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650B1 -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 Google Patents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650B1
KR102602650B1 KR1020230049199A KR20230049199A KR102602650B1 KR 102602650 B1 KR102602650 B1 KR 102602650B1 KR 1020230049199 A KR1020230049199 A KR 1020230049199A KR 20230049199 A KR20230049199 A KR 20230049199A KR 102602650 B1 KR102602650 B1 KR 10260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aser
peripheral surface
reflection assembly
inn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텍
Priority to KR102023004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3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8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튜브(1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L)를 차례대로 반사하는 제1 반사조립체(30), 제2 반사조립체(20) 및 제3 반사조립체(100); 및,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제3 반사조립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레이저가 렌즈(111)를 거쳐 원뿔형의 헤드팁(112)을 통과하여 대상물을 조사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 헤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는, 내주면의 일단에 제1 단턱(12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커버링(120); 상기 전방커버링의 제1 단턱까지 삽치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2 단턱(13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미러링(130); 상기 전방미러링의 제2 단턱에 삽치되고 배면에 자유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140); 상기 미러를 수용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3 단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미러링과 미러핀(152)에 의하여 고정되는 철재의 후방미러링(150); 상기 후방미러링에 밀착되어 적층되는 고무링(160); 고정핀(171)에 의하여 상기 전방커버링과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의 테두리에 일치하여 나사홀(173)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자유홈에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중심구(175)가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봉(177)이 전면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방열핀(179)이 복수개 형성된 후방커버(170); 볼트헤드(181)와 몸체(182)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말단은 네오디움 자석(183)이 용접부(184)를 형성하며 용접되며,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하는 조절나사(180);를 포함하되, 상기 중심구와 중심봉은 그래핀이 코팅되어 있는 구리소재이고, 상기 나사홀의 내주면은 나사산(178)이 후방커버의 배면 쪽에 형성되어 조절나사를 회전함에 따라 후방미러링과의 인력을 조절함으로써 미러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나사가 직접적으로 미러에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 미러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부 부품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Laser cutting device with easy focusing setting}
본 발명은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하여 각종 철재 재료를 재단하고, 재단한 재료를 절곡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을 절곡한 후, 용접 및 연마를 거쳐 완성품이 되는 과정에서, 초기단계에서 초점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커팅은 열 분리 가공의 한 유형으로, 레이저의 높은 정확성과 속도 및 다양성으로 오늘날 다양한 재료의 절단에 자주 사용된다. 플라스틱, 고무, 폴리에스테르, 목재, 종이, 가죽, 섬유, 코르크 등 다양한 재료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철재의 정밀한 재단도 가능하다.
철재의 경우에는 레이저 커팅기로 재단한 후 절곡을 하기 위해서는 절곡기를 사용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을 한 후에는 각 재료를 용접하고, 거친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거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커팅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레이저 튜브(11)에서 발생되는 레이저(L)가 제1 반사조립체(30) 및 제2 반사조립체(20)를 거쳐서 제3 반사조립체(10)에 이르면, 레이저(L)가 하방으로 렌즈(111)를 수용하는 레이저 헤드(110)의 중공을 거쳐 재료에 조사된다.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재단된 철재 재료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로 굽힌다.
도 2는 종래의 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절곡기는 절곡틈(22)에 평평한 재료를 올려놓고 절곡틈(22)에 일치하는 블레이드(23)로 눌러 절곡한다.
그런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최초로 수행해야 할 것이 레이저 커팅기의 초점을 설정하는 일이다. 즉 레이저의 경로가 약간이라도 빗나가면 재료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레이저 커팅기를 사용하기 전에 초기 초점설정을 해야 한다.
종래의 초점설정은 제1 반사조립체(30) 내지 제3 반사조립체(10)의 배면에 구비된 나사(15)를 조이거나 풀면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15)를 통한 조정은 나사(15)의 물리적 힘이 미러를 보호하는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이나 나사(15) 부품의 마모를 불러올 수 있다.
한편 레이저 헤드(110)의 내부 중공의 중심에 레이저(L)의 경로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헤드 팁에 붙여놓고 어느 지점에 레이저(L)가 도달하는지 일일이 붙였다 떼어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81173호 "레이저 미러 마운트"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나사가 직접적으로 미러에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레이저 커팅기를 얻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에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을 빠르게 방열하는 레이저 커팅기를 얻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의 초점이 정확히 십자형태의 교차점에 맞춰지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레이저 커팅기를 얻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튜브(1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L)를 차례대로 반사하는 제1 반사조립체(30), 제2 반사조립체(20) 및 제3 반사조립체(100); 및,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제3 반사조립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레이저가 렌즈(111)를 거쳐 원뿔형의 헤드팁(112)을 통과하여 대상물을 조사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 헤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는, 내주면의 일단에 제1 단턱(12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커버링(120); 상기 전방커버링의 제1 단턱까지 삽치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2 단턱(13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미러링(130); 상기 전방미러링의 제2 단턱에 삽치되고 배면에 자유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140); 상기 미러를 수용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3 단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미러링과 미러핀(152)에 의하여 고정되는 철재의 후방미러링(150); 상기 후방미러링에 밀착되어 적층되는 고무링(160); 고정핀(171)에 의하여 상기 전방커버링과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의 테두리에 일치하여 나사홀(173)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자유홈에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중심구(175)가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봉(177)이 전면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방열핀(179)이 복수개 형성된 후방커버(170); 볼트헤드(181)와 몸체(182)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말단은 네오디움 자석(183)이 용접부(184)를 형성하며 용접되며,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하는 조절나사(180);를 포함하되, 상기 중심구와 중심봉은 그래핀이 코팅되어 있는 구리소재이고, 상기 나사홀의 내주면은 나사산(178)이 후방커버의 배면 쪽에 형성되어 조절나사를 회전함에 따라 후방미러링과의 인력을 조절함으로써 미러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원뿔형의 헤드팁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하는 내주면을 가진 팁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중심이 교차하도록 십자형태의 브릿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인 초점확인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초점확인구의 몸통(230)은 상하 분리형으로서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나사가 직접적으로 미러에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 미러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부 부품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에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을 후방커버에 빠르게 전달하고 방열핀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확인구의 몸통을 상하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하여, 초점확인구의 상단을 천천히 돌려서 헤드팁에 견고하게 밀착함에 따라 레이저의 초점이 정확히 십자형태의 교차점에 맞춰지는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제3 반사조립체(100)을 나타내는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제1 반사조립체(30) 및 제2 반사조립체(20)는 레이저 튜브(1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L)를 차례대로 반사한다. 그리고 제2 반사조립체(20)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제3 반사조립체(100)에 의해 반사되어 대상물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도 1의 제3 반사조립체(10)를 대체한 도 3의 새로운 제3 반사조립체(100)를 개시한다.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는 레이저 헤드(110)가 수용한다. 즉 레이저 헤드(100)는 제3 반사조립체(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이저 헤드(110)는 제3 반사조립체(100)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레이저가 렌즈(111)를 거쳐 원뿔형의 헤드팁(112)을 통과하여 대상물을 조사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는 내주면의 일단에 제1 단턱(12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커버링(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방미러링(130)은 상기 전방커버링(120)의 제1 단턱(121)까지 삽치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2 단턱(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L)을 반사하는 미러(140)가 상기 전방미러링(130)의 제2 단턱(131)에 삽치되고, 미러(140)의 배면에는 자유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력의 영향을 받는 철재의 후방미러링(150)이 상기 미러(140)를 수용하고, 후방미러링(150)의 내주면의 일단에 제3 단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미러링(130)과 미러핀(152)에 의하여 고정됨이 좋다. 여기서 미러핀(152)은 고정하는 부품으로써 나사형태도 좋고 핀 형태도 좋다.
한편 이때 상기 전방미러링(130)과 후방미러링(150)의 외주면은 전방커버링(120)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소정간격 유격이 존재함이 좋다. 이는 미러(140)의 기울기가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함이다. 다만 이러한 유격으로 인한 헐거움은 자유홈(141)과 중심구(175)의 지지력에 의해 중심을 유지하면서 보완될 수 있다.
그리고 고무링(160)이 상기 후방미러링(150)에 밀착되어 적층된다. 고무링(160)은 양방향의 압착력에 의하여 변형이 용이함이 좋다.
또한 배면에는 방열핀(179)이 복수개 형성된 후방커버(170)가 고정핀(171)에 의하여 상기 전방커버링(120)과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160)의 테두리에 일치하여 나사홀(173)이 복수 개 형성됨이 좋다. 그리고 상기 자유홈(141)에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중심구(175)가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봉(177)이 전면에 형성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제3 반사조립체(100)을 나타내는 분해 종단면도이다.
조절나사(180)는 볼트헤드(181)와 몸체(182)로 이루어지는데, 몸체(182)의 말단은 네오디움 자석(183)이 용접부(184)를 형성하며 용접됨이 좋다. 그리고 조절나사(180)는 상기 나사홀(173)에 나사결합한다.
또한 상기 중심구(175)와 중심봉(177)은 그래핀이 코팅되어 있는 구리소재임이 좋다. 구리 및 구리에 코팅된 그래핀은 미러(140)에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을 후방커버(170)에 빠르게 전달하고 방열핀(179)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제3 반사조립체(100)을 나타내는 조립종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상하의 조절나사(180)가 모두 동일한 깊이로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미러(140)가 정확히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제3 반사조립체(100)을 나타내는 조립종단면도로서 조절나사(180)의 깊이를 달리한 모습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측의 조절나사(180)의 이격거리(d1)가 하측의 조절나사(180)의 이격거리(d2)보다 긴 경우, 하측의 조절나사(180)의 네오디움 자석(183)이 후방미러링(150)을 강하게 잡아당기기 때문에 고무링(160)의 상측보다 하측이 많이 찌그러져서 미러(140)는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상기 나사홀(173)의 내주면은 나사산(178)이 후방커버(170)의 배면 쪽에 형성되어 조절나사(180)를 회전함에 따라 후방미러링(150)과의 인력을 조절함으로써 미러(14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나사(180)가 직접적으로 미러(140)에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 미러(140)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부 부품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제3 반사조립체(1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초점확인구(20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초점확인구(200)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인 것이 좋다. 또한 초점확인구(200)의 상단에는 상기 원뿔형의 헤드팁(112)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하는 내주면을 가진 팁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에는 중심이 교차하도록 십자형태의 브릿지(2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즉 레이저의 초점이 정확히 십자형태의 교차점에 맞춰지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초점확인구(200)의 몸통(230)은 상하 분리형으로서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초점확인구(200)의 상단을 천천히 돌려서 헤드팁(112)에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초점확인구(200)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밑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의 초점확인구(200)가 헤드팁(112)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초점확인구(200)는 상하 분리형이기 때문에 나사회전에 의하여 베드(333)로부터 헤드팁(112)까지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렌즈(111)를 통과한 레이저(L)가 브릿지(220)의 교차점에 정확히 조사되어야만 초점이 잘 맞춰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어 "예시적인"은 예, 일례, 또는 설명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특히 필수적인 특성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변형 및 수정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 및 설명한 사항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L: 레이저
11: 레이저 튜브
20: 제2 반사조립체
30: 제1 반사조립체
100: 제3 반사조립체
110: 레이저 헤드
111: 렌즈
112: 헤드팁
120: 전방커버링
121: 제1 단턱
130: 전방미러링
131: 제2 단턱
140: 미러
141: 자유홈
150: 후방미러링
151: 제3 단턱
152: 미러핀
160: 고무링
170: 후방커버
171: 고정핀
173: 나사홀
175: 중심구
177: 중심봉
178: 나사산
179: 방열핀
180: 조절나사
181: 볼트헤드
182: 몸체
183: 네오디움 자석
184: 용접부
200: 초점확인구
210: 팁홀
220: 브릿지
230: 몸통

Claims (2)

  1. 레이저 튜브(1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L)를 차례대로 반사하는 제1 반사조립체(30), 제2 반사조립체(20) 및 제3 반사조립체(100); 및,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제3 반사조립체(100)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레이저가 렌즈(111)를 거쳐 원뿔형의 헤드팁(112)을 통과하여 대상물을 조사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 헤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조립체(100)는,
    내주면의 일단에 제1 단턱(12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커버링(120);
    상기 전방커버링(120)의 제1 단턱(121)까지 삽치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2 단턱(13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미러링(130);
    상기 전방미러링(130)의 제2 단턱(131)에 삽치되고 배면에 자유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140);
    상기 미러(140)를 수용하고 내주면의 일단에 제3 단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미러링(130)과 미러핀(152)에 의하여 고정되는 철재의 후방미러링(150);
    상기 후방미러링(150)에 밀착되어 적층되는 고무링(160);
    고정핀(171)에 의하여 상기 전방커버링(120)과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160)의 테두리에 일치하여 나사홀(173)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자유홈(141)에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중심구(175)가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봉(177)이 전면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방열핀(179)이 복수개 형성된 후방커버(170);
    볼트헤드(181)와 몸체(182)로 이루어지고, 몸체(182)의 말단은 네오디움 자석(183)이 용접부(184)를 형성하며 용접되며, 상기 나사홀(173)에 나사결합하는 복수의 조절나사(180);를 포함하되,
    상기 중심구(175)와 중심봉(177)은 그래핀이 코팅되어 있는 구리소재이고, 상기 나사홀(173)의 내주면은 나사산(178)이 후방커버(170)의 배면 쪽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조절나사(180)를 각각 회전함에 따라 네오디움 자석(183)과 후방미러링(150)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인력에 의한 고무링(160)의 찌그러짐 정도에 따라 미러(140)의 기울기를 변화시키고,
    여기서 상기 원뿔형의 헤드팁(112)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하는 내주면을 가진 팁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중심이 교차하도록 십자형태의 브릿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인 초점확인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점확인구(200)의 몸통(230)은 상하 분리형으로서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2. 삭제
KR1020230049199A 2023-04-14 2023-04-14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KR10260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99A KR102602650B1 (ko) 2023-04-14 2023-04-14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99A KR102602650B1 (ko) 2023-04-14 2023-04-14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650B1 true KR102602650B1 (ko) 2023-11-16

Family

ID=8896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199A KR102602650B1 (ko) 2023-04-14 2023-04-14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6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871B2 (ja) * 1998-03-26 1999-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ーザ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581173B1 (ko) 2005-03-11 2006-05-17 주식회사 프로텍 레이저 미러 마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871B2 (ja) * 1998-03-26 1999-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ーザ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581173B1 (ko) 2005-03-11 2006-05-17 주식회사 프로텍 레이저 미러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407B2 (en) Techniques for steering an optical beam
US4923281A (en) Laser diode focusing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and method of using
US6754012B2 (en) Synthetic resin-made concave cone lens for irradiation of standard laser line
PT1681126E (pt) Corte laser com lente de duplo foco de peças metálicas de pouca espessura
KR102602650B1 (ko)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US5708696A (en) Positioning device for an X-ray machine
JP3040999B2 (ja) 光走査装置のレ―ザダイオ―ドモジュ―ル
GB2319630A (en) Combining radiation beams using stack of angularly offset optical plates
US5905751A (en) Laser modu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2008107130A (ja) レーザー墨出し器用レーザーヘッド
WO1999037449A1 (fr) Gabarit de perçage pour verre de lunettes, gabarit de production prevu a cet effet, procede de perçage pour verre de lunettes et verre de lunettes
US20060102603A1 (en) Laser machine tool
JPH05101429A (ja) 光学ヘツド
US20060227817A1 (en) Laser module for projecting a linear laser beam
KR102129555B1 (ko) 금속 3d 프린터용 레이저 헤드 센터링장치
JPH0486723A (ja) 多面体鏡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81062A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CN212145001U (zh) 一种双焦调深复式激光切割头
US8881553B2 (en) Assembly for precision datum alignment and method of use
CN1230814C (zh) 光学头
JP2000288766A (ja) レーザ加工装置
EP3627198B1 (en) Cleaving optical fibers
CN106975836A (zh) 光束变换装置及激光加工装置
TWI452339B (zh) 擴束鏡定位機構及使用該機構之光學系統
JP2005103580A (ja)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