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025B1 - 안와 견인기 - Google Patents

안와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025B1
KR102602025B1 KR1020210065547A KR20210065547A KR102602025B1 KR 102602025 B1 KR102602025 B1 KR 102602025B1 KR 1020210065547 A KR1020210065547 A KR 1020210065547A KR 20210065547 A KR20210065547 A KR 20210065547A KR 102602025 B1 KR102602025 B1 KR 10260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bital
ring member
traction plate
orbit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698A (ko
Inventor
노태훈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lectromagnet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안와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는, 안와 내의 안구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안와 견인판; 상기 안와 견인판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고리 부재; 및 상기 안와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 부재의 원위부 말단에 구비되는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와 견인기{ORBITAL RETRACTOR}
본원은 안와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적 수술법의 하나로, 경안와 접근법(transorbital approach)이 신경외과 영역에서 종종 시행되고 있다. 경안와 접근법이란, 눈꺼풀에 절개선을 넣고 안와의 구조물을 약 5~10mm정도 견인하여 생긴 공간을 통해서 내시경과 수술기구를 넣어 뇌를 수술하는 방법이다.
종래에는 경안와 접근법 수술 시에 최적화된 안와 견인기가 없어 기존 뇌 수술 시에 사용하는 뇌 견인기를 이용하여 안구를 견인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뇌 견인기를 이용한 안구 견인 시에는 안구 및 안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뇌 견인기에 실리콘 소재의 판을 덧대어 안구를 견인하였으나, 뇌 견인기에 실리콘 소재의 판을 덧대어 견인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수술 가능한 공간이 줄어들어 수술의 자유도를 매우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와의 구조물을 보호하면서 견인하고, 수술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수술의 자유도를 높이는 안와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는 안와 내의 안구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안와 견인판; 상기 안와 견인판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고리 부재; 상기 안와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 부재의 원위부 말단에 구비되는 앵커; 및 상기 고리 부재의 근위부 말단과 연결되고, 견인 상태에서의 고정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갖는 견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 부재는, 가단성(malleability)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단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구의 일부 영역에 접촉되도록 상기 안와 견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양 끝단이 근위부 측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단성 부재의 양 끝단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견인 고정부와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단성 부재는 그 양 끝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견인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태의 크기를 조절하는 고리 크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견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중 크기만큼 당김 유지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와 견인판은 광 투과성이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판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며 안와 내의 안구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안와 견인판이 안구를 감싸며 안구를 보호하는 동시에 견인하여 안구의 손상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판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고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안구를 견인 가능하도록 틀을 제공하되 안와 견인판의 전체를 형성하지 않아 종래의 견인기보다 두께가 얇아져 수술기구가 들어갈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어 수술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기의 원위부 말단에 앵커를 구비함으로써, 앵커가 안와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걸림 가능하도록 하여 안구 견인시에 안와 견인기가 안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고리 부재는 안와 견인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단성 부재 및 가단성 부재의 양 끝단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안와 견인기를 대상자의 안와에 삽입할 때 안와 견인판 및 고리 부재의 형상을 좁혀(오므려)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삽입 후에 탄성 부재로 인해 안와 견인기의 형상이 복구되어 안와 견인판이 안구를 감싸며 안구가 견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기가 고정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안와 견인기가 안구를 견인한 상태에서 고정을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중 크기만큼 당김 유지되게 구비되어 안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어 압력에 의한 안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기가 한 쌍의 탄성 부재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고리 크기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고리 부재의 고리 형태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안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와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안와 견인판은 광 투과성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수시로 안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안구 손상 발생 여부를 수술 시에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고리 부재의 형상을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가 대상자의 안와의 구조물을 견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이하 '본 안와 견인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의 고리 부재의 형상을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가 대상자의 안와의 구조물을 견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안와 견인기(100)는 안와 견인판(110), 고리 부재(120), 앵커(130) 및 견인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안와 견인판(110)은 안와(200) 내의 안구(210)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안구(210)의 일부 영역은 수술 도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에 위치되는 안구(21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와 견인판(110)이 우측 안와(200)의 우측 상단(도 4 기준 1시 방향)에 삽입되어, 우측 안구(210)를 좌측 하단(도 4 기준 7시 방향)으로 견인시킬 때, 안와 견인판(110)은 안와(210)의 우측 상단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와 견인판(110)은 안구(210)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숟가락 또는 물방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와 견인판(11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와 견인판(110)은 안구(210)의 일부 영역을 더 용이하게 감싸고, 안구(210)를 보호하며, 안구(210)의 손상을 막아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와 견인판(110)은 실리콘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안와 견인판(110)은 비닐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와 견인판(110)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와 견인판(110)은 최대한 얇게 구비되되, 안구(200)를 견인 가능한 두께(안구 견인 시 안구 견인판이 찢어지거나, 안구에 손상가지 않도록 하는 두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안와 견인기(100)를 사용하며 수술 시에 수술 영역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수술의 자유도(수술 기구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안와 견인판(110)은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와 견인판(110)은 견인되는 안구(21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광 투과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견인되는 안구(210)의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광 투과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와 견인판(110)의 광 투과성은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광 투과율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견인되는 안구(210)의 상태(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안와 견인판(1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리 부재(120)는 안와 견인판(110)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고리 부재(120)는 안와 견인판(110)의 전체를 형성하지 않고 외곽 프레임으로 구비되어 본 안와 견인기(10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 영역이 최대한 확보되어 수술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리 부재(120)가 외곽 프레임으로 형성됨으로써, 안구(210)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안구(210)의 손상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고리 부재(120)는 안와 견인판(110)의 외곽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되, 고리 형태의 고리 부재(120) 중 중앙부가 하단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안와 견인기(100)가 안와(200)에 삽입될 때 용이해질 수 있으며, 안와 견인기(100)의 안와 삽입 시 발생 가능한 안구(210)의 손상을 줄여줄 수 있다.
고리 부재(120)는 가단성(malleability) 부재(121) 및 탄성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단성 부재(121)의 적어도 일부는 안구(210)의 일부 영역에 접촉되도록 안와 견인판(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양 끝단이 근위부 측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근위부 측은 도1을 참조하면, 3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단성 부재(121)는, 안와 견인판(110)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안와 견인판(110)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 중 일부(예를 들어, 안와 견인판에 구비된 고리 부재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일부)만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단성 부재(121)는 철을 포함하는 가단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자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리 부재(120)의 탄성 부재(122)는 가단성 부재(121)의 양 끝단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견인 고정부(140)와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 부재(122)는 안와 견인판(110)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120)로부터 견인 고정부(140)와 연결 형성되는 고리 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안와 견인판(110)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 중 일부만을 형성하는 가단성 부재(121)의 한 쌍을 연결해주는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안와 견인기(100)의 고리 부재(120)가 탄성 부재(122)를 포함함으로써, 본 안와 견인기(100)의 사용에 따라,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탄성 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형상을 복구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안와 견인기(100)를 안와(200)에 삽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의 형상을 좁혀(오므려) 대상자의 안와(20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안와(200)에 삽입 후,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감싸며 견인할 수 있도록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의 형상을 복구시켜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안와 견인기(100)의 형상 변형은 사용자가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를 손가락 힘을 이용해 변형시킬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안와 견인판 (110) 및 고리 부재(120)의 일부가 안와(200)에 삽입된 후, 탄성 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고리 부재(120)가 벌어짐으로써, 고리 부재(120)의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고리 부재(120)의 축이 안와(200)의 입구보다 넓어져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이 안와(200)로부터 이탈(탈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의 위치가 안와(200)에 대해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 부재(120)의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고리 부재(120)의 축은 도 1에서 안와 견인판(110)에 대해 구비되는 고리 부재(120)의 세로축 일 수 있다.
또한,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는 안와(200)에 삽입된 후 형상이 복구되어,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감싸게 되면,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의 형상을 다시 좁히지(오므리지) 않으면 본 안와 견인기(100)는 안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안와 견인기(100)를 안와(200)로부터 이탈(제거)시킬 때는, 고리 부재(120)를 통해 다시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의 형상을 좁혀 본 안와 견인기(100)를 안와(200)로부터 이탈(제거)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 부재는(122)는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자명한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단성 부재(121)는 양 끝단이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를 이용하여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1을 참조하면, 앵커(130)는 안와(200)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걸림 가능하도록 고리 부재(120)의 원위부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원위부는 도 1을 참조하면, 9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앵커(130)가 걸리는 틈새 부분은 예를 들어, 안와(200)의 위눈확틈새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앵커(130)는 틈새 부분에 용이하게 걸림 가능하도록 원위부 말단이 뾰족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구에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말단(엣지)이 뭉툭하게(둥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1의 (a)를 참조하면, 앵커(130)는 고리 부재(120)의 말단으로부터 연결이 되어 고리 부재(120)의 형상을 변형시킬 때 앵커(130)의 형상이 같이 변형(앵커 사이 각도의 변형, 변화)되어 본 안와 견인기(100)를 안와에 삽입 시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앵커(130)가 틈새 부분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어 있을 때, 고리 부재(120)의 형상이 변형되어야 제거(탈락, 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도 1의 (b)를 참조하면, 앵커(130)는 고리 부재(120)의 말단으로부터 연결되되, 고리 부재(120)가 형상 변형될 때 앵커(130)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도록 연결(예를 들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앵커(130)는 고리 부재(120)의 말단에 연결되어 고리 부재(120)의 가단성 부재(121) 또는 탄성 부재(122)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한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견인 고정부(140)는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 말단(도1 및 도 2 기준 3시 방향)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견인 고정부(140)는 견인 상태에서의 고정을 유지하도록 고정장치(14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141)는 사용자가 본 안와 견인기(100)를 당김 고정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141)는 견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중 크기만큼 당김 유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141)는 견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중 크기만큼 무게 추를 이용하여 당김 유지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줄(예를 들어, 와이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힘으로 안구(210)를 견인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안구(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안구(210)의 압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견인 고정부(140)는 한 쌍의 탄성 부재(122)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고리 형태의 크기를 조절하는 고리 크기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리 크기 조절부(142)는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 측(탄성 부재)에 위치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122)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성 부재(122) 상에서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 크기 조절부(142)가 탄성 부재(122) 상에서의 선형 운동을 통해 원위부 측(예시적으로, 안와 견인판의 근위부 말단까지)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대로, 근위부 측(예시적으로, 고정장치의 원위부 말단까지)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시적으로, 고리 크기 조절부(142)가 탄성 부재(122)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좁히면서 원위부 측(도1 기준 9시 방향)으로 이동되면, 고리 부재(120)의 고리 형태가 작아지면서 안와 견인판(110)의 플렉서블한 재질이 느슨해짐으로써 안구(210)의 압박 강도가 작아지고, 고리 크기 조절부(142)가 탄성 부재(122)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벌리면서 근위부 측(도1 기준 3시 방향)으로 이동되면, 고리 부재(120)의 고리 형태가 커지면서 안와 견인판(110)의 플렉서블한 재질이 팽팽해짐으로써 안구(210)의 압박 강도가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 크기 조절부(14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리 크기 조절부(142)는 예시적으로 지퍼(쟈크)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와 견인기와 관련된 구성들 이용하여 본 안와 견인기를 이용한 견인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 측을 좁히면서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의 형상을 좁아지게 형성하여 본 안와 견인기(100)의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 중 일부를 수술 영역에 위치하는 안와(20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안와 견인기(100)의 안와 견인판(110) 및 고리 부재(120) 중 일부를 수술 영역에 위치하는 안와(200)에 삽입하면서, 본 안와 견인기(100)의 앵커(130)의 말단을 안와(200)의 위눈확틈새에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안와 견인기(100)의 삽입 후, 고리 부재(120)의 근위부 측을 넓히면서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감싸도록 하고,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감싼 상태에서 본 안와 견인기(100)를 당김으로써 안구(210)를 견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와 견인판(110)은 우측 안와(200)의 우측 상단(도 4 기준 1시 방향)에 삽입되어, 우측 안구(210)를 좌측 하단(도 4 기준 7시 방향)으로 견인시킬 수 있다.
도 4의 (b)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안구(210)가 본 안와 견인기(100)를 통해 견인됨으로써 안와(200)에 수술 영역(견인하여 생긴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견인된 안구(210)의 견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본 안와 견인기(100)의 근위부 말단에 위치하는 고정장치(141)에 예시적으로, 무게 추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안구(210)의 견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안와 견인판(110)이 안구(210)를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고리 크기 조절부(142)의 조절을 통해 안와 견인판(110)의 플렉서블한 재질이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짐으로써 안구(210)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안와 견인기(100)로 안구(210)를 견인하여 생긴 공간을 통해 수술 영역을 확보하여 수술을 한 후, 본 안와 견인기(100)로 견인된 안구를 다시 제자리로 복구시킨 뒤 탄성 부재(122)를 이용하여 고리 부재(120) 및 안와 견인판(110)을 오므려 삽입된 본 안와 견인기(100)를 안와(200)로부터 이탈(제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안와 견인기
110: 안와 견인판
120: 고리 부재
121: 가단성 부재
122: 탄성 부재
130: 앵커
140: 견인 고정부
141: 고정장치
142: 고리 크기 조절부
200: 안와
210: 안구

Claims (7)

  1. 안와 견인기로서,
    안와 내의 안구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안와 견인판;
    상기 안와 견인판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고리 부재;
    상기 안와에 형성된 틈새 부분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 부재의 원위부 말단에 구비되는 앵커; 및
    고리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 부재는, 가단성(malleability)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단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구의 일부 영역에 접촉되도록 상기 안와 견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양 끝단이 근위부 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그 양 끝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단성 부재의 양 끝단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리 부재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리 크기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의 근위부 말단의 상호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태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것인, 안와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와 견인기는, 상기 고리 부재의 근위부 말단과 연결되고, 견인 상태에서의 고정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고리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견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와 견인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안와 견인판 및 상기 고리 부재의 일부가 상기 안와에 삽입되도록 좁힘 상태로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안와 견인판 및 상기 고리 부재의 일부가 상기 안와에 삽입된 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리 부재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고리 부재의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고리 부재의 축이 상기 안와의 입구보다 넓어져 상기 고리 부재 및 상기 안와 견인판이 상기 안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고리 부재 및 상기 안와 견인판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인, 안와 견인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견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중 크기만큼 당김 유지되게 구비되는 것인, 안와 견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와 견인판은 광 투과성이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것인, 안와 견인기.
KR1020210065547A 2021-05-21 2021-05-21 안와 견인기 KR10260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47A KR102602025B1 (ko) 2021-05-21 2021-05-21 안와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47A KR102602025B1 (ko) 2021-05-21 2021-05-21 안와 견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98A KR20220157698A (ko) 2022-11-29
KR102602025B1 true KR102602025B1 (ko) 2023-11-13

Family

ID=8423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47A KR102602025B1 (ko) 2021-05-21 2021-05-21 안와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5093A1 (en) 2005-07-01 2007-01-04 Cox John A System for tissue dissection and retraction
JP2013540562A (ja) 2010-10-26 2013-11-07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検眼鏡手術用接触レンズ
WO2020163950A1 (en) * 2019-02-11 2020-08-20 Sunnybrook Research Institute Deep orbital access retr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5093A1 (en) 2005-07-01 2007-01-04 Cox John A System for tissue dissection and retraction
JP2013540562A (ja) 2010-10-26 2013-11-07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検眼鏡手術用接触レンズ
WO2020163950A1 (en) * 2019-02-11 2020-08-20 Sunnybrook Research Institute Deep orbital access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98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677B2 (ja) 繊細な組織に使用する手術用アクセス器具
US20080108879A1 (en) Eyelid Retractor
JP7274412B2 (ja) 被検者における活動をモニタ及び/または刺激するための電極装置
US10933232B2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implanting components thereof
US2017007172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ffectuating percutaneous glenn and fontan procedures
KR102602025B1 (ko) 안와 견인기
TW201900125A (zh) 眼底脂肪重置手術用針具
US20170202634A1 (en) Medical referencing device, medic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1371166B1 (ko) 경추 보조기
CN106214236B (zh) 一种实现微创手术目的的圈簧形骨外固定器
US10231760B2 (en) Instrument for band coupling between spinous processes
RU144684U1 (ru) Двусостав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кольцо для аннулопластики
KR20230174925A (ko) 안와 견인기
CN113423345A (zh) 深部眼眶入路牵开器
KR102352598B1 (ko) 개방 연조직 결손부의 근막 또는 연조직 외피의 퇴축을 줄이기 위한 장치
US20220015807A1 (en) Occipital Plate With Angled Screw Opening
KR102339575B1 (ko) 척추 수술용 견인기
US11565105B2 (en) Lead anchor for a neuromodulation lead
KR101854570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KR101866378B1 (ko) 척추 수술용 보호 플레이트
KR100888082B1 (ko) 성형용 보형물
KR101620792B1 (ko) 의료용 메쉬 어셈블리
US20220151665A1 (en) Dynamic bone plate and method of use
KR200495180Y1 (ko) 수동식 의료용 견인기
KR20200038641A (ko) 의료용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