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82B1 - 성형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성형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82B1
KR100888082B1 KR1020070116694A KR20070116694A KR100888082B1 KR 100888082 B1 KR100888082 B1 KR 100888082B1 KR 1020070116694 A KR1020070116694 A KR 1020070116694A KR 20070116694 A KR20070116694 A KR 20070116694A KR 100888082 B1 KR100888082 B1 KR 10088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lding
coupled
correctio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귀환
이재근
Original Assignee
황귀환
이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귀환, 이재근 filed Critical 황귀환
Priority to KR102007011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보정부와; 보정부의 양단부에 일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보정부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다른 일 단부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하여는 당기는 힘이 제공되고,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해서는 당기는 힘이 제공되지 않거나/또는 거의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신체의 처지지 않은 부위에 대한 부작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삽입된 보형물에 의한 이물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처진 신체 부위의 보정(복원)을 위하여 삽입되는 보형물이 신체의 조직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성형, 처진 부위, 조직, 실리콘, 줄, 고착

Description

성형용 보형물{IMPLANT FOR CORRECTION OF DEFORMITIES}
본 발명은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복원)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용 보형물은 주로 여성들의 코, 유방 또는 엉덩이 등의 형태를 보정하거나, 확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형물 중에는 인간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신체가 변화(노화)되어 처지게 되는 부위를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 있다. 다시 말해서, 보형물을 신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늘어진 피부 조직을 당겨 올릴 수 있도록 시술함으로 피부가 탄력이 있는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술 방식은 이마, 볼, 목선, 가슴, 엉덩이 또는 배 등과 같이 처진 부위를 절개하여 신체 조직이 늘어져 불필요하게 남는 부분(즉, 처져 늘어진 부분)을 절개하고, 보형물을 삽입하여, 늘어난 부위를 당겨 펼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보형물 중에는 탄성을 가지는 실을 이용하여 인체의 늘어진 부위에 시술하여 늘어진 인체 조직을 실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여 고정하 는 방식으로 시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술에 이용되는 실은 조직을 당기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복수의 위치에 시술하여야만 하고, 이로 인해 시술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시술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실로 늘어진 부위를 복원시키는 경우, 늘어진 부위 이외에 연장되는 영역(처짐이 발생하지 않은 조직의 영역)에 대하여 탄성실이 위치하는 경우, 실의 탄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당김 현상이 처지지 않은 조직에 대하여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실에 의한 탄성을 받게 되는 의도하지 않은 영역의 조직은 오히려 탄성실의 당김으로 인해 주름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조직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탄성이 없는 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늘어진 부위를 당겨 복원시키는 힘은 강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되나, 반대로 조직의 움직임에 따라 실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조직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탄성의 실리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직을 당기는 힘은 탄성실에 비하여 강하게 작용하기는 하지만, 탄성 실의 경우와 같이 탄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당김 현상이 처지지 않은 조직에 대하여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당김 현상으로 인해 처지지 않은 조직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조직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리콘을 이용한 보형물의 경우에는 신체 내부의 조직에 실리콘의 보형물을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처진 부위(조직)를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보형물이 처진 부위에 대하여는 당기는 힘을 제공하고,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해서는 당기는 힘이 제공하지 않거나 그리고/또는 당기는 힘이 거의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하여 보정을 위한 복원력(당기는 힘이)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거나, 복원력의 영향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한 작용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이물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처진 부위의 보정(복원)을 위하여 삽입되는 보형물이 신체의 조직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정을 위한 지지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부위의 적용이 유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정을 위한 지지부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크 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보정부와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는 부분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거나 거의 일어나지 않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보형물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복원)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보정부와; 보정부의 양단부에 일 단부가 결합하며, 보정부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다른 일 단부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부는 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 지지부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신체의 조직에 결합하는 일 단부에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는 보정부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할 수도 있고, 보정부의 단부에 감기어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정부는 지지부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에 보정부에 대한 횡 방향의 구멍과 상기 횡 방향의 구멍 일 측으로 연결되는 종 방향의 구멍이 구비되고,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상기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구멍에 감기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보정부는 지지부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에 보정부에 대한 두 개의 횡 방향의 구멍과 상기 어느 일 횡 방향의 구멍 일 측으로 연결되는 종 방향의 구멍이 구비되고,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상기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구멍에 감기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정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정부는 긴 막대 또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보정부는 고착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고착부는 홈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진 부위(조직)를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보형물에 의해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하여는 당기는 힘이 제공되고,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해서는 당기는 힘이 제공되지 않거나/또는 거의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신체의 처지지 않은 부위에 대한 부작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지지 않은 신체 부위(조직)에 대한 작용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삽입된 보형물에 의한 이물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진 신체 부위의 보정(복원)을 위하여 삽 입되는 보형물이 신체의 조직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을 위한 지지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부위의 적용이 유연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을 위한 지지부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복원)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보정부와 신체의 처진 부분을 보정하는 부분이 고정된 상태 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거나 거의 일어나지 않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위를 복원하기 위한 성형용 보형물(100)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보형물(100)은 신체의 처진 부위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보정부(110)와 상기 보정부(110)가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신체에 고정하게 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정부(110)는 신체의 처진 부위를 처진 방향과 반대 방향, 또는 처진 신체부위를 당길 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력(예를 들어 당기는 힘)의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일 예로, 상기 보정부(110)는 탄성력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정부(1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정부(110)의 외관 형상은 긴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의 막대 또는 일정한 면적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부(110)는 인체에 적용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부(110)는 신체의 처진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른 탄성력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일 단부가 상기 보정부(110)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보정부(110)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복원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다른 일 단부가 예를 들어, 근막, 골막 또는 건막 등과 같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는 보정부(110)에 의해 신체의 처진 부위가 처지지 않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그 일 단부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되어 상기 보정부(11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20)가 보정부(110)에 대한 지지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부(110)의 탄성 변형에 비하여 적은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신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체의 조직과 반응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신체의 조직에 의해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 상태가 변하지 않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예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마찰력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PTFE(polytetrafluoroethlene :사불화 폴리 에틸렌) 또는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lene)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PTFE 코팅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보정부(110)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상기 보정부(110)의 성형시 지지부(120)의 일 단부가 보정부(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부(130)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정부(110)의 사출시 지지부(120)의 단부가 보정부(110)의 일 단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정부(110)를 이루는 물질을 주입하여 결합부(130)를 이루도록 사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30)는 보정부(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부(120)의 단부에 대하여 결합력이 증가하도록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정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단부(120a,120b)가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줄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줄은 복수의 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가 복수의 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20)는 보정부(110)를 지지하고자 하는 힘의 정도(즉,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를 이루는 줄의 수를 조절(조정)하여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가 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가닥의 줄이 접힌 상태에서 접힌 부분이 보정부(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줄의 각 단부(120a,120b)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줄의 어느 일 단부(120a 또는 120b)가 다른 일 단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당겨질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형물(100)의 다른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신체의 처진 부위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보정부(110)와 상기 보정부(110)가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신체에 고정하게 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정부(11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 하여만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정부(11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체의 처진 부위를 처진 방향과 반대 방향, 또는 처진 신체부위를 당길 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력(예를 들어 당기는 힘)의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의 예는 탄성력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정부(110)는 인체에 적용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체의 처진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른 탄성력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부(110)는 양 단부에 지지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가 결합되는 보정부(110)의 양단부의 중앙부 영역에는 고착부(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착부(140)는 상기 보형물(100)이 신체의 처진 부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신체의 내부 조직이 성장(및/또는 재생)하여 상기 보정부(110)위 위치가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정부(110)와 결합(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착부(14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로, 상기 고착부(140)는 상기 보정부(110)의 외부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일 예로 상기 보정부(1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착부(140)가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은 성장 및/또는 재생되는 조직이 상기 홈의 내부로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보정부(110)는 인체의 내부에 삽입된 후, 인체의 내부 조직과 결합(또는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보정부(110)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처진 부위를 당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정부(1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120)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보정부(110)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복원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근막, 골막 또는 건막 등과 같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다른 일 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보정부(110)의 탄성 변형에 비하여 적은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보정부(110)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상기 보정부(110)에 구비되는 결합부(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의 구성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정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횡 방향의 구멍(132)과 상기 횡 방향의 구멍(132) 일 측에 연결되는 종 방향의 구멍(13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횡 방향의 구멍(132)과 인접한 위치에 다른 일 횡 방향의 구멍(13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는 줄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줄의 각 단부(120a,120b)는 각각 횡 방향 구멍(132)의 각 개구부를 향해 각 방향(A',A")으로 삽입되어 종 방향 구멍(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보정부(110)의 단부 위치에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줄의 고리부(120c)가 형성되어 감기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독립된 위치에 구비되는 횡 방향의 구멍(133)은 생략되거나, 고착부(140)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줄의 어느 일 단부(120a 또는 120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정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120)는 그 단부(120a,120b)가 인체의 조직(예를 들어, 근막, 골막 또는 건막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에 대하여 지지부(120)가 결합되는 다른 일 예로, 상기 지지부(120)는 줄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줄의 어느 일 단부(120a 또는 120b)가 상기 종 방향의 구멍(131)을 통해 "A" 방향으로 삽입되어 횡 방향 구멍(132)의 어느 일 측 개구를 통해 "B" 방향으로 빠져나와 다시 독립된 위치에 구비된 횡 방향의 구멍(133)으로 통해 "C" 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시 "D" 방향을 따라 다른 횡 방향 구멍(132)을 통해 삽입되고, "E" 방향을 따라 종 방향 구멍(131)을 관통하여 상기 보정부(110)의 단부 위치에 고리부(120c)가 형성되어 감기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4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는 줄의 어느 일 단부(120a 또는 120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단부(120a,120b)가 인체의 조직(예를 들어, 근막, 골막 또는 건막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줄은 복수의 줄로 구성하여 보정부(110)를 지지하고자 하는 힘의 정도(즉,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변형된 보정부(110)가 구비되는 보형물(100)에 대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정부(11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면적이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보정부(110)에 고착부(1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보정부(110)를 구비하는 보형물(100)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같이 지지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보정부(11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종 방향 구멍(131) 및 횡 방향 구멍(132 및/또는 133)을 통해 보정부(110)의 단부에 감기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구성들은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어느 일 단부(120a 또는 120b) 또는 각 단부(120a,120b)에는 고정부(1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지지부(120)의 단부가 인체의 내부 조직(예를 들어 근막, 골막 또는 건막) 등과 같은 결합을 위한 조직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는 고리, 갈고리, 또는 걸쇠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20)의 어느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고정부(15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부(120)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줄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줄로 구성하여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부(120)가 단부에 고정부(150)가 결합되는 줄로 구성되는 경우, 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결합 위치의 선택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 가능한 성형용 보형물(100)은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진 턱을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부(110)는 턱살의 처진 부분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처진 턱살의 영역에 배치되거나, 처진 턱살을 당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정부(110)에 결합되는 지지부(120)의 단부는 턱 뼈(10)의 골막에 대한 결합부(160)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턱 뼈(10)의 골막뿐만 아니라, 턱 뼈의 운동성을 감안하여 아래턱의 근막에 결합하거나, 건막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160)는 예를 들어 지지부(120)가 단순히 줄로 구성되는 경우, 골막 등을 절개하여 절개된 골막에 지지부(120)를 묶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20)가 그 단부에 고정부(150)가 구비되는 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150)를 골막 등의 절개 없이 단순히 골막에 꿰어 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고정하고자 하는 뼈에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끼운 후,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부(12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b에는 처진 복부를 복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100)이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부(110)는 뱃살의 처진 부분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뱃살의 처진 영역을 복원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 도록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보정부(110)에 결합되는 지지부(120)는 상기 보정부(110)가 처진 뱃살을 당겨 복원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20)가 골반뼈(20) 위치에 결합된 성형용 보형물(100)과 지지부(120)가 갈비뼈(30)의 위치에 결합된 성형용 보형물(100)이 적용된 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지지부(120)는 이 외에도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다른 신체의 조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성형용 보형물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보정(복원)을 위한 성형용 보형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보정(복원)을 위한 성형용 보형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의 결합부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결합부에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감겨진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결합부에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감겨진 다른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보정(복원)을 위한 성형용 보형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처진 부위에 대한 보정(복원)을 위한 성형용 보형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지부의 단부에 고정부가 구비된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이 처진 턱을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이 처진 복부를 보정(복원)하기 위하여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보형물 110 ... 보정부
120 ... 지지부 120a,120b ... 단부
120c ... 고리부 130 ... 결합부
131 ... 종 방향 구멍 132,133 ... 횡 방향 구멍
140 ... 고착부 150 ... 고정부
160 ... 결합부

Claims (15)

  1.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보정부와;
    상기 보정부의 양단부에 일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보정부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다른 일 단부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줄로 구성되며, 신체의 조직에 결합하는 일 단부에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긴 막대 또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고정부가 신체 내부 조직의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고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홈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9.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보정부와;
    상기 보정부의 양단부에 일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보정부가 신체의 처진 부위를 받쳐주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다른 일 단부가 신체의 어느 일 조직에 결합 가능하도록 줄로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보정부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보정부의 단부에 감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지지부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에 보정부에 대한 횡 방향의 구멍과 상기 횡 방향의 구멍 일 측으로 연결되는 종 방향의 구멍이 구비되고,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상기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구멍에 감기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지지부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에 보정부에 대한 두 개의 횡 방향의 구멍과 상기 어느 일 횡 방향의 구멍 일 측으로 연결되는 종 방향의 구멍이 구비되고, 지지부를 구성하는 줄이 상기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구멍에 감기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그 일 단부에 신체의 조직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고정부가 신체 내부 조직의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고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KR1020070116694A 2007-11-15 2007-11-15 성형용 보형물 KR10088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94A KR100888082B1 (ko) 2007-11-15 2007-11-15 성형용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94A KR100888082B1 (ko) 2007-11-15 2007-11-15 성형용 보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082B1 true KR100888082B1 (ko) 2009-03-11

Family

ID=4069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694A KR100888082B1 (ko) 2007-11-15 2007-11-15 성형용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216A3 (ko) * 2011-04-28 2013-03-07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주름제거용 충전체
KR20150138801A (ko) * 2013-05-10 2015-12-10 주식회사 에스트라 주름제거용 충전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126Y1 (ko) 2005-04-22 2005-07-07 배은현 코 인공 삽입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126Y1 (ko) 2005-04-22 2005-07-07 배은현 코 인공 삽입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216A3 (ko) * 2011-04-28 2013-03-07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주름제거용 충전체
US10357349B2 (en) 2011-04-28 2019-07-23 Hbmedicals Co., Ltd.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KR20150138801A (ko) * 2013-05-10 2015-12-10 주식회사 에스트라 주름제거용 충전제
KR101696253B1 (ko) 2013-05-10 2017-01-13 주식회사 에스트라 주름제거용 충전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731B1 (ko)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KR101155817B1 (ko) 조직거상용 이식물
ES2441244T3 (es) Implante para vías respiratorias
AU2005230815B2 (en) Surgical thread
KR101411075B1 (ko) 혀 임플란트
JP6945997B2 (ja) グラフト調製システム
RU2011126989A (ru) Система имплантатов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обструктивного апноэ во сне
CN104394777A (zh) 组织移植物锚定
US20150133839A1 (en) Tensioning device for orthoses
US20220338971A1 (en) Mesh support device for a breast implant and a method for fixating a breast implant in a mesh support device
US20080288069A1 (en) Threaded pulley ancho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surgical repair of ligament or tendon
CN110366391A (zh) 胸杆支撑装置
US20230054902A1 (en) Soft button assembly and procedure
US20080132944A1 (en) Suture re-tensioning device
KR101192308B1 (ko)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KR100888082B1 (ko) 성형용 보형물
US9795483B2 (en) Peyronie's treatment implant
US20120136206A1 (en) Method of treating peyronies disease
KR101432268B1 (ko)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JP2019514488A5 (ko)
WO2001052773A1 (fr) Matiere de renforcement des ligaments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ES2560629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 Peyronie y método de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 Peyronie
JP2022514097A (ja) 移植片の締結のための医療締結装置
CN107157617A (zh) 组织移植物直接悬吊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