서 텐던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에는 각각 도 10 및 도 17의 상태에 후속하여 작업자가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 점선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작업자는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붙잡고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200)을 따라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텐던 진단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텐던 진단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게 만들어서 집게 모듈(300)을 열어서 제1,2하프본체(1a, 1b) 사이가 벌어지게 만든 후 텐던(200)을 빼내는 방식으로 텐던진단장치(100)를 텐던(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텐던진단장치(100)에는 집게 작동을 하는 집게 모듈(300)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1,2하프본체(1a, 1b)를 일체로 조립하여 원통형 본체(1)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2하프본체(1a, 1b)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텐던진단장치(100)가 설치된 후에는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를 붙잡고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200)을 따라 텐던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던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 여부를 진단하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0 및 도 2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더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된 것처럼 텐던진단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의 제어장치(500)가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텐던진단장치(100)의 필요한 부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배터리)(600) 역시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집게 모듈(300)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장치(500)와 텐던진단장치(100)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전원은 배터리에 의해 자체 공급된다. 따라서 텐던진단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해 무선방식으로 제어되면서 텐던 진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이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구비되는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7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텐던진단장치
300: 집게 모듈
310, 320: 하프 결합링
311, 321: 손잡이부

Claims (2)

  1. 중공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재의 본체(1), 상기 본체(1)에 원주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서치코일(2),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 및 상기 자기장 형성체(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본체(1)의 종방향 양단면에 구비되는 단부연결링(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는 하프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로 횡방향으로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집게 부재(301)과 제2집게 부재(302)가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집게 모듈(300)이 구비되어 있는데;
    제1집게 부재(301)는 일측에 제1하프본체(1a)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하프본체(1a)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1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제2집게 부재(302)는 일측에 제2하프본체(1b)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2하프본체(1b)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2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311, 321)의 마주보는 간격에는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있으며;
    텐던진단장치(100)와 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수하여 텐던진단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0) 및 텐던진단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600)가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구비되어 있고;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으로 나누었을 때, 제1집게 부재(301)의 손잡이부(311)와 하프 결합링(310)은 모두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302)의 손잡이부(321)와 하프 결합링(320)은 모두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르게 되면,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 사이가 멀어지게 되어 제1,2하프본체(1a, 1b) 사이가 벌어지게 된 후, 제1,2하프본체(1a, 1b) 사이에 텐던(200)이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사이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스프링(33)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져서 벌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제1,2하프본체(1a, 1b)가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게 되어 텐던진단장치(100)가 텐던(200)에 설치되며;
    텐던진단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자기장을 형성하고 텐던을 따라 추진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텐던의 단면력 변화 또는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하여 텐던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진단장치.
  2.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정도 및 손상 발생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텐던진단방법으로서,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텐던진단장치를 텐던에 설치하여 텐던진단장치를 측정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텐던의 단면력 변화 또는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하여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정도 및 손상 발생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진단방법.
KR1020220177929A 2022-12-19 2022-12-19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KR10260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29A KR102602850B1 (ko) 2022-12-19 2022-12-19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29A KR102602850B1 (ko) 2022-12-19 2022-12-19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850B1 true KR102602850B1 (ko) 2023-11-17

Family

ID=889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929A KR102602850B1 (ko) 2022-12-19 2022-12-19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85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152U (ko) * 1994-11-29 1996-06-19 래티클제거용 집게
KR960033119U (ko) * 1995-03-08 1996-10-24 자삽용 소자 벤딩집게
JP2556957Y2 (ja) * 1993-04-13 1997-12-08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損傷検出器
KR200279308Y1 (ko) * 2002-03-25 2002-06-24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전표분리기
KR101973067B1 (ko) * 2014-04-02 2019-08-16 허 마제스티 더 퀸 인 라이트 오브 캐나다 에즈 리프레젠티드 바이 더 미니스터 오브 내츄럴 리소시스 캐나다 합성 로프 또는 케이블의 분석 장치 및 그 용도의 방법
JP2020183897A (ja) 2019-05-08 2020-11-12 東京製綱株式会社 自走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KR102178721B1 (ko) 2020-08-24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의 손상 탐지방법 및 손상 탐지장치
KR102241879B1 (ko) 2019-12-03 2021-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한 덕트 공동 탐지 모델 학습 장치 및 덕트 공동 탐지 시스템
KR102275062B1 (ko)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292726B1 (ko) 2021-07-0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마그네틱에 의한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312616B1 (ko)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957Y2 (ja) * 1993-04-13 1997-12-08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損傷検出器
KR960019152U (ko) * 1994-11-29 1996-06-19 래티클제거용 집게
KR960033119U (ko) * 1995-03-08 1996-10-24 자삽용 소자 벤딩집게
KR200279308Y1 (ko) * 2002-03-25 2002-06-24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전표분리기
KR101973067B1 (ko) * 2014-04-02 2019-08-16 허 마제스티 더 퀸 인 라이트 오브 캐나다 에즈 리프레젠티드 바이 더 미니스터 오브 내츄럴 리소시스 캐나다 합성 로프 또는 케이블의 분석 장치 및 그 용도의 방법
JP2020183897A (ja) 2019-05-08 2020-11-12 東京製綱株式会社 自走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KR102241879B1 (ko) 2019-12-03 2021-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한 덕트 공동 탐지 모델 학습 장치 및 덕트 공동 탐지 시스템
KR102178721B1 (ko) 2020-08-24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의 손상 탐지방법 및 손상 탐지장치
KR102275062B1 (ko)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292726B1 (ko) 2021-07-0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마그네틱에 의한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312616B1 (ko)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6175B2 (ja) 変状計測装置
US7660496B2 (en) Structural joint strai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CN102788730B (zh) 电梯钢丝绳弯曲疲劳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102312616B1 (ko)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CN106441682B (zh) 具有自锁卡线功能的钢丝绳张力测量装置及方法
KR102602850B1 (ko)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JP5960004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ケーブルの緊張力推定方法
KR101851346B1 (ko) 선재의 응력변화와 단면손실 측정을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 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재 외부에서의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방법
CN106168558A (zh) 一种海洋工程柔顺性管缆反复弯曲测试装置及方法
CN110678407B (zh) 管道张紧器
US12007365B2 (en)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an energy chain
CN110735395A (zh) 一种可更换光纤光栅智能筋的拉索及其智能筋更换方法
CN109958056A (zh) 智能拉索、智能拉索制备方法以及智能拉索安全状态检测方法
KR102631756B1 (ko)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CN108731860A (zh) 一种基于光纤应变传感器的缆索检测方法
KR102517365B1 (ko) 추진비행 모듈에 의한 자력 이동이 가능한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KR102210400B1 (ko) 케이블 수밀성 시험장치
US11650120B2 (en) Intelligent cable modul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071322A (ja) 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具及び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方法及び構造物の変位検出装置
CN102914271A (zh) 基于布里渊分布式光纤传感的结构缝监测装置
JP7294968B2 (ja) 変位測定装置、変位測定方法、緊張管理図作成方法
CN202903143U (zh) 基于布里渊分布式光纤传感的结构缝监测装置
KR10154680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손실 측정장치
CN113597364A (zh) 具有线路引导装置的机器人臂
JP6373525B1 (ja) 外ケーブル方式の緊張材の緊張定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