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641A - 의료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의료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641A
KR20200038641A KR1020180118098A KR20180118098A KR20200038641A KR 20200038641 A KR20200038641 A KR 20200038641A KR 1020180118098 A KR1020180118098 A KR 1020180118098A KR 20180118098 A KR20180118098 A KR 20180118098A KR 20200038641 A KR20200038641 A KR 2020003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ip
arm body
curved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8011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8641A/ko
Publication of KR2020003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생체 조직(일 예로, 경추 후방 근육)의 손상을 방지하며, 수술 편의성이 향상된 의료용 리트랙터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용 리트랙터는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암; 상기 제2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의 외주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리트랙터{MED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의료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리트랙터는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대상자(환자)의 생체 조직에 걸고 당기는 기구이다(생체를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의료용 리트랙터(10)는 수술 집도자가 파지하는 그립부(1), 그립부(1)에서 하향 만곡되어 연장되는 암부(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암부(2)의 단부에는 후크와 같이 만곡되어 생체 조직에 걸리는 팁부(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추 후방 감압수술(Cervical vertebra decompression)은 경추 디스크 (Cervical vertebra disk)나 후종인대 골화증(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등에 의해 경추의 신경(척수나 신경근)이 압박되어 척수증(Myelopathy)이나 신경근 병증(Radiculopathy)이 생긴 경우, 신경을 누르고 있는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이다(도 2 참조).
경추 후방 감압수술은 목의 후방을 절개하고 경추 후방 근육을 의료용 리트랙터로 견인하여 수술 시야를 확보한 후 신경을 누르고 있는 병변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의료용 리트랙터(10)를 사용하여 경추 후방 근육을 견인하는 경우, 암부(2)와 팁부(3)에 형성되어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경추 후방 근육에 손상이 발생하여, 통증, 다양한 수술 부작용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절개창이 작은 최소 침습 척추 수술에는 수술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불편함을 가진다.
나아가 종래의 의료용 리트랙터(10)는 암부(2)가 하나이기 때문에, 생체 조직을 벌리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가진다. 즉, 집도자는 근육을 벌리기 위해, 한 쌍으로 마련된 리트랙터(10)를 양손으로 컨트롤 해야하기 때문에 수술 편의성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5267호, 2018.08.2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 조직(일 예로, 경추 후방 근육)의 손상을 방지하며, 수술 편의성이 향상된 의료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의료용 리트랙터는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암; 상기 제2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의 외주면은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1암은 제1암 본체와 상기 제1암 본체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1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암은 제2암 본체와 상기 제2암 본체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2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팁은 상기 제2팁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제2팁은 상기 제1팁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암 본체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팁은 상기 제2암 본체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암 본체와 상기 제2암 본체는 하측을 향하여 연장 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암 본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팁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이고, 상기 제2암 본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팁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팁과 상기 제2팁의 연장 방향 단부는 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암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1암 본체와 상기 제1팁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팁은 상기 제2암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2암 본체와 상기 제2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는 제1고리와,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1피벗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1-1연결부와, 상기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1암을 연결하는 제1-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제2고리와, 제2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고리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1연결부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암을 연결하는 제2-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는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가 피벗 가동을 하도록 리벳 이음될 수 있다.
상기 제1-2연결부는 상기 제2-2연결부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2-2연결부는 상기 제1-2연결부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은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어, 타겟 생체 조직을 견인하여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암과 제2암의 외주면에 곡면을 형성하여 삽입 및 견인 시 생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한 손 만으로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를 피벗 가동시켜 조작함으로써 수술 편의성을 확보한 리트랙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리트랙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경추 후방 감압술의 수술 전(1)과 수술 후(2)의 경추 MRI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경추 후방 감압술(Cervical vertebra decompression)에서 경추 후방 근육을 견인하여, 경추 후방 근육이 벌어진 상태에서 이를 고정시켜 수술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추 후방술 외에 다양한 수술에 사용되어 생체 조직을 견인하고 고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제1조작부(100), 제2조작부(200), 제1암(300) 및 제2암(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100)와 제1암(300)은 단일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조작부(320)와 제2암(400)은 단일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의 작동 시, 제1조작부(100)와 제1암(300)은 제1가동자로서 일체로 피벗 가동하고, 제2조작부(200)와 제2암(400)은 제2가동자로서 일체로 피벗 가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의 피벗 가동은 다양한 가동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가동자는 고정되고 제2가동자만 피벗 가동할 수도 있고, 이와 역으로 제2가동자는 고정되고 제1가동자만 피벗 가동할 수도 있고, 제1가동자와 제2가동자가 모두 타방에 대해 피벗 가동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집도자는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피벗 가동시켜, 제1암(300)과 제2암(400)이 인접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제1암(300)과 제2암(400)이 인접한 상태에서 생체 조직의 심부로 삽입될 수 있다(도 4의 (1) 참조).
또한, 집도자는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가 인접하도록 피벗 가동시켜, 제1암(300)과 제2암(400)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생체 조직의 심부에서 제1암(300)과 제2암(400)의 사이를 벌려 생체 조직(일 예로, 경추 후방 근육)을 견인할 수 있다. 나아가 집도자는 수술 시야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병변이 가시화된 상태)에서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를 고정시켜, 제1암(300)과 제2암(400)의 간극을 유지시킬 수 있다(도 4의 (2) 참조).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한 손만으로 작동될 수 있어 수술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는 집도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집도자는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를 조작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는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의 피벗 가동에 의해, 제1암(300)과 제2암(400)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의 가동에 의해, 제1암(300)과 제2암(400)은 상호 가까워져 인접한 상태가 되거나 상호 멀어져 벌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조작부(100)와 제2조작부(200)가 정지되면, 제1암(300)과 제2암(40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조작부(100)는 제1고리(110), 제1피벗 커넥터(120), 제1-1연결부(130) 및 제1-2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리(110), 제1피벗 커넥터(120), 제1-1연결부(130) 및 제1-2연결부(140)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리(110)는 집도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1피벗 커넥터(120)는 제2조작부(200)의 제2피벗 커넥터(220)와 리벳 이음되어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부분일 수 있다(한편, 피벗 커넥터는 힌지 커넥터로도 호칭될 수 있음).
제1-1연결부(130)는 제1고리(110)와 제1피벗 커넥터(120)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고, 커넥팅 로드와 같이 길게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2연결부(140)는 제1피벗 커넥터(120)와 제1암(300)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2연결부(14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즉, 제1-2연결부(140)는 제2조작부(200)의 제2-2연결부(24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제1-2연결부(140)의 만곡된 부분에 의해 생체 조직을 벌릴 때 제1암(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고, 제1-2연결부(140)가 반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반력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밴딩되어 있기 때문).
제2조작부(200)도 제1조작부(100)와 마찬가지로(제1조작부와 대칭인 위치와 형태 등을 가짐), 제2고리(210), 제2피벗 커넥터(220), 제2-1연결부(230) 및 제2-2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리(210), 제2피벗 커넥터(220), 제2-1연결부(230) 및 제2-2연결부(240)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리(210)는 집도자의 다른 손가락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2피벗 커넥터(220)는 제1조작부(100)의 제1피벗 커넥터(120)와 리벳 이음되어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부분일 수 있다(한편, 피벗 커넥터는 힌지 커넥터로도 호칭될 수 있음).
제2-1연결부(230)는 제2고리(210)와 제2피벗 커넥터(220)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고, 커넥팅 로드와 같이 길게 연장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2연결부(240)는 제2피벗 커넥터(220)와 제2암(400)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2연결부(14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즉, 제2-2연결부(140)는 제1조작부(100)의 제1-2연결부(14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제2-2연결부(240)의 만곡된 부분에 의해 생체 조직을 벌릴 때 제2암(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고, 제2-2연결부(240)가 반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반력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밴딩되어 있기 때문).
제1암(300)과 제2암(400)은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고, 타겟 생체 조직을 견인하여 고정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타겟 생체 조직을 벌려 수술 시야 확보). 일 예로, 제1암(300)과 제2암(400)은 경추 후방 감압술(수술) 시, 경추 후방 근육을 벌려 고정할 수 있다.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기 위해, 제1암(300)은 제1조작부(100)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암(400)은 제2조작부(200)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암(300)과 제2암(400)의 모든 외주면(외측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암(300)과 제2암(400)의 외주면(외측면)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의료용 리트랙터(1000)는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 시와 타겟 생체 조직의 견인과 고정 시, 생체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암(300)은 제1암 본체(310) 및 제1팁(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암 본체(310)는 제1조작부(100)의 제1-2연결부(140)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암 본체(310)는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기 위해 일정 길이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제1암 본체(310)는 생체 조직의 심부까지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측을 향하여 연장 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암 본체(310)는 원뿔대를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제1팁(320)은 타겟 생체 조직에 걸리며, 타겟 생체 조직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팁(320)의 상면에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제1팁(320)의 상면의 평면과 제1팁(320)의 다른 면의 곡면의 경계선에 모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팁(320)의 상면의 평면과 제1팁(320)의 다른 면의 곡면의 경계선은 라운드 가공 처리될 수 있다.
제1팁(320)은 제1암 본체(310)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팁(320)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팁(320)은 제2팁(420)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팁(320)은 제1암 본체(310)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암 본체(310)와 제1팁(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팁(320)은 제1암 본체(310)에서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제1팁(320)이 제1암 본체(310)에서 절곡된다면, 모서리가 형성되어 타겟 생체 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제1팁(320)의 연장 방향 단부는 돔 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암 본체(310)의 연장 길이는 제1팁(320)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제1암 본체(310)가 너무 짧으면 생체 조직의 심부까지 삽입될 수 없고, 제1암 본체(310)가 너무 길면 생체 조직을 견인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유의하여야 한다.
제2암(400)도 제1암(300)과 마찬가지로(제2암과 대칭인 위치와 형태 등을 가짐), 제2암 본체(410) 및 제2팁(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암 본체(410)는 제2조작부(200)의 제2-2연결부(240)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암 본체(410)는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기 위해 일정 길이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제2암 본체(410)는 생체 조직의 심부까지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측을 향하여 연장 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암 본체(410)는 원뿔대를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제2팁(420)은 타겟 생체 조직에 걸리며, 타겟 생체 조직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팁(420)의 상면에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제2팁(420)의 상면의 평면과 제2팁(420)의 다른 면의 곡면의 경계선에 모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팁(420)의 상면의 평면과 제2팁(420)의 다른 면의 곡면의 경계선은 라운드 가공 처리될 수 있다.
제2팁(420)은 제2암 본체(410)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팁(420)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팁(420)은 제1팁(320)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팁(420)은 제2암 본체(410)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암 본체(410)와 제2팁(4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팁(420)은 제2암 본체(410)에서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제2팁(420)이 제2암 본체(410)에서 절곡된다면, 모서리가 형성되어 타겟 생체 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제2팁(420)의 연장 방향 단부는 돔 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암 본체(410)의 연장 길이는 제2팁(420)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제2암 본체(410)가 너무 짧으면 생체 조직의 심부까지 삽입될 수 없고, 제2암 본체(410)가 너무 길면 생체 조직을 견인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피벗 가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암; 및
    상기 제2조작부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의 외주면은 곡면인 의료용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은 제1암 본체와 상기 제1암 본체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1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암은 제2암 본체와 상기 제2암 본체의 하단부에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2팁을 포함하는 의료용 리트랙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팁은 상기 제2팁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제2팁은 상기 제1팁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의료용 리트랙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암 본체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팁은 상기 제2암 본체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은 의료용 리트랙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본체와 상기 제2암 본체는 하측을 향하여 연장 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의료용 리트랙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본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팁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이고,
    상기 제2암 본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팁의 연장 길이의 15배 이상 25배 이하인 의료용 리트랙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팁과 상기 제2팁의 연장 방향 단부는 돔 형태인 의료용 리트랙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팁은 상기 제1암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1암 본체와 상기 제1팁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팁은 상기 제2암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2암 본체와 상기 제2팁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료용 리트랙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는 제1고리와,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1피벗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1-1연결부와, 상기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1암을 연결하는 제1-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제2고리와, 제2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고리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1연결부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암을 연결하는 제2-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벗 커넥터와 상기 제2피벗 커넥터는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가 피벗 가동을 하도록 리벳 이음되는 의료용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는 상기 제2-2연결부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2-2연결부는 상기 제1-2연결부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의료용 리트랙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은 생체 조직의 심부에 삽입되어, 타겟 생체 조직을 견인하여 고정시키는 것인 의료용 리트랙터.
KR1020180118098A 2018-10-04 2018-10-04 의료용 리트랙터 KR20200038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98A KR20200038641A (ko) 2018-10-04 2018-10-04 의료용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98A KR20200038641A (ko) 2018-10-04 2018-10-04 의료용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41A true KR20200038641A (ko) 2020-04-14

Family

ID=702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98A KR20200038641A (ko) 2018-10-04 2018-10-04 의료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86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7A (ko) 2017-02-17 2018-08-27 장상훈 브라이언 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7A (ko) 2017-02-17 2018-08-27 장상훈 브라이언 리트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42975U (zh) 眼眶组织牵开器
US9101492B2 (en) Set compris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for immobilising a vertebra with respect to another and an instrument for installing this implant
US4574804A (en) Optic nerve clamp
US5993385A (en) Self-aligning side-loading surgical retractor
US200200655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approximation of muscle and other tissue
US20130345762A1 (en) Soft tissue bone reduction forceps
JP2008546485A5 (ko)
US9439638B2 (en) Exposure apparatus for paraspinal muscle clearance approach with posteriorspinal small incision
JP2008546485A (ja) 脊椎手術または整形外科手術用の外科的アクセス器具
JP2012066077A (ja) 補綴パッチをロールして体腔の中に挿入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03511201A (ja) 椎間板のスペースの伸延器具及び伸延方法
JP2007502664A (ja) 脊椎への外科的アプローチにおいて骨アンカーに対してインプラントを配置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739812A1 (en) Skin-bone clamp
US20100305407A1 (en) Malleable Port Retractor
US10117645B2 (en) Apparatus for removing devices implanted in the body
US8043212B1 (en) Methods for treating cervical vertebrae through an access device
JP2007508118A (ja) 脊椎固定フックおよび脊椎固定方法
US6379298B2 (en) Medical dissection spatula having spreadable spatula jaw parts
US20110144418A1 (en) Connector for Mesh Support Insertion
KR20200038641A (ko) 의료용 리트랙터
US20120302839A1 (en) Speculum
JP7091539B2 (ja) 治療器具
CN210019811U (zh) 经口前路寰枢椎侧块关节复位融合器系统
US8632549B2 (en) Surgical tool for pectus bar extraction
KR102339575B1 (ko) 척추 수술용 견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