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173B1 - 레이저 미러 마운트 - Google Patents

레이저 미러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173B1
KR100581173B1 KR1020050020618A KR20050020618A KR100581173B1 KR 100581173 B1 KR100581173 B1 KR 100581173B1 KR 1020050020618 A KR1020050020618 A KR 1020050020618A KR 20050020618 A KR20050020618 A KR 20050020618A KR 100581173 B1 KR100581173 B1 KR 10058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plate
mirror
ball joint
intermedi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텍
Priority to KR102005002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3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미러의 조절이 하나의 지점(支點)을 중심으로 변위 되어 조절의 정밀성을 극대화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앙에 각각의 개구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 중간플레이트 및 미러를 고정하는 조절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와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의 각각의 나사회전으로 중간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를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하여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내주면에 오목구면을 구비한 상기 중간플레이트; 상기 오목구면에 볼록구면으로 조립되는 볼조인트링; 이 볼조인트링을 외부에 조립하고 내부에 상기 미라를 고정한 미러홀더; 이 미러홀더와 나사결합하는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관통된 한 쌍의 볼지지축공에 삽입된 각각의 볼조인트와 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소켓; 상기 조절플레이트와 나사조립되고 상기 볼조인트와 선단이 나사조립되는 한 쌍의 조절볼트;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 사이에 탄지되는 다수의 탄지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미러, 볼조인트, 지점, 미러홀더, 조절볼트, 조절플레이트

Description

레이저 미러 마운트{MIRROR MOUNT OF LASER}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을 개선한 종래의 다른 레이저 미러 마운트의 구조를 도시한 X 및 Y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부재의 전체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부재의 전해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F" 부분 발췌 확대도 이고,
도 9는 도 7의 "G" 부분 발췌 확대도 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X방향 단면 도면으로서,
도 10은 미러의 각도 조절이 0도인 상태도 이고,
도 11은 미러의 각도 조절이 시계반대(-) 방향 조절에 의한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각도 조절한 상태도 이며,
도 12는 미러의 각도 조절이 시계방향(+) 방향 조절에 의한 좌측 대각 선 방향으로 각도 조절한 상태도 이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Y방향 단면 도면으로서,
도 13a는 미러의 각도 조절이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3b는 미러의 각도 조절이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미러의 각도 조절이 시계반대(-) 방향 조절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한 상태도 이고,
도 15는 미러의 각도 조절이 시계방향(+) 방향 조절에 의한 상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한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지플레이트 200: 중간플레이트
210: 오목구면 220: 볼지지축공
230: 나사구멍 240: 스프링관통공
300: 조절플레이트 310: 내경나사부
320: 돌출환 330: 나사구멍
340: 스프링안착홈 350: 관통공
400: 조절볼트 410: 볼조인트
420: 지지소켓 440: 탄지스프링
450: 세팅볼트 500: 미러
600: 미러홀더 610: 걸림환턱
620: 외경나사부 630: 내경나사부
640: 플랜지 650: 볼조인트링
660: 볼록구면 670: 너트링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기에 적용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mirror moun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미러의 조절이 하나의 지점(支點)을 중심으로 변위 되어 조절의 정밀성을 극대화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레이저 가공기는 양호한 레이저가공을 행하기 위해 노즐을 통과한 레이저 빔의 광축과 노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절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용하기 위하여 레이저 가공기에는 레이저 빔을 원하는 곳(가공표면)에 전송하기 위하여 미러 마운트가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의 기술에 대해 종래에도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일례의 레이저 미러마운트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6)를 내장하여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플레이트(3)에 나사 결합한 덮개(5)와 상기 플레이트(3)와 지지플레이트(1)가 전방 측 한 부분에 X, Y축 방향으로 각각의 조절나사(B)로 결합 고정되고, 이 조절나사들의 다른 쪽 방향에 스토퍼용 발톱(32)이 플레이트(3)에 결합하여 상기 중간플레이트(2)의 전면에 지지 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조절나사(B)의 조절에 의해 상기 미러(6)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미러 마운트는 X, Y축에 위치하는 조절나사(B)로 조절하여 레이저 빔의 광축을 정렬하는 것이어서 상기 미러(6)의 정밀조절이 매우 힘들다.
다시 말하여, 상기 미러(6)의 각도 조절이 하나의 지점 방식이 아닌 발톱(32)과 전방 및 한쪽의 X, Y축에 위치하는 조절나사(B)로 조절하는 3점 지지방식에 의해 레이저 광축의 조절을 행하도록 한 것이어서 작업자의 정밀조절이 매우 난해하고, 미러의 조절방향이 한정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는 도 2a 및 2b와 같이 구성되며. 도시된 레이저 미러 마운트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4-9924호(1994.10.19)로 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선원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 기술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와 플레이트(3) 사이에 중앙에 개구부(8)를 갖는 중간플레이트(2)를 설치하되, 전방 측에는 외경과 안지름에 각각의 나사 부를 갖는 조절나사(4)의 외경나사 부가 중간플레이트(2)의 나사 공(21)에 나사결합되고, 그 안지름에 나사결합된 나사 봉(41)이 지지플레이트(1)에 지지고정되며, 한쪽에는 반대로 플레이트(3)에 결합하는 다른 조절나사(4')의 외경나사 부가 나사 공(31)에 나사결합되고, 그 안지름에 나사결합된 나사 봉(41')이 지지플레이트(1)에 지지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선원 기술은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1,2,3)들에 관통 고정되어 배치된 한쪽의 조절나사(4)를 돌려 전진시키면 상대적으로 중간플레이트(2)가 후퇴이동하게 되며, 다른 쪽의 조절나사(4')를 돌려 전진시키면 상대적으로 플레이트(3)가 후퇴 이동되면서 상기 미러(6)의 좌,우 및 상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 기술은 상기 세팅된 조절나사(4,4')의 각각의 조절에 의해서만 상기 미러(6)의 각도조절인 좌, 우 및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상기 미러(6)의 정밀 조절이 난해하다.
이는 작업자가 한쪽의 조절나사(4)의 조절에 의해 중간플레이트(2)를 각도 변위하고, 다시 다른 쪽의 조절나사(4')의 조절에 의해 플레이트(3)의 각도변위에 의해 상기 미러(6)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미러 마운트는 상기 미러(6)의 지점이 하나의 중심점에서 각도변위가 되지 않고 상기 각각의 조절나사(4,4')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위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각도 조절이 매우 난해하여 미세조절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지점을 중심으로 미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미러의 정밀조절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자의 조절의 편리성 및 조절작업의 정도를 극대화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러의 각도변위가 좌, 우 및 상, 하 조절이 두 개의 조절볼트 중 선택적으로 한쪽의 조절볼트에 의해 각도변위가 가능하고, 양쪽 조절볼트의 세팅에 의해 상, 하 조절과 좌,우 조절이 개별적으로 가능하여 정밀 조절의 작업성 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목적은,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 조절플레이트, 중간플레이트의 구성요소로서, 레이저 가공기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미러를 내장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서 한쪽 조절볼트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되는 상기 조절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중간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다른 측 조절볼트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되되, 각각의 조절볼트의 나사회동에 의해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가 후퇴 이동으로 상기 미러의 좌, 우 및 상, 하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된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내주 면을 오목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나사조립으로 고정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내경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를 내면에 고정한 미러홀더가 외경나사부로 나사 결합되되, 상기 미러홀더는 외주면에 볼록구면을 형성한 볼조인트링을 외주면에 끼움하고 나사조임으로 상기 미러홀더의 플랜지와 조절플레이트의 돌출환 사이에 압착으로 고정하여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오목구면에 볼조인트링의 볼록구면이 회전가능으로 조립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 사이에는 4개의 스프링이 상기 중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4점지지로 탄지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는 한 쌍의 조절볼트와 한 쌍의 세팅볼트에 의한 4점 지지로 조립되되, 상기 각 조절볼트는 선단에 구비된 볼조인트로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나사조립되고, 상기 각 세팅볼트는 상기 조절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나사구멍에 나사조립하여 상기 조절볼트의 나사조절에 의해 상기 미러홀더와 조절플레이트가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오목구면을 따라서 상기 볼조인트링의 볼록구면이 상기 오목구면의 중심점을 지점으로 일체로 회전하여 볼조인트식으로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3 내지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각각의 개구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100), 중간플레이트(200) 및 미러(500)를 고정하는 조절플레이트(300)의 기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중간플레이트(200)는 내주면에 오목구면(210)을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100)에 나사조립으로 고정되되, 한 쌍으로 관통된 전면이 작은 직경을 갖는 단차상의 볼지지축공(220)에 조절볼트(400)가 선단에 조립된 볼조인트(410)를 끼움하고, 이 볼조인트의 후면에 조립되는 지지소켓(420)에 의해 회전 지지된 상태로 전면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또한, 중간플레이트(200)는 전술한 한 쌍의 볼지지축공(220)의 대향측에 나사구멍(230)이 각각 관통되어 세팅볼트(450)가 나사조립되고, 상기 볼지지축공(220)과 나사구멍(230)들의 사이 4지점에 스프링관통공(240)들이 각각 관통된다.
그리고, 조절플레이트(300)는 개구부의 내주면을 내경나사부(310)로 형성하고, 후면에 돌출환(320)과 상기 스프링관통공(240) 들에 일치하는 스프링안착홈(340)이 요설되었으며, 한 쌍의 나사구멍(330)이 관통되어 조절볼트(400)가 나사조립되고 상기 세팅볼트(450)가 관통하는 관통공(350)이 형성된다.
한편, 중간플레이트(200)은 전술한 것처럼 지지플레이트(100)의 전면에 나사조립 되기 전에 먼저, 각 탄지스프링(440)의 한쪽을 상기 스프링관통공(240)이 관통하여 상기 조절플레이트(300)의 스프링안착홈(340)에 각각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중간플레이트(200)의 볼지지축공(220)에 끼움된 조절볼트(400)의 볼조인트(410)의 후면에 지지소켓(420)을 끼운 상태에서 조립함으로써,
상기 탄지스프링(440)의 다른쪽과 지지소켓(420)의 후면이 지지플레이트(100)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플레이트(300)는 탄지스프링(440) 들에 의해 탄지되고, 조절볼트(400)는 조절플레이트(300)의 나사구멍(330)에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나사회전, 즉 나사후퇴 동작시에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소켓(420)에 회전지지된다.
이때, 상기 조절플레이트(300)는 상기 조절볼트(400)의 나사회전에 의한 고정상태의 유지와, 지지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탄지스프링(440)의 탄발력 및, 지지플레이트(100)으로 장착되는 레이저 가공기(미도시함)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백레쉬 현상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조절볼트(400)과 세팅볼트(450)에 나사조립되는 각각의 고정너트(401,451)에 의해 세팅상태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레이저 가공기의 레이저빔을 반사하는 상기 미러(500)는 상기 조절플레이트(300)와 나사결합으로 조립되는 미러홀더(600)의 개구부에 내장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미러홀더(600)는 개구부의 전방측 내주면 및 외주면에 걸림환턱(610)과 외경나사부(620)를 구성하고, 후방측 내주면과 외주면에 내경나사부(630)와 플랜지(640)를 구성하되, 상기 미러(500)는 상기 걸림환턱(6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외경나사부를 갖는 고정너트링(670)이 상기 내경나사부(630)에 나사 조임으로 이탈 및 유동방지로 조립된다.
이렇게 미러(500)을 내장한 미러홀더(600)는 외주면에 볼록구면(660)을 형성한 볼조인트링(650)을 끼움하고 전방측 외경나사부(620)로 상기 조절플레이트(300)의 내경나사부(310)에 나사조임하여 상기 볼조인트링(650)이 상기 미러홀더(600)의 플랜지(640)와 조절플레이트(300)의 돌출환(320) 사이에 압박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볼조인트링(650)의 볼록구면(660)이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에 밀착상태로 회전가능케 조립되는 볼조인트식으로 조립된다.
그 결과, 상기 조절볼트(400)의 나사조절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300)와 미러홀더(600)가 일체의 유니트로 되어 상기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을 따라서 상기 볼조인트링(650)의 볼록구면(660)이 상기 오목구면(210)의 중심점(C.P)을 지점으로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미러(500)의 각도를 볼조인트방식에 의한 하나의 지점을 중심으로 조절하도록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상 미설명부호 101과 201은 지지플레이트(100) 와 중간플레이트(200)가 고정볼트(B/T)로 나사조립하기 위한 나사구멍을 도시한 것이고, 301은 상기 나사구멍(101,201)에 나사조립되는 상기 고정볼트(B/T)를 렌찌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임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미러(500)의 각도 조절이 0도인 상태에서 한쪽의 조절볼트(400 : 도 6의 우측 조절볼트)를 나사 조임하게 되면, 선단의 볼조인트(410)가 중간플레이트(200)의 볼지지축공(220)에서 지지되어 공회전하면서 상기 조절볼트(400)와 나사구멍(330)으로 나사 조립된 조절플레이트(300)가 전진하게 된다.
그 결과, 조절플레이트(300)와 일체의 유니트 구성인 미러홀더(600)와 이 미러홀더에 결합된 볼조인트링(650)의 볼록구면(660)이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에 접촉된 상태로 그 중심점(C)을 지점으로 도 6의 대각선 방향의 축선(C-1) 방향인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러(500)의 각도가 도 11과 같은 상태로 변위된다.
이때, 상기 각 조절볼트(400 : 좌측 및 우측의 조절볼트)는 선단에 조립된 볼조인트(410)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링(6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각도변위 상태로 나사회전이 진행되어 조임되는 조절볼트(400 : 우측의 조절볼트)와 조절플레이트(300)의 나사구멍(330)의 나사회전에 무리가 없이 진행된다.
반대로 도 10과 같이 미러(500)의 각도변위가 0도인 상태에서 다른쪽의 조절볼트(400 : 도 6의 좌측 조절볼트)를 나사 조임하게 되면, 전술한 작동과정과 반대로 상기 볼조인트링(650)의 볼록구면(660)이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의 중심점(C)을 지점으로 도 6의 대각선 축선(C-2)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러(500)이 각도 조절된다.
이러한 미러(500)의 각도조절은 상기 미러(500)가 중심점(C)을 지점으로 대략 45도 방향인 축선(C-1,C-2)을 중심선상으로 각도 조절된 것이다.
이때, 도 11이나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400: 도 6의 좌측 조절볼트나 우측 조절볼트)를 풀게 되면, 상기 조절플레이트(300)는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의 중심점(C)을 지점으로,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각선 방향의 축선(C-1 이나 C-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지스프링(44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풀어지는 조절볼트(400)의 전면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상기 미러(500)가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 각도 조절된다.
또한, 도 10의 상태에서 좌, 우측의 조절볼트(400) 각각을 동일하게 나사조임하면, 도 14와 같이 미러(500)의 각도 조절이 시계반대(-) 방향 조절에 의한 하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되고,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좌, 우측의 조절볼트(400) 각각을 동일하게 나사풀음하게 되면, 탄지스프링(440)들에 의해 탄지된 조절플레이트(300)가 튀어나오면서 도 15와 같이 미러(500)의 각도 조절이 시계(+)방향 조절에 의한 상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4의 과정은 전술한 도 11 및 도 12의 과정이 수반되고, 15의 과정은 상기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조절볼트(400)의 나사조임과 반대로 나사풀음 과정으로 각도조절된 상태가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러 마운트는 작업자가 미러(500)의 각도를 하나의 조절볼트(400: 좌측 또는 우측)의 선택하여 나사조임이나 나사풀음으로 대각선 방향의 축선(C-1이나 C-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우, 하측이나 좌, 하측으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고, 반대로 우, 상측이나 좌, 상측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좌, 우측의 조절볼트(400)을 동일하게 나사조임이나 나사풀음하여 상, 하측으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고, 하나의 조절볼트(400)는 나사조임하고, 다른 하나의 조절볼트(400)은 나사풀음을 선택적으로 하여 미러(500)를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미러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조절볼트(400)는 조절플레이트(300)의 전면에서 고정너트(401)의 나사조임으로 세팅상태가 고정되고, 동시에상기 조절볼트(400)의 대향 측에 구비된 세팅볼트(450)에도 세팅너트(451)를 나사조임하여 레이저 가공기의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탄지스프링(440)의 탄발력에 의한 백레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러(500)가 볼조인트 방식의 조립에 의한 하나의 지점인 중간플레이트(200)의 오목구면(210)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볼조인트링(650)의 오목구면(660)이 활주회전으로 변위되어 각도방향의 다양화는 물론 조절의 정밀성과 용이성을 갖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저 미러 마운트는, 볼조인트 방식에 의해 레이저 빔을 반사 조절하는 미러의 각도 조절방향의 다양화는 물론, 조절에 따른 미러가 하나의 중심점을 지점으로 각도 회전함으로서 조절의 정밀성 및 용이성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러의 조절의 정밀성으로 레이저 가공기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중앙에 각각의 개구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 중간플레이트 및 미러를 고정하는 조절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와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의 각각의 나사회전으로 중간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를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하여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레이저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
    내주면에 오목구면을 구비한 상기 중간플레이트;
    상기 오목구면에 볼록구면으로 조립되는 볼조인트링;
    이 볼조인트링을 외부에 조립하고 내부에 상기 미라를 고정한 미러홀더;
    이 미러홀더와 나사결합하는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관통된 한 쌍의 볼지지축공에 삽입된 각각의 볼조인트와 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소켓;
    상기 조절플레이트와 나사조립되고 상기 볼조인트와 선단이 나사조립되는 한 쌍의 조절볼트;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조절플레이트 사이에 탄지되는 다수의 탄지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의 나사회전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링의 볼록구면이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오목구면의 중심점을 지점으로 상기 미러홀더와 조절플레이트를 일체 회전하여 미러의 각도를 변위하고,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볼조인트의 지지로 상기 볼조인트링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각도변위하는 볼조인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의 대향 측에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나사조립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한쌍의 세팅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스프링들은 상기 한쌍으로 구성된 조절볼트 및 세팅볼트 사이의 4지점으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링은 상기 미라홀더의 외주면에 조립되되, 상기 미라홀더와 조절플레이트의 나사조임에 의해 미러홀더의 플랜지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후면에 돌출된 돌출환 사이에서 압착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와 세팅볼트는 그 조정상태를 고정하여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백레쉬를 방지하는 고정너트와 세팅너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미러홀더의 내주면 선단에 돌출된 걸림환턱에 밀착되고 외경나사부를 갖는 고정너트링을 미러홀더의 후측 내경나사부에 나사 조임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미러 마운트.
KR1020050020618A 2005-03-11 2005-03-11 레이저 미러 마운트 KR10058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18A KR100581173B1 (ko) 2005-03-11 2005-03-11 레이저 미러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18A KR100581173B1 (ko) 2005-03-11 2005-03-11 레이저 미러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173B1 true KR100581173B1 (ko) 2006-05-17

Family

ID=3718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618A KR100581173B1 (ko) 2005-03-11 2005-03-11 레이저 미러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1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55B1 (ko) * 2011-05-31 2013-07-10 레이져라이팅(주) 레이저 가공장치용 반사경 조립체
KR101358093B1 (ko) 2013-05-31 2014-02-04 한국기계연구원 반사경 조립체의 회전장치
CN108692680A (zh) * 2018-08-13 2018-10-23 北京行易道科技有限公司 激光标定工装
CN110207683A (zh) * 2019-07-10 2019-09-06 青岛镭创光电技术有限公司 调整平台及标线激光模组
CN110646907A (zh) * 2019-11-18 2020-01-03 大连齐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光学镜架
KR20220064663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 방법
KR102602650B1 (ko) 2023-04-14 2023-11-16 주식회사 신우텍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55B1 (ko) * 2011-05-31 2013-07-10 레이져라이팅(주) 레이저 가공장치용 반사경 조립체
KR101358093B1 (ko) 2013-05-31 2014-02-04 한국기계연구원 반사경 조립체의 회전장치
CN108692680A (zh) * 2018-08-13 2018-10-23 北京行易道科技有限公司 激光标定工装
CN108692680B (zh) * 2018-08-13 2023-12-26 北京行易道科技有限公司 激光标定工装
CN110207683A (zh) * 2019-07-10 2019-09-06 青岛镭创光电技术有限公司 调整平台及标线激光模组
CN110207683B (zh) * 2019-07-10 2024-05-17 青岛镭创光电技术有限公司 调整平台及标线激光模组
CN110646907A (zh) * 2019-11-18 2020-01-03 大连齐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光学镜架
CN110646907B (zh) * 2019-11-18 2024-04-26 大连齐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光学镜架
KR20220064663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 방법
KR102464401B1 (ko) * 2020-11-12 2022-11-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틸팅 각도 조정 및 고정 방법
KR102602650B1 (ko) 2023-04-14 2023-11-16 주식회사 신우텍 초점설정이 용이한 레이저 커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173B1 (ko) 레이저 미러 마운트
US7243892B2 (en) Articulated mount
JPH06339866A (ja) ねじクランプ
US20020066187A1 (en) Folding knife liner lock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5924685A (en) Adjustable clamp
US20200309188A1 (en) Supporting device
US4546858A (en) Bicycle brake having an improved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brake shoe relative to a wheel rim
CN215228371U (zh) 阵列支撑架、手术导航装置及手术机器人
US5921695A (en) Ergonomically adjustable tool handle having a dual direction locking device
KR20180124999A (ko) 설치 장치
US7052217B2 (en) Multiple cutting edge rotary tool
JP5758178B2 (ja) 撮像装置
CN101657088A (zh) 适于手动切削工具的调节装置
CN114002799B (zh) 一种三轴弹性结构光学调整架
KR20200038471A (ko) 척의 보정 방법
CN212689759U (zh) 一种执手
WO2013065615A1 (ja) 作業工具
KR100603776B1 (ko) 정밀도 조정장치의 편심조정부재 조립구조
CN213546780U (zh) 一种用于激光设备的调整镜架
JPH0749446Y2 (ja) 光ファイバへの入射レーザ光の光軸調整装置
CN216101898U (zh) 一种角度调节组件
CN113808554B (zh) 中鼓支架
KR0149786B1 (ko) 터릿에 장착되는 내경공구홀더의 위치조정장치
JP2000179237A (ja) 枠体用調整装置及び枠体の取付工法
CN114520454A (zh) 一种用于激光设备的调整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