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756B1 -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756B1
KR102631756B1 KR1020230109816A KR20230109816A KR102631756B1 KR 102631756 B1 KR102631756 B1 KR 102631756B1 KR 1020230109816 A KR1020230109816 A KR 1020230109816A KR 20230109816 A KR20230109816 A KR 20230109816A KR 102631756 B1 KR102631756 B1 KR 10263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diagnostic device
diagnostic
search coil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빈
곽임종
박광연
최지영
이주형
박영환
조근희
이상호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10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던의 손상 때문에 발생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메인 서치코일(Main Search Coil)에 더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레디얼 서치코일(Radial Search Coil)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메인 서치코일에서 측정된 유도전압과 레디얼 서치코일에서 측정된 유도전압을 모두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여부와 정도, 그리고 텐던의 손상 부분 위치를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고 파악하여 특정할 수 있는 "텐던 진단장치"와, 이러한 텐던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텐던을 구비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과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Tendon having Radial Search Coi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ridge Cable}
본 발명은 교량의 케이블, 콘크리트 부재의 긴장재, 인장보강을 위한 보강재 등으로 사용되는 텐던(tendon)에 유도자기장을 인가하여 텐던의 손상 때문에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텐던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거나 텐던의 손상 부분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텐던의 상태를 진단(診斷)하는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텐던을 구비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텐던의 손상으로 인하여 종방향 유도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그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메인 서치코일(Main Search Coil)에 더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종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횡방향/레디얼 방향)으로 누설되는 유도자기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탐지하여 측정하는 레디얼 서치코일(Radial Search Coil)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메인 서치코일에서 측정된 유도전압과 레디얼 서치코일에서 측정된 유도전압을 모두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여부와 정도, 그리고 텐던의 손상 부분 위치를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고 파악하여 특정할 수 있는 "텐던 진단장치"와, 이러한 텐던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텐던을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과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긴장재, 사장교나 현수교 등에 이용되는 교량 케이블,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노출 케이블, 인장하중이나 압축하중 등과 같은 축력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 등과 같이 길게 연장된 텐던은 일반적으로 철사, 강봉, 철근 등의 선재(線材)를 복수개로 집속하여 다발 형태로 만든 단면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긴장재, 케이블, 보강재 등으로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복수개의 선재가 집속되어 다발을 이루고 있는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를 통칭하여 "텐던(tendon)"이라고 명명한다.
텐던은 중요한 구조부재에 주로 사용되므로, 부식 등으로 인하여 텐던 단면에 손상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긴장응력 등과 같이 텐던에 가해진 힘 즉, 텐던의 단면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구조부재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텐던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손상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830호에는 역자기변형 현상(Inverse Magnetostriction Effect)을 기반으로 텐던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텐던의 단면력 변화를 파악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의 일환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1346호에는 텐던의 외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감아서 설치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8721호를 통해서는 텐던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도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정도, 및 손상 부분의 위치를 계량화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유용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5062호, 제10-2292726호, 제10-2312616호, 제10-2517365호 등을 통해서도 이러한 기술에 기반한 구체적인 텐던진단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01918호에서는 텐던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텐던을 진단함에 있어서 인공지능 학습시스템을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분야의 외국 특허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183897호 등이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텐던 자체에 부식이나 파손 내지 파괴가 발생하여 물리적으로 단면력을 발휘할 텐던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것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텐던의 단면력 자체가 변화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텐던의 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텐던에 유도자기장을 인가한 후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고 그 변화 등을 분석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 존재 여부, 텐던의 손상 정도, 및 텐던의 손상 부분의 위치를 계량화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텐던의 손상탐지"라고 기재한다. 그리고 "텐던의 손상탐지"와 기타 텐던의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을 모두 포괄하여 <텐던의 진단(診斷)>이라고 기재한다. 텐던의 진단에 기반하여 텐던으로 이루어진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파악하고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을 모두 포괄하여 <교량 케이블의 진단(診斷)>이라고 기재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은 텐던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은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횡방향(레디얼 방향/radial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그리고 종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은 "횡방향 평면"이라고 기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텐던"이라는 용어는 실제 강연선 등으로 제작된 텐던 뿐만 아니라 텐던을 이용하고 있는 교량 케이블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종방향으로 유도자기장(종방향 유도자기장)을 텐던에 인가하게 되면 텐던의 종방향 단면을 통과하는 형태로 자속(magnetic flux)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텐던의 종방향 단면 원주를 따라 감겨진 코일에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으로 인한 유도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텐던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텐던의 종방향 단면을 통과하는 자속밀도가 변하게 된다. 즉, 텐던의 종방향 유도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에 수반하여 종방향 유도자기장으로 인한 유도전압에도 변화가 생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2726호를 비롯한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종래의 텐던 진단장치에서는,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의 외면을 원주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감고 있는 메인 서치코일(main search coil)에 의해 텐던의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텐던을 진단하게 된다. 전압을 측정하게 되면 전류값도 알 수 있게 되며, 그 역으로도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전압 내지 전압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것"은 "전류 내지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텐던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는 횡방향 평면(종방향에 직교하여 텐던을 자르게 되는 가상의 평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이 누설(漏泄)되는 현상(이하,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현상"이라고 기재한다)이 발생하게 되어 텐던의 종방향 단면을 통과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밀도가 변하게 된다. 즉,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현상이 발생하면서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 탐지에 더하여, 텐던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여부 및 그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텐던의 손상 부분 존재 여부 및 텐던의 손상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는 텐던 손상탐지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종래의 텐던 진단장치의 성능, 정확도와 신뢰도, 그리고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텐던의 손상 부분으로 인하여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현상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 및 그 발생 위치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0830호(2016. 02. 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346호(2018. 04. 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8721호(2020. 11. 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5062호(2021. 07. 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726호(2021. 08. 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2616호(2021. 10. 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1879호(2021. 04. 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17365호(2023. 04. 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01918호(2023. 02. 21.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183897호(2020. 11. 12.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텐던에 종방향 유도자기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텐던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 및/또는 그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에 더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의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발생 여부와 그 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하고 파악함으로써, 텐던의 손상탐지 및 텐던의 진단을 더욱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텐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텐던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텐던 상태의 진단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교량 케이블에 텐던 진단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교량 케이블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교량 케이블의 진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교량의 주탑이 십수m 내지 수십m의 높이에 이르며 교량의 경간 일측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주탑까지 경사지게 배치된 교량 케이블에 대해서도, 위험한 고소 작업 없이도 텐던 진단장치를 주탑 부근의 높은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시키면서 교량 케이블을 진단할 수 있게 되어 위험한 고소(高所) 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2하프본체가 텐던을 횡방향으로 감싸도록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본체; 유도자기장의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1하프본체 및 제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 밀착 설치되어 있는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로 이루어져서 제1,2하프본체가 조립되면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게 되는 메인 서치코일; 외면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감겨진 코어부재로 이루어져서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체; 및 제1,2하프 단부연결편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종방향 양단면에 각각 결합되어 원형 링을 이루며, 코어부재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부연결편을 포함하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자기력선이 본체의 중공 내부에 집중된 형태로 텐던을 따라 종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자기장을 형성한 상태에서 텐던을 따라 이동하면서 텐던의 단면력 변화 또는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종방향으로의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메인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제1하프본체 및 제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는 폐합된 루프 형태의 복수개 레디얼 서치코일이 제1,2하프본체의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텐던을 따라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흐르는 상태에서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이 누설될 때, 누설되는 유도자기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각각의 레디얼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메인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과 레디얼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을 모두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의 위치를 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 진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텐던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케이블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과 진단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과 진단시스템은 텐던의 외부에 솔레노이드 코일과 서치 코일을 감은 형태로 위치시켜서 코일의 통전을 통해서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텐던 상태를 파악하는 텐던 진단장치를 경사진 교량 케이블의 하측에 설치하고, 경사진 교량 케이블의 상측에는 도르래를 구비한 주행로봇을 설치하며, 인양와이어의 타단은 텐던 진단장치에 결합하고 인양와이어의 일단은 주행로봇쪽으로 연장하여 도르래에 감아서 방향전환시킨 후 인양와이어의 타단을 윈치에 결합함으로써 교량 케이블 진단초기 상태를 만드는 단계; 주행로봇을 교량 케이블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정해진 높이의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윈치를 작동시켜서 인양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텐던 진단장치를 사전에 정해진 개별 진단위치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를 작동시켜서 텐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파악함으로써,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에 의하면, 텐던에 종방향 유도자기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텐던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 및/또는 그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에 더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의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발생 여부와 그 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하고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텐던의 손상탐지 및 텐던의 진단을 더욱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길게 연장된 텐던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텐던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텐던에 대해 유도자기장을 인가하고, 텐던의 손상이나 또는 텐던 내의 긴장응력(단면력)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변화 및/또는 그로 인한 유도전압을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여부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텐던의 단면력 정도 및 그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텐던 상태를 진단함에 있어서 텐던을 이루는 선재의 시편에 대해 손상 발생 형태에 따른 텐던의 유도전압 이론값을 미리 파악해두고, 현장에서는 실제 텐던에 대해 유도전압을 측정한 후, 텐던의 유도전압 실제 측정값과 유도전압 이론값과 대비함으로써 텐던의 어느 위치에서 몇 개의 선재가 손상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텐던의 손상 여부 및 그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고 그 손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텐던의 손상 및 그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대비할 수 있게 되며, 텐던을 이용한 구조물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에서는 텐던 진단장치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면서 정해진 진단위치에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게 되는데, 텐던 진단장치의 상승 또는 하강은 윈치의 작동 제어에 의한 인양와이어의 장력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윈치의 작동제어는 필요에 맞추어서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텐던 진단장치를 원하는 이동속도로 정확한 개별 진단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텐던진장장치의 이동 제어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교량 케이블의 진단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유/무선 조정 또는 자율주행에 의해 이동하는 주행로봇을 교량의 주탑 부근의 높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텐던 진단장치를 승하강시키게 되므로, 주탑의 높은 위치에서의 고소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거나 최소화되며 그에 따라 작업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발휘된다.
또한 집게 작동을 하는 집게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경우, 집게 모듈을 이용하여 텐던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1,2하프본체를 일체로 조립하여 원통형의 본체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2하프본체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텐던 진단장치가 설치된 후에는 집게 모듈의 손잡이부를 붙잡고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던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 여부를 진단하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의 외부를 감싸서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만을 발췌하여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편의상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에서 자기장 형성체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의 본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체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1개의 레디얼 서치코일만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하프본체에서 레디얼 서치코일이 돌기부에 감겨져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5의 화살표 P-P에 따른 제1하프본체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하프본체에서 레디얼 서치코일이 돌기부에 감겨져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5의 화살표 Q-Q에 따른 제2하프본체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2하프본체를 텐던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종방향 단면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텐던에 유도자기장이 인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종방향 단면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 텐던에 유도자기장이 인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의 (c)는 도 14의 (b)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4의 (d)는 도 14의 (c)의 화살표 G-G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메인 서치코일이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이 발생하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 레디얼 서치코일을 구비한 본체가 설치되어서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한 유도전압을 레디얼 서치코일에 의해 탐지하고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6의 화살표 K-K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의 (b)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을 탐지한 레디얼 서치코일에 유도전압으로 인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각각 집게 모듈이 구비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가 닫혀 있는 상태와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의 (a)와 (b)는 각각 집게 모듈이 구비된 텐던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23은 집게 모듈이 구비된 텐던 진단장치가 교량 케이블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 후속하여 집게 모듈이 구비된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도록 설치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각각 집게 모듈이 구비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가 닫혀 있는 상태와 열려 있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9의 (a)와 (b)는 각각 도 25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5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상태에 후속하여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각각 작업자가 텐던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각각 제어장치와 전원장치가 집게 모듈의 손잡이부에 더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교량 케이블 진단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7 및 도 38은 각각 도 36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방식에 따른 진단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각각 도 36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방식에 따른 진단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이나 효과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의 외부를 감싸서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100)만을 발췌하여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텐던 진단장치(100)에 대하여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화살표 X-X는 종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Y-Y는 횡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 Z-Z는 연직방향(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R-R은 원주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 Y-Z사이의 평면은 횡방향 평면에 해당한다. 여기서 "원주방향"은 후술하는 원통형 본체(1)의 원주를 따라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는 전체적으로는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원통 형상)로 이루어져서 텐던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는, 중공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 본체(1)의 외면에 원주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게 되며 종방향 유도자기장에 의해 유도전압이 인가되는 메인 서치코일(main search coil)(2), 각각 폐합된 루프(loop) 형상을 이루는 코일(coil)로 이루어져서 본체(1)의 외면에서 메인 서치코일(2)과 나란하게 위치하여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레디얼 서치코일(vertical search coil)(6), 종방향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 및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이 텐던을 따라 종방향으로 집중되어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본체(1)의 종방향 양단면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연결편(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자기장 형성체(3)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바(bar)로 이루어진 코어부재(30)와 그 외면에 감겨진 솔레노이드 코일(31)로 이루어진다. 텐던(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에는 가이드 휠(wheel)이 구비되거나 또는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이 본체(1)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휠 및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7은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따라 주행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거리계(7)로서, 도면에 도시된 거리계(7)는 본체(1) 내면으로 돌출되어 텐던(200)에 밀착하여 구름운동하는 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거리계(7)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편의상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에서 자기장 형성체(3)의 도시를 생략하고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조립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체(1)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는 중공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텐던(200)에 설치하였을 경우, 텐던(200)은 본체(1)의 중공을 관통하게 된다. 텐던은 종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를 가지며 연장되는데, 이러한 텐던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는 전체 구성이 횡방향으로 2개 부재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체(1) 역시 횡방향으로 분할되어 하프 파이프(half pipe) 형태를 가지는 2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편의상 하프 파이프 형태로 분할된 본체(1)의 2개 부재를 각각 지칭할 때에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라고 구분하여 기재한다. 또한 아래에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를 설명할 때, 위와 같이 횡방향으로 2개로 분할되는 부재를 각각 언급할 때에는 "하프(half)"라는 용어를 더 기재하며 횡방향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해당 부재번호에 각각 a, b를 붙여서 기재한다.
본체(1)에는 메인 서치코일(Main Search Coil)(2)이 구비되어 있다. 메인 서치코일(2)은 본체(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코일(coil)이 본체(1)를 원주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감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코일이 본체(1)의 원주를 따라 본체(1)를 나선형태로 감은 형태의 부재가 메인 서치코일(2)에 해당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는 전체적인 구성이 횡방향으로 2개 부재로 분할되는 것이므로 메인 서치코일(2) 역시 횡방향으로 2개로 나누어진 코일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치코일(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하프본체(1a)의 외면에서 밀착 설치되어 있는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2a)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하프본체(1b)의 외면에 밀착 설치되어 있는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2b)로 이루어진다.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2a, 2b)의 단부에는 각각 전기커넥터(29)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제1,2하프본체(1a, 1b)를 텐던(200)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200)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 결합하여 원통형의 본체(1)를 만들게 될 때, 상기 전기커넥터(29)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2a, 2b)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본체(1)의 외면에 코일(전선)이 연속되어 본체의 원주를 따라 나선형태로 감겨져 있는 완성된 형태의 메인 서치코일(2)이 만들어진다.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2a)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2b)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종방향 간격재(20)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의 실시예에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 각각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2개의 간격재(20)가 본체의 원주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간격재(20)는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제1,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2개의 간격재(20)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간격재(20) 사이의 간격에 각각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2a)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2b)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 각각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2a)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2b)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 에 설치될 때 돌출되어 있는 2개의 간격재(20)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2a, 2b) 각각이 본체의 외면에서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원래 설치되어 있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수할 수 있게 된다. 메인 서치코일(2)은 데이터로거에 연결되며, 그에 따라 메인 서치코일(2)에서 측정된 신호는 데이터로거로 전송된다. 데이터로거를 통해서 메인 서치코일(2)에 인가된 유도전압 내지 그에 따른 유도전류 값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에는, 메인 서치코일(2)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레디얼 서치코일(radial search coil)(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도 10의 (a) 및 (b)에는 각각 1개의 레디얼 서치코일만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 및 (b)에 예시된 것처럼 레디얼 서치코일(6)은 코일이 복수회로 감겨서 폐합된 루프(loop)를 이루면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인데, 이러한 레디얼 서치코일(6)은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서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연속하게 배열된 형태로 구비된다. 폐합된 루프 형태로 설치된 복수개의 레디얼 서치코일(6)은 각각 개별적으로 데이터로거에 연결되며, 그에 따라 레디얼 서치코일(6)의 각각에서 측정된 신호는 데이터로거로 전송된다.
폐합된 루프(loop) 형태의 레디얼 서치코일(6)을 만들고 이를 본체의 외면에 밀착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돌기부(60)를 이용한다. 도 11에는 제1하프본체(1a)에서 레디얼 서치코일(6)이 돌기부(60)에 감겨져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5의 화살표 P-P에 따른 제1하프본체(1a)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제2하프본체(1b)에서 레디얼 서치코일(6)이 돌기부(60)에 감겨져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5의 화살표 Q-Q에 따른 제2하프본체(1b)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의 외면에는 돌기부(60)가 구비되는데, 본체(1)의 외면에서 돌기부(60)는 앞서 설명한 메인 서치코일(2)의 설치를 위한 간격재(20)와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며, 돌기부(60)는 전선 즉, 코일이 폐합된 루프(loop) 형태로 복수회 감길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제1,2하프본체(1a, 1b) 각각의 외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돌기부(60)는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60)는 각각의 외면에 구비된다. 이 때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서 1개의 돌기부(60)가 전체 원주를 전부 감싸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돌기부(60)가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 배치되어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원주를 감싸는 구성을 가진다. 특히, 돌기부(60)는 종방향으로 간격재(20)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면에서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는 2개씩의 돌기부(60)가 구비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하프본체(1a)에는 2개의 돌기부(60)가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2하프본체(1b)에도 2개의 돌기부(60)가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가 만들어졌을 때,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원통형 전체 원주를 따라 4개의 돌기부(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존재한다. 그러나 돌기부(6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는 3개씩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돌기부(60)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 구비되는 돌기부(60)의 개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6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돌기부(60)에는 전선 즉, 코일(coil)이 폐합된 루프(loop)를 이루도록 감겨지며, 이렇게 폐합된 루프 형태로 돌기부(60)에 감겨진 각각의 코일이 바로 "레디얼 서치코일(6)"에 해당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 복수개의 돌기부(60)가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돌기부(60)에는 복수개의 코일이 폐합된 루프(loop)를 이루어서 각각의 레디얼 서치코일(6)을 형성하여 존재하므로,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에는 폐합된 루프 형태의 복수개 레디얼 서치코일(6)이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돌기부(60)는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 완전히 고정된 형태로 일체를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 조립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별도로 만들어진 돌기부(60)에 미리 코일을 폐합된 루프 형태로 감아서 레디얼 서치코일(6)을 돌기부(60)에 형성한 후, 이러한 돌기부(60)를 제1하프본체(1a)의 외면에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돌기부(60)를 제1하프본체(1a)의 외면에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는 제1하프본체(1a)의 외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돌기부(60)의 하단을 구멍에 끼우는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2하프본체(1b)에서도 제1하프본체(1a)와 동일한 방식으로 돌기부(60)가 조립되어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60)가 제1하프본체(1a) 및 제2하프본체(1b) 각각의 외면에 조립 고정되는 구성에서는 미리 돌기부(60)에 코일을 루프 형태로 감아서 레디얼 서치코일(6)을 형성하게 되므로, 레디얼 서치코일(6)의 형성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되며 그 텐던 진단장치의 제작 정밀도 역시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폐합된 루프 형태로 설치된 각각의 레디얼 서치코일(6)은 메인 서치코일(3)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데이터로거에 연결되며, 그에 따라 레디얼 서치코일(6)의 각각에서 측정된 신호는 개별적으로 데이터로거로 전송된다. 데이터로거를 통해서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인가된 유도전압 내지 그에 따른 유도전류 값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자기장 형성체(3)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막대부재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코어부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어부재(30)의 외면에는 솔레노이드 코일(31)이 나선형태로 감겨져 있다. 이러한 자기장 형성체(3)는 본체(1)의 외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코어부재(30)가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데, 특히 자기장 형성체(3)는 복수개가 본체(1)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코일(31)에 전기가 가해지면 텐던에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형성되어 인가된다.
본체(1)의 종방향 양 단면에는 각각 단부연결편(4)이 결합 설치되는데, 자기장 형성체(3)를 이루는 코어부재(30)의 종방향 양단은 각각 단부연결편(4)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형 링 형태의 부재가 횡방향으로 2개의 부재로 분할되어서 각각 원형 링의 절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하프 단부연결편(4a)과 제2하프 단부연결편(4b)이 횡방향으로 조립 결합되어서 하나의 원형 링 형태의 단부연결편(4)을 이루고 있다.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는 모두 단부연결편(4)에 그 양단이 밀착 결합된다. 즉, 자기장 형성체(3)의 코어부재(30)는 그 양단이 단부연결편(4)에 결합되어 전자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코어부재(30)가 단부연결편(4)의 횡방향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기장 형성체(3)에 의해 만들어진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이 본체(1)의 중공에서 텐던(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집중되어 흐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 단부연결편(4)은 하나의 원형 링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2하프 단부연결편(4a, 4b)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원형 링 형태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마다 각각의 단부연결편(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단부연결편(4)은 두께를 가지는 분할된 강재편으로 이루어져서, 자기장 형성체(3)의 배치 간격에 맞추어서, 본체(1)의 종방향 양 단면에서 원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는 텐던(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텐던(2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탐지 내지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가이드 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텐던(200)이 본체(1)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텐던(20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13에는 제1실시예의 텐던 진단장치(100)에서 제1,2하프본체(1a, 1b)를 텐던(200)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200)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2하프 서치코일(2a, 2b)이 미리 외면에 밀착 설치되어 있는 제1,2하프본체(1a, 1b)를 텐던(200)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200)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하여 결합함으로써 본체(1)를 만들고, 제1,2하프 서치코일(2a, 2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1,2하프 단부연결편(4a, 4b)을 텐던(200)의 횡방향 양측에서 텐던(200)을 감싸면서 서로 조립하여 단부연결편(4)을 형성하고, 이 작업의 전후, 또는 이 작업과 병행하여 단부연결편(4)을 본체(1)의 종방향 양단에 결합한다. 단부연결편(4)이 설치되면, 코어부재(30)에 솔레노이드 코일(31)이 감겨져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를 원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면서 그 양단을 각각 단부연결편(4)에 밀착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가 단부연결편(4)에 결합되면 단부연결편(4)과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는 일체화된 자성체를 이루게 된다.
위에서는 제1,2하프본체(1a, 1b)를 조립 결합하는 작업, 제1,2하프 서치코일(2a, 2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 및 제1,2하프 단부연결편(4a, 4b)을 조립하고 본체(1)에 결합하는 작업, 및 복수개의 자기장 형성체(3)를 단부연결편(4)에 결합하는 작업이 마치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처럼 서술되어 있으나, 위 작업들의 순서는 편의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자기장 형성체(3)가 결합되어 있는 제1,2하프 단부연결편(4a, 4b) 미리 준비하고, 이러한 제1,2하프 단부연결편(4a, 4b) 각각을 제1,2 하프본체(1a, 1b)의 단부에 결합하여, 사전에 자기장 형성체 및 하프 단부연결편, 그리고 하프 서치코일이 구비된 제1,2하프본체(1a, 1b)를 각각 별도로 준비한 후에 최종적으로 제1,2하프본체(1a, 1b)를 조립 결합하는 작업 및 제1,2하프 서치코일(2a, 2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를 텐던(20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위에서 예시한 순서와 다른 형태로 각 작업의 순서를 바꾸어서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는 횡방향으로 2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 텐던(200)을 감싸면서 조립함으로써 설치되므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텐던(200)일지라도 텐던 진단장치(100)를 텐던(2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매우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텐던(200)에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개의 가이드 휠 내지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텐던(200)에 위와 같이 텐던 진단장치(100)를 가이드 휠 내지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이 텐던(200)의 외면에 닿으면서 본체(1)의 중공 내면과 텐던(200)의 외면 사이에 필요한 간격이 자동적으로 만들어진 상태로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에 매달린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이드 휠 내지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이 구비되면 텐던(200)(200)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100)를 매우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음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텐던을 진단하는 원리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의 (a) 및 (b)에는 각각 텐던(200)에 유도자기장이 인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4의 (a)에는 텐던(200)의 종방향 단면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의 (b)에는 텐던(200)의 종방향 단면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의 (c)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의 (d)에는 도 14의 (c)의 화살표 G-G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a) 내지 (c)의 각각에서 붉은색 화살표 B로 표시된 것은 텐던에 인가된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을 나타내며, 도 14의 (d)에서 붉은색 D로 표시된 영역은 텐던에 인가된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이 종방향으로 지나가는 영역을 나타낸다.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기장 형성체(3)의 솔레노이드 코일(31)에 전류가 가해지면 코어부재(30)가 자화되면서, 도 1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자속선이 본체(1)의 중공에 집중되어 종방향으로 지나가는 형태로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각각의 자기장 형성체(3)에 의해 텐던에 인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텐던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손상 부분에서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는 도 14의 (b) 내지 (d)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의 유도자기장의 누설(漏泄)이 발생하게 된다. 즉, 텐던을 따라 종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이 흐르는 상태에서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는 횡방향 평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의 누설(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하여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는 텐던의 종방향 단면에 대한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밀도가 변화된다.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밀도가 변화되면 그에 따라 유도전압(induced-voltage)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도전압의 변화로 인하여 메인 서치코일(2)을 따라 흐르던 유도전류에도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서치코일(2)에 인가되는 유도전압의 변화를 탐지하고 그 변화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텐던에 손상이 발생하였다는 것과, 그 손상의 정도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 서치코일(2)은 "텐던을 따라 종방향으로 흐르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구체적으로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밀도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induced-voltage)의 변화"를 탐지하고 그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도 15에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메인 서치코일(2)이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5에서는 손상이 발생한 텐던만을 투시 형태로 도시하였고,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텐던의 투시 형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메인 서치코일(2)은 본체(1)의 외면에 원주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텐던에 가해진 종방향 유도자기장으로 인하여 메인 서치코일(2)에는 유도전압이 인가되고 유도전류가 나선형으로 감긴 메인 서치코일(2)을 따라 흐르게 된다. 메인 서치코일(2)에 인가된 유도전압은 측정기에 의해 그 크기 등이 측정되고, 그 측정신호는 데이터로거로 전송된다. 도 15에서 메인 서치코일(2)에 표시한 화살표는 유도전압에 따른 유도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메인 서치코일(2)에서 유도전류는 본체의 외주를 따라 나선형태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메인 서치코일(2)에서 측정된 유도전압의 변화를 기반으로 텐던의 손상 발생을 인지하게 되고, 텐던의 단면 손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서치코일(2)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의 변화량은, 역자기변형 현상에 근거한 텐던의 단면력 정도 및 변화 파악에 이용되는 것이다. 메인 서치코일(2)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텐던의 단면력(긴장응력) 정도 및 변화를 분석하고 파악하며, 텐던의 손상여부 및 손상정도를 탐지하는 구체적인 연산 및 분석 구성과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8721호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텐던 모니터링에 의한 상태 파악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메인 서치코일(2)은 궁극적으로는 텐던의 단면 손상으로 인하여 텐던의 종방향 단면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자속밀도 변화를 탐지하는 것이므로 텐던의 손상 발생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는데는 다소 불충분한 점이 있다. 특히, 텐던의 종방향 단면에서 원주의 어느 방향의 위치에 손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것 즉, 텐던(200)의 종방향 단면 원주에서 어떤 방향으로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레디얼 서치코일(6)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였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텐던에 발생한 손상 부분에서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漏泄)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폐합된 루프 형태를 이루고 있는 레디얼 서치코일(6)을 본체(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이 발생하게 되면 레디얼 서치코일(6)에 유도전압이 인가되고, 그 인가된 유도전압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漏泄) 발생 여부, 발생 위치 및 그 정도를 정확하게 탐지하여 파악하게 된다. 도 16에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 레디얼 서치코일(6)을 구비한 본체(1)가 설치되어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의 (a)에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한 유도전압을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탐지하고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6의 화살표 K-K에 따른 도 14의 (d)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의 (b)에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을 탐지한 레디얼 서치코일(6)에 유도전압으로 인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의 (b)에서 레디얼 서치코일(6)에 표시한 화살표는 레디얼 서치코일(6)에서 유도전압에 따른 유도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붉은색 D로 표시된 영역은 텐던에 인가된 유도자기장의 자속선이 종방향으로 지나가는 영역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텐던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손상 부분에서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이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유도자기장의 누설된 자속선의 분포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유도자기장의 누설된 자속선의 분포에서 횡방향의 성분을 탐지하고 측정하게 되면 텐던의 단면 손상이 손상단면의 원주 방향으로 어떤 위치에서 발생했는지 탐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탐지 기능을 레디얼 서치코일(6)이 수행하게 된다. 즉, 폐합된 루프 형태로 구비된 레디얼 서치코일(6)이 유도자기장의 누설된 자속선의 분포에서 횡방향의 성분을 탐지하고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횡방향으로 누설된 유도자기장의 자속선 내에 레디얼 서치코일(6)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레디얼 서치코일(6)에는 유도전압이 인가되고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폐합된 루프 형태로 구비된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유도전압이 측정될 경우, 이는 유도전압이 측정된 그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유도전압이 측정된 그 위치에 텐던의 손상 부분이 존재하는 것 즉, 텐던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유도전압이 측정되면, 종방향으로 해당 위치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이 발생하였음을 알게 되어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를 알게 되고 텐던의 손상 부분에 대한 종방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레디얼 서치코일(6)은 복수개가 본체(1)의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유도전압이 측정되었을 때, 원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레디얼 서치코일(6) 중에서 어느 것에서 유도전압이 측정되었는지를 식별함으로써,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이 텐던(200)의 종방향 단면 원주에서 어떤 방향으로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텐던(200)의 종방향 단면 원주의 어느 위치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는지도 정확하게 탐지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레디얼 서치코일(6)을 통해서 측정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한 유도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대하여 극대값의 변화를 분석하게 되면 텐던의 손상 부분에 대한 종방향 길이 즉, 손상 부분의 길이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레디얼 서치코일(6)을 이용함으로써 텐던 손상 부분의 종방향 길이도 상당한 신뢰도를 가지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에 기반하여 텐던의 손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구체적인 수학적 연산 및 분석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8721호에 개시된 기술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서치코일(2)에 더하여 폐합된 루프 형태의 레디얼 서치코일(6)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텐던의 손상 여부 및 그 손상 부분의 위치, 그리고 더 나아가 손상 부분의 종방향 크기 등을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파악하고 특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 현상을 레디얼 서치코일(6)에 의해 정확하게 탐지함으로써, 텐던의 손상 발생 여부, 손상 부분의 위치, 및 손상 부분의 종방향 범위(길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텐던의 손상탐지 및 텐던의 진단을 더욱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를 현장에서 텐던(200)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제1,2하프본체(1a, 1b)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서로 조립하는 것이 텐던 진단장치의 활용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1,2하프본체를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체결 조립되게 하는 것 역시 텐던 진단장치의 활용 효율 향상에 특히 중요하다. 특히 교량 케이블의 손상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텐던 진단장치가 종방향으로 교량 케이블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유도자기장 인가 및 유도전압 측정에 의한 텐던의 진단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텐던 진단장치의 이동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수록 텐던 진단 작업의 효율성도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에는 집게 작동을 하는 집게 모듈(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텐던 진단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각각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 및 도 21에는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의 (a)와 (b)에는 각각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2의 (a)에는 도 18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의 (b)에는 도 20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는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도 23의 상태에 후속하여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제2실시예의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표기하였듯이,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는 상태"는 도 18, 도 19, 도 22의 (a)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 또는 체결되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하며, 반대로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는 상태"는 도 20, 도 21, 도 22의 (b) 및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벌어진 상태 또는 벌어지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한다.
집게 모듈(300)은 물건을 집는 집게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종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1집게 부재(301)의 일측에는 제1하프본체(1a)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하프본체(1a)와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10)이 구비되어 있고, 제1집게 부재(301)의 타측에는 손잡이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2집게 부재(302)는 상기 제1집게 부재(301)와 횡방향으로 거울대칭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제1집게 부재(301)와 마찬가지로, 제2집게 부재(302)도 일측에 제2하프본체(1b)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2하프본체(1b)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32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부(321)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집게 모듈(300)에서 제1,2집게 부재(301, 302)는 횡방향으로 거울대칭 관계로 배치되는데,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 각각에서 손잡이부와 하프 결합링은 횡방향으로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다.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도 18 및 도 19에서 제1공간은 아래쪽에 위치함)과,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도 18 및 도 19에서 제2공간은 위쪽에 위치함)으로 나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집게 부재(301)의 손잡이부(311)와 하프 결합링(310)은 모두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302)의 손잡이부(321)와 하프 결합링(320)은 모두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게 되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가까워져서 체결 조립되어 원통형 본체(1)가 만들어진다. 즉,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면 집게 모듈(300)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집게 모듈(300)이 닫히는 것이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처럼 손잡이부(311, 321)의 마주보는 간격에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도 18, 도 19 및 도 2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닫혀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는 서로 체결 조립되어 원통형의 본체(1)가 만들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태 즉,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르게 되면, 도 20, 도 21 및 도 2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열리고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는 서로 벌어져서 텐던(200)에 장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벌어져 있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의 사이에 텐던(200)이 위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311, 321)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스프링(33)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져서 벌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원상 복귀되고, 그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이 서로 가까워져서 텐던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어서 설치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경우, 집게 작동에 의해 제1,2하프본체(1a, 1b)는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게 되므로, 제1,2하프본체(1a, 1b)를 조립하여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된다. 특히,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잡이부(311, 321)만을 간단히 가깝게 누르게 되면, 집게 작동에 의해 집게 모듈(300)이 열리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의 누르고 있던 상태를 해제하면 집게 모듈(300)이 닫혀서 텐던 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서로 접근하여 체결되는 바, 제1,2하프본체(1a, 1b)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맞물려서 일체화된다. 즉, 제1,2하프본체(1a, 1b)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를 구비하여,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횡방향으로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3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짐에 있어서,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달리,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게 될 때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도록 작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집게 모듈(300)은,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가까워져서 체결 조립되어 본체(1)가 만들어지고, 반대로 손잡이부(311, 321)가 이격되어 벌어지면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벌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5 내지 도 32에는 위와 같이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에서는 집게 모듈(300)이 닫히고,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면 집게 모듈(300)이 열리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5 내지 도 28에는 각각 집게 모듈(300)이 구비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5 및 도 26에는 집게 모듈(300)이 닫혀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 및 도 28에는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어서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의 (a) 및 (b)에는 각각 도 27 및 도 28에 예시된 텐던 진단장치(100)의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9의 (a)는 도 25와 같이 텐던 진단장치(100)가 열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9의 (b)에는 도 27과 같이 텐던 진단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0에는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1에는 도 30의 상태에 후속하여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감싸도록 설치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31에 예시된 제3실시예에서는,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가 결합핀(303)에서 서로 교차한다. 따라서 제1집게 부재(301)와 제2집게 부재(302) 각각에서 손잡이부와 하프 결합링은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쪽 측면에 위치한다.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를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도 25 내지 도 31의 실시예에서는 제1하프본체가 도면의 위쪽에 위치함)과,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도 25 내지 도 31의 실시예에서는 제2하프본체는 도면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 나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집게 부재(301)의 손잡이부(311)는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제1집게 부재(301)의 하프 결합링(310)은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제2집게 부재(302)의 손잡이부(321)는 제1하프본체(1a)가 위치하는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302)의 하프 결합링(320)은 제2하프본체(1b)가 위치하는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2실시예어서도 손잡이부(311, 321)의 마주보는 간격에 스프링(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도 25, 도 26 및 도 2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이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벌어져 있는 제1하프본체(1a)와 제2하프본체(1b)의 사이에 텐던(200)을 위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311, 321)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르게 되면 도 27, 도 28 및 도 2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33)이 압축되면서 집게 모듈(300)이 닫히고, 그에 따라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하프 결합링(310, 320)이 서로 가까워져서 텐던 진단장치(100)의 제1,2하프본체(1a, 1b)가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어서 설치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텐던(200)의 외면을 본체(1)가 감싸도록 텐던 진단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텐던(200)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키면서 텐던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도 32 및 도 33에는 각각 도 24 및 도 31의 상태에 후속하여 작업자가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에서 점선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작업자는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를 붙잡고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200)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텐던 진단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텐던 진단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제1,2집게 부재(301, 302)의 손잡이부(311, 321)가 서로 멀어지게 만들어서 집게 모듈(300)을 열어서 제1,2하프본체(1a, 1b) 사이가 벌어지게 만든 후 텐던(200)을 빼내는 방식으로 텐던 진단장치(100)를 텐던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집게 모듈을 구비한 텐던 진단장치(100)의 경우에는, 텐던(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1,2하프본체(1a, 1b)를 일체로 조립하여 원통형의 본체(1)를 이루게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2하프본체(1a, 1b)의 체결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텐던 진단장치(100)가 설치된 후에는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를 붙잡고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텐던 진단 작업에 어떠한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텐던(200)을 따라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텐던을 진단하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34 및 도 35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18 내지 도 24에 예시된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더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 및 도 35에 예시된 것처럼 텐던 진단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의 제어장치(500)가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텐던 진단장치(100)의 필요한 부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배터리)(600) 역시 도 34 및 도 35에 예시된 것처럼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집게 모듈(300)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장치(500)와 텐던진단장치(100)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전원은 배터리에 의해 자체 공급된다. 따라서 텐던 진단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해 무선방식으로 제어되면서 텐던 진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이 집게 모듈(300)의 손잡이부(311, 321)에 제어장치(500)와 전원장치(600)가 구비되는 구성은 도 25 내지 도 31에 예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텐던 내지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함에 있어서 인양 와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인양 와이어를 이용하여 교량 케이블을 진단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과, 이를 위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교량 케이블 진단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명세서에서 "텐던"은 교량 케이블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와이어를 이용한 본 발명의 교량 케이블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교량 케이블이라는 용어 대신에 "텐던(200)"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36에서 도면부호 700은 교량 주탑(700)이고, 도면부호 701은 텐던(200)이 지지하는 교량 바닥판을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물(701)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 진단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와, 인양와이어(400)가 감겨서 방향전환되게 만드는 도르래(4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텐던(200)에 체결되어 텐던(200)을 따라 이동하여 텐던 진단장치(100)를 인양하는 주행로봇(410)과, 인양와이어(40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인양와이어(400)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윈치(winch)(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텐던(200)에는 텐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진단하기 위한 텐던 진단장치(100)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텐던(200)에서 텐던 진단장치(100) 보다 더 높은 위치에는 주행로봇(410)이 결합되어 있는데, 주행로봇(410)은 텐던(200)에 결합된 상태로 작업자의 유/무선 조정에 의해 또는 자율주행을 통해서 텐던(200)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이다. 텐던(200)과 같이 길게 연장된 부재에 결합된 채로 이동하는 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기존 기술을 이용하여 주행로봇(410) 자체는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주행로봇(410)에는 도르래(4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인양와이어(400)가 도르래(411)에 감겨서 방향 전환되는데, 인양와이어(400)의 일단은 윈치(50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텐던 진단장치(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36에 예시된 것처럼, 텐던(200)에 텐던 진단장치(100)와 주행로봇(410)을 설치하고, 인양와이어(400)의 타단은 텐던 진단장치(100)에 결합하고 인양와이어(400)의 일단은 주행로봇(410) 쪽으로 연장시켜서 도르래(411)에 감아서 방향전환시킨 후 인양와이어(400)의 일단을 윈치(500)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을 "설치초기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 때, 텐던 진단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고정시켜둘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양와이어(400)에 장력을 가하여 텐던 진단장치(100)가 일시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량 케이블 진단시스템을 설치초기상태로 만든 후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 진단방법의 2가지 방식에 따라 교량 케이블을 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은 텐던 진단장치(100)를 경사져 있는 텐던의 상부쪽으로 당겨서 "상승"시키면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37 및 도 38에는 각각 본 발명의 첫 번째 방식에 따른 진단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주행로봇(410)을 텐던(200)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원하는 높이의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텐던 진단장치(100)는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인양와이어(400)의 장력을 조절시켜서 텐던 진단장치(100)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주행로봇(410)의 이동은 작업자의 무선 또는 유선 조정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주행로봇(410)의 자율주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로봇(410)이 필요한 위치까지 상승 이동된 후에는 주행로봇(4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윈치(500)의 작동에 의해 인양와이어(400)에 장력을 부여하여 텐던 진단장치(100)를 당겨서 위로 인양함으로써,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텐던 진단장치(100)를 원하는 속도로 그리고 원하는 진단위치까지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면서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작동시켜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도 3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도 36에서의 텐던 진단장치(100) 위치 즉, 상승되기 전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9 및 도 40에는 각각 도 36의 상태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방식에 따른 진단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에서는, 텐던 진단장치(100)를 경사져 있는 텐던(200)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강"시키면서 진단을 수행한다. 도 39에 도시된 것처럼 주행로봇(410)을 텐던(200)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시키고, 텐던 진단장치(100) 역시 텐던(200)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주행로봇(410)을 원하는 높이에 이동시켜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윈치(500)를 구동시켜 인양와이어(400)를 당김으로써 텐던 진단장치(100)를 교량 케이블 상부의 진단 개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후속하여 도 40에 도시된 것처럼 윈치(500)를 구동시켜 인양와이어(400)를 필요한 정도로 풀어주게 되면 텐던 진단장치(100)가 텐던(200)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인양와이어(400)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텐던 진단장치(100)를 원하는 속도로 그리고 원하는 진단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면서 각각의 진단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100)를 작동시켜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도 28에서 점선은 도 27에서의 텐던 진단장치(100) 위치 즉, 하강하기 전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에서는 텐던 진단장치(100)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면서 정해진 진단위치에서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게 되는데, 텐던 진단장치(100)의 상승 또는 하강은 인양와이어(400)의 장력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고, 인양와이어(400)의 장력 조절은 윈치(50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윈치(500)의 작동은 필요에 맞추어서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므로, 인양와이어(400)의 장력 상태도 원하는 정도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텐던 진단장치(100)의 이동 역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텐던 진단장치(100)를 정해진 진단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면서 교량 케이블의 진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량 케이블의 진단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유/무선 조정 또는 자율주행에 의해 이동하는 주행로봇(410)을 교량의 주탑 부근의 높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텐던 진단장치(100)를 승하강시키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접 주탑의 높은 위치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고소(高所)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하여 안전하게 교량 케이블의 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발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텐던 진단장치(100)를 이용하면, 텐던 손상부분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로 인한 유도전압의 변화량과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한 유도전압을 모두 측정하여, 텐던의 손상여부,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텐던(200)을 이루는 선재의 시편에 대해 손상 발생 형태에 따른 유도전압 측정값을 이용한 텐던의 유도전압 이론값을 미리 파악해두고, 현장에서는 실제 텐던(200)의 텐던에 대해 유도전압을 측정한 후, 텐던의 유도전압 측정값과 유도전압 이론값과 대비함으로써 텐던(200)의 어느 위치에서 몇 개의 선재가 손상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텐던의 손상 여부 및 그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고 그 손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텐던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텐던의 손상 및 그로 인한 텐던의 손상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대비할 수 있게 되며, 텐던을 이용한 구조물(교량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교량 등)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본체
2: 메인 서치코일
3: 자기장 형성체
4: 단부연결편
6: 레디얼 서치코일
30: 코어부재
31: 솔레노이드 코일
60: 돌기부
200: 텐던
300: 집게 모듈
400: 인양와이어
410: 주행로봇
500: 윈치

Claims (11)

  1. 제1,2하프본체로 이루어진 본체; 제1,2하프본체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2하프본체가 조립되면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본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구비되는 메인 서치코일; 폐합된 루프 형상을 이루는 코일로 이루어져서 제1,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서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연속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디얼 서치코일; 솔레노이드 코일이 감겨진 코어부재로 이루어져서 유도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체; 및 본체의 종방향 양단에 구비되어 코어부재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부연결편을 포함하며;
    각각 코일이 폐합된 루프를 이루도록 감겨져서 레디얼 서치코일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제1하프본체 및 제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서 제1,2하프본체의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데, 제1하프본체 및 제2하프본체 각각의 외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돌기부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돌기부가 제1하프본체 및 제2하프본체에 조립 구비되며;
    저마찰면을 가지는 미끄럼판이 본체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집게 부재와 제2집게 부재가 종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서로 거울대칭 관계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집게 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제1집게 부재는 일측에 제1하프본체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하프본체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제2집게 부재는 일측에 제2하프본체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2하프본체에 결합되는 하프 결합링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손잡이부의 마주보는 간격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텐던 진단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수하여 텐던 진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텐던 진단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집게 모듈의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있고;
    제1하프본체와 제2하프본체를 분리시키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을 제1하프본체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제2하프본체가 위치하는 제2공간으로 나누었을 때, 제1집게 부재의 손잡이부는 제2공간에 위치하고 제1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은 제1공간에 존재하고, 제2집게 부재의 손잡이부는 제1공간에 위치하고 제2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은 제2공간에 존재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제1,2집게 부재의 손잡이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1,2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 사이가 멀어지게 되어 제1,2하프본체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제1,2하프본체 사이에 텐던이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2집게 부재의 손잡이부 사이를 누르게 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제1,2집게 부재의 하프 결합링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제1,2하프본체가 텐던의 외측을 감싸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본체를 이루게 되어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에 설치되는데;
    본체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미끄럼판이 텐던의 외면에 닿으면서 본체의 중공 내면과 텐던의 외면 사이에 필요한 간격이 자동적으로 만들어진 상태로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텐던 진단장치가 텐던에 설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텐던을 따라 종방향 유도자기장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텐던의 손상으로 인한 종방향 유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메인 서치코일에 의해 탐지하여 측정하며, 텐던의 손상 부분에서 유도자기장의 횡방향 누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각각의 레디얼 서치코일에 의해 탐지하여 측정함으로써, 메인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과 레디얼 서치코일에 의해 측정된 유도전압을 모두 이용하여 텐던의 손상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 진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2하프본체의 각각에는 2개의 돌출된 간격재가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레디얼 서치코일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2개의 간격재 사이의 간격에 각각 제1하프 메인 서치코일과 제2하프 메인 서치코일이 제1하프본체와 제2하프본체 각각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 진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의 끝단에는 각각 제1,2하프 서치코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2하프본체가 결합될 때 전기커넥터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제1,2하프 메인 서치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서치코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 진단장치.
  5. 삭제
  6. 교량 케이블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청구항 제1항의 텐던 진단장치를 경사진 교량 케이블에 설치하고, 교량 케이블에서 텐던 진단장치 위쪽의 위치에는 도르래를 구비한 주행로봇을 설치하며, 인양와이어의 타단은 텐던 진단장치에 결합하고 인양와이어의 일단은 주행로봇쪽으로 연장하여 도르래에 감아서 방향전환시킨 후 인양와이어의 타단을 윈치에 결합함으로써 설치초기상태로 만드는 단계;
    주행로봇을 교량 케이블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정해진 높이의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윈치를 작동시켜서 인양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텐던 진단장치를 사전에 정해진 개별 진단위치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를 작동시켜서 텐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파악함으로써,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주행로봇이 정해진 고정위치까지 이동된 후에는 주행로봇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윈치의 작동에 의해 인양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텐던 진단장치를 당겨서 위로 인양함으로써, 텐던 진단장치를 사전에 정해진 개별 진단위치로 상승 이동시켜서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상기 텐던 진단장치의 작동에 의해 텐던 상태의 모니터링 및 교량 케이블의 상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주행로봇이 정해진 고정위치까지 이동된 후에는 주행로봇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윈치의 작동에 의해 인양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 텐던 진단장치를 당겨서 위로 인양함으로써 텐던 진단장치를 사전에 정해진 진단 개시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윈치를 작동시켜 인양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텐던 진단장치가 진단 개시위치로부터 하강 이동하게 만들어서 텐던 진단장치가 사전에 정해진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 위치하게 만든 상태에서 상기 텐던 진단장치의 작동에 의해 텐던 상태의 모니터링 및 교량 케이블의 상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9. 교량 케이블을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청구항 제1항의 텐던 진단장치와, 인양와이어가 감겨서 방향전환되게 만드는 도르래가 구비되어 있으며 교량 케이블에 체결되어 교량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주행로봇과, 인양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인양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어서 상기 텐던 진단장치를 이동시키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경사진 교량 케이블에 텐던 진단장치가 설치되고, 교량 케이블에서 상기 텐던 진단장치 위쪽의 위치에는 도르래를 구비한 주행로봇이 설치되며, 인양와이어의 타단은 텐던 진단장치에 결합되고 인양와이어의 일단은 주행로봇쪽으로 연장하여 도르래에 감겨서 방향전환된 후 인양와이어의 타단이 윈치에 결합되어 설치초기상태가 만들어지고, 주행로봇을 교량 케이블의 상부쪽으로 움직여서 정해진 높이의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윈치를 작동시켜서 인양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텐던 진단장치를 사전에 정해진 개별 진단위치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텐던 진단장치를 작동시켜서 텐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파악함으로써, 교량 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게 되는 것을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주행로봇이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된 후에는 주행로봇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텐던 진단장치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지고 윈치의 작동에 의해 인양와이어에 장력이 부여되어 상기 텐던 진단장치가 당겨져서 위로 인양됨으로써, 상기 텐던 진단장치가 사전에 정해진 개별 진단위치로 상승 이동되어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서 상기 텐던 진단장치의 작동에 의해 텐던 상태의 모니터링 및 교량 케이블의 상태 진단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주행로봇이 정해진 고정위치까지 이동된 후에는 주행로봇의 위치가 고정되고, 텐던 진단장치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지고 윈치의 작동에 의해 인양와이어에 장력이 부여되어 텐던 진단장치가 당겨져서 위로 인양됨으로써 텐던 진단장치가 사전에 정해진 진단 개시위치까지 이동된 후, 윈치가 작동되어 인양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텐던 진단장치가 진단 개시위치로부터 하강 이동하여 사전에 정해진 각각의 개별 진단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텐던 진단장치의 작동에 의해 텐던 상태의 모니터링 및 교량 케이블의 상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KR1020230109816A 2023-08-22 2023-08-22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63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16A KR102631756B1 (ko) 2023-08-22 2023-08-22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16A KR102631756B1 (ko) 2023-08-22 2023-08-22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756B1 true KR102631756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816A KR102631756B1 (ko) 2023-08-22 2023-08-22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756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957Y2 (ja) * 1993-04-13 1997-12-08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損傷検出器
KR101590830B1 (ko) 2013-12-23 2016-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역자기변형 현상과 유도자기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의 긴장응력 및 부식정도의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석 장치
US20170107810A1 (en) * 2014-03-24 2017-04-20 Geoprober Drilling Limited Detecting apparatus
KR101851346B1 (ko) 2017-07-17 2018-04-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재의 응력변화와 단면손실 측정을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 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재 외부에서의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방법
KR102064148B1 (ko) * 2015-11-02 2020-01-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로프 탐상 장치
KR20200042707A (ko) * 2018-10-16 2020-04-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텐던 장력과 단면 손상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멀티 측정 장치
JP2020183897A (ja) 2019-05-08 2020-11-12 東京製綱株式会社 自走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KR102178721B1 (ko) 2020-08-24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의 손상 탐지방법 및 손상 탐지장치
KR102241879B1 (ko) 2019-12-03 2021-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한 덕트 공동 탐지 모델 학습 장치 및 덕트 공동 탐지 시스템
KR102275062B1 (ko)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292726B1 (ko) 2021-07-0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마그네틱에 의한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312616B1 (ko)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KR102501918B1 (ko) 2022-12-07 2023-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텐던 손상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방법과 인공지능 학습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텐던 손상진단 방법과 텐던 손상진단 시스템
KR102517365B1 (ko) 2022-12-05 2023-04-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추진비행 모듈에 의한 자력 이동이 가능한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957Y2 (ja) * 1993-04-13 1997-12-08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損傷検出器
KR101590830B1 (ko) 2013-12-23 2016-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역자기변형 현상과 유도자기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의 긴장응력 및 부식정도의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석 장치
US20170107810A1 (en) * 2014-03-24 2017-04-20 Geoprober Drilling Limited Detecting apparatus
KR102064148B1 (ko) * 2015-11-02 2020-01-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로프 탐상 장치
KR101851346B1 (ko) 2017-07-17 2018-04-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재의 응력변화와 단면손실 측정을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 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재 외부에서의 솔레노이드 코일 형성방법
KR20200042707A (ko) * 2018-10-16 2020-04-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텐던 장력과 단면 손상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멀티 측정 장치
JP2020183897A (ja) 2019-05-08 2020-11-12 東京製綱株式会社 自走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KR102241879B1 (ko) 2019-12-03 2021-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한 덕트 공동 탐지 모델 학습 장치 및 덕트 공동 탐지 시스템
KR102178721B1 (ko) 2020-08-24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의 손상 탐지방법 및 손상 탐지장치
KR102275062B1 (ko)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292726B1 (ko) 2021-07-0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마그네틱에 의한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312616B1 (ko)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KR102517365B1 (ko) 2022-12-05 2023-04-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추진비행 모듈에 의한 자력 이동이 가능한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KR102501918B1 (ko) 2022-12-07 2023-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텐던 손상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방법과 인공지능 학습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텐던 손상진단 방법과 텐던 손상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726B1 (ko) 마그네틱에 의한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KR102312616B1 (ko)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US8931350B2 (en) Rope test stand
EP25167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equally tensioning multiple strands
CN105217467A (zh) 用于识别起重设备中使用的纤维绳索的报废状态的设备
KR101676597B1 (ko)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75062B1 (ko)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CN107620260B (zh) 一种拱桥施工缆索吊塔架位移控制系统及使用方法
KR101590830B1 (ko) 역자기변형 현상과 유도자기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의 긴장응력 및 부식정도의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석 장치
CN102175359A (zh) 钢索/杆构件应力的无源式磁性监测方法及装置
MX2011010596A (es) Sistema y ensamble de medicion de cable de alta tension.
JP2005512922A (ja) 局所歪みの検出可能な磁性体エレメントを備えた合成繊維からなるロープ
KR102631756B1 (ko) 레디얼 서치 코일을 구비한 유도전압 측정 기반 텐던 진단장치,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CN104512779A (zh) 升降机悬挂元件检测装置及方法
KR102300063B1 (ko) 전주용 강선 파단 진단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
KR101294961B1 (ko) 파일그룹의 수평재하시험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평재하시험방법
KR100856734B1 (ko) 현수 시스템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장치
CN108731860A (zh) 一种基于光纤应变传感器的缆索检测方法
CN111174662B (zh) 一种位移传感装置及其应用
KR102602850B1 (ko) 집게 모듈을 이용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유도자기장 형성-유도전압 측정식 스마트 텐던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던진단방법
CN116296906A (zh) 用于桥梁frp拉索的落锤冲击试验装置
KR102417549B1 (ko) 그라운드 앵커 긴장재의 긴장력 계측 센서 구조
CN108844891A (zh) 一种预应力管道摩阻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N210571747U (zh) 一种损伤自诊断和自定位钢绞线智能索
CN108049573A (zh) 预应力管道变形探查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